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10-22 17:02
[침구임상(針灸臨床)] 맹장염 (盲腸炎, 闌尾炎, 虫垂炎) - 면통 (面痛)
 글쓴이 : admin
조회 : 14,233  
맹장염 (盲腸炎, 闌尾炎, 虫垂炎)
        1. 참조문(參照文)
            1) 急性單純性虫垂炎 : 大腸病中 大腸瘀熱 參照
        2. 主治穴(주치혈)
            1) 上巨虛(상거허), 足三里(족삼리), 蘭尾穴(란미혈), 天樞(천추), 曲池(곡지).
            2) 足陽明胃經 : 天樞(천추), 上巨虛(상거허,大腸의 下合穴).
                足太陰脾經 : 府舍(부사).
                胸腹部奇穴 : 子宮(자궁).
                下肢部奇穴 : 蘭尾穴(란미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單純性 : 足陽明胃經 - 天樞(천추), 上巨虛(상거허), 關元(관원).
                          . 下肢部奇穴 - 蘭尾穴(란미혈), 阿是穴(아시혈), 足三里(족삼리).
            2) 處方 ① 蘭尾穴(란미혈), 足三里(족삼리), 天樞(천추).
                      ② 蘭尾穴(란미혈), 足三里(족삼리), 阿是穴(아시혈).
        4. 中醫針灸學
            腸癰(장옹)
            腸癰(장옹)은 오른쪽 아랫배의 통증이 주요 증상이다. 본병은 오른쪽 다리를 펴지 못하는
            특징이 있어서 縮脚腸癰(축각장옹)이라고도 부른다. 西醫(서의)의 急慢性盲腸炎(급만성
            맹장염)에 해당한다.
            病因病機
            습열체적(濕熱滯積)으로 장부(腸腑)가 조박(糟粕)을 전화(轉化)하지 못하여 기혈(氣血)이
            어응(瘀凝)됨으로 혈육부패(血肉腐敗)로 장옹(腸癰)이 형성되는 것이다.
            음식실조(陰食失調), 고량후미(高梁厚味) 혹은 생냉(生冷)한 음식을 과식하거나 혹은 음
            식불절(飮食不節)로 장부(腸腑)가 옹체(壅滯)되어 울습화열(鬱濕化熱)로 장옹(腸癰)이 형
            성된다.
            기체혈어(氣滯血瘀) : 만약 한온(寒溫)이 부적당(不適當)하거나 혹은 칠정이 울결(七情鬱
                                            結)되거나 혹은 산후(産后)에 패혈(敗血)이 체류(滯留)되면 역시
                                            본병을 일으킬 수 있다.
            활동과도(活動過度) : 급하게 걷거나 뛰고, 무거운 짐을 나르다 상(傷)하거나 특히 식후에
                                          과분한 활동을 하면 장락(腸絡) 손상으로 병이 발생할 수 있다.
            변증론치(辨證論治)
            처음에는 배꼽주위가 아프고 점차 오른쪽 아랫배로 전이되며 손으로 누르면 통증이 심해
            지고 아픈 부위는 고정 되어있고 복부의 피부가 긴장되며 오른쪽 다리를 펴지 못하고, 발
            열(發熱), 오한(惡寒), 오심(惡心), 구토(嘔吐), 변비(便秘)거 생기고 소변이 붉다. 설태는
            얇고 미끈거리며(薄膩) 누렇고, 맥은 빠르고 힘이 있다(脈數有力). 만약 복통이 더욱 심하
            고, 복부의 피부가 매우 긴장하며 누르지 못하게 하고, 국부에 덩어리가 짚이며, 고열이
            나고, 땀이 절로 흐르며, 설태가 누렇고 미끈 거리며(黃膩), 맥은 파도와 같이 크고 오는
            맥이 크고 가는 맥이 작으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脈洪數)으로써
            이는 엄중한 증상이다.
 
            식체중저(食滯中阻)
            症狀 : 완복창만동통(脘腹脹滿疼痛) 거안(拒按) 오식(惡食) 애기구취(噯氣口臭) 설태후니
                      (舌苔厚膩) 맥현활(脈弦滑).
            治法 : 청열도체(淸熱導滯) - 족양명(足陽明) 족태음경혈(足太陰經穴) 위주(爲主) - 호침
                      (毫針) 사법(瀉法) 30-60分 유침(留針) 日 1-2次, 중환자(重患者) 4 時間隔
            處方 : 란미(蘭尾) 족삼리(足三里) 대횡(大橫) 함곡(陷谷) 대장수(大腸兪)
                      구토(嘔吐) 겸유자(兼有者) : 加 내관(內關) 중정(中庭)- 消食止嘔
                      고열(高熱) 兼有者 : 加 대추(大椎), 곡지(曲池). - 청열(淸熱)
                      복창(腹脹) 兼有者 : 加 내정(內庭) - 소식제창(消食除脹)
                      변비(便秘) 兼有者 : 加 지구(支溝), 풍륭(豊隆) - 통변(通便)
            方義 : 본 처방의 주요작용은 족양명(足陽明), 태음(太陰)의 경기(經氣)를 소통(疏通), 조
                      리(調理)하여 위장의 기혈을 통창(通暢)하게 하고 기능을 회복시켜서 청열도체(淸
                      熱道滯), 산어지통(散瘀止痛)의 공능을 일으키게 한다.
                      란미혈(蘭尾穴)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에 있으며 장옹(腸癰)을 치료하는 경험
                                              혈(經驗穴)이고
                      족삼리(足三里) : 위경(胃經)의 합혈(合穴)이며 족양명위경의 부기(腑氣)를 소도
                                              (疏導)하는 작용이 있고
                      대횡(大橫), 함곡(陷谷) : 비(脾)와 위경(胃經)의 혈이며 리기화체(理氣化滯)하는
                                              대장수(大腸兪)와 배합하면 중초운화(中焦運化), 통조장부(通調
                                              腸腑), 소옹도체(消癰導滯)의 작용을 한다.
                      만일 ① 구토(嘔吐)를 겸하면
                                  加 내관(內關), 중정(中庭) - 소식지구(消食止嘔)하고
                            ② 고열(高熱)을 겸하면
                                  加 대추(大椎), 곡지(曲池) - 청열(淸熱)하고
                            ③ 복창(腹脹)을 겸하면
                                  加 내정(內庭) - 소식제창(消食除脹)
                            ④ 변비(便秘)를 겸하면
                                  加 지구(支溝), 풍륭(豊隆) - 통변(通便)한다.
            기혈응체(氣血凝滯)
            症狀 : 복통(腹痛) 고정불이(固定不移) 거안(拒按) 혹 유괴(有塊) 설질홍(舌質紅) 설태박
                      백(舌苔薄白) 맥현삽(脈弦澁)
            治法 : 행기(行氣) 통부(通腑) 화어(化瘀). - 족양명(足陽明) 임맥경혈(任脈經穴) 위주(爲
                      主) - 호침(毫針) 사법(瀉法)
            處方 : 천추(天樞), 상거허(上巨虛), 중완(中脘), 수삼리(手三里).
            方義 - 천추(天樞) : 대장의 모혈(募穴)로써 대장을 소통(疏通)하며, 화영통락(和營通絡)
                                        하고 상거허(上巨虛) : 대장의 합혈(合穴)이며 통장화체(通腸化滯)하
                                        고, 부(腑)의 합혈 중완(中脘)과 대장경혈 수삼리(手三里)와 배합하
                                        면 통부(通腑), 행기(行氣), 화어(化瘀)의 목적을 달성한다.
            治法 : 호침(毫針)으로 사법(瀉法)을 사용하며 30~60분간 유침(留針)하고 매일 1~2차
                      씩 침자하며 중환자는 4시간에 한 번씩 침자(針刺)한다. 
        5. 針灸經驗方 許任
            1) 장옹(腸癰) : 충수주위 농양 (맹장염(盲腸炎)
                症狀 : 아랫배의 아픔이 허리 까지 뻗치거나 한쪽 다리를 절며 불에 데인 것 같이 몸이
                          화끈 거리고 소변이 잦으나 적으며 낮에는 덜하고 밤에는 심해지며 30여일 뒤
                          에 곪는다.
                處方 ① 곪기전 : 미리 기죽마혈(騎竹馬穴)에 뜸을 각각 7장씩 떠주면 신기한 효험이
                                        있다.
                        ② 곪은후 : 주첨혈(肘尖穴)에 100장의 뜸을 떠주면 고름이 1~2그릇 나오는데
                                        신기할 따름이다.
        6. 이침(耳針)
            1) 란미(蘭尾), 교감(交感), 대장(大腸), 신문(神門).
            2) 대장(大腸).
멀미 : 차멀미, 배멀미.
      1. 參照文(참조문)
          1) : 오심 (惡心)
      2. 主治穴(주치혈)
          1) 督脈 : 水泃(수구).
      3. 이침(耳針)
          1) 배멀미와 차멀미 예방 : 枕.
면근육경련 (面筋肉痙攣)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大迎(대영).
              2. 이침(耳針)
                  면협구(面頰區),
면부종 (面浮腫) : 頭面部浮腫(두면부부종)
        1. 참조문(參照文)
            1) 안검부종(眼瞼浮腫)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溫溜(온유).
                足陽明胃經 : 解溪(해계,經), 冲陽(충양,原), 함곡(陷谷, 輸), 廬兌(려태).
                手太陽小腸經 : 顴髎(권료).
                足少陽膽經 : 懸顱(현로), 懸厘(현리), 完骨(완골), 目窗(목창).
                督脈 : 水泃(수구), 전정(前頂).
                頭頸部奇穴 : 夾承漿(협승장).
면부질환 (面部疾患)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近部選穴 : 觀髎(관료), 頰車(협거).
면색 (面色)
    1. 針灸經驗方 許任
        1) 面色이 거므스름한 것 : darkish complexion
            處方 : 行間 中封 腎兪 肝兪 尺澤 合谷 足三里穴에 針刺한다.
        2) 面部에 風熱邪氣가 侵入하여 發作하면 1-2日에 面部紅腫하여 화끈 거리며 개암나무의
            열매와 같이 돋아나는데 반들반들하고 돋은 것이 점점 커져서 숨이 깔딱 깔딱하는 것
            處方 : 三陵針으로 患部와 그 周圍를 마구 針刺하여 瀉血을 충분히 시킨다. 다음날에도
                      亦是 같은 방법으로 가라앉은 곳과 새롭게 붉어진 部分을 瀉血을 시킨다. 이같이
                      부어 오르는 데로 點刺出血시키면 神效하다. 마땅히 臨機應變해야 한다.
면신경마비 (面神經麻痺) ⇒ 안면신경마비 (顔面神經痲痺)
면유풍 (面游風)
        1. 參照文(참조문)
            1) 皮炎 “脂溢性皮炎” 參照
면탄 (面癱)
    1. 參照文(참조문)
        1) 중풍 (中風)
    2. 中醫針灸學
        면탄은 또 구안왜사(口眼歪斜)라 부른다. 어떤 연령에도 모두 發生할 수 있지만 특히 靑年
        壯年에게 제일 많이 發生한다. 본병은 급속히 발생되며 단순히 한쪽 면부의 근육이 지완(遲
        緩)되고 반신불수(半身不遂)와 신지불청(神志不淸) 등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서의학(西醫學)의 주위성면신경마비와 주위성면신경염이 본 절에 해당된다. 
        病因 : 위양불고(衛陽不固)하여 락맥(絡脈)이 공허(空虛)하면 풍한(風寒) 혹은 풍열사기(風
                  熱邪氣)가 虛한 틈을 타서 면부의 근맥(筋脈)에 침습(侵襲)되면 경락기혈(經絡氣血)
                  을 조체(阻滯)함으로 근육(筋肉)이 종완불수(縱緩不收) 되어 면탄(面癱)이 발생(發
                  生)하게 된다.
        症狀 : 돌연발생(突然發生) 취침후(就寢后) 면부마비(面部麻痹) 이마와 눈섭을 움직이지 못
                  하고, 뺨을 불구지 못한다, 입은 健康한 쪽으로 삐뚤어지고 입술을 꼭 다물지 못하며
                  물을 마시면 患側으로 흘러나온다, 눈을 꼭 감지 못하고 눈물이 난다,  患側의 이맛살
                  과 비순구(鼻脣區)가 낮아지거나 或 없어진다.  소수의 사람들은 初起에 耳下와 面部
                  가 아프다. 嚴重하면 患側 혀의 2/3 部位의 미각(味覺)이 감퇴(減退)되거나 혹은 소실
                  (消失)되고 청각(聽覺)이 과민(過敏)되는 等 症狀이 나타난다.
        處方 : 지창(地倉), 협거(頰車), 합곡(合谷), 양백(陽白), 사백(四白).
        方義 : 국부근취(局部近取) 지창(地倉), 협거(頰車), 양백(陽白), 사백(四白)과 순경원취(循
                  經遠取) 합방법(合方法)으로 경맥(經脈)을 소통(疏通)하며 풍사(風邪)를 제거하고 기
                  혈(氣血)을 조화시켜 근육(筋肉)에 영(營)을 주면 면탄(面癱)은 자연히 회복된다.
                  ① 눈섭을 들지 못하면 : 찬죽(攢竹),         
                  ② 비순구(鼻脣口) 불평탄(不平坦) : 영향(迎香),
                  ③ 유돌부위통증(乳突部位痛症) : 예풍(翳風), 
                  ④ 인중구(人中溝)가 삐뚤면 : 승장(承漿),
                  ⑤ 설비(舌痹) 미각소실(味覺消失) : 염천(廉泉).
        治法 : 면부혈(面部穴)은 사자(斜刺) 혹은 투자(透刺)한다. 초기에는 사법(瀉法), 후기(后期)
                  에는 보법(補法)을 사용하며 가구(可灸)한다.
    3. 周圍性面癱(주위성면탄). 
        處方 ① 태양(太陽), 하관(下關), 협거(頰車), 지창(地倉).
              ② 예풍(翳風), 견정(牽正), 양백(陽白), 지창(地倉), 영향(迎香).
              ③ 하관(下關), 태양(太陽), 관료(觀髎), 화료(禾髎), 합곡(合谷).
면통 (面痛)
    1. 參照文(참조문)
        1) 삼차신경통 (三次神經痛)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地倉(지창), 下關(하관).
            足少陽膽經 : 聽會(청회).
    3. 中醫針灸學
        면통은 면협(面頰) 부위가 진발성(陳發性)적으로 생기는 동통을 말한다. 본병은 대부분 한
        쪽으로 많이 발생하고 극소수가 양쪽에 발생된다. 동통부위는 뺨의 상하부위가 많고, 이마
        부위에는 비교적 적게 나타난다. 동통은 보통 한 기점(起点)을 하고 있는데 입으로 바람을
        불거나, 세수, 말을 하거나, 밥을 먹으면 이 기점(起点)에 자극을 주어 발작하게 된다. 초기
        에는 매번 아픈 시간이 비교적 짧으며 발작의 간격 시간도 비교적 길지만 오래되면 발작의
        차수가 빈번하며 동통의 정도가 점점 중해지고 병세가 완고하여 스스로 회복되는 자가 극소
        수이다. 본 병은 40~50세의 년령에 많이 나타난다.
        서의학의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은 본 절의 변증론치(辨證論治)를 참고하라! 
        병인병기(病因病機)
        풍한지사(風寒之邪)가 양명근맥(陽明筋脈)에 침습되면 한성(寒性)은 수인(收引)함으로 근맥
        (筋脈)을 응체(凝滯)하여 혈기(血氣)가 막히게 되어 드디어 면통(面痛)이 발생된다. 혹은 풍
        열의 병독(風熱病毒)이 면부에 침입되어 근맥의 기혈운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면통이 발
        생된다. 
        변증론치(辨證論治)
        주증(主證)은 동통이 돌연 발작되며 진발성(陳發性), 방사성(放射性), 전격양(電擊樣)의 극
        통(劇痛)인 것으로 마치 찢어지는 듯, 침으로 찌르는 듯, 불에 덴 듯하여 환자는 극히 참기
        어렵다. 보통 손가락으로 동통부위를 힘껏 누르거나 문질러서 통증을 감소시킨다. 매번 발
        작시간은 매우 짧아서 수초에서 수분이 지나면 스스로 완해(緩解)되지만 연속적으로 몇 시
        간 혹은 몇 일간에 반복적으로 발작된다. 간헐기(間歇期)는 시간이 짧으면  몇 일, 길면 몇
        년이 된다.   
        1) 풍한증(風寒證) : 면부(面部)에 한사(寒邪)가 감수(感受)되여 득한통심(得寒痛甚) 득온경
                                    감(得溫輕减), 청체(淸涕), 설태백(舌苔白) 맥부(脈浮)
        2) 풍열증(風熱證) : 감기에 열이 나면 아픈 부위가 따가운 감이 있고 침을 흘리며 눈이 벌겋
                                    고 눈물이 나며, 설태담황니(舌苔淡黃膩) 맥삭(脈數).
        원칙(原則) : 거한청열(祛寒淸熱) 근맥소통(筋脈疏通) - 수양명(手陽明), 태양(太陽), 소양경
                          혈(少陽經穴) 爲主
        처방(處方) : 이마통(前頭痛) → 찬죽(攢竹), 양백(陽白), 두유(頭維), 솔곡(率谷), 후계(后溪)
                          상악통(上顎痛) → 四白 觀髎 上關 迎香 合谷
                          하악통 : 승장(承漿), 협거(頰車), 하관(下關), 예풍(翳風), 내정(內庭).
                方義 : 본 처방은 근부취혈(近部取穴)을 위주로 하며 원부취혈(遠部取穴)과 배합하면
                          면부의 근맥(筋脈)을 소통(疏通)하고 거한 및 청열(祛寒淸熱)하고 기혈을 조화
                          (氣血調化)하여 통칙불통(通則不痛)시킨다.
                          삼조(三條)의 처방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종합하여 선택해서 사용해도 된
                          다.
                治法 : 針으로 사법(瀉法), 한증(寒證)은 구법(灸法)을 사용, 30-60分 유침(留針) 통증
                          (痛症)이 더욱 심한 사람은 유침(留針)을 더 연장(延長)해야 한다. 매일 혹 격
                          일(隔日) 1차 10변.
    4. 現代針灸學 成樂箕
        顔面部疼痛
        顔面部 疾患을 치료목표로 하는 취혈은 手指陽經을 1차적으로 취혈하고 여기에 대응하는
        足趾陽經을 2차적으로 취혈한다. 手指陽經 단독으로 取穴 治療하는 것보다도 足趾陽經을
        竝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이유는 手足의 三陽三陰經 사이에는 동류적 상생적 연속적 기
        경의 중개 등등 상,하,교류의 반응법칙이 있기 때문이다.
        顔面疼痛은 주로 三次神經痛에 의거하는 것이 많지만 대로는 中樞神經疾患에 의한 것도 있
        으며 이때는 난치병인 것이 많다. 顔面疼痛은 頭痛의 경우와 같이 項頸部의 僧帽筋 胸鎖乳
        突筋 등의 壓痛 硬結 緊張이 수반하는 경우가 많기 대문에 이들 부위의 완화를 목적으로 皮
        膚針이나 皮內針의 시술이 불가결하다. 患側은 補的 針法에 의하여 顔面의 經氣를 유통케하
        여 溫感發生을 가능케 하고 健側에는 瀉的 針法을 시술하면 더욱효과적이다.

        主治經은 太陽經, 少陽經, 陽明經, 三陽經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太陽經 : 좌우 내안각을 연결한 선과 내안각에서 상행하는 방광경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상부 중앙 부분으로 督脈 膀胱經 小腸經이 지배하고 있으며 따라서 膀胱經과 小腸經을 주치
        경으로 하고 있다.
        少陽經 : 太陽經을 제외한 이마부분과 外眼角에서 밑으로 수직선 외측부분으로 膽經과 三焦
                    經이 지배하고 있으며 따라서 膽經과 三焦經을 主治經으로 하고 있다.
        陽明經 : 太陽經과 少陽經을 제외한 부분으로 外眼角에서 밑으로 수직선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으로 胃經과 大腸經이 지배하고 있으며 따라서 胃經과 大腸經을 主治經으로
                    하고 있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