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11-01 17:49
[침구임상(針灸臨床)] 변비(便秘) - 보행불리 (步行不利)
 글쓴이 : admin
조회 : 14,530  
변비(便秘)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足陽明胃經 : 관문(關門), 天樞(천추,大腸經의 募), 足三里(족삼리) 豊隆(풍륭) 解溪(해계)
            足太陰脾經 : 大都(대도,滎), 太白(태백,輸,原), 公孫(공손,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冲脈),
                              商丘(상구,經), 大橫(대횡), 腹哀(복애).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小腸兪(소장수), 膀胱兪(방광수), 中髎(중료), 下髎(하료)
                                  承扶(승부), 浮郄(부극), 肓門(황문), 秩邊(질변), 承筋(승근), 承山(승산).
            足少陰腎經 : 大鍾(대종,絡), 交信(교신,陰交脈의 郄穴), 中注(중주), 肓兪(황수), 商曲(상
                              곡), 石關(석관), 陰都(음도).
            手少陽三焦經 : 支溝(지구,經).
            任脈 : 石門(석문,三焦의 募), 氣海(기해), 中脘(중완,手太陽,手少陽,足陽明經과 交會).
            督脈 : 長强(장강), 腰兪(요수).
            項背腰部 : 腰奇(요기).
        2) 通便穴 : 天樞 大腸兪 足三里 豊隆 支泃 陽陵泉 照海 大敦 內庭
        3) 習慣性(습관성)
            足少陰腎經 : 肓兪(황수).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經).
            足少陽膽經 : 維道(유도), 陽陵泉(양능천,合,筋會).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 支泃(지구).
            足太陽膀胱經 ① 大腸兪(대장수), 中脘(중완), 天樞(천추), 支泃(지구),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照海(조해).
                                ② 小腸兪(소장수), 大腸兪(대장수), 關元(관원), 足三里, 三陰交.
                                ③ 承筋(승근), 大腸兪(대장수), 支泃(지구), 足三里, 三陰交.
            足少陰腎經 ① 大鍾(대종), 石關(석관).
                            ② 中注(중주), 天樞(천추), 支泃(지구), 足三里(족삼리).
                            ③ 商曲(상곡), 豊隆(풍륭).
            足厥陰肝經 : 章門(장문), 太白(태백), 照海(조해).- 針灸大成
        2) 習慣性(습관성)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絡-太陰經)
            手少陽三焦經 ① 支泃(지구,通便瀉熱), 足三里(족삼리), 大橫(대횡), 天樞(천추).
                                ② 支泃(지구), 照海(조해).- 玉龍歌
        3) 處方 ① 지구(支溝), 조해(照海).
                  ② 지구(支溝), 족삼리(足三里).
                  ③ 지구(支溝), 천추(天樞), 삼간(三間).
        4) 灌腸
        【東醫寶鑑】에는 “導便法”이라고 해서 灌腸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⑴ 여러 가지 원인으로 대변이 나오지 않거나 老衰 또는 虛弱으로 葯을 쓸 수 없을 때에 이
              용할 수 있다. 꿀을 졸인 다음 여기에 주염나무 열매(皂角) 가루를 조금 넣어 손으로 비
              벼 길쭉하게 정제를 만든 후 肛門에 꽂아 넣으면 곧 대변이 나온다.
          ⑵ 꿀 7 홉을 약한 불에 졸여서 엿처럼 만든 후 손으로 비벼 대추씨 모양으로 만든다. 이것
              을 항문에 꽂아 넣고 손으로 누르고 있다가 대변이 나오려고 할 때 손을 뗀다.
              이것을 “蜜導傳法(밀도전법)”이라고 한다.
          ⑶ 돼지 쓸개즙(猪膽汁)에 食醋를 조금 타서 肛門에 넣고 잠시 있으면 대변이 저절로 나온
              다.
          ⑷ 꿀 3 홉에 猪膽汁 2 개 분량을 넣고 엿처럼 엉기게 달인 후 손으로 비벼 새끼 손가락 끝
              만 한 크기로 만든다. 이것을 찬물에 담갔다가 항문에 넣으면 곧 대변이 나온다.
              이것을 “밀태법”이라고 한다.
          ⑸ 조협(皂莢)을 사발에 담고 불을 붙여 나무통 속에 넣은 다음 肛門에 그 연기를 쏘이면
              저절로 대변이 나온다.
          ⑹ 꿀을 걸쭉하게 졸여 찬물에 떨군 후 재빨리 손으로 비벼 손가락만한 크기로 만든 다음
              조협분(皂莢粉)과 사향(麝香)을 묻힌다. 여기에 기름을 발라 항문에 넣으면 곧 대변이
              나온다.
          ⑺ 한 개의 쓸개에서 쓸개즙을 조금 버리고 대신 食醋(식초)를 넣는다. 그런 다음 참대 대
              롱을 肛門에 꽂고 猪膽汁(돼지 쓸개즙)에 식초를 탄 것을 대롱을 통해 항문으로 흘러 들
              어가게 하면 잠시 후 대변이 나온다.
          ⑻ 참대 대롱에 파즙(葱汁)을 묻혀 항문 속에 깊이 꽂는다. 그리고 참기름(香油)과 더운물
              을 절반씩 섞어 돼지 오즘통 속에 넣은 것을 참대 대롱과 연결하여 항문으로 흘러 들어
              가게 한다. 그 다음 다리를 위로 향하고 누워 있으면 1 시간 후 대변이 나온다.
          ⑼ 온갖 방법을 다 써도 변이 나오지 않을 때는 작은 참대 대롱을 항문에 꽂은 후 다른 사
              람이 참기름을 대롱 속으로 뿜어 넣어 준다. 그러면 지렁이가 조금씩 위로 올라가는 뜻
              한 느낌이 있다가 잠시 후 검은 대변이 나온다.
          ⑽ 民間에서는 간장과 참기름을 섞어 灌腸하기도 했다. 또는 생도라지(桔梗)을 참기름이나
              간장에 담갔다가 肛門에 꽂아 넣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5) 엄제법(罨臍法)
          【東醫寶鑑】에는 大小便이 잘 나오지 않을 때 “罨臍法”을 권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
                              과 같다.
            ⑴ 白礬粉 1 숟가락을 배꼽 위에 놓고 찬물을 1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찬 기운이 뱃속으로
                들어가게 하면 곧 大小便이 나온다.
            ⑵ 葱白 1~2 대, 흙이 묻은 생강 1 개, 淡豆豉(메주가루) 21 알, 소금 1 숟가락을 함께 강
                아떡을 만든 후 불에 뜨겁게 달구어 배꼽 위에 붙이고 천으로 싸맨다. 이렇게 하면 잠
                시 후 氣가 통하는 느낌이 들면서 大小便이 자연스럽게 나온다. 그러나 大小便이 잘 나
                오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한 번 갈아 붙여야 한다.
            ⑶ 大便이 막혀 精神을 차리지 못할 때는 큰 논우렁이(전라(田螺) 산 것 1~2마리를 쓰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소금 1 숟가락과 함께 우렁이를 껍질째 넣고 짓찧어 배꼽에서 아래
                로 1치 3분되는 곳에 올린 다음 천으로 싸매 두면 대변이 나온다. 또 우렁이를 껍질째
                짓찧은 다음 麝香을 조금 섞어 배꼽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문질러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⑷ 파두육(巴豆肉), 행인(杏仁), 조협(皂莢)을 가루로 만든 후 떡을 만들어 배꼽 위에 놓고
                뜸을 뜨면 大便이 저절로 나온다.
            ⑸ 와우고(蝸牛膏)는 大小便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달팽이(蝸牛) 3마리를 껍질째 짓찧은
                다음 麝香을 조금 섞어 배꼽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문지르면 大小便이 나온다.
    3. 中醫針灸學
        본 절에서는 주요로 熱秘(열비), 氣秘(기비), 虛秘(허비), 冷秘(냉비) 및 단순성의 習慣性便
        秘(습관성변비)를 다룬다.
        病因病機(병인병기)
        熱秘(열비) : 평소 체질이 陽盛(양성)하거나 맵고 뜨겁고 厚味(후미)한 음식을 즐기면 胃腸
                          積熱(위장적열)되고 혹은 열병불유, 邪熱內燔(사열내번), 津液受灼(진액수작),
                          腑氣不通(부기불통)하여 腸燥便結(장조변결)된다.
        氣秘(기비) : 情志不暢(정지불창)으로 肝膽(간담)의 氣機(기기)가 鬱滯(울체)되며 疏泄失職
                          (소설실직)하여 장부의 전도가 상실된다.
        虛秘(허비) : 대부분 병후나 산후에 氣血(기혈)이 회복되지 않았거나 혹은 年老体弱(연노체
                          약)으로 기혈이 虧虛(휴허)할 때 氣虛(기허)이면 運轉无力(운전무력)되고 血虛
                          (혈허)이면 腸失潤下(장실윤하)된다.
        冷秘(냉비) : 하초의 양기가 虛憊(허비)되어 溫煦(온후)하지 못하기 때문에 陰寒(음한)이 응
                          결되어 化氣布津(화기포진) 못하기 때문에 배변이 곤난(困難) 하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熱秘 症狀 : 대변건조(大便乾燥), 소변단적(小便短赤), 면홍신열(面紅身熱) 혹겸 복창(腹
                            脹), 구건(口乾), 심번(心煩), 설태황조(舌苔黃燥), 맥활실(脈滑實).
                  原則 : 청열보진(淸熱補津) - 陽明經穴 爲主
                  處方 : 합곡(合谷), 곡지(曲池), 복결(腹結), 상거허(上巨虛).
                  方義 : 합곡(合谷), 곡지(曲池) : 양명열사(陽明熱瀉) 보진(補津).
                            상거허(上巨虛, 大腸-合穴)과 복결(腹結)을 배합(配合) : 진액(津 液)이 행(行)
                                        하여 대장부기를 소통(大腸腑氣疏通)한다. 이는 증수행주법(增水行
                                        舟法)이라 한다.
                            번열구갈(煩熱口渴) : 소부(少府), 렴천(廉泉)→제번지갈(除煩止渴),           
                            두통(頭痛) : 인당(印堂) → 지통(止痛), 
                            구취(口臭) : 승장(承漿) → 청열해독(淸熱解毒).
                  治法 : 호침사법(毫針瀉法)
        2) 氣秘 症狀 : 대변건(大便乾), 흉협창만(胸脇脹滿), 애기빈번(噯氣頻繁), 복부창통(腹部脹
                            痛), 구고(口苦), 오심(惡心)하면 변비(便秘)가 심해진다. 설태박니(舌苔薄膩)
                            맥현(脈弦).
                  原則 : 소간리기(疏肝理氣) - 任脈 足厥陰經穴 爲主
                  方義 : 중완(中脘)과 기해(氣海)를 配合 → 소통부기(疏通腑氣)
                            행간(行間)과 양능천(陽陵泉)을 配合(足厥陰과 足少陽은 表裏) → 소간리기
                                  (疏肝理氣), 해울이담(解鬱利膽)하여 소설(疏泄)되면 부기통강(腑氣通
                                  降)하여 소통변비(疏通便秘)된다.
                            협통(脇痛) 심(甚) : 기문(期門), 일월(日月) → 소간지통(疏肝止痛)
                            복창심(腹脹甚) : 대횡(大橫)을 加하여 리장소창(理腸消脹)한다.
                  治法 : 침(針)으로 사법(瀉法)
        3) 虛秘 症狀 : 대변비결(大便秘結), 변후피로(便后疲勞), 심자한출(甚者汗出), 기단(氣短),
                            면색불화(面色不華), 두혼심계(頭昏心悸), 설질담(舌質淡), 맥세무력(脈細无
                            力).
                  原則 : 보기양혈(補氣養血) - 족양명(足陽明) 태음경혈(太陰經穴)을 위주로 하고
                                                            임맥(任脈)및 배수혈(背兪穴)을 배합(配合)
                  處方 : 비수(脾兪), 위수(胃兪), 대장수(大腸兪), 삼음교(三陰交), 족삼리(足三里),
                            관원(關元).
                  方義 : 비수(脾兪) 삼음교(三陰交)와 위수(胃兪) 족삼리(足三里)의 配合은 장부경락
                            (臟腑經絡)의 표리배합법(表里配合法)이며 목적은 중기(中氣)를 고무(鼓舞)
                            시켜 생화지원(生化之源)을 증가(增加)시키고 중초(中焦)를 왕성하고 건강하
                            게 하면 자연히 생기화혈(生氣化血)한다. 또 관원(關元)을 취하여 하초(下焦)
                            의 기를 보하고 대장유(大腸兪)와 배합하면 배변(排便)에 도움이 된다.
                            다한(多汗) : 음극혈(陰郄穴) → 양음고표(養陰固表)
                            심계(心悸) : 내관혈(內關穴) → 녕심안신(寧心安神)
                    治法 : 針으로 補法 加灸
        4) 冷秘 症狀 : 대변간삽(大便艱澁)하여 배출곤난(排出困難), 소변청장(小便淸長), 면색창백
                            (面色蒼白) 或 복부냉통(腹部冷痛), 사지불온(四肢不溫), 희난외한(喜暖畏
                            寒) 맥침지(脈沉遲).
                  原則 : 보신조양(補腎助陽) - 任脈 足少陰經穴 爲主 背兪穴과 配合
                  處方 : 기해(氣海), 조해(照海), 석관(石關), 신수(腎兪), 관원수(關元兪).
                  方義 : 기해(氣海), 관원유(關元兪) : 조양축냉(助陽逐冷), 온후하초(溫厚下焦)하여
                                                                      응결산결(凝結散結)하고.
                            조해(照海), 석관(石關), 신수(腎兪) : 보익신기(補益腎氣) → 대소변관리(大
                                                                    小便管理) - 빈뇨(頻尿), 변비(便秘)를 치료(治療)
                            탈항(脫肛) : 장강(長强), 백회(百會) → 승제하함(升提下陷)하고
                            요통(腰痛) : 위중(委中) → 서근지통(舒筋止痛)한다.
                  治法 : 針으로 補法을 使用한다.
    4. 針灸大成
        1) 협통(脇痛) 겸 변비(便秘) : 지구혈(支溝穴) - 玉龍歌
        2) 대변불통(大便不通) : 先刺 조해혈(照海穴), 瀉 지구혈(支溝穴) 效力神奇-玉龍歌
        3) 복통변비(腹痛便秘) : 지구혈(支溝穴) - 勝玉歌
        4) 허로변비(虛勞便秘) (惡性) : 補 지구혈(支溝穴), 瀉 족삼리(足三里)- 雜病穴法歌
        5) 열비(熱秘) 기비(氣秘)(氣滯便秘) : 장강(長强), 대돈(大敦), 양능천(陽陵泉).- 雜病穴法歌
        6) 西江月 ① 부녀자(婦女子) 변비(便秘) - 대변불통(大便不通)
                          處方 : 先刺 조해혈(照海穴), 后刺 신맥(申脈), 음능천(陰陵泉), 삼음교(三陰交)
                                    태계혈(太溪穴)에 침자(針刺)한다. 
    5. 이침 (耳針)
                耳穴 :  직장하단(直腸下段), 대장(大腸), 병간(屛間, 內分泌), 삼초(三焦).
변혈 (便血) : 大便出血(대변출혈)
    1. 참조문(參照文)
        1) 혈변(血便)
        2) 농혈변(膿血便)
    2. 主治穴(주치혈)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 太白(태백).
                  足太陽膀胱經 : 脾輸(비수), 會陽(회양).
                  足少陰腎經 : 幽門(유문).
                  督脈 : 長强(장강), 腰輸(요수), 腰陽關(요양관), 脊中(척중),
    3. 臨床應用(임상응용)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 足三里(족삼리), 申脈(신맥).
                      足太陽膀胱經 : 下髎(하료), 長强(장강), 承山(승산).
    4. 중의침구학(中醫針灸學)
        1) 脾氣虛弱 : 선변후혈(先便后血), 색암(色暗), 복부은통(腹部隱痛), 면색무화(面色无華),
                            정신피로(精神疲勞) 말하기 싫어하고(懶言) 식소(食少) 설연(舌軟) 맥약(脈弱)
                  治則 : 건비통혈(健脾統血) - 足太陰, 陽明, 任脈經穴 爲主
                  處方 : 태백(太白), 족삼리(足三里), 관원(關元), 회양(會陽).
                            태백(太白), 족삼리(足三里) - 건비통혈(健脾統血),
                            관원(關元) - 익기섭혈(益氣攝血),
                            회양(會陽) - 변혈주치(便血主治).
        2) 大腸濕熱 : 선혈후변(先血后便), 혈색선홍(血色鮮紅), 항문작열(肛門灼熱), 설태황니(舌
                            苔黃膩), 맥삭(脈數).
                  治法 : 청열이습(淸熱利濕), 화영지혈(和營止血) - 督脈 足太陽經穴
                  處方 : 장강(長强), 차료(次髎), 상거허(上巨虛), 승산(承山).
                            장강(長强) - 장풍하혈주치(腸風下血主治), 하초습열(下焦濕熱), 청리(淸利),
                            승산(承山) - 항문질병(肛門疾病) 요혈(要穴),
                            상거허(上巨虛) - 대장하합혈(大腸下合穴), 청사대장습열(淸瀉大腸濕熱)
    5.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오장(五臟)에 종독(腫毒)이 있고, 대변(大便)에서 출혈(出血)이 그치지 않을 때
                          處方 : 先針 내관혈(內關穴), 后 승산(承山), 간수(肝兪), 격수(膈兪), 장강혈(長
                                    强穴)을 치료한다.
                      ② 육부(六腑)에 열(熱)이 맺혀서 혈(血)이 망행(妄行)되어 출혈이 그치지 않을 때
                          處方 : 先刺 외관혈(外關穴), 后刺 육부수혈(六腑兪穴, 膽兪, 胃兪, 小腸兪, 膀
                                    胱兪, 三焦兪, 大腸兪)와 격수혈(膈兪穴)을 치료한다.
보기혈 (補氣穴)
      1. 主治穴(주치혈)
          1) 기해(氣海), 기해수(氣海兪), 중완(中脘), 관원(關元),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보신 (補腎)
    1. 主治穴(주치혈)
        1) 培元補腎(배원보신), 培腎固本(배신고본).
            任脈 : 關元(관원,足三陰經과 交會,小腸의 募穴), 氣海(기해).
            督脈 : 命門(명문).
보행불리 (步行不利)
          1. 金匱要略
              1) 師曰 病趺蹶 其人但能前 不能却 刺腨入二寸 此太陽經傷也.-(347)
                  先生의 말씀에「부궐병 患者는 앞으로 나아갈 때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뒤로 後退
                  할 때 困難을 느낀다. 이는 太陽經이 損傷을 받았기 때문으로서 정강이(장딴지)의
                  穴位를 二寸 정도 針刺하여 치료해야 한다.」 하였다.
                  注解 - 趺는 발등이다. 趺蹶이란 一種의 발의 병인데 太陽經의 經脈이 損傷 을 받아
                            발등의 筋脈이 당겨서 步行이 困難하게 된다는 사람도 있다. 어떤 사람은 趺
                  는 趺로 고쳐야 한다. 고 하는데 이는 발이 걸려 넘어졌을 때의 傷處 곧 趺傷으로 생
                  각하는 治療일 것이다. - 本條는 經絡에 의해서 病을 治療하는 것이다. 다리의 陽明
                  經脈은 정강이의 바깥쪽의 앞에 있으며 다리의 太陽經脈은 넓적다리의 바깥쪽의 뒤
                  에 있다. 다리의 病이 되면 步行이 不利해지는데 ① 前進은 容易하나 後退가 곤란할
                  때는 陽明經은 損傷되지 않았으나 太陽經脈이 損傷되었으므로 太陽經 穴位를 針刺
                  해야 하며, ② 後退는 容易하나 前進이 不利할 때에는 太陽經脈은 損傷되지 않았으
                  나 陽明經脈이 損傷을 받았으므로 陽明經의 穴位를 針刺해야 한다.
          2. 針灸大成
              1) 步行不利 : 太冲穴(태충혈) - 痛玄指要賦
              2) 步行不利 風濕性 : 太冲(태충), 足三里(족삼리), 中封(중봉) - 玉龍歌
              3) 步行不利 : 中封穴(중봉혈), 太冲穴(태충혈) - 勝玉歌
              4) 西江月 ① 손발이 떨려서 물건을 쥘 수가 없고, 걸을 수 없을 때
                                  處方 : 先刺 后溪穴(후계혈), 后刺 陽溪(양계), 曲池(곡지), 腕骨(완골), 太
                                            冲(태충), 絶骨(절골), 公孫(공손), 陽陵泉穴(양능천혈)을 治療한다
                              ② 양쪽 다리가 흔들리고, 걸음을 걸을 수 없을 때
                                  處方 : 先刺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太冲(태충), 崑崙(곤륜), 陽陵泉穴
                                            (양능천혈)을 治療한다.
          3. 現代針灸學 成樂箕
              간헐성 파행증(Intermittent lameness)
              일명 혈관경화성 간헐성 본행곤란증이라고도 지칭하며 하지의 동맥경화증의 일종으로
              간주되는 특유한 증상으로 보행중의 환측 하지에 이상한 감각과 격통(激痛) 및 긴장감
              이 일어나서 때로는 비복근(腓腹筋 M.gastronemius)이나 대퇴근에 경련을 일으킨다.
              보행을 계속하면 그 증상이 심해지면서 차가와진다. 이때 족배동맥(足背動脈, 太冲穴)
              이나 후경골동맥(后脛骨動脈, 太溪穴)을 촉진(觸診)하여 보면, 박동(搏動)이 극히 미약
              하거나 또는 전연 촉지(觸指)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이 본병(本病)의 특징이다.
              病因 : 원인은 동맥협착 또는 확장장해로 하지근육의 활동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노년기에 많이 볼 수 있으며, 대부분 한쪽으로부터 일어나
              며, 경과는 만성으로 적당한 치료를 시술하면 곧 경쾌하지만, 때로는 병변이 진행하여
              혈행장해가 심화되면 탈저현상이 나타난다.
              본증은 간혹 Sciatica로 오진할 경우가 있는데 그 감별은 후경골동맥(后脛骨動脈)이나
              족배동맥(足背動脈)을 촉진(觸診)하여 극히 미약하거나 전혀 맥박을 촉진할 수 없는 경
              우에는 본병(本病)으로 진단하여도 무방하다.
              治療 : 병경에 따라 주치경을 선정한 다음에, 수의 대응경을 1차경으로 하고, 족지병경
                        은 2차경으로 배합한다. 극소적 료법으로는 가벼운 지각마비나 경련, 동통에는
              변태반응의 극점을 찾아서 피내침이나 피하지침 후에 3~5장의 뜸을 뜬다. 증상이 심
              한 경우에는 심자(深刺)에 의한 보(補)를 하고, 만일 혈락(血絡)이 있으면 삼능침을 이
              용 사혈(瀉血)한 후에 그 자리에 3~5장 정도 뜸을 뜬다. 이것은 탈락(脫落)을 예방하
              기 위한 시술이다.
              이밖에 동통부위의 대칭점 또는 대칭경에 거자 무자를 병행하면 치료효과가 촉진된다.
          4. 臨床應用(임상응용)
              1) 步行困難(보행곤난)
                  1) 足厥陰肝經 : 中封(중봉), 太冲(태충).- 勝玉歌
                  2) 前進困難 : 陽明經穴 - 足三里, 上巨虛, 條口, 下巨虛 등 四穴중에서 二穴씩 選擇
                                                      2~3 日間 針刺 한다.
                  3) 後退困難 : 太陽經穴 - 合陽, 承筋, 承山, 飛揚, 跗陽, 崑崙 등 穴 중에서 2~3 穴씩
                                                      選擇 2~3 日間 針刺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