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1-07 14:43
[침구임상(針灸臨床)] 오로불하 (惡露不下) - 옹저 (癰疽)
 글쓴이 : admin
조회 : 14,479  
오로불하 (惡露不下)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胞衣不下 - 足太陽膀胱經 : 至陰(지음, 井).
                  針灸經驗方 許任
                  ⑴ 태반(胎盤)이 나오지 않는 것
                      處方 : 새끼발가락에 뜸을 3장 뜨고, 중극(中極) 견정(肩井).
              2) 胎盤排出 - 足太陽膀胱經 : 곤륜(崑崙,經).
                                  寄穴 胸腹部 : 胞門(포문).
          2. 中醫針灸學
              분만 후 胞宮(포궁)안에 남아있는 余血(여혈)과 唾液(타액)을 惡露(오로)라 한다. 惡露
              (오로)의 정상적인 배출이 약 2-3 주일 내에 깨끗이 이루어짐으로써 胞宮(포궁)의 復旧
              (복구) 및 産婦(산부)의 건강회복에 유리하다. 만약 오로가 停留不下(정류불하) 하거나
              적은 양이 나오며 小腹疼痛(소복동통) 및 가타 증상과 겸하는 것을 惡露不下(오로불하)
              라 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주요로 氣血運行(기혈운행)의 不暢(불창)으로 발생된다. 만약 해산 시 또는 해
              산 후에 七情(칠정)에 傷(상)하거나 혹은 風冷(풍냉)이 침습되거나, 氣滯血瘀(기체혈어
              및 氣血(기혈)이 虛弱(허약)하면 모두 惡露不下(오로불하)를 일으킨다. 臨床(임상)에서
              는 일반적으로 氣滯(기체)와 血瘀(혈어) 두 가지로 나눈다.
              1) 氣滯(기체) : 해산 시 혹은 해산 후에 情志不暢(정지불창)하여 肝氣鬱結(간기울결)하
                                    면, 氣機疏泄(기기소설)이 불리하여져서 血行(혈행)이 不暢(불창)하게
                                    됨으로 惡露不下(오로불하)가 생긴다.
              2) 血瘀(혈어) : 해산할 때 風寒(풍한)에 感受(감수)되거나 生冷(생냉)한 음식을 과식하
                                    면 惡露(오로)가 寒邪(한사)로 凝集(응집)되어 惡露不下(오로불하)가
                                    생긴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氣滯 證狀 : 産后惡露不下(산후오로불하), 排出量少(배출량소), 小腹膨脹(소복팽창)
                                    이 痛症(통증)보다 심하고, 拒按(거안), 胸脇脹痛(흉협창통), 乳汁量少
                                    (유즙량소), 精神憂鬱(정신우울), 舌苔薄白(설태박백), 脈弦澁(맥현삽).
                          治則 : 理氣解鬱(리기해울).
                                    任脈(임맥), 足厥陰(족궐음), 足太陰經穴(족태음경혈) 위주
                          處方 : 中極(중극), 太冲(태충), 三陰交(삼음교) 氣海(기해) 間使(간사).
                          方義 : 中極(중극)은 任脈(임맥)과 足三陰(족삼음)의 交會穴(교회혈)로써 冲任
                                                      (충임)을 조절하며, 下焦氣機(하초기기) 를 조리하고
                                    太冲(태충), 氣海(기해)는 疏肝理氣(소간리기)하며.
                                    三陰交(삼음교), 間使(간사)는 活血化瘀(활혈화어)한다.
                          針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2) 瘀血 證狀 : 産后惡露不下(산후오로불하), 或排出量極少(혹배출량극소), 色滋黯有塊
                                    (색자암유괴), 小腹冷痛(소복냉통) 按則痛甚(안칙통심), 溫則痛减(온칙
                                    통감), 觸之有塊(촉지유괴), 面色蒼白(면색창백), 四肢冷(사지냉), 舌質
                                    紫暗(설질자암), 苔薄白(태박백), 脈沉緊(맥침긴).
                          治則 : 活血化瘀(활혈화어), 溫經散寒(온경산한).
                                    任脈(임맥), 足太陰經穴(족태음경혈)을 위주로
                          處方 : 中極(중극), 氣冲(기충), 地機(지기), 關元(관원).
                          方義 : 中極(중극)은 任脈(임맥)의 經穴(경혈)이며, 胞宮(포궁)을 통하므로 冲任
                                                      (충임)을 조리하고,
                                    氣冲(기충)은 양명경과 충맥의 교회혈이고
                                    地機(지기)는 족태음경의 郄穴(극혈)이며, 活血化瘀(활혈화어)의 공능이
                                                        있다.
                                    冷(냉)한 者 : 關元穴(관원혈)에 灸法(구법)을 加(가)하여 - 下 元(하원)
                                                      을 溫暖(온난)하게 하여 祛寒止痛(거한지통)한다.
                          針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灸法(구법)도 사용할 수 있다.
          3. 針灸經驗方 許任
              1) 오로(惡露)가 뭉쳐서 덩어리가 된 것 “惡露成塊”
                  處方 : 석문혈(石門穴)에 7~100장 뜸(灸)을 뜬다.         
오림 (五淋) : 石淋(석림), 勞淋(노림), 血淋(혈림), 氣淋(기림), 膏淋(고림) ⇒ 임증 (淋證)
오심증 (惡心症) : 惡心嘔吐(오심구토) - 메스꺼운 증상, 멀미
        1. 參照文(참조문)
            1) 멀미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中腑 : (중부), 俠白(협백).
                足太陽膀胱經 : 胃輸(위수).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膈輸(격수), 胃輸(위수), 膏肓(고황).
        4. 針灸經驗方 許任
            1) 욕지기 나는 症狀 (retching)
                處方 : 期門穴(기문혈) 灸三壯
        5. 이침(耳針)
                  耳穴 : 賁門(분문).
오십견 (五十肩) ⇒ 견관절주위염 (肩關節周圍炎),  견갑근건염 (肩甲筋腱炎), 견갑통 (肩甲痛), 
                            견통 (肩痛)
오장열병 (五臟熱病)
          1. 參照文(참조문)
              1) 열병 (熱病)
              2) 附錄  6. 五臟熱病(오장열병) 參照
          2. 主治穴(주치혈)
              1) 泄肝火(설간화)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滎).
          3. 針灸大成
              1) 刺熱論(자열론)
                  肝熱病 症狀 : 左側頰部(좌측협부) 首先色紅(수선색홍) 小便色黃 腹痛 嗜臥 身熱 甚
                                        熱則譫語 易驚 脇脹痛 手足瞤動 安臥不能 - 病勢上冲 : 頭痛(如跌打)
                                        眩暈 脈墜痛
                              症理 : 肝虛膽實症(간허담실증)
                                        경신일(庚辛日) 病甚, 庚辛日之金旺 金克木則病甚
                                        갑을일(甲乙日)之木旺 木旺則大汗后好轉 次日或病勢惡化死亡
                              治法 : 肝經與膽經(간경여 담경) 針刺(침자)
                  心熱病 症狀 : 全面(전면) 首先色紅(수선색홍) 无喜 數日身熱后熱甚急心痛 煩悶 嘔
                                        吐 頭痛 面紅 无汗
                              病理 : 心虛小腸熱症
                                        임계일(任癸日)之水氣旺盛 水克火則病勢惡化
                                        병정일(丙丁日)之火旺日則强健心氣 多汗后 病勢好轉
                                        或无愈 氣上逆任癸日死亡
                              治法 : 心經與小腸經(심경여소장경) 針刺(침자)
                  脾熱症 症狀 : 鼻部(비부) 首先色紅(수선색홍) 頭重頰痛 心煩 面靑 嘔吐 身熱 熱甚則
                                        腰痛甚 屈伸不利 腹脹 兩側下顎骨痛證
                              病理 : 脾虛胃實症(비허위실증)
                                        갑을일(甲乙日)之木旺 木克土則脾熱甚
                                        무기일(戊己日)之土旺 脾氣旺盛 多汗后病勢好轉
                                        或无愈 熱甚化 甲乙日 木克土則死亡
                              治法 : 脾經與胃經(비경여위경) 針刺(침자)
                  肺熱病 症狀 : 右側頰部(우측협부) 首先色紅(수선색홍) 惡寒 身熱 墜上頭髮皮毛 畏
                                      寒 舌苔黃 熱甚則喘息咳嗽 胸痛徹背 呼吸短 頭痛極甚 汗出惡寒
                            病理 : 병정일(丙丁日)之火旺 火克金則肺熱甚
                                      경신일(庚辛日)之金旺 肺氣强健 多汗出后 病勢好轉
                                      或无愈 丙丁日 死亡
                            治法 : 肺經與大腸經(폐경여대장경) 針刺(침자) - 井穴(商陽穴 少商穴) 瀉血
                  腎熱病 症狀 :下顎部(하악부) 首先色紅(수선색홍) 腰痛 膝痛 口渴引起疲勞 喜飮身
                                      熱 熱甚則項背强痛 足冷(저리고) 足心熱 无好話 - 熱勢上逆則項背强
                                      痛 眩暈 胸悶
                            病理 : 무기일(戊己日)之土旺 土克水則腎熱甚
                                      임계일(任癸日)之水旺 腎氣充實 大汗后病勢好轉
                                      或无愈 病勢惡化則戊己日 死亡
                            治法 : 腎經與膀胱經(신경여방광경) 針刺(침자)
오한 (惡寒)
    1. 針灸大成
        1) 百症賦 ① 惡寒으로 추워 떠는 데에 : 二間穴(이간혈), 陰郄穴(음극혈).
오한발열무한 (惡寒發熱无汗) : 感氣證(감기증) - 風寒表實證(풍한표실증)
                1. 主治穴(주치혈)
                    1) 督脈 : 大椎(대추).
온양고탈 (溫陽固脫)
          1. 主治穴(주치혈)
              1) 任脈 : 神闕(신궐).
온중회양 (溫中回陽)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灸 : 氣海(기해), 關元(관원), 神闕(신궐)., 
                  針 : 足三里(족삼리), 內關(내관), 百會(백회).
옴 ⇒ 개창 (疥瘡)
옹저 (癰疽) : 무릇 아픔 가려움 피부와 체표에 생기는 질환은 모두 심화(心火)와 관계가 있으므
                    로 각각 해당 경맥(經脈) 및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의 혈(穴)을 잡아 치료한다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癰疔惡瘍(옹정악양) - 寄穴 上肢部 : 肘尖(주첨)
    2. 針灸經驗方 許任
        1) 옹(癰) : 양(陽)이 음분(陰分)에 막히면 癰이 생기는데 부리처럼 뾰족하게 부어 오르며 피
                        부가 번들번들 하다.
        2) 저(疽) : 음(陰)이 양분(陽分)에 막히면 疽가 생기는데 부리처럼 부어오르지 않으며 안쪽
                        의 붉어진 부분이 넓고 피부에 주름이 지며 번들거리지 않는다.
                  ☞ 궤양(潰瘍)의 구멍을 찿는 방법 : 축축한 종이를 부어오른 환부에 붙여서 먼저 마
                      르는 곳이 궤양 구멍이다.
        3) 옹저(癰疽)의 독(毒)
            處方 : 갓 부어오르기 사흘 전에 급히 그 종기의 부리처럼 뾰족하게 부어 오른데다 21장
                      의 뜸을 떠주면 저절로 낫는데 어떠한 약이라도 이보다 나을 수 없다.
                  ☞ 종기가 처음 생겨날 즈음에는 그 크기가 좁쌀만 하여 사람들이 예사로이 보아 넘
                      기다가 독(毒)이 생겨서 죽을 지경이 되면 몹시 뉘우친다. 만약 종기가 생긴 지 사
                      흘이 지났으면 곧바로 기죽마혈(騎竹馬穴)에 뜸을 뜨는데 신기한 효험이 있다.
        4) 옹저(癰疽)와 온갖 종기가 가렵지도 않고 아프지도 않거나 피부가 검프르죽죽한 증은 살
            이 먼저 썩은 것으로 치료하기 어렵다. “癰疽諸腫 或无痒不痛色靑黑者 肉先死終不救”
            處方 : 초기(初起 初發)에 속히 기죽마혈(騎竹馬穴)에 각각 7장씩 뜸을 뜬다.
☆☆ 5) 옹저정절(癰疽疔癤)
          《現代針灸學》모낭(毛囊 follicle of hair)또는 피지선(sebaceous grand)에 화농균(化膿菌
          대부분 포도구균 간혹 연쇄구균도 있음)이 감염하여, 피하에 급성화농염을 일으키는 것을
          절(癤))이라 하고, 癤이 일정 부위에 밀생하여 하나의 덩어리를 혈성하는 것을 옹(癰)이라
          하며, 癰의 작은 것을 정(疔)이라 한다. 疔이 안면에 나는 것을 면정(面疔)이라 지칭한다.
          증상(症狀) : 절(癤) - 피부의 심층부에 유통성의 경결이 발생하여 점차로 표면에 나타나
                            서 발적하며, 원추형으로 팽륜하여 2~3일이 경과하면 중앙에 황백색의 농전
          (coreof boil)이 생기며, 이어서 중심에서 연화하여 자연적으로 터져서 배농하여 치유된다.
          옹(癰) - 발적과 종창(腫瘡 swelling)이 심하며, 벌집과 같은 농포(膿疱)가 있으며, 이것이
                      차차로 괴저(壞疽 gangrene)를 일으켜서 동통이 심해지면서 높은 열을 나타낸다.
          때로는 심한 오한전율(惡寒戰慄)을 가져 온다. 순조롭게 경과하는 것은 자연적으로 터져
          서 배농되어 치유되지만, 때로는 피하정맥염(皮下靜脈炎)을 일으켜서, 균혈증이나 폐혈증
          을 일으켜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경우도 있다.
          면정(面疔) - 면정이 비록 작은 것이라 할지라도 때로는 세균이 안면(顔面) 내자(內眦 눈
                            안쪽구석) 상안 등의 제정맥(諸靜脈)을 경유하여 뇌막염(腦膜炎)을 일으키거
          나 또는 전신감염을 일으켜서 돌이 킬수 없는 위험한 상태에까지 빠지는 경우가 있으므
          로 특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 비근(鼻根)과 구각(口角)을 잊는 삼각구내(三角區內)에는 혈전도판(血傳導瓣)이 없으므로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지만 않으므로 만약에 악성 균이 침입 했을 경우 뇌수에 전
          입되는 경우 치명적인 병발을 초래하므로 주의를 각별히 요한다.
          治療 : 수년전까지만 하여도 이들 병변이 침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화학요법과 외과적
                    수술요법이 급속하게 발달됨으로 말미암아 면정(面疔)을 제외한 기타 증을 침구치
          료에 의존하는 환자가 전무한 것이 오늘날의 실정이다.
      6) 면정(面疔)
          處方 : 합곡(合谷) 족삼리(足三里 때로는 手三里 曲池 肩髃穴)에 다장구(多壯灸)를 시술
                    (施術)한다. 초기증상(初期症狀)에는 30~50장으로 충분하지만 어느정도 진행된
                    것은 200~300장까지 뜬다. 이를 하루에 아침 점심 저녁 3번 시행하고, 상양혈(商
                    陽穴)과 려태혈(廬兌穴)에서 사혈(瀉血) 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7) 머리털 경계부위, 입술, 얼굴 등에 생기는 종기. “髮際腫 脣腫 面腫”
          處方 : 가장 위험한 병증이다. 함부로 터뜨리지 말고 반드시 각각 그 해당 경락(經絡)을 따
                    라 날마다 침(針)을 놓아서 그 독(毒)을 없애야 낫는다. 만약 針을 맞았는데도 낫지
                    않으면 부식약(腐蝕葯 cauterant)을 붙여서 궤양형성(ulceration)에 이르게 함과 동
                    시에 얇게 썬 두꺼비 고기 5~6조각을 계속 먹는다. 궤양(潰瘍)형성이 이미 되었든
                    안 되었든 모두 효험이 있다.
      8) 등과 허리에 생기는 헌데(腫瘡 lumbodorsal carbuncle) “背腫(배종)”
          處方 : 해당 경락(經絡)을 따라 침(針)을 놓으면 저절로 낫는다. 그러나 치료를 잘못한 탓으
                  로 곪게 되면 대침(大針)으로 붉어진 부분의 가장자리까지 침끝이 나오도록 가로로
                  찔러서 짼 뒤 곧바로 큰 두꺼비 6~7마리를 앏게 썰어서 생강(生姜)과 겨자즙으로
                  계속 먹는다. 그러면 궃은살이 다 없어지고 새 살이 돋아나 살아날 수 있다.
      9) 등허리에 생긴 헌데 위에 좁쌀처럼 생긴 것이 무수히 돋아나서 저절로 구멍이 생기는데 손
          가락으로 누르면 그 구멍에서 고름이 나오다가도 손가락을 떼면 도로 들어간다.
          處方 : 이것은 곪게 되므로 대침(大針)으로 붉어진 부분의 가장자리까지 침끝이 나오도록
                    가로로 찔러서 째야 한다. 무릇 크고 작은 종기가 생긴지 몇일이나 되었든지 간에
                    곧바로 기죽마혈(騎竹馬穴)에 뜸을 7장 뜨면 신기한 효험을 보지 않을 수 없다.
    10) 외음부(外陰部)가 붓거나 엉덩이에 헌데가 생기거나 다리의 살빛은 평소와 같지만 점점 부
          어 커지거나 약간 붓는 증 “陰腫或臀腫, 或脚肉色如常, 而漸至浮大者, 或有微浮者”
          症狀 : 아픔이 뼈와 근육사이에서 발생하고, 낮에는 덜하나 밤에는 심해지며 인사불성(人
                    事不省)이 되고 40~50일쯤 되면 고름이 생긴다. 여름철에는 쉽게 곪고 겨울철에는
                    잘 곪지 않는다. 아픈 곳을 겉으로 보아서 가늘고 굵은 붉은 실 같은 핏발이 가로 세
                    로로 어지러이 퍼져 있으면 곪는다. 어떤 사람은 곪았는지 자세히 알아보지도 않고
                    무턱대고 가는 침으로 먼저 시험 삼아 찌른다. 또한 고름이 생긴 곳까지 찌르지도
                    않고 침을 빼고서는 고름이 나오지 않는 것을 곪지 않았다고 단정한다. 혹은 이것
                    은 습담(濕痰)이 쌓여서 생긴 것이라고 하면서 수많은 약으로 치료해 보지만 끝내
                    효험을 보지 못하고 시간만 보내게 되어 그 독기(毒氣)가 점점 치골상지(恥骨上枝
                    superior ramus of pubis)에 이르러 죽게 된다.
          診脈 : 이때의 맥박 상태는 활(滑), 삭(數), 긴(緊)하다. 가장 위험한 맥은 하유맥(鰕遊脈)
                    작탁맥(雀啄脈)이며 2번 뛰고 1번 멈추거나 3번 뛰고 1번 멈추는 것은 며칠 지나지
                    않아 죽는다.
          處方 : 반드시 위험해지기 전에 가장자리에 날이 선 대침(大針)으로 피부를 찌르고 나서 점
                    점 깊이 들이밀어 고름이 생긴 곳에 이르면 침 끝이 쑥들어 가는데 마치 공중에 붕
                    떠 있는 것 같다. 고름이 있는 곳까지 침을 찌른 뒤에 침 끝을 여러 번 들어 올려 터
                    뜨리고 침을 빼서 고름이 나오게 한다. 고름이 다 나오거든 곧바로 소독된 거제를
                    꽂아 나쁜 이물을 세척한다. 굳은살이 삭고 새살이 돋아날 때까지 소독된 거제를 갈
                    아준다.  그러면 누런 진물이 나온 뒤에 낫는다.
          禁忌 : 비록 거의 다 나았다 하더라도 화(怒)를 내거나 성생활(性生活) 술(酒)을 금해야 한
                    다. 그렇이 않으면 다시 재발(再發)한다.
    11) 회골증(回骨症)
          옹저(癰疽)의 독기(毒氣)가 치골상지(恥骨上枝)에까지 이르면 침을 찔러 터뜨려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 그러나 반드시 죽게 된다면 행여나 하는 심정으로 침을 찔러서 터뜨려 보는
          것이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보다 훨씬 낫다. 침을 찔러 터뜨릴 때는 환자의
          가족과 의논을 하여 모든 가족이 다 허락을 한 뒤에 침으로 터뜨려서 고름이 나오게 하되
          빠르게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 그렇이 않으면 위험하다. 그러므로 고름이 천천히 나오도
          록 해야 한다. 고름이 나온 뒤에 10일이 채 안되어 죽는 것은 곪은 데에 살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고 10일이 지난 뒤에도 환자가 살아 있는 것은 곪았던 곳에 약간의 살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무릇 작은 종기에는 부리처럼 뾰족하게 부어오르는 것도 있고 부리처럼 부어오르지 않는
          것도 있으며, 귀밑 및 팔 다리에 많이 생기고 아프기 시작한지 10여일 혹은 15일 뒤에 곪는
          다. 그러나 한 가지 예로써 단언 할 수 없는데 대개 손가락으로 먼저 종기 주위의 붉어진
          부위를 눌러 보아 그 곳이 단단하고 또 손가락으로 누른 자리가 쑥 들어가서 곧바로 나오
          지 않으면 곪지 않은 것이다. 손가락으로 천천히 눌러 보아 곪은 데에 이르러 갑자기 손가
          락이 쑥 꺼져 들어가는 느낌이 들다가도 손가락을 들어 올리면 원래 상태대로 되는 것이
          마치 고치를 손으로 쥘 때 쑥 들어갔다가도 놓으면 원래대로 되는 것과 같으면 곪은 것이
          다.
          치골(恥骨, 耻骨) : 腸骨(장골)과 坐骨(좌골)이 癒合(유합)하여 髖骨(관골)e을 형성하는 그
                                    하반부 앞부분을 형성하는 뼈로써 그 간격이 여성은 비고적 넓고 남성
                                    은 비교적 좁다.
    12) 정창(疔瘡 furuncle)
          處方 (1) 입과 입아귀에 생겼으면 : 합곡(合谷) 족삼리(足三里) 신문(神門)
                  (2) 손에 생겼으면 : 곡지(曲池)에 뜸 21장을 뜬다.
                  (3) 등에 생겼으면 : 견정(肩井)에 7장 뜸을 뜨고, 위중(委中) 령도(靈道).
                  (4) 병세 위중한 자는 뜸을 배로 뜨고, 또 기죽마혈(騎竹馬穴)에 7장 뜬다.
    13) 누정(縷疔)
          생긴 모양이 마치 잡풀로 싼 달걀과 같으며 낟알의 멍울은 갸름하고 빨갛다. 이것은 팔꿈
          치 안쪽에 잘 생기며 아프고 오래되면 곪는다. 곪은 뒤에는 침으로 터뜨려서 고름을 빼고,
          곪기 전에는 기죽마혈(騎竹馬穴)에 각각 7장씩 뜸을 뜨면 곧 낫는데 손발에 생긴 것도 이
          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한다.
          무릇 손발 및 온 몸 뼈마디 가운데에 농양(膿瘍 abscess)이 생겼을 경우 침으로 터뜨려서
          비록 고름을 다 뺐다 하더라도 부기가 가라앉기 전에는 아프며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한
          다. 이때 저절로 낫기를 기다리면 고름과 지방층이 골강(骨腔)에 가득차서 근육이 뼈마디
          에 들러붙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면 만약 반듯하게 펴고 있다면 끝내 구부리
          지 못하고, 구부리고 있다면 펴지 못하게 되어 평생도록 몸을 못 쓰게 된다. 모름지기 고름
          이 다나오지 않고 누런 진물이 멈추지 않았을 때는 옆 사람으로 하여금 강제로 구부리고
          펴기를 빈번하게 해주어서 스스로 활동할 수 있을 때까지 해야 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