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1-24 13:20
[침구임상(針灸臨床)] 원시 (遠視) - 월경불조 (月經不調)
|
|
글쓴이 :
admin
 조회 : 14,503
|
원시 (遠視)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承泣(승읍,陽交,任脈,足陽明의 會).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手足太陽,足陽明,陽交,陰交와의 會), 玉枕(옥침).
足少陽膽經 : 目窗(목창).
頭頸部奇穴 : 翳明(예명).
원인불명병 (原因不明病)
1. 參照文(참조문)
1) 귀사 (鬼邪) 참조
2. 針灸經驗方 許任
1) 괴질(怪疾) : 낮에는 덜하고 밤에는 심하며 각각 그 경맥(經脈)을 따라 병세가 점
점 위중해지고 음양의 불균형으로 음사(陰邪)가 왕성하여 져서 원인
을 알수 없는 이상한 병인지라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병이다. 일명 귀신병(鬼神病)
이라 한다. 귀신이 씌어서 갑작기 심하게 발작 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이를 믿는 사람은 없다.
處方 : 먼저 간사혈(間使穴)에 침을 놓고 나서 십삼귀혈(十三鬼穴)에 침을 놓되 반
드시 그 순서데로 놓아야 효험을 얻는다. (귀사(鬼邪)를 참조) 그리고 오른
쪽 혈(穴)에도 똑같이 침을 놓으면 병이 위중한 것은 불과 10여회 만에 낫고 가벼
운 경증(輕症)은 불과 4~5회 만에 낫는다.
☞ 음하봉혈(陰下縫穴)은 여러번 침을 놓아도 아무런 효험이 나타나지 않었을대 쓸
수 있다. 또 무릇 신맥(申脈) 상성(上星) 곡지(曲池)에 침을 놓을때는 침을 7번 불
에 달구어 쓰는 것이 좋다. 또는 침을 불에 달구어 쓰지 않고 다만 원리침(圓利針)
이나 삼능침(三陵針)으로 그 순서에 맞게 여러번 시술하여도 매번 신기한 효험이
있다. 이른바 침을 7번 불에 달군다는 것은 듬을 7장 뜬다는 것과 같다. 침을 불에
달구어 쓰는 것 또한 침을 놓는 방법으로 살 속에 들이미는데 반대쪽 피부 밖으로
뚫고 나오지 않게 하고 침끝을 조금뺀 뒤에 다시 들이미는 동작을 7번 반복한다
는 것이다.
2) 저주(詛呪)를 받아 생기는 질병 “咀呪之症”
處方 : 먼저 간사혈(間使穴)에 침을 놓고 나서 십삼귀혈(十三鬼穴)에 침을 불에 달
구어 놓는다. 십삼귀혈(十三鬼穴)은 귀사(鬼邪)를 참조
☞ 본 치법은 귀신이 씌어서 갑자기 발작하는 병 즉 원인불명병(原因不明病)
과 그 치법이 같다.
월경과다 (月經過多)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陰心經 : 通里(통리,絡), 少府(소부,滎).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滎).
任脈 : 陰交(음교,足少陰,冲脈,任脈의 會).
寄穴 上肢部 : 中魁(중괴).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陰脾經 ① 隱白(은백), 삼음교(三陰交), 혈해(血海), 관원(關元).
② 隱白(은백), 氣海(기해), 血海(혈해), 三陰交(삼음교).
② 漏谷(루곡), 會陽(회양).
手少陰心經 : 通里(통리,絡-太陽經), 行間(행간), 三陰交(삼음교).- 針灸大成
월경기요통 (月經期腰痛)
1. 주치혈(主治穴)
1) 足太陽膀胱經 : 會陽(회양).
월경병 (月經病)
1. 參照文(참조문)
1) 간병중 (肝病中) 간기울결(肝氣鬱結)을 참조
2) 월경부족 (月經不足) : 간병중(肝病中) 간혈부족(肝血不足) 참조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月經困難
足少陽膽經 - 足臨泣(족림읍), 三陰交(삼음교), 中極(중극).- 針灸大成
3. 針灸經驗方 許任
1) 월경량이 많고 빛이 몹시 까만 것 “經候過多(경후과다) 色瘀黑甚(색어흑심)”
病機 : 들이쉬는 숨이 짧고 배꼽놀이가 몹시 차며 땀을 비 오듯이 흘리는 것은 임맥(任
脈)이 쇠약한 틈을 타서 풍냉(風冷)이 자궁(子宮)속으로 침입하여 튼튼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處方 : 관원혈(關元穴)에 뜸 100장을 뜬다.
2) 월경불순(月經不順 monexenia) 백대하(白帶下 leukorrhea) 오로(惡露 lochin)
處方 : 간수(肝兪) 기해(氣海)에 나이 수만큼 뜸을 뜨고(年壯), 중완(中脘), 곡골(曲骨)
에 50장 뜸을 뜬다.
3) 혈괴(血塊)로 인한 월경불순(月經不順) “血塊月事不調”
處方 : 관원(關元), 간사(間使), 음교(陰蹻), 천추(天樞)에 모두 침(針)을 놓고, 석문(石
門)은 침(針)을 금(禁)한다. 만약 침을 놓으면 임신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뜸을
7~100장 뜬다.
☞ 석문혈(石門穴)에 뜸(灸)을 뜰 때는 격염구(隔鹽灸)를 위주로 한다.
4) 월경불통(月經不通) : 무월경 (amenorrhea)
處方 : 합곡(合谷) 음교(陰交) 혈해(血海) 기충(氣冲).
5) 월사불단(月事不斷) : 월경(月經)이 멎지 않는 것
處方 : 음교혈(陰蹻穴)에 3장, 음교혈(陰交穴)에 100장의 뜸을 뜬다.
월경불조 (月經不調) dysmenorrhea, menoxenia, paramenia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天樞(천추), 外陵(외능), 歸來(귀래), 氣冲(기충).
足太陰脾經 : 公孫(공손,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冲脈), 三陰交(삼음교,會), 地機(지
기,郄), 陰陵泉(음능천,合), 血海(혈해).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腎兪(신수), 氣海兪(기해수), 白環兪(백환수), 上髎(상료
絡-少陽經), 次髎(차료), 中髎(중료), 下髎(하료), 志室(지실).
足少陰腎經 : 然谷(연곡,滎), 太溪(태계,輸,原), 水泉(수천,郄), 照海(조해,陽交脈所出
八脈交會穴), 交信(교신,陰交脈의 郄穴), 陰谷(음곡), 橫骨(횡골), 大赫
(대혁), 氣穴(기혈), 四滿(사만), 中注(중주).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
足少陽膽經 : 帶脈(대맥,帶脈과 交會), 五樞(오추), 維道(유도), 居髎(거료), 足臨泣
(족림읍), 足竅陰(족규음).
足厥陰肝經 : 大敦(대돈,井), 行間(행간,滎), 太冲(태충,輸,原), 蠡泃(려구,絡-少陽經),
中都(중도,郄), 曲泉(곡천,合), 陰包(음포), 陰廉(음렴).
任脈 : 會陰(회음), 曲骨(곡골), 中極(중극,足三陰經과 交會, 膀胱의 募穴), 關元(관원
足三陰經의 交會, 小腸의 募穴), 氣海(기해), 陰交(음교), 中脘(중완).
督脈 : 腰兪(요수), 腰陽關(요양관).
胸腹部奇穴 : 子宮(자궁).
下肢部奇穴 : 八風(팔풍), 上八風(상팔풍).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前后配穴法 : 水道(수도), 歸來(귀래), 八髎(팔료).
2) 月經異常
足陽明胃經 ① 歸來(귀래), 曲骨(곡골), 三陰交(삼음교).
② 歸來(귀래), 中樞(중추), 曲骨(곡골), 子宮(자궁), 三陰交(삼음교).
足太陰脾經 ① 地機(지기), 氣穴(기혈), 三陰交(삼음교).
② 地機(지기), 血海(혈해).- 百症賦(백증부).
足太陽膀胱經 ①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膀胱兪(방광수), 三陰交.
② 小腸兪(소장수),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三陰交.
③ 上髎(상료),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三陰交.
④ 次髎(차료) 腎兪(신수)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膀胱兪(방광수).
⑤ 中髎(중료), 腎兪(신수), 膀胱兪(방광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三陰交(삼음교).
足少陰腎經 ① 水泉(수천), 關元(관원), 歸來(귀래), 三陰交(삼음교).
② 交信(교신), 關元(관원), 歸來(귀래).
③ 橫骨(횡골), 腎兪(신수), 氣海(기해),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④ 氣穴(기혈), 腎兪(신수), 氣海(기해), 三陰交(삼음교), 商丘(상구).
⑤ 中注(중주), 關元(관원), 次髎(차료), 三陰交(삼음교).
足少陽膽經 ① 帶脈(대맥), 血海(혈해).
② 足臨泣(족림읍), 中極(중극), 三陰交(삼음교).
③ 足竅陰(족규음), 中極(중극), 三陰交(삼음교).
足厥陰肝經 ① 中都(중도), 三陰交(삼음교), 關元(관원).
② 陰包(음포), 腎兪(신수),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③ 陰廉(음렴), 關元(관원), 歸來(귀래), 三陰交(삼음교).
任脈 ① 中極(중극), 子宮(자궁), 三陰交(삼음교).
② 關元(관원), 腎兪(신수),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③ 石門(석문), 三焦兪(삼초수),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督脈 ① 腰陽關(요양관), 關元(관원), 次髎(차료), 三陰交(삼음교).
② 命門(명문), 關元(관원), 上髎(상료), 次髎(차료).
3) 月經不調
足太陰脾經 ① 隱白(은백), 三陰交(삼음교), 血海(혈해), 關元(관원).
② 三陰交(삼음교), 歸來(귀래), 血海(혈해).
③ 地機(지기), 腎兪(신수),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血海
3. 月經痛(월경통), 月經異常(월경이상)
處方 ①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血海(혈해).
② 中極(중극),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③ 氣海(기해), 三陰交(삼음교), 太冲(태충), 太谿(태계).
④ 中都(중도), 三陰交(삼음교), 關元(관원).
4. 針灸大成
1) 百症賦 ① 月經不順(월경불순) : 地機穴(지기혈), 血海穴(혈해혈).
② 月經不順(월경불순) : 天樞穴(천추혈), 水泉穴(수천혈).
2) 雜病穴法歌 - 月經不通(월경불통) : 瀉 合谷(합곡), 足三里(족삼리), 至陰穴(지음혈).
3) 西江月 - 月經不順(월경불순)
處方 : 先刺 - 公孫穴(공손혈),
后刺 - 關元(관원), 氣海(기해), 天樞(천추), 三陰交(삼음교)를 針刺
(침자)한다.
5. 中醫針灸學
月經周期(월경주기)가 非正常(비정상)인 상태를 統稱(통칭) 月經不調(월경불조)라 부
른다. 임상에서 月經先期(월경선기)를 經早(경조)라 부르고 月經后期(월경후기)를 經
遲(경지)라 부르며 月經先后(월경선후)가 不定期(부정기)이면 經亂(경란)이라 부른다.
病因病機
經早(경조) : 평소에 체질이 陽(양)이 盛(성)한데다가 매운 음식을 즐겨서 助陽生熱(조
양생열)이 되거나 혹은 情志抑鬱(정지억울)하면 肝鬱化火(간울화화)되어
서 熱(열)이 胞宮(포궁)에 쌓이는데 이로 引(인)하여 血熱妄行(혈열망행) 되거나 혹은
오랜 病患(병환)에 의해 損氣傷陽(손기상양)하면 陰虛內熱(음허내열)이 되어 冲任不固
(충임불고)하게 되면 이 모두가 月經先期(월경선기)를 일으킨다.
經遲(경지) : 평소에 체질이 陽(양)이 虛(허)하여 寒邪內生(한사내생) 되거나 혹은 月經
期間(월경기간)에 비를 맞거나 혹은 물속을 건너가거나 또는 生冷(생냉)
한 음식을 과식하게 되는 경우에 寒邪(한사)가 冲任(충임)에 몰리게 되면 血(혈)이 凝滯
(응체)되어 經行收阻(경행수조) 되거나 혹 肝氣不舒(간기불서)로 氣滯血瘀(기체혈어)
하여 胞脈(포맥)에 血運行(혈운행)이 不暢(불창)하거나 혹은 病(병)을 앓고 난 후에 조
리를 잘못하거나 과다한 임신과 해산으로 營血虧損(영혈휴손) 되거나, 혹은 脾胃(비위)
가 虛(허)하여 生化之源(생화지원)의 부족으로 氣衰血少(기쇠혈소)하면 이런 것들이
모두 月經后期(월경후기)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經亂(경란) : 대부분 肝鬱(간울)과 腎虛(신허)로 생긴다. 肝(간)은 血(혈)을 貯藏(저장)
하며 疏泄(소설)을 主宰(주재)하는데 만약 鬱怒傷肝(울노상간)으로 肝氣
(간기)의 疏泄(소설)이 과다하게 되면 월경주기가 앞으로 당겨지고, 疏泄(소설)이 부족
하면 월경주기가 뒤로 늦추어진다. 腎(신)은 封藏(봉장)과 生育(생육)을 관리하는데 만
약 평소에 腎氣(신기)가 부족하거나 房室不節(방실불절)과 과다한 生育(생육)은 腎(신)
의 封藏(봉장) 기능을 상실하게 하며 冲任(충임)이 손상되어 血海溢蓄(혈해일축)의 失
調(실조)로 月經周期(월경주기)가 錯亂(착란)된다.
辨證論治
1) 經早(경조)
⑴ 實熱證(실열증) : 月經(월경)이 7일 이상 앞당겨 생기며 심지어 한 달에 두 번씩
경혈을 맞이한다. 經量(경량)이 많으며 색은 深紅色(심홍색), 혹
은 붉은 紫色(자색)이고 粘稠(점조)하다. 동시에 가슴에 煩熱(번열)이 나고, 얼굴
이 벌겋고(面紅), 입이 마르며(口乾), 소변색은 노랗고(尿黃), 대변은 건조하며(大
便乾結), 舌質紅(설질홍) 苔黃(태황), 脈滑數(맥활삭)하다.
⑵ 虛熱證(허열증) : 월경량이 적으며 색은 붉고 빽빽한 것이 끈끈(粘稠)하며, 潮熱
盜汗(조열도한), 手足心熱(수족심열), 腰膝酸軟(요슬산연), 舌
紅苔少(설홍태소),脈細數(맥세삭)하다.
⑶ 鬱熱證(울열증) : 月經量多(월경량다) 或少(혹소), 色紅紫(색홍자)하고, 間或(간
혹) 瘀血(어혈)이 된 血塊(혈괴)가 섞여 나오고, 월경이 通暢(통
창)하지 못하며, 小腹膨脹(소복팽창)한 痛證(통증)이 있고 心煩(심번) 易怒(이노)
口苦(구고), 口乾(구건), 舌苔薄白(설태박백) 脈弦數(맥현삭)하다.
⑷ 氣虛證(기허증) : 月經量多(월경량다) 色軟(색연)하며, 淸稀(청희)하고, 精神(정
신)이 疲勞(피로)하며, 四肢(사지)가 나른하고, 心臟(심장)이 몹
시 뛰며 숨이 차고(氣短), 食少(식소), 泄瀉(설사), 下腹部(하복부)가 밑으로 처지
며, 舌質(설질)은 엷고 脈弱(맥약)하다.
治療原則(치료원칙) : 淸熱調經(청열조경).
任脈(임맥)과 足三陰經(족삼음경)을 위주.
主穴 : 關元(관원), 血海(혈해).
方義 : 본처방의 주요작용은 淸熱和血(청열화혈), 冲任調理(충임조리)이다.
關元穴(관원혈)은 임맥경혈이며 또 족삼음경혈의 交會穴(교회혈)이고, 충맥
은 관원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관원은 冲任(충임)을 조리하는 주요혈이고, 血
海穴(혈해혈)과 함께 調穴作用(조혈작용)을 한다. 冲任(충임)이 調和(조화)되
면 월경은 定期(정기)에 생긴다.
⑴ 實熱者(실열자) : 加 太冲(태충), 曲池(곡지). - 血熱解除(혈열해제)
⑵ 虛熱者(허열자) : 加 三陰交(삼음교), 然谷(연곡). - 益陰淸熱(익음청열)
⑶ 鬱熱者(울열자) : 加 行間(행간), 地機(지기). - 疏肝解鬱(소간해울)
⑷ 氣虛者(기허자) : 加 足三里(족삼리), 脾兪(비수). - 益氣補血(익기보혈)
兼證(겸증)
心煩(심번) : 加 間使(간사) - 寧心安神(녕심안신).
盜汗(도한) : 加 陰郄(음극), 后谿(후계). - 養陰固表(양음고표).
腰痠痛(요산통) : 加 腎兪(신수), 腰眼(요안). - 益腎利腰(익신이요).
胸脇脹痛(흉협창통) : 加 內關(내관), 期門(기문).
- 疏肝理氣(소간리기), 止痛(지통).
下腹脹痛(하복창통) 加 氣海(기해), 氣穴(기혈). - 理氣消脹(리기소창).
瘀血(어혈) : 加 中極(중극), 四滿(사만). - 調經化瘀(조경화어).
月經多(월경다) : 加 隱白(은백) - 調血通血(조혈통혈).
治法 : 毫針(호침)으로 針刺(침자)하여 實(실)하면 瀉(사)하고 虛(허)하면 補(보)한
다. 氣虛者(기허자)는 針(침)과 灸(구)를 兼(겸)하여 사용 20~30분 留針(류
침)하며 하루에 한 번씩, 열 번을 한 療程(료정)으로 한다.
2) 經遲(경지)
⑴ 實寒證(실한증) : 月經周期(월경주기)가 7日이상 뒤로 延長되며 심지어 40-50일
에 한 번씩 생긴다. 月經色(월경색)이 어둡고 量(량)이 적으며
下腹部(하복부)에 冷痛(냉통)이 있고, 따뜻하게 하면 疼痛(동통)이 减少(감소)하
는데, 추워하며 四肢(사지)가 차고 面色(면색)이 蒼白(창백)하며 脈沉緊(맥침긴).
⑵ 虛寒證(허한증) : 月經色軟(월경색연) 量少(량소), 經水(경수)이 淸稀(청희)하며,
下腹部(하복부)가 쌀쌀히 아프고 喜溫(희온), 按之痛减(안지통
감), 小便淸長(소변청장), 泄瀉(설사), 舌質軟(설질연), 舌苔薄白(설태박백), 脈沉
遲(맥침지).
⑶ 血虛證(혈허증) : 月經量少(월경량소), 色軟(색연), 淸稀(청희)하고 面色蒼白(면
색창백)하며 頭暈目眩(두운목현), 心悸少寐(심계소매), 舌淡苔
少(설담태소), 脈細弱(맥세약).
⑷ 氣滯證(기체증) : 月經(월경)이 뒤로 遲延(지연)되며 量少(량소) 色暗紅(색암홍),
瘀血(어혈)이된 血塊(혈괴)가 석여 나오고,下腹部(하복부) 脹痛
(창통), 胸脇(흉협) 乳房膨脹(유방팽창), 舌苔薄白(설태박백), 脈弦者(맥현자).
治療原則(치료원칙) : 溫經和血(온경화혈).
任脈(임맥)과 足三陰經穴(족삼음경혈)을 爲主.
主穴 : 氣海(기해), 氣穴(기혈), 三陰交(삼음교).
方義 : 腎氣(신기)가 旺盛(왕성)하면 월경이 제때에 생긴다.
氣海(기해) : 任脈(임맥)의 經穴(경혈)이고,
氣穴(기혈) : 腎經(신경)과 冲脈(충맥)의 會(회)인데 이 두혈을 배합하면 冲任
(충임)을 調和(조화)하는 작용을 하고
三陰交(삼음교) : 足三陰經(족삼음경)의 會(회)인데 益腎調血(익신조혈)과 충
임을 補養(보양)하는 공능이 있다.
⑴ 寒實證(한실증) : 加 歸來(귀래), 天樞(천추). - 灸(구)를 兼(겸)하여 胞脈(포
맥)을 溫通(온통), 活血通經(활혈통경)하고
⑵ 虛寒證(허한증) : 加 命門(명문), 太谿(태계). - 灸(구)를 兼(겸)하여 溫通(온
통), 壯陽(장양), 散寒(산한)하며
⑶ 血虛證(혈허증) : 加 足三里(족삼리), 脾兪(비수), 膈兪(격수). - 脾胃補調(비
위보조) - 生血之源(생혈지원).
⑷ 氣滯證(기체증) : 加 蠡泃(려구) - 疏肝解鬱(소간해울), 理氣行血(리기행혈)한
다.
兼症(겸증)
下腹部(하복부) 冷痛(냉통) : 加 關元(관원) - 溫陽止痛(온양지통)
心悸(심계) 失眠(실면) : 加 神門(신문). - 寧心安神(령심안신)
下腹部脹痛(하복부창통) 瘀血(어혈) : 加 中極(중극), 四滿(사만). - 調經(조경),
化瘀(화어), 消脹(소창)한다.
治法 : 虛(허)하면 補(보)하고 實(실)하면 瀉(사)한다. 針法(침법)과 灸法(구법)을 兼
用(겸용)한다.
3) 經亂(경란)
⑴ 肝鬱證(간울증) : 月經周期(월경주기)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찍오거나
(先期) 혹 연기되어 늦게 생긴고 월경량도 많거나 적고, 經色(경
색)은 紫黯(자암)하며 經水(경수)가 通暢(통창)하게 나오질 못하고, 胸脇(흉협),
乳房(유방)이 膨脹(팽창)하는 脹痛(창통)이 생기고, 트림(噯氣)이 나며, 한숨(太
息)을 내쉬고, 舌苔薄白(설태박백), 脈弦(맥현)하다.
⑵ 腎虛證(신허증) : 月經期(월경기)가 선후 불규칙적으로 생기며, 量少(량소), 色軟
(색연),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무력하고, 頭暈耳鳴(두운이
명), 舌淡苔白(설담태백), 脈沉弱(맥침약)하다.
治療原則(치료원칙) : 和肝補腎(화간보신), 冲任調理(충임조리). 任脈(임맥)과 足三
陰經穴(족삼음경혈).
主穴 :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⑴ 肝鬱證(간울증) : 加 太冲(태충), 肝兪(간유), 期門(기문).
⑵ 腎虛證(신허증) : 加 腎兪(신수), 太谿(태계), 水泉(수천).
方義 : 關元(관원)과 三陰交(삼음교)를 배합하면 和肝補腎(화간보신), 冲任調理(충
임조리)하는데 충임이 조화되면 월경은 제때에 생긴다.
兼證(겸증)
經水(경수)가 不暢通(불창통) : 加 蠡泃(려구) - 理氣行血(리기행혈),
胸脇脹痛(흉협창통) : 加 支溝(지구), 太冲(태충)-疏肝解鬱(소간해울)
腰膝酸軟(요슬산연) : 加 腎兪(신수), 曲泉(곡천)-腎氣補益(신기보익)
治法 : 肝鬱證(간울증)은 瀉(사)하고, 腎虛證(신허증)은 補(보)한다.
II) 月經不調(월경불조) : 指月經周期(지월경주기), 經量(경량), 經色(경색) 등 異常
(이상)이 발생하고 병행하여 기타 증상이 수반되는 것을 말한다.
1) 經早(경조) : 經先期(경선기), 經色鮮紅(경색선홍), 伴煩熱(반번열), 口渴(구갈)
喜冷飮(희냉음), 舌紅(설홍), 苔黃(태황), 脈數(맥삭).
處方 : 實證(실증) - 氣海(기해), 陰陵泉(음능천), 太冲(태충), 太谿(태계)
등 - 瀉法(사법)
2) 經遲(경지) : 經推遲(경추지), 經色淡每(경색담매), 畏寒喜熱(외한희열), 舌淡
潤(설담윤), 脈遲或細(맥지혹세).
處方 : 虛症(허증) - 氣海(기해), 血海(혈해), 三陰交(삼음교), 歸來(귀
래), 關元(관원). - 補法(보법).
3) 經亂(경란) : 无定期(무정기), 輕量或多減少(경량혹다감소), 經色(경색) 或紫或
淡(혹자혹담), 体質虛弱(체질허약), 面色萎黃(면색위황), 舌淡(설
담), 脈細(맥세).
處方 : 腎兪(신수), 交信(교신), 足三里(족삼리), 脾兪(비수), 三陰交(삼음
교). - 平補(평보)
6. 이침(耳針)
耳穴 : 卵巢(란소), 腎(신), 內分泌(내분비), 子宮(자궁).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