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3-21 14:12
[침구임상(針灸臨床)] 체산 (滯産) - 추축 (抽축)
 글쓴이 : admin
조회 : 11,735  
체산 (滯産)
    1. 參照文(참조문)
        1) 난산 (難産)
        2) 인산 (引産)
        3) 최산 (催産)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3. 中醫針灸學
        滯産(체산)은 産婦(산부)가 臨産時(임산시) 해산과정이 24 시간을 초과한 경우를 가리킨
        다. 체신은 보통 子宮收縮(자궁수축)이 결핍되거나 胎頭(태두)와 骨盤(골반)이 서로 합당
        하지 않거나 胎位不正(태위부정)등 정황으로 발생된다. 本節(본절)에서는 주로 産力(산
        력)의 非正常(비정상)으로 인한 滯産(체산)을 서술한다. 고대에 논한 難産(난산)은 대부
        분 본병에 속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滯産(체산)이 발생하는 원인은 대부분 체질이 허약함으로 正氣(정기)가 부족하거나 혹은
        解産時(해산시)에 너무 일찍이 힘을 써서 血(혈)의 소모로 氣(기)를 상하였거나 임산시
        胞水(포수)가 일찍이 터져 漿血乾枯(장혈건고)로 氣血(기혈)이 허약해져 産力(산력)이
        부족해지거나 임산시 恐怖(공포)에 쌓여 정신이 긴장하거나 임산기간에 너무 안일한 생
        활로 氣滯血瘀(기체혈어)되거나 임산시 寒邪(한사)에 感受(감수)되어 寒凝血滯(한응혈
        체)로 氣機不利(기기불리)하면 모두 滯産(체산)을 일으킨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氣血虛弱(기혈허약)
            症狀 : 解産時(해산시) 腹部陳痛(복부진통)이 微弱(미약)하며 아래로 처지거나 膨脹感
                      (팽창감)이 심하지 않고 下血量(하혈량)이 많으며 색은 연하고 해산시간이 오
                      래 경과하여도 나오지 않고(久産不下), 얼굴색이 蒼白(창백)하며, 정신이 疲勞(
                      피로)하고, 倦怠(권태)로우며, 心悸氣短(심계기단)하고 맥은 크고 허하거나(脈
                      大虛) 혹은 침세약(或沈細弱)하다.
            原則 : 氣血補養(기혈보양), 益氣催産(익기최산)
                      - 足陽明(족양명), 太陰(태음), 少陰經穴(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復溜(복류), 至陰(지음).
            方義 : 至陰(지음)은 膀胱經의 井穴(정혈)이며 催産(최산)의 經驗穴(경험혈)이고,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는 强壯脾胃(강장비위), 氣血生化(기혈생화)
                      復溜(복류)는 腎(신)을 補(보)하여 産力(산력)을 돕는다.
              만약 精神疲勞(정신피로)하면 關元(관원), 氣海(기해)에 加灸(가구)하여 補元氣(보
                      원기)하고 心悸氣短(심계기단)하면 內關(내관), 太谿(태계)를 가하여 理氣寧心
                      (리기녕심)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고 15분 정도 留針(류침)한다.
        2) 氣滯血瘀(기체혈어)
            症狀 : 허리와 복부(腰腹)에 劇烈(극열)한 통증이 생기고 下血量(하혈량)이 적으며, 색
                      은 暗紅(암홍)이고, 해산시간이 오래 걸려도 나오질 않으며(久産不下), 面色(면
                      색)이 靑黯(청암)하고, 精神(정신)이 緊張(긴장)되며, 胸脘脹悶(흉완창민)허고
                      때로는 嘔惡(구오)가 생기며, 설질은 黯紅(암홍)색이고 苔膩(태니)하며 脈沉實
                      (맥침실)하다.
            原則 : 理氣行血(리기행혈), 化瘀催産(화어최산).
                      - 手陽明(수양명), 足太陰經穴(족태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合谷(합곡), 三陰交(삼음교), 讀音(독음).
            方義 : 合谷(합곡)은 手陽明經(수양명경)의 原穴(원혈)이며
                      三陰交(삼음교)는 足三陰經(족삼음경)의 交會(교회)인데 이 두 혈을 배합하면
                      理氣行血(리기행혈)하여 氣血(기혈)의 瘀滯(어체)를 解除(해제)하고, 讀音(독
                      음)은 經外寄穴(경외기혈)인데 催産作用(최산작용)이 있으며 뜸을 뜨면 引産(
                      인산)시킨다.
              만약 劇烈(극열)한 腹痛(복통)이 생기면 太冲(태충)을 加(가)하여 理氣行 血(리기행
                      혈)하고, 胸脇脹滿(흉협창만)하면 內關(내관), 肩井(견정)을 加(가)하여 理氣消
                      脹(리기소창)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取(취)한다.
      II) 收縮力 腹力 ≥ 24 時間 → 滯産
          体力虛弱(체력허약), 用力過早(용력과조), 過度緊張(과도긴장).
          取穴 : 陷谷(함곡) 三陰交(삼음교) 次髎(차료) 秩邊(질변) 太冲(태충) 太谿(태계).
          治法 : 氣血虛弱(기혈허약)한 사람은 補氣穴(보기혈)을 加(가)하고,
                    氣滯血瘀(기체혈어)한 사람은 理氣活血(리기활혈)토록 한다.
                    1) 先刺 : 合谷(합곡),三陰交(삼음교).- 得氣后(득기후) 持續捻轉(지속념전) 5分,
                                  留針(류침) 30分鍾.
                    2) 后刺 : 次髎(차료), 秩邊(질변). 
                                  疾乏无力(질핍무력) : 加 太溪(태계),
                                  煩躁(번조) : 加 太冲(태충).
초자체혼탁 (硝子体混濁)
              1. 主治穴(주치혈)
                  1) 頭頸部奇穴 : 球后(구후).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攢竹(찬죽), 翳明(예명), 睛明(정명), 足三里(족삼리).
초혜풍 (草鞋風)
        1. 針灸大成解釋
            1) 足股紅腫 : 崑崙穴 申脈穴 太溪穴 - 玉龍歌
                발과 다리가 발갛게 부은 草鞋風(초혜풍)에는 崑崙(곤륜), 申脈(신맥), 太溪穴(태계
                혈)의 효험이 귀신과 같다.
총이 (聰耳)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
최산 (催産) : 出産促進(출산촉진)
    1. 參照文(참조문)
        1) 인산 (引産)
        2) 난산 (難産)
        3) 체산 (滯産)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陽膀胱經 : 上髎(상료,絡-少陽經), 중료(中髎).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上髎(상료), 次髎(차료), 下髎(하료), 合谷(합곡), 三陰交(삼음교).
        2) 合谷, 三陰交, 至陰, 讀音, 昆侖
        3) 出産促進 -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최토 (催吐)
    1. 主治穴(주치혈)
        1) 內關(내관), 中脘(중완).
추간반 (椎間盤 hernia, Disc)
        1. 參照文(참조문)
            1) 요통 (腰痛).
            2) 좌골신경통 (坐骨神經痛)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殷門(은문).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第四, 第五 腰椎의 夾脊穴(협척혈).
        4. 現代針灸學 成樂箕
            추간반(椎間軟骨)은 Glass양 연골판, 선유륜, 수핵 등의 세 가지로 형성하고 있으며,
            만일 추간판이 퇴행 변성하거나 또는 외상에 의하여 선유륜의 저항이 약화하거나 단
            열되면 수핵이 자기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탈출되어 hernia를 일으키게 된다. 이것을
            추간판(hernia) 또는 디스크(Disc)라 한다.
            好發部位 : 제4, 제5요 추간판이다.
            症狀 :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sciatica)을 위시하여 achilles-tendon반사의 감퇴하퇴
                      및 족부에 분포하고 있는 신경영역에 자각마비를 가져온다.
            治療 : 요통(腰痛),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요배통(腰背痛) 등에 준한다.
추축 (抽축)
    1. 臨床應用(임상응용)
        處方 ① 百會(백회), 湧泉(용천), 內庭(내정), 后谿(후계),
                ② 人中(인중), 太冲(태충), 十宣(십선, 刺血).,
                ③ 人中(인중), 十宣(십선), 長强(장강), 大椎(대추).
    2. 이침(耳針)
                耳穴 : 神門(신문), 皮質下(피질하), 肝(간), 心(심), 枕(침).
                          高熱(고열) : 耳尖放血(이첨방혈).
축농증 (蓄膿症) ⇒ 비연 (鼻淵)
출산 (出産) ⇒ 해산 (解産)
출산촉진 (出産促進) ⇒ 최산 (催産)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