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3-21 16:33
[침구임상(針灸臨床)] 충감 (虫感) - 치질 (痔疾)
 글쓴이 : admin
조회 : 14,215  
충감 (虫感)
    1. 針灸大成解釋
        1) 면부충감(面部虫感(면부충감) : 迎香穴(영향혈) - 百症賦
    2. 舍岩五行鍼解說
        1) 遍身痒如虫行(편신양여충행) : 心實(심실) - 然谷(연곡) 補, 大敦(대돈) 瀉.
    3. 針灸經驗方 許任
        1) 온 몸에 벌레가 기어가듯이 몹시 가려운 증 “遍身癢如虫行”
            處方 : 주첨혈(肘尖穴)에 뜸을 7장 뜨고 曲池(곡지), 神門穴(신문혈)에 침을 놓는다.
                      合谷(합곡), 三陰交穴(삼음교혈)을 응용한다.
충수염 (虫垂炎) ⇒ 맹장염 (盲腸炎)
        1. 參照文(참조문)
            1) 장염 (腸炎)
            2) 急性單純性虫垂炎(급성단순성충수염) : 대장병중 大腸瘀熱(대장어열) 참조
충치 (虫齒)
    1. 針灸經驗方 許任
        1) 식간(蝕齦) : 잇몸이 썩어서 더러운 냄새가 나는 것 “蝕齦穢臭衝人”
            處方 : 노궁혈(勞宮穴)에 뜸 1장을 뜬다.
췌장암 (膵臟癌)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陰脾經 : 地機(지기,郄).
췌장열 (膵臟熱)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함곡(陷谷,輸).
췌장염 (膵臟炎)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足三里(족삼리,合,胃의 下合穴).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足三里(족삼리), 下巨虛(하거허), 陽陵泉(양능천), 內關(내관).
취각장애 (臭覺障碍) ⇒ 후각 (嗅覺)
취미증 (臭味症)
        1. 參照文(참조문)
            1) 구취 (口臭)
        2. 皮膚病中醫診療學
            狐臭(호취) : 行間(행간)
치루 (痔瘻)
        肛門瘻(항문루) 또는 肛漏(항루)라고도 하는데 항문 및 그 주위에 생긴 瘻管(루관)에서
        고름이 계속 흘러나오는 병증이다. 항문주위의 癰疽(옹저)가 곪은 후 창구가 낫지 않는
        데서 루관이 형성되고 또 內痔(내치), 肛門破裂(항문파열)등도 이 병을 일으킬 수 있다.
        한 개의 外口(외구)와 內口(내구)만 있고 분지구멍이 없는 것을 單純性肛漏(단순성항루)
        라고 한다. 혹은 항문 주위에 생긴 항문관이 말발급과 같이 반원형인 것은 복잡성항문루
        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루관에서 고름이 흐르면서 장기간 낫지 않는다. 만일 루관의 외
        구가 막혀 고름이 잘 흘러나오지 않으면 붓고 아프며 쳐지는 감이 드는 등 증상이 나타
        난다.
    1. 參照文(참조문)
        1) 치질(痔疾)
        2) 탈항(脫肛)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陰脾經 : 태백(太白).
            手太陽小腸經 : 陽谷(양곡).
            足太陽膀胱經 : 氣海輸(기해수).
치매 (痴呆)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陰腎經 : 大鍾(대종).
        2) 腦炎后遺症(뇌염후유증)
            下肢部奇穴 : 腦淸(뇌청).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腦挫傷后遺症(뇌좌상후유증)
            督脈 : 啞門(아문), 興奮(흥분), 人中(인중), 后溪(후계), 豊隆(풍륭).
            下肢部奇穴 : 腦淸(뇌청), 風池(풍지), 大椎(대추).
        2) 신재용의 남성동의보감
            ① 百會 : 전신의 에너지를 조화시키며 정신력 강화와 신경을 안정시키는 경혈이다.
                          이곳과 함께 전후좌우 各 2cm 부위 四神聰(사신총)를 지압해 준다. 이름 그
                          대로 정신을 총명케 해주는 4개의 경혈이다.
            ② 內關 : 정신력을 강화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는 경혈이다.
            ③ 氣海 : 기해혈은 의욕을 북돋고 차분히 집중할 수 있게 해 주는 안정제 역할을 하면
                          서 생기 발랄하게 에너지를 충동시키기도 하는 경혈이다. 한 마디로 에너지
                          가 듬뿍 고여 있는 기의 바다가 바로 氣海穴(기해혈)인 것이다.
            ④ 列缺 : 손가락으로 누르면 동맥의 박동을 느낄 수 있다.
            ⑤ 이외에도 心兪(심유), 神門(신문), 中脘(중완), 少海(소해) 경혈들을 자주 指壓(지압
                )해 주면 치매예방에 도움이 된다.
치산통 (齒酸痛) ⇒ 치통 (齒痛)
치은궤양 (齒齦潰瘍)
          1. 主治穴(주치혈)
              1) 頭頸部奇穴 : 夾承漿(협승장).
치은염 (齒齦炎) : 齒周炎(치주염), 잇몸 염증
      1. 참조문(參照文)
          1) 치은통 (齒齦痛)
          2) 대장경병(大腸經病中)중에 열사상요(熱邪上擾) 고려
          3) 위경병(胃經病)중에 위열수경상약(胃熱隨經上逆) 고려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冲陽(충양,原).
              手太陽小腸經 : 陽谷(양곡,經), 天容(천용).
              手少陽三焦經 : 角孫(각손,手太陽,陽明,手足少陽의 會).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小兒 齒齦炎 -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滎).
      4. 이침(耳針)
          1) 아주염(牙周炎) : 牙痛点1, 아통점(牙痛点)2.
치은종통 (齒齦腫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天冲(천충).
                  督脈 : 兌端(태단).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督脈 : 齦交(은교), 合谷(합곡).
          3, 針灸大成(침구대성)
              1) 이빨과 잇몸이 몹시 아플 때 - 西江月 督脈
                  處方 : 先刺(선자) - 后谿穴(후계혈).
                            后刺(후자) - 列缺(열결), 人中(인중), 頰車(협거), 太谿(태계), 太淵(태연),
                                              合谷(합곡).
치은출혈 (齒齦出血)
          1. 主治穴(주치혈)
              1) 督脈 : 齦交(은교).
치은통 (齒齦痛) : 잇몸 통증
        1. 參照文(참조문)
            1) 치은염(齒齦炎)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陽三焦經 : 液門(액문).
                督脈 : 齦交(은교).
치질 (痔疾 痔瘡)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陰脾經 : 상구(商丘,經).
            手太陰肺經 : 孔最(공최).
            足太陽膀胱經 : 氣海兪(기해수), 小腸輸(소장수), 次髎(차료), 中髎(중료), 하료(下髎)
                                  會陽(회양), 承扶(승부), 秩邊(질변), 承筋(승근), 承山(승산), 飛揚(비
                                  양,絡-足少陰), 곤륜(崑崙,經), 束骨(속골,輸).
            任脈 : 會陰(회음).
            督脈 : 長强(장강), 腰兪(요수), 懸樞(현추), 脊中(척중), 百會(백회).
            項背腰部 : 腰奇(요기).
            四肢部 : 二白(이백, 久病).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上下配穴法 : 上下幷用取穴 - 百會(백회), 長强(장강).
        2) 足太陽膀胱經 ① 會陽(회양), 長强(장강), 關元(관원), 中極(중극), 承山(승산).
                                ② 承山(승산), 長强(장강), 百會(백회), 二白(이백).
                                ③ 飛揚(비양), 白環輸(백환수).
                                ④ 承山(승산), 二白(이백).
        3) 處方 ① 장강(長强) 회양(會陽) 승산(承山)
                  ② 장강(長强) 차료(次髎) 이백(二白) 족삼리(足三里)
                  ③ 은교혈(齦交穴) 점자방혈(點刺放血)
    3. 中醫針灸學 - 痔瘡(치창)
        항문내외에 작은 돌기가 돌출하게 나온 것을 치질이라 한다. 만약 항문내에 생기면 內痔
        疾(내치질)이고, 항문 외에 생기면 外痔疾(외치질)이며, 항문내외에 겸하여 생기면 混合
        痔疾(혼합치질)이다.
        그러나 보통 內痔疾(내치질)이 많이 생긴다. 痔疾(치질)이 붓고 아프며 가렵고 물이 나거
        나 출혈하는 등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통칭으로 痔瘡(치창)이라 부른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오래 앉거나 서서 생활하거나, 무거운 짐을 들고 먼 길을 가는 등 혹은 맵고 甘肥
        (감비)한 음식을 常食(상식)하거나, 혹은 장기간 泄瀉(설사)를 하거나 또는 便秘(변비)가
        생기거나, 혹은 과도하게 피로하거나, 姙娠(임신),解産(해산)등 모두 항문의 氣血不調(기
        혈불조)로 絡脈(락맥)이 瘀滯(어체)되어 濕熱(습열)이 생겨서 痔疾(치질)을 형성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外庤疾(외치질)은 肛門(항문) 밖에 군살이 돋아 점차 자라며 손으로 잡으면 비교적 단단
        하고 아프지 않고 출혈하지도 않는다. 만약 炎症(염증)이 생기면 아프고, 염증이 없어진
        후에도 外痔(외치)의 군살은 없어지지 않는다.
        內庤疾(내치질)은 처음에 痔核(치핵)이 아주 작고 연하며 붉은색 혹은 푸른 자색(靑紫色)
        이고 大便(대변)을 볼 때 마찰로 출혈한다.
        1) 濕熱瘀滯(습열어체)
            症狀 : 치질이 反復(반복)해서 再發(재발)되며 痔核(치핵)이 점차 커지고,대변은 굳고,
                      소변은 不利(불이)하며 겸하여 口渴(구갈)이 나고, 혀는 붉으며(舌紅), 맥은 빠
                      르다(脈數)
            治法 : 淸熱化瘀(청열화어). -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次髎(차료), 長强(장강), 會陽(회양), 承山(승산), 二白(이백).
            方義 : 長强(장강)은 督脈(독맥)에 속하고,會陽(회양)은 足太陽經(족태양경)에 속하며
                      역시 독맥의 氣(기)가 疏發(소발)되고 次髎(차료)와 합용하면 항문국부에 瘀滯
                      (어체)된 氣血(기혈)을 疏導(소도)한다. 足太陽經(족태양경) 經別(경별)은 장단
                      지에서 오금을 거쳐 항문에 들어가기 때문에 承山穴(승산혈)을 취하면 肛腸濕
                      熱(항장습열)을 淸瀉(청사)시키고, 二白穴(이백혈)은 痔疾(치질)을 치료하는
                      經驗穴(경험혈)이다.
                      만약.-
                      肛門腫痛(항문종통) : 加 秩邊(질변), 攢竹(찬죽).- 瀉肛門熱毒(사항문열독)
                      肛門出血(항문출혈) : 加 血海(혈해) 氣海兪(기해수).- 理氣止血(리기지혈       
                      便秘(변비) : 加 大腸兪(대장수), 上巨虛(상거허).- 寬腸通便(관장통변).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는데 자극을 강하게 하면서 먼저 瀉(사)하
                      고 후에 補(보)하며 15~30분 留針(류침)한다. 매일 혹은 2일에 한 번씩 침자하
                      여 10번을 한 療程(료정)으로 한다.
        2) 氣虛下陷(기허하함)
            症狀 : 과도한 출혈로 氣血(기혈)이 부족하여 얼굴색이 노랗고 痔核(치핵)이 항문 밖
                      으로 탈출되어 항문이 밑으로 처지는 감이 나며, 숨이 차고 말하기 싫으며(氣
                      短懶言), 맥은 약하다.
                      만약 탈출된 痔核(치핵)이 다시 항문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肛門括約筋(항문
                      괄약근)의 압박으로 瘀血(어혈)이 맺히거나 혹은 감염으로 붓고 膨脹(팽창)해
                      서 심한 통증이 생기고 潰爛(궤란),壞死(괴사) 혹은 化膿(화농)으로 痔漏(치루)
                      가 발생한다.
            治法 : 益氣升陷(익기승함). - 督脈(독맥), 任脈經穴(임맥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百會(백회), 神闕(신궐), 關元兪(관원수), 膈兪(격수).
            方義 : 百會(백회)는 정수리에 있으며 督脈(독맥)에 속하고 모든 陽經(양경)이 交會(교
                      회)하므로 이를 補(보)하거나 뜸을 떠주면 陽氣(양기)가 下陷(하함)된 것을 올
                      려주며 치법상 下病上取(하병상취)의 효능을 얻을 수 있다.
                      神闕(신궐)에 隔姜(격강) 혹은 隔鹽灸(격염구)를 사영하면 陽氣(양기)를 溫補
                      (온보)한다.  關元兪(관원수), 膈兪(격수)는 모두 족태양경에 속하며 그 맥은
                      항문과 연계되었고 血(혈)이 허손된 증상에 효과가 좋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며 중등의 자극을 주고 또 구법을 사용해
                      도 된다.
    4. 針灸大成
        1) 百症賦 - 痔瘤(치류) : 商丘穴(상구혈) 特效(특효).
        2) 靈光賦 - 慢性痔疾(만성치질) : 委中穴(위중혈)
        3) 玉龍歌 ① 痔漏(치루) 出血(출혈) : 二白穴(이백혈) 針灸
                      ② 五種(오종) 痔疾(치질) : 承山穴(승산혈), 長强穴(장강혈, 强刺).
        4) 勝玉歌 ① 痔疾引起(치질인기) 大腸出血(대장출혈) : 長强穴(장강혈).
        5) 肘后歌 ① 五痔(오치) : 牝痔(빈치,♀), 牡痔(모치,♂), 脈痔(맥치), 腸痔(장치), 血痔(혈
                                            치) - 血熱證(혈열증).-  承山穴(승산혈).
        6) 西江月 ① 五種(오종)의 痔疾(치질)이 대단히 아프며 낫지 않을 때
                          處方 : 先刺 - 內關穴(내관혈),
                                    后刺 - 合陽(합양), 長强(장강), 承山穴(승산혈)을 치료한다.
    5. 舍岩道人針灸要訣
        痔疾(치질) : 肛門病(항문병)
        見證 : 肛門(항문) 內外四旁(내외사방)에 쥐젖 같은 것이 生起(생기)어서 처음에는 가렵
                  고 뒤에는 痛症(통증)이 나는 것.
        處方 : 三里(삼리) 曲池(곡지) 補, 陽谷(양곡) 陽谿(양계) 瀉.
                  又方. ⑴ 通谷(통곡) 瀉
                          ⑵ 腰眼穴(요안혈) (虛勞門 參照, 亥日亥時에 針刺한다.)
            ※ 痔疾(치질)은 大腸虛(대장허)에서 나오기 때문에 大腸正格(대장정격)을 이용하고
                있다.  大腸正方(대장정방)을 쓰는 것도 대단히 좋으나 難治(난치)에 속한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肛門(항문) 주변 내외에 瘡(창)이 生(생)겨서 쥐젖같이 내민 것을 痔(치)  라하
                    고 터져(潰)서 膿血(농혈)이 나오는 것을 瘻(루)라 하나니 痔(치)가 輕(경)하면
        瘻(루)가 重(중)하고, 痔(치)가 實(실)하면 瘻(루)가 虛(허)한 것이 通例(통예)이다. 그런
        데 대개는 酒色(주색)을 過(과)이 하고 甘肥(감비)를 좋아 하므로서 熱毒(열독) 또는 憤
        鬱(분울)의 氣(기)를 蘊積(온적)한 까닭인데 혹은 항문 안에 藏在(장재)하고 혹은 항문
        밖으로 露出(노출)하여 있기도 하다. 그의 治療法式(치료법식)은 마땅히 在外(재외)한 것
        이라면 點之(점지), 洗之(세지)하고 在內(재내)한 것이라면 祛風除濕(거풍제습), 淸熱解
        毒(청열해독)하여야 하나 始初(시초, 초기)라면 養血燥濕(양혈조습)하고, 오랜 병이라면
        澁竅殺虫(삽규살충)과 함께 溫散(온산)하여야 한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素門生氣通天論(소문생기통천론)에서 말한「因而飽食(인이포식)
        筋脈橫解(근맥횡해) 腸癖爲痔(장벽위치)」를 引用(인용)하고 계속하여 다시「脾胃(비위
        ) 倉廩之司(창름지사),五味出(오미출),大腸(대장) 傳導之官(전도지관),變化生(변화생)」
        이라하여 上(상)의 諸法(제법)을 施(시)하였다. 
    6. 針灸經驗方 許任
        1) 다섯 가지 종류의 치질 혈변(hemafecia) 뇨실금(incontinence of urine) 엉덩이 아픈 증
            “五痔 血便 失尿 尻痛”
            處方 : 미궁골혈(尾窮骨穴)에 100장, 삼백혈(三百穴)에 21장, 질변혈(秩邊穴)에 3장의
                      뜸을 뜬다.
        2) 혈변배설(血便排泄 hematochezia) “腸風下血痔”
            處方 : 삼백혈(三百穴)에 21장, 승산혈(承山穴)에 5장을 뜨면 신기한 효험이 있다.
                      배꼽과 같은 높이의 등골뼈위와 좌우 1촌 되는 곳에 각각 21장의 뜸을 뜨며 제
                      이요추(第二腰椎, 十四椎) 극상돌기 아래(棘突下)에서 양옆 각각 1.5촌 되는 곳
                      에 14장의 뜸을 뜨는데 오래된 병일수록 효험이 더욱 좋다.
        3) 치질로 항문밖에 젖꼭지 모양 궃은살이 나온 증 “痔乳頭”
            處方 : 도드라져 나온 군살에 100장의 뜸을 뜨면 들어 가는데 신효(神效)하다.
☆☆ 4) 치질을 치료했던 옛 사람이 이르기를 “환자로 하여금 똑바로 서게 하고 대지팡이로 땅
            에서 배꼽까지를 재어 끊는다. 이것으로 발 뒷금치에서 등골뼈로 올려 재서 끝이 닿는
            곳에 점을 찍어 표시하고 다시 이곳에서 아래로 1촌 되는 곳에 뜸을 50장 뜨는데 이
            방법을 쓸때 마다 효험을 보았다“고 하였다.
            療痔昔人所傳 曰今患人薺足正立 以竹杖地量臍截斷 將其竹移後準脊骨以墨點記 從點
            處下量一寸 艾灸五十壯 每行此法無不效
    7. 이침(耳針)
                直腸下段(직장하단), 耳尖前(이첨전), 大腸(대장).
            ※ 이첨전(耳尖前)은 치질(痔疾)치료 및 진단에도 임상의의가 있다.
치창 (痔瘡) ⇒ 치질 (痔疾)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