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3-29 12:20
글쓴이 :
admin
 조회 : 12,355
|
탈저 (脫疽)
1. 參考文獻
1) 괴저 (壞疽) 참조
2) 西醫(서의)의 血栓閉塞性脈管炎(혈전폐색성맥관염)도 이에 속한다.
2. 中醫針灸學
脫疽(탈저)는 또 脫骨阻(탈골조)라고도 부른다. 본증은 발가락 혹은 손가락에 통증이 심
하며 장기간 치료하여도 낫지 않고 점차 썩어서 떨어지기 때문에 脫骨阻(탈골조)라 부른
다. 대부분 하지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西醫(서의)에서 말하는 血栓閉塞性脈管炎(혈전
폐색성맥관염)에 상당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1) 氣滯血瘀(기체혈어) : 情志內傷(정지내상), 肝腎不足(간신부족), 外受寒濕(외수한습)
으로 經脈(경맥)이 凝滯(응체)되어 氣血運行(기혈운행)이 不暢(
불창)하게 되고 痹阻不通(비조불통)으로 발생한다.
2) 氣陰兩傷(기음양상) : 寒濕(한습)이 장기간 몰려서 熱(열)로 되고 熱(열)이 甚(심)하면
陰(음)이 損傷(손상) 받거나 혹은 술, 담배, 膏梁厚味(고량후미)
를 즐기면 熱(열)이 생겨 經絡(경락)에 凝滯(응체)되고, 熱(열)
이 심하면 血肉(혈육)이 부패하므로 탈저가 발생한다.
辨證施治(변증시치)
1) 氣滯血瘀(기체혈어)
證狀 : 初起(초기)나 中期(중기)에는 병든 다리나 팔이 차고 저리며 刺痛感(자통감)이
있고 瞬間的(순간적)으로 절름발이 걸음을 걷는다. 趺陽脈(부양맥)이 가늘고
무력(細无力)하다. 오래되면 局部(국부)가 차고 통증이 持續(지속)되며 근육이
萎縮(위축)되어 步行(보행)이 困難(곤란)해진다. 발등의 색(足背色)이 紫色(자
색)이고 脫毛(탈모)와 趾甲(지갑)이 두꺼워진다. 趺陽脈(부양맥)이 弱(약)하거
나 혹은 消失(소실)되며 腰痛(요통), 어지러운 감을 느낀다. 舌質(설질)은 붉고
舌苔(설태)는 엷고 흰색 혹은 白膩(백니)하고 맥은 沉細(침세)하고 느리다.
治法 : 活血通絡(활혈통락) - 背兪(배수), 任脈(임맥), 足陽明(족양명), 太陰經穴(태음
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氣海(기해), 膈兪(격수), 關元兪(관원수),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商丘
(상구), 丘墟(구허), 解谿(해계), 八風(팔풍).
方義 : 膈兪(격수),關元兪(관원수),氣海(기해)에 뜸(灸) - 補氣(보기),溫經(온경),活血(
활혈), 寒濕宣散(한습선산).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商丘(상구),丘墟(구허).- 通經導滯(통경도체),
調氣化瘀(조기화어).
解谿(해계), 八風(팔풍).- 活血祛瘀(활혈거어). 祛寒(거한).
만약
筋肉萎縮(근육위축) : 加 陰陵泉(음능천), 血海(혈해)
手指脫疽(수지탈저) : 加 八邪(팔사), 曲池(곡지), 合谷(합곡).
方法 : 補瀉兼施(보사겸시), 可灸(가구).
2) 氣陰兩傷(기음양상)
證狀 : 后期(후기)에는 병든 다리의 색이 黯紅色(암홍색)이며 살이 여위고 筋脈(힘줄)
이 萎縮(위축)되며 썩어서 痛症(통증)이 심해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趺陽脈(부
양맥)이 消失(소실)되고 發熱(발열), 口乾(구건),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며, 便秘(
변비), 尿黃(뇨황) 혹은 尿赤(뇨적),舌質紅(설질홍),脈細(맥세)하다,이는 熱(열)
이 甚(심)하여 陰(음)이 損傷(손상)된 證狀(증상)이다. 만약 筋肉(근육)과 骨(골
)이 썩어 떨어져 나가면 얼굴색이 노랗고, 神疲(신피), 消瘦(소수), 맥은 느리
며(脈遲) 설질은 軟(연)하고 舌苔薄白(설태박백)이 되는데 이는 氣陰兩傷(기음
양상)의 證狀(증상)이다.
治法 : 益氣養陰(익기양음).
任脈(임맥), 手足少陰經(수족소음경)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關元(관원), 太谿(태계), 足三里(족삼리), 血海(혈해), 少府(소부), 太白(태백).
方義 : 關元(관원), 足三里(족삼리).- 補益元氣(보익원기).
太白(태백), 血海(혈해).- 通脈活血(통맥활혈).
太谿(태계), 少府(소부).- 滋陰養血(자음양혈), 淸虛熱(청허열)하여 補益陰液(
보익음액)한다.
만약 便秘(변비) : 加 血海(혈해).
身熱(신열) : 加 身柱(신주).
口乾(구건) : 加 廉泉(렴천).
方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使用(사용)한다.
3. 皮膚病中醫診療學 徐宜厚 王保方 張賽英
탈저(脫疽) : 血栓閉塞性脈管炎(혈전폐색성맥관염)
1) 毫針法(호침법)
⑴ 辨證取穴(변증취혈)
① 寒濕證(한습증) : 陽陵泉(양능천),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下巨虛(하거
허), 太淵(태연), 上巨虛(상거허).
② 血瘀證(혈어증) : 列缺(열결), 尺澤(척택), 膈兪(격수),上巨虛(상거허),下巨虛(하
거허).
③ 熱毒證(열독증) : 太谿(태계), 復溜(복류), 列缺(열결), 尺澤(척택), 魚際(어제),
陰陵泉(음능천).
④ 氣血兩虛(기혈양허) : 列缺(열결), 尺澤(척택), 陰陵泉(음능천),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魚際(어제).
⑤ 腎虛證(신허증) : 膻中(전중),膈兪(격수),三陰交(삼음교),尺澤(척택),太谿(태계).
方法 : 實證瀉之(실증사지), 虛證補之(허증보지), 針刺得氣后(침자득기후) 30분간
留針(류침) 1日 1次.
⑵ 分期取穴(분기취혈)
早期(조기) : 內關(내관), 太淵(태연), 足三里(족삼리), 陽陵泉(양능천), 三陰交(삼
음교), 太谿(태계).
中期(중기) : 神門(신문), 余下穴上同(나머지 혈들은 위와 같다).
晩期(만기) : 冲陽(충양), 太谿(태계), 余下穴上同(여하혈상동).
方法(방법) : 早期施(조기시) - 補法(보법)을 사용하며 겸하여 뜸을 뜬다.
中期施(중기시) - 瀉法(사법), 병행해서 三陵針(삼능침)으로 약간의 点
刺出血(점자출혈)을 허용한다.
晩期施(만기시) - 潰破(궤파)된 주위로 2일에 1번씩 灸法(구법)을 시행
한다.
⑶ 隣近取穴(인근취혈)
下肢(하지) : 環跳(환도), 三陰交透絶骨(삼음교투절골), 足三里(족삼리), 陽陵泉透
陰陵泉(양능천투음능천), 解谿(해계).
上肢(상지) : 曲池(곡지), 外關(외관), 合谷(합곡), 中渚(중저).
方法 : 施平補平瀉(시평보평사), 針刺得氣后(침자득기후) 30분간 留針(류침), 1日
1次.
⑷ 對症取穴(대증취혈)
下肢 主穴(주혈) : 環跳(환도),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陽陵泉(양능천), 血
海(혈해), 脈根(맥근), 陰包(음포).
配穴(배혈) : 病變在(병변재)
① 母趾(모지) : 加 陰陵泉(음능천), 地機(지기).
② 2~3 趾(지) : 加 足三里(족삼리), 豊隆(풍륭).
③ 4 趾(지) : 加 陽陵泉(양능천), 懸鍾(현종).
④ 5 趾(지) : 加 承山(승산), 崑崙(곤륜).
⑤ 足低(족저) : 加 太谿(태계).
上肢 主穴(주혈) : 曲池(곡지), 郄門(극문).
配穴(배혈) : 病變在(병변재)
① 母指(모지), 食指(식지) : 加 手三里(수삼리).
② 中指(중지) : 加 內關(내관).
③ 小指(소지) : 加 通里(통리).
④ 无名指(무명지) : 加 外關(외관).
⑤ 前臂(전비, 下腕) 및 手掌(수장) : 加 大陵(대능).
方法 : 施平補平瀉(시평보평사),針刺得氣后(침자득기후) 30분간 留針(류침),日 1次.
2) 灸法(구법) : 患肢(환지)의 踝關節(과관절) 周圍穴(주위혈)
穴處 : 復溜(복류), 太谿(태계), 中封(중봉), 商丘(상구), 崑崙(곤륜), 光明(광명), 丘墟(
구허), 照海(조해), 申脈(신맥)., 혹은 血海(혈해), 腎兪(신유), 委中(위중), 承筋
(승근) 등 혈을 사용.
方法 : 쑥뜸을 사용하며, 매번 舒適感(서적감)이 드는 정도로, 매일 2~4번 뜸을 뜬다.
3) 耳針法(이침법)
穴處 : 內分泌(내분비), 皮質下(피질하), 手足敏感点(수족민감점).
方法 : 針刺后(침자후) 20~30분간 留針(류침), 間日(간일) 1번.
4) 頭針法(두침법)
穴處 : 感覺區(감각구), 血管舒張區(혈관서장구).
方法 : 患肢(환지)와 健肢(건지)를 交叉(교차)로 針刺(침자)하되 30~60분간
留針(류침)한다. 1日 1次.
5) 粗針法(조침법)
穴處 : 大椎透身柱(다추투신주), 神道透至陽(신도투지양), 命門(명문).
配穴 - 病變爲重(병변위중).
① 母趾(모지) : 配 足三里(족삼리), 伏兎(복토), 解谿(해계).
② 食趾(식지) : 配 足三里(족삼리), 曲泉(곡천), 太冲(태충).
③ 四至(사지) : 配 環跳(환도), 陽陵泉(양능천), 懸鍾(현종).
④ 小趾(소지) : 配 殷門(은문), 承山(승산), 崑崙(곤륜).
方法 : 大椎透身柱(대추투신주), 神道透至陽(신도투지양), 길이 125mm 毫針(
호침)을 사용하여 5사간 留針(류침)하며 命門(명문)에 拔火罐(발화관)
을 사용하고, 그 나머지 穴(혈)들은 瀉法(사법)을 시행하고 留針(류침)
하지 않는다. 3日 1次.
6) 刺血法(자혈법)
穴處 : 冲陽(충양), 太冲(태충), 足三里(족삼리)..
方法 : 毫針(호침)을 사용하고, 提揷刺入疾出(서서히 침을 찌르고 빠르게 뽑는
다.), 혈액을 약간 짜내거나 혹은 皮下(피하)에 靑紫色(청자색)이 나게
하여도 된다. 3日 1次.
7) 穴位主射(혈위주사)
穴處 :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方法 : (洋金花(양금화), 生草烏(생초오), 川芎(천궁), 當歸(당귀)) 1~3 ml, 염소(CI)병
진 25~50 mg, 1穴(혈)씩 교대로, 針刺(침자)해서 得氣(득기)한 후 완만하게
주입시킨다.
適用 : 患肢(환지)의 疼痛(동통)이 劇烈(극열)하거나, 만약 患肢(환지)에 血運(혈운)의
障碍(장애)가 明顯(명현)한 때로부터 劇痛(극통)이 緩解(완해)된 뒤에는 사용
을 멈추어야 한다.
8) 穴位磁療法(혈위자료법)
治患肢 : 太冲(태충), 解谿(해계), 公孫(공손), 丘墟(구허).
方法 : 每穴(매혈)마다 釤鈷合金(삼고합금)의 靜磁片(정자편)을 붙여서 사용한다.
한번 靜磁片(정자편)을 부착했던 곳을 매일 이동한다.
9) 外治法(외치법)
⑴ 未潰(미궤) 患處(환처)가 서늘하고 나무토막처럼 뻣뻣하게 마비되며(發凉麻木) 피
부색이 창백(膚色蒼白)하거나 혹은 靑紫(청자), 혹은 마디가 퉁퉁하게 붓는다(結節
腫塊)
選用 : 해독 세제약물(解毒洗葯)
或用 : 生姜(생강)120, 甘草(감초)60.
或用 : 无花果(무화과) 煎汁(전즙)에 患處(환처)를 따뜻하게 浸泡(침포)한다.
1日 2次, 1次 15~30분간,
⑵ 初期(초기) 환처가 빨갛게 붓고 아직 터지기 전 약간의 동통이 있을 때(紅腫未潰
僅有疼痛時)
選用 : 甘草油(감초유), 혹 金黃膏(금황고) 外敷(외부), 혹용 紅靈酒(홍령주)를 약간
外涂(외도떨어드린다.)한다.
만약 ① 化膿(화농)이 아직 터지지 않고 病變(병변) 발가락(趾)에 국한된 상
태에서는 白芷(백지) 혹은 甘草(감초)를 얇은 건포에 싸서(細面乾
包) 사용하여 膿液吸收(농액흡수)와 局限(국한)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② 이미 환처가 터지고(已潰) 膿腐(농부)가 비교적 많은 데는
五五丹(오오단), 黃連膏(황련고)을 환처에 바근다.
③ 膿腐(농부)가 점차 줄고 붉은 새살이 살아 날 때
九一丹(구일단)을 바른다.
④ 붉은 새살이 살아나는데 마치 구슬 같은 농부를 없애자면
生肌散(생기산) 혹은 冰石散(빙석산), 혹은 八珍寶丹(팔진보단), 生
肌玉紅膏(생기옥홍고)를 환처에 바른다.
⑤ 썩은 뼈(朽骨)가 나올 때
選用 : 推車散(추차산) - 直至 朽骨而瘡斂
10) 內治法(내치법)
⑴ 寒濕侵襲證(한습침습증) : 陽和湯加减(양화탕가감),
⑵ 氣滯血瘀證(기체혈어증) : 桃紅四物湯加减(도홍사물탕가감),
⑶ 濕熱蘊毒證(습열온독증) : 茵陳赤豆湯加味(인진적두탕가미),
⑷ 熱毒侵膚證(열독침부증) : 四妙勇安湯加味(사묘용안탕가미),
⑸ 氣血兩虛證(기혈양허증) : 八珍湯加减(팔진탕가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