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3-31 09:14
[침구임상(針灸臨床)] 탈증 (脫症) - 토유 (吐乳)
 글쓴이 : admin
조회 : 11,901  
탈증 (脫症)
    1. 中醫針灸學
        脫證(탈증)은 亡陰(망음), 亡陽(망양)을 특징으로 하는 病證(병증)으로서 暴脫(폭탈)과
        虛脫(허탈)로 나눈다. 臨床(임상)에서 中風(중풍), 大汗(대한), 劇瀉(극사), 大出血(대출
        혈) 등으로 陰陽離決(음양이결)되는 사람을 暴脫(폭탈)이라 하고 만약 병환에 元氣(원기
        )가 허약하면 精氣(정기)가 점차로 消亡(소망)되어 발생하는 사람을 虛脫(허탈)이라 한
        다.
        西醫學(서의학)의 心力衰竭(심력쇠갈), 周圍循環衰竭(주위순환쇠갈) 등은 모두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하라!
        病因病機
        주로 高熱(고열), 大汗(대한), 극열한 吐瀉(토사), 과다한 出血(출혈)로 陰液(음액)과 陽
        氣(양기)가 신속히 亡失(망실)되어 발생된다. 땀(汗)과 血(혈)은 陰液(음액)으로서 大汗(
        대한), 大出血(대출혈)은 陰(음)이 血汗(혈한)을 따라 消亡(소망)되는 것이다.
        陰陽互根(음양호근)이므로 陰竭(음갈)이 생기면 陽亡(양망)이 초래되며 精(정)은 氣血所
        化(기혈소화)로써 血脫(혈탈)이 일어나면 곧 精亡(정망)이 초래되고, 陽亡(양망)이 일어
        나면 陰(음)역시 化生(화생)되지 못하여 陰竭(음갈)이 초래된다. 때문에 亡陰(망음)과 亡
        陽(망양)은 서로 因果關係(인과관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양자를 截然(절연)히 갈라놓기
        어렵다. 다만 先后(선후), 主次(주차)가 다를 뿐이다.
        辨證論治
        證狀 : 찐득찐득한 땀이 나며 熱(열)이 나고, 몸은 뜨거우며 손발은 溫和(온화)하고 口渴
                  (구갈)이 나며 冷(냉)한 음식을 즐긴다. 심한 사람은 昏迷(혼미)하고 맥은 가늘며
                  빠른데(細數) 누르면 무력하다. 이는 亡陰證(망음증)이다.
                  식은땀을 많이 흘리고 피부가 차가우며 手足(수족)도 또한 冷(냉)하고 渴症(갈증)
                  은 없으며 더운 음식을 즐기고 쪼그리고 누워있으며 정신이 피로하고 심한 사람
                  은 人事不省(인사불성)이 되고 맥은 미약하여 끊어질듯 한 사람은 亡陽證(망양증
                  )이다.
        治則 : 回陽固脫(회양고탈), 陰陽調節(음양조절).
                  督脈(독맥), 任脈經穴(임맥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水溝(수구), 素髎(소료), 神闕(신궐), 關元(관원), 湧泉(용천), 足三里(족삼리).
        方義 : 督脈(독맥)은 일신의 陽(양)을 總督(총독)하며, 任脈(임맥)은 일신의 陰(음)을 維
                  系(유계)하는데 두 경의 穴(혈)을 위주로 취하면 陰陽(음양)을 조절하여 離決(이
                  결)을 방지한다.
                  水溝(수구), 素髎(소료)는 醒腦(성뇌)와 陽氣(양기)를 振奮(진분)하고
                  神闕(신궐), 關元(관원)에 重灸(중구)하면 回陽固脫(회양고탈)의 작용
                  湧泉(용천)은 족소음경의 井穴(정혈)인데 上越(상월)된 浮陽(부양)을 아래로 내려
                  오게 하고 足三里(족삼리)는 益氣助陽(익기조양), 固表止汗(고표지한)한다.
                  만약
                  亡陰(망음) : 加 太谿(태계).- 補陰(보음)하고
                  亡陽(망양) : 加 氣海(기해).- 回陽(회양)하며
                  心陽不振(심양불진) : 加 內關(내관).- 心陽(심양)을 振奮(진분)시킨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며 灸法(구법)을 겸한다.
                  水溝穴(수구혈)은 橫刺(횡자)하고, 關元(관원), 神闕穴(신궐혈)은 重灸(중구)한다.
    2. 皮膚病中醫診療學 : 神闕穴(신궐혈).
탈진 (脫盡)
    1.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陽(양)이 虛弱(허약)하여 스스로 탈진된 것
                          處方 : 先刺 - 照海穴(조해혈),
                                    后刺 - 心兪(심수), 然谷(연곡), 腎兪(신수), 中極穴(중극혈)에 針刺(침자)한다.
탈항 (脫肛)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수도(水道).
            足太陽膀胱經 : 承山(승산).
            足少陽膽經 : 外丘(외구).
            任脈 : 關元(관원), 神闕(신궐), 鳩尾(구미,別絡).
            督脈 : 長强(장강), 腰兪(요수), 懸樞(현추), 脊中(척중),百會(백회,手足三陽經과 交會).
            四肢部 : 二白(이백).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辨證選穴 ① 百會(백회).
                          ② 長强(장강). - 提升(제승)
        2) 上下配穴法 ① 下病上取 - 百會(백회).
                            ② 上下幷用取穴 - 百會(백회), 長强(장강).
        3) 足太陽膀胱經 : 白環兪(백환수), 長强(장강), 承山(승산).
            任脈 : 神闕(신궐), 長强(장강), 氣海(기해).
            督脈 ① 長强(장강), 百會(백회), 大腸兪(대장수), 承山(승산).
                  ② 腰兪(요수), 百會(백회), 大腸兪(대장수), 承山(승산).
                  ③ 百會(백회), 長强(장강), 承山(승산).
                  ④ 百會(백회), 龜尾(구미), 長强(장강).- 百症賦
                  ⑤ 百會(백회), 長强(장강), 承山(승산).
        4) 處方 ① 氣海(기해), 關元(관원), 足三里(족삼리), 長强(장강,針灸).
                    ② 百會(백회,灸), 長强(장강,針).
                    ③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 大腸兪(대장수), 百會(백회).
    3. 中醫針灸學
        脫肛은 直腸脫垂(직장탈수)라고도 부른다. 직장하단이 항문 밖으로 탈출된 것을 가리킨
        다. 대부분 소아, 노인, 多産婦女(다산부녀)에게 많이 발생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虛症 : 대부분 久痢(구리), 久瀉(구사) 및 生育(생육)이 과다한 婦女(부녀)의 체질이 허약
                  하거나 혹은 疲勞過度(피로과도)로 中氣下陷(중기하함)하여 收攝无權(수섭무권)
                  이기 때문에 脫肛(탈항)된다.
        實症 : 대부분 便秘(변비), 痔疾(치질)등으로 濕熱(습열)이 직장에 몰려 국부가 붓고, 里
                  急后重(리급후중)하여 대변시 과도히 힘쓰면 約束无力(약속무력)으로 탈항된다.
        辨證施治(변증시치)
        1) 虛症 : 병이 서서히 진행되며 초기에는 다만 대변 볼 때 항문이 처지는 감이 있으며 직
                      장하단이 아주 경미하게 脫垂(탈수)되지만 변을 보고 난 뒤에는 자연히 들어간
                      다. 만약 제때에 치료를 못하게 되면 좀 피료해도 즉시 脫肛(탈항)되며 스스로
                      들어가지 못하여 손가락으로 밀어 넣어야 한다.
                      피로하고 무력하며 얼굴색이 누렇고 頭昏(두혼), 心悸(심계), 舌淡苔白(설담태
                      백), 脈濡細(맥유세)하다. 
            治則 : 益氣升提(익기승제). - 督脈(독맥), 任脈經穴(임맥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百會(백회), 神闕(신궐), 長强(장강), 足三里(족삼리), 氣海(기해).
            方解 : 百會(백회)는 督脈(독맥)이 三陽經(삼양경)과의 交會穴(교회혈)이고, 氣(기)는
                      陽(양)이며 督脈(독맥)을 관장한다.
                      百會(백회) + 氣海(기해) : 升陽提氣(승양제기)하고
                      神闕(신궐)은 溫固下元(온고하원)하며
                      長强(장강)은 督脈(독맥)의 別絡(별락)이며 항문과 가깝기 때문에 항문근육을
                      約束(약속) 하는 기능을 증강시키고
                      長强(장강) + 足三里(족삼리) : 補脾益氣(보비익기)하기 때문에 虛證(허증) 탈
                                                                  항에 적용된다.
            治法 : 針(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며, 혹은 뜸(灸)을 뜬다.
        2) 實症 : 痢疾(이질) 急性期(급성기) 와 痔疾(치질) 炎症時(염증시)에 많이 나타난다. 대
                      변 전에 항문이 처지며 팽창한 감각이 있고 대변감이 빈번하고 급하여 힘을 주
                      게 됨으로 直腸(직장)이 脫垂(탈수)되고 국부는 벌겋게 붓고 뜨거우며 아프고
                      가렵다. 설태는 黃膩(황니)하고 맥은 滑數(활삭)하다.
            治則 : 淸泄濕熱(청설습열). - 足陽明(족양명),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 위주
            處方 : 足太陽經脈(족태양경맥)은 尾骨(미골)과 선골을 지나기 때문에 承山(승산)을
                      大腸兪(대장수)와 배합하면 直腸(직장)의 수축을 촉진시키고, 上巨虛(상거허)
                      는 大腸(대장)의 會穴(회혈)이며 陰陵泉(음능천)과 배합하면 利尿(이뇨)작용을                      하므로 大腸濕熱(대장습열)의 淸泄(청설)을 증강시킨다. 이상의 여러穴(혈)을
                      동시에 사용하면 升提收攝(승제수섭)의 효과를 얻는다.
            治法 : 針(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4. 針灸大成
        1) 百症賦 ① 脫肛(탈항) : 百會穴(백회혈), 鳩尾穴(구미혈).
                      ② 大腸下垂(대장하수) : 外丘穴(외구혈)을 配合(배합)
        2) 西江月 ① 大腸虛冷(대장허냉)하고, 脫肛(탈항)이 들어가지 않을 때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刺 - 百會(백회), 命門(명문), 長强(장강), 承山穴(승산혈)을 치료
                                              한다.
                      ② 大便時(대변시) 過力(과력)으로 脫肛(탈항)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刺 - 照海(조해), 百會(백회), 支溝穴(지구혈)을 치료한다.
    5. 針灸經驗方 許任
        1) 항문탈출증(肛門脫出症 proctoptosis)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증 “脫肛久不愈”
            處方 : 제중혈(神闕穴)에 나이 수 만큼 뜸을 뜬다. 백회혈(百會穴)에 21장,
                      방광수혈(膀胱兪穴)에 3장의 뜸을 뜬다.
        2) 탈항(脫肛)
            處方 : 백회(百會)에 뜸 7장, 제중(臍中, 神闕穴)에 나이수 만큼 뜨거나 50장 또는 100
                      장의 뜸을 뜬다.
    6. 이침(耳針)
              耳穴 : 直腸下段(직장하단), 脾(비).
태니스앎 (Tennisarm) ⇒ 굉골상과염(网球肘炎)
          1. 참조문(參照文)
              1) 굉골상과염(肱骨上踝炎, 网球肘)
              2) 주첨(肘尖)
태독 (胎毒) : 小兒病(소아병)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少陰腎經 : 筑賓(축빈,陰維脈의 郄).
태불하 (胎不下)
        1. 參照文
            1) 오로불하 (惡露不下)
            2) 태의불하 (胎衣不下)
        2. 針灸大成解釋
            1) 産后(산후) 胎不下(태불하) : 瀉 照海穴(조해혈) 內關穴(내관혈) - 雜病穴法歌
태산 (胎産)
    1. 參照穴(참조혈)
        1) 足陽明胃經 : 氣冲(기충), 三陰交(삼음교).
태위부정 (胎位不正) : 胎位異常(태위이상)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至陰(지음,井).
          2. 中醫針灸學
              胎位不定(태위부정)은 姙娠(임신) 7개월 후 胎兒(태아)의 자궁내에 위치가 非正常(
              비정상)인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經産婦(경산부) 혹은 腹壁(복벽)이 지완 된 姙
              娠婦(임신부)에게 나타나는데 산부본인은 자각증상이 없다. 때문에 산부인과의 검
              사로써 정확한 진단을 내린다.
          病因病機
          대부분 經産婦(경산부)가 복벽이 지완 되어 태위부정이 발생된다.
          辨證論治
          處方 : 至陰(지음). - 足太陽經(족태양경)을 위주로 取穴(취혈)한다.
          方義 : 至陰穴(지음혈)은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井穴(정혈)이며, 胎位(태위)
                    를 矯正(교정)하는 經驗穴(경험혈)이다.
          治法 : 灸法(구법)을 사용한다. 허리띠를 풀고 의자에 기대어 않거나 반듯하게 누운 후
                    양쪽 至陰穴(지음혈)에 뜸을 뜨는데 매번 15-20分씩 每日 1-2번 艾蓧灸(애조구)
                    를 사용하며 胎兒(태아)의 位置(위치)가 正常(정상)이 될 때까지 뜸을 뜬다.
태의불하 (胎衣不下)
          1. 參照文
              1) 오로불하 (惡露不下)
              2) 태불하 (胎不下)
          2. 臨床應用(임상응용)
              足少陰腎經 : 照海(조해), 外關(외관).- 標幽賦
턱 떨어지는 증상 ⇒ 합하수증 (頜下垂症)
토담 (吐痰)
    1. 針灸經驗方 許任
        1) 가래침(痰涎)을 내뱉다.
            處方 : 然谷(연곡), 復溜(복류), 腎兪穴(신유혈) - 諸穴治灸
토사 (吐瀉) : 嘔吐泄瀉(구토설사)
    1. 參照文(참조문)
        1) 곽란 (霍亂)
    2. 主治穴(주치혈)
        1) 急性(급성) : 尺澤(척택).
        2) 足陽明胃經 : 梁門(량문).
            足太陰脾經 : 公孫(공손,絡-少陰經).
            足太陽膀胱經 : 委中(위중).
            頭頸部奇穴 : 金津(금진) 玉液(옥액).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委中(위중), 中脘(중완), 天樞(천추), 內關(내관).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 委中(위중)에 點刺出血(점자출혈).
    4.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여름에 더위를 먹어 大熱(대열)이 있고 癨亂(곽란)으로 인해 吐(토)하고 泄
                          瀉(설사)한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委中(위중), 百勞(백노), 中脘(중완), 曲池(곡지), 十宣(십선),
                                              三星(삼성), 合谷穴(합곡혈)에 침자 한다.
토설 (吐舌)
    1. 參照文(참조문)
        1) 설풍무 (舌風舞)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太乙(태을), 滑肉門(활육문).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舌强吐舌 : 足陽明胃經 : 滑肉門(활육문), 少海(소해), 溫溜(온유).
        2) 吐舌 : 足陽明胃經 - 太乙(태을), 滑肉門(활육문).
    4.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吐舌한 것이 다시 들어가지 않는 것을 陽强(양강)이라고 한다.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湧泉(용천), 兌端(태단), 少冲(소충), 神門穴(신문혈)을 치료
                                              한다.
토연 (吐涎) ⇒ 유연 (流涎)
토유 (吐乳)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任脈 : 中庭(중정), 內關(내관).
    2. 針灸經驗方 許任
        1) 토유(吐乳) : 젖을 토하는 것
            處方 : 중정(中庭)에 뜸을 5장 뜬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