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3-31 09:40
[침구임상(針灸臨床)] 토혈 (吐血 hematemesis) - 통증 (劇痛症)
|
|
글쓴이 :
admin
 조회 : 11,874
|
토혈 (吐血 hematemesis)
토혈(吐血)과 코피(衄血)는 모두 폐열(肺熱)에 의하여 심혈(心血)이 혈관(血管) 을 따라 제대로 순
환 하지 못하고 혈관(血管) 밖으로 돌기 때문이다. 이때는 반드시 심화(心火)와 폐열(肺熱)을 말끔
히 없애는 치료법을 써야 한다.
1. 參照文(참조문)
1) 출혈 (出血)
2) 구혈 (嘔血)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天府(천부)
手陽明大腸經 : 手五里(수오리), 巨骨(거골).
足陽明胃經 : 承滿(승만).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
手少陰心經 : 陰郄(음극,郄), 神門(신문), 少冲(소충).
足太陽膀胱經 : 肺輸(폐수), 膈輸(격수), 膏肓(고황).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內庭(내정), 梁門(량문).
2)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肝兪(간수), 上脘(상완).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 復溜(복류), 列缺(열결), 合谷(합곡).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 大陵(대능).
4. 針灸大成
1) 吐血 : 尺澤穴(척택혈) - 靈光賦
2) 吐血 : 尺澤穴(척택혈) - 雜病穴法歌
3) 西江月 ① 五臟(오장)의 熱(열)로 吐血(토혈)이 그치지 않을 때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五臟兪穴(오장수혈), 血會(혈회)인 膈兪穴(격유혈)을 치료한
다.
② 吐血(토혈)로 어지럽고 人事不省(인사불성)일 때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肝兪(간수), 膈兪(격수), 通里(통리), 大敦穴(대돈혈)을 치료
한다.
③ 虛損(허손)하여 氣(기)가 逆行(역행)하여 吐血(토혈)이 不止(불지).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膏肓(고황), 膈兪(격수), 丹田(단전), 肝兪穴(간수혈)을 치료
한다.
④ 陽勝陰(양승음)하여 血(혈)에 熱(열)이 생겨 妄行(망행)할 때 생긴 吐血(토
혈), 衄血(뉵혈).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中冲(중충), 肝兪(간수), 膈兪(격수), 三里(삼리), 三陰交穴(삼
음교혈)을 치료한다.
⑤ 陰勝陽(음승양)으로 血寒(혈한)하여 吐血(토혈)하게 되는 것을 心肺二經嘔
血(심폐이경구혈)이라고 한다.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少商(소상), 心兪(심수), 神門(신문), 肺兪(폐수), 膈兪(격수),
三陰交穴(삼음교혈).
5. 針灸經驗方 許任
1) 내상(內傷)으로 인한 토혈(吐血)
處方 : 魚際(어제) 瀉, 尺澤(척택) 補, 間使(간사), 神門(신문), 太冲(태충),足三里穴(족
삼리혈).
肺兪穴(폐수혈) 灸百壯, 肝兪穴(간수혈) 灸百壯, 脾兪穴(비수혈) 灸三壯.
2) 吐血
處方 : 魚際(어제), 天樞(천추), 勞宮(노궁), 行間(행간), 神門(신문), 大陵(대능), 尺澤 (척택), 上星(상성)에 뜸 7장을 뜬다.
⑴ 가슴이 답답하면(心煩) : 간사(間使) 신문(神門) 어제(魚際)를 가(加)하고
⑵ 오한과 발열(惡寒發熱) : 심수(心兪) 절골(絶骨) 담수(膽兪)
⑶ 폐기(肺氣)가 위로 치밀어 오르면(기침하고 숨이 차다) : 폐수(肺兪) 천돌(
天突), 또는 구효천투경법(灸哮喘套頸法)으로 7~21장 뜬다.
⑷ 기격(氣膈) : 격수(膈兪) 전중(膻中) 간사(間使).
⑸ 뱃속에서 꾸르륵 소리나면(腸鳴) : 곡지(曲池) 대장수(大腸兪)
⑹ 답답하고 괴로우면(悶亂) : 호구(虎口) 삼초수(三焦兪) 대능(大陵)
⑺ 잠만 자려하면(嗜臥) : 조해(照海)
⑻ 토하지 못하면(不吐) : 심수(心兪)
⑼ 토하며 음식을 삼키지 못하면(嘔噎) : 음교(陰交)
⑽ 嘔血 (구혈) 허약(虛弱)한 자(者) : 기해혈(氣海穴)을 보(補)한다.
☞ 효천투경법(哮喘套頸法)
가는 노끈으로 목에서 흉골의 검상돌기 뾰족한 끝까지 재어서 그 끈의 양 끝을
등 뒤로 가져가 등골뼈 위에 놓고 끈 끄트머리가 닿는 등골뼈 위에 점을 찍어
표시하고 그 곳에 뜸을 7~21장 뜨면 신기한 효험이 있다.
3) 소아의 토혈(吐血)
處方 : 魚際 신문(神門) 노궁(勞宮) 태충(太冲) 척택(尺澤), 심수(心兪)에 뜸을 50장 뜬
다.
통경(痛經) ⇒ 月經痛 I II를 參照
통규 (通竅)
1. 主治穴(주치혈)
督脈 : 啞門(아문,陽兪脈과 交會).
통락 (通絡)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臂臑(비노).
手少陰心經 : 神門(신문,輸,原).
手太陽小腸經 : 養老(양노,郄).
手少陽三焦經 : 陽池(양지,原),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足少陽膽經 : 丘墟(구허,原).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輸,原), 中封(중봉,經), 蠡泃(려구,絡-少陽經).
통맥혈 (通脈穴)
太淵(태연), 內關(내관), 神門(신문), 心兪(심수), 厥陰兪(궐음수), 膈兪(격수), 血海(혈
해),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통유 (通乳)
1.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井).
2) 臨床應用(임상응용)
乳根(유근), 膻中(전중), 少澤(소택), 足三里(족삼리).
통장부 (通腸腑)
1.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經).
통조 (通調)
1. 主治穴(주치혈)
1) 痛調任脈 :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
2) 通調水道 利膀胱 : 委陽(위양,別絡,三焦의 下合穴).
통증 (劇痛症)
1. 針灸大成解釋
1) 諸病 痛症甚 : 二府穴 (少府(소부), 風府(풍부)), 淺深針刺 - 雜病十一穴歌
2. 中醫針灸學
劇痛症(극통증)은 인체의 각기 다른 부위에 劇烈(극열)한 疼痛(동통)이 발생되는 것을 가
리킨다. 본증은 허다한 질병의 변화과정 중에 인체의 각 부위와 臟器(장기)에 모두 劇痛
(극통)이 발생될 수 있다.
본절은 다만 내장에 발생되는 극통을 소개한다.
卽 心絞痛(심교통), 膽交痛(담교통), 急性胃腸炎(급성위장염), 急性胰腺炎(급성이선염),
急性盲腸炎(급성맹장염), 急性腸梗阻(급성장경조), 急性腹膜炎(급성복막염), 潰瘍病(궤
양병), 急性穿孔(급성천공), 泌尿系痛(비뇨계통)의 結石(결석) 등으로 인한 劇痛(극통)은
모두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하라!.
病因病機(병인병기)
劇痛(극통)이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1) 寒邪(한사)를 感受(감수)하여 經絡(경락)을 통해 臟腑(장부)에 內傳(내전)되면 氣血(
기혈)을 凝滯(응체)시켜 通(통)하지 못하므로 痛症(통증)이 발생된다.
2) 憂思悲恐(우사비공)으로 氣機(기기)가 不暢(불창)하게 되면 氣滯血瘀(기체혈어)로 經
脈(경맥)이 막혀서 疼痛(동통)이 발생한다.
3) 結石(결석) 등이 原因(원인)으로 劇痛(극통)이 발생된다.
辨證論治
1) 心劇痛(심극통)
證狀 : 心痛(심통)이 잔등까지 미치며 등어리 통증이 심장까지 미친다(心痛徹背(심통
철배), 背痛徹心(배통철심). 혹은 가슴에 刺痛(자통)이 고정되어 있고 가슴이
답답하며 숨이 가쁘고 心悸(심계) 自汗(자한)이 있으며 심한 사람은 喘息(천식
)으로 반듯하게 눕지 못하고 얼굴색은 蒼白(창백)하며, 四肢厥冷(사지궐냉)하
고 혀는 紫黯(자암)하며 脈沉細(맥침세)하다.
治則 : 行氣通陽(행기통양), 活血止痛(활혈지통).
任脈(임맥), 手厥陰經穴(수궐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膻中(전중), 內關(내관), 心兪(심수), 足三里(족삼리).
方義 : 본증은 주로 氣滯血瘀(기체혈어), 혹은 胸陽痹阻(흉양비조)로 발생한다.
氣會(기회)인 膻中穴(전중혈)을 취하여 調氣行瘀(조기행어)하고
手厥陰(수궐음)과 陰維脈(음유맥)의 교회혈인 內關(내관)과 배합하면 理氣活
血(리기활혈)하고 心兪(심수)와 합하면 寧心安神(녕심안신)하고, 足三里(족삼
리)와 합하면 調氣通陽(조기통양)한다.
이상의 혈을 배합하면 通絡止痛(통락지통)의 작용을 한다.
만약
胸部刺痛(흉부자통) : 加 膈兪(격수) 厥陰兪(궐음수).-行瘀止痛(행어지통)
面色蒼白(면색창백) 四肢厥冷(사지궐냉) : 關元(관원), 氣海(기해). - 溫經補氣(
온경보기).
治法 : 호침으로 사법을 사용한다.
2) 膽劇痛(담극통)
證狀 : 오른쪽 윗배가 몹시 아프고, 반복적으로 발작하며, 혹은 통증이 전혀 멈추지 않
는다. 국부를 손을 대거나 누르지 못하게 하고, 惡心(오심), 嘔吐(구토), 食欲减
退(식욕감퇴)가 겸하여 나타나고, 寒熱往來(한열왕래), 입이 쓰고(口苦), 口渴(
구갈), 눈과 몸의 피부색이 누렇게 黃疸(황달)기가 돌고, 설태는 엷고 희며, 脈
弦細(맥현세) 혹은 弦數(현삭)하다.
治則 : 疏肝利膽(소간이담), 行氣止痛(행기지통). - 足少陽(족소양), 厥陰經穴(궐음경
혈)을 위주로 하고, 陽明經穴(양명경혈)과 배합한다.
處方 : 日月(일월), 中脘(중완), 太冲(태충), 陽陵泉(양능천), 足三里(족삼리).
方義 : 본증은 주로 肝鬱氣滯(간울기체)하고, 濕熱蘊結(습열온결)로 인하여 발생된다.
日月(일월), 陽陵泉(양릉천), 太冲(태충) : 疏肝利膽(소간이담)하고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 濕熱淸利(습열청리), 腑氣通導(부기통도)
惡心(오심), 嘔吐(구토) : 加 內關(내관) - 理氣止嘔(리기지구)하고
寒熱往來(한열왕래) : 加 支溝(지구), 外關(외관).-瀉熱(사열) 少陽(소양)
上腹疼痛(상복동통) : 加 中脘(중완), 梁門(양문).- 調中止痛(조중지통).
針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3) 胃劇痛(위극통)
證狀 : 갑자기 胃(위)가 아프며 畏寒喜暖(외한희난)하고 혹은 胃脘脹痛(위완창통)하며 트림이 나고, 시큼한 胃液(위액)이 올라오며 胃脘脹滿(위완창만)하고, 아픈데
통증이 옆구리까지 미치며, 胃痛(위통)은 고정되어 있고, 통증은 바늘로 찌르
는 뜻, 칼로 베는 뜻 刺痛(자통)이 나고, 설태는 희고, 맥은 弦脈(현맥)이다.
治則 : 和胃降逆(화위강역), 理氣止痛(리기지통).
足陽明經穴(족양명경혈)을 위주로 取(취)한다.
處方 :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
方義 : 足三里(족삼리)는 足陽明經(족양명경)의 合穴(합혈)이며
中脘(중완)은 胃(위)의 募穴(모혈)이다. 足三里(족삼리)와 배합하면 和胃降逆(
화위강역), 理氣止痛(리기지통)의 효과를 얻는다.
만약
噯腐呑酸(애부탄산) : 加 下脘(하완), 建里(건리), 內庭(내정).- 消食制酸(소식
제산)한다.
통증이 옆구리에 미치면 : 加 陽陵泉(양능천). - 調理肝氣(조리간기)
嘔吐(구토) : 加 內關(내관), 曲澤(곡택), 委中(위중).-理氣止嘔(리기지구)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4) 腹劇痛(복극통)
證狀 : 갑자기 복부에 劇痛(극통)이 생기며 마치 칼로 베는 뜻한 극통이 반복적으로 발
작하고, 복부가 팽창하고, 손을 대거나 누르지 못하게 하며, 땀이 나고, 四肢(사
지)가 冷(냉)하며, 면색이 蒼白(창백)하고, 發熱(발열), 惡心(오심), 嘔吐(구토),
便秘(변비), 小便色黃(소변색황), 脈沉弦(맥침현)한 증상과 겸하여 나타난다.
治則 : 通腑導滯(통부도체), 行氣止痛(행기지통). - 任脈(임맥), 手足陽經穴(수족양경
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中脘(중완), 天樞(천추), 氣海(기해), 合谷(합곡), 足三里(족삼리).
方義 : 본증은 주로 邪滯胃腸(사체위장) 혹은 陽明熱盛(양명열성)으로 인하여 발생된
다.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 和胃降逆(화위강역)하고,
合谷(합곡)과 배합하면 祛邪道滯(거사도체)하고,
天樞(천추) : 通調胃腸(통조위장)하고,
氣海(기해) : 理氣止痛(리기지통)한다.
만약
熱(열)이 나면 加 曲池(곡지), 大椎(대추) - 淸熱(청열)하고,
惡心(오심), 嘔吐(구토)는 加 內關(내관) - 理氣止嘔(리기지구)하며
汗出(한출), 四肢冷(사지냉), 面色蒼白(면색창백)하면 加 神闕(신궐), 氣海穴(
기해혈)에 뜸을 떠서 溫經補氣(온경보기)한다.
針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5) 腎劇痛(신극통)
證狀 : 허리에 극열한 통증이 생기는데 아랫배까지 미치고, 소변이 갑자기 중단되며,
경상적으로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소변이 渾赤(혼적)하며 小便時(소변시)에
澁痛(삽통)이 생기고 暢通(창통)하지 못한다. 설태는 엷고 희며 黃膩(황니)하
며, 맥은 弦緊(현긴) 혹은 弦數(현삭)하다.
治則 : 益腎祛邪(익신거사), 調氣止痛(조기지통). - 足少陰(족소음), 太陽經(태양경) 任
脈穴(임맥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照海(조해), 腎兪(신수), 委陽(위양), 中極(중극).
方義 : 본증은 주로 邪氣阻腎(사기조신)하고 氣機不利(기기불이)하거나, 혹은 下焦(하
초)에 濕熱(습열)이 蘊結(온결)되어 발생된다.
照海(조해), 腎兪(신수) : 益腎祛邪(익신거사)하고,
委陽(위양) : 三焦氣機(삼초기기)를 疏理(소리)하며,
中極(중극) : 膀胱氣化(방광기화)를 調理(조리)하고 下焦(하초)의 濕熱(습열)을
淸利(청리)한다.
만약
尿血(뇨혈)을 보면 加 血海(혈해) - 止血(지혈) 시키고
소변에 結石(결석)이 보이면 加 然谷(연곡) - 利腎排石(이신배석)한다.
針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灸法(구법)도 합당하게 겸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