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4-04 16:44
[침구임상(針灸臨床)] 폐농양 (肺膿瘍) - 폐열 (肺熱)
 글쓴이 : admin
조회 : 12,403  
폐농양 (肺膿瘍)
      1. 參照文(참조문)
          1) 폐옹 (肺癰)
          2) 폐병중 (肺病中) - 풍열범폐(風熱犯肺)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足太陰脾經 : 周榮(주영).
      3. 針灸經驗方 許任
          1) 肺膿瘍(폐농양, pulmonary abscess)으로 肺氣(폐기)가 치밀어 올라서 기침하고 숨
              이 찬 것
              處方 : 天突(천돌), 膻中(전중), 膏肓兪(고황수), 肺兪穴(폐수혈).
              治法 : 모든 혈에 뜸을 뜨는데 특히 騎竹馬穴(기죽마혈)에 뜸 7장을 뜬다. 이 혈은
                        모든 혈의 效能(효능)보다 우세하다.
          2) 폐농양(肺膿瘍) : 폐옹(肺癰)
              가슴과 옆구리가 켕기듯이 아프고 숨이 가쁘며 불에 댄 것 같이 몸이 화끈거리고 기
              침을 하며 가래를 내뱉고 음식을 먹지 못하며 낮에는 덜하고 밤에는 심해진다.
              處方 : 騎竹馬穴(기죽마혈)에 뜸 7장씩 뜨고, 尺澤(척택), 太淵(태연), 內關(내관),
                        神門(신문)에 모두 침을 놓아 氣(기)를 통하게 하여 독기를 없앤다. 만약 낫
                        지 않으면 기죽마혈(騎竹馬穴)에 다시 7장의 뜸을 더 뜬다.
          폐옹진찰법(肺癰診察法)
            1) 성농(成膿) : 곪았는가를 알고 싶으면 처음 아픈 날로부터 헤아려 40~50일이 지난
                                  뒤에 환자의 눈을 살펴보아 흰자위에 정채(精彩)가 없고 또 약간 거무
                                  스름하며 실같이 가느다란 핏발이 흰자위에 가로 세로로 어지러이 생
                                  겼으면 이미 곪은 것이다.
            2) 맥상(脈象) : 홍(洪) 긴(緊) 삭(數) 활(滑)하다.
                                  위급(危急)한 맥상(脈象) : 하유맥(鰕遊脈) 작탁맥(雀啄脈)이다.
            3) 치료(治療) : 대침(大針 가장자리에 날이 선 침)으로 아픈 부위의 가장자리 즉 젖가
                                  슴 옆쪽 겨드랑이 아래에서 전늑간(anterior intercostal) 쪽으로 찔러
                                  서 고름을 뺀 뒤 소독된 거스를 꽂아서 구멍이 막히지 않게 하고 동시
                                  에 돌옷(바위에 난 파랗고 흰 이끼)을 양의 많고 적음에 억매이지 말
                                  고 진하게 달여서 계속 나을 때까지 먹는다.
폐로 (肺癆)
    1. 참조문
        1) 폐결핵 (肺結核)
    2. 中醫針灸學
        肺癆(폐로)는 만성 전염병으로써 咳嗽(해수), 咯血(각혈), 胸悶(흉민), 潮熱(조열), 盜汗(
        도한)과 점차로 여위(消瘦)는 특징이 있는 폐결핵(肺結核)을 말한다. 고대문헌에 傳注(전
        주), 傳死(전사)등의 명칭으로 기재되었다. 이외에 또 證狀(증상)과 預后(예후)에 근거하
        여 骨蒸(골증), 癆瘵(로채)로 이름 지었으나 현대에 이르러 폐결핵(肺結核)이라고 하는
        것이다.
        病因病機(병인병기)
        폐로(肺癆)의 병인은 內因(내인)과 外因(외인) 두 개 방면이다.
        외인(外因) : 癆虫(로충) 感染(감염)으로 肺臟(폐장)에 침입되고,
        내인(內因) : 인체의 正氣(정기) 부족으로 항병능력이 저하된 것이다.
        또 이 兩者(양자)는 서로 전변되는 因果關係(인과관계)가 있다.
        癆虫(로충)이 肺臟(폐장)에 침입되면 肺陰(폐음)이 손상되면 폐기의 숙청기능을 잃게 됨
        으로(淸肅失職) 폐기가 상역되어 기침(咳嗽)이 생기고, 음이 허하고 화(火)가 왕성함으로
        진액을 달구(虛火煉液)게 되면 가래가 생기게 되는데,  이런 상태로 기침을 계속하게 되
        면 肺絡(폐락)이 손상되면서 咯血(각혈), 胸痛(흉통)으로 발전하고, 津液(진액)의 缺乏(
        결핍)으로 목과 입이 마르게 된다. 이와 같이 陰虛火旺(음허화왕)하면 潮熱(조열), 盜汗(
        도한)등 전신증상이 생기고, 中氣(중기, 脾胃)가 부족하면 숨이 가쁘고 여위거나 浮腫(부
        종)이 생기게 된다.
        辨證施治(변증시치)
        內因 : 인체(人体)에 정기(正氣)가 부족함으로 정항력(抗病能力)이 저하된 것이다.
                  외인(外因)과 내인(內因)은 서로 원인과 결과를 제공하는 인과관계가 있다.
        症狀 : 초기(初起)에 경한 기침(해수), 피로하고 무력(疲困无力)하며, 음식을 잘 먹지 못
                  하고(食納不佳), 체중이 감소되고, 가슴이 아픈 증상(胸部痛症)이 있거나 혹은 가
                  래에 피가 섞여 나오게 되는데(或痰中血病) 이런 증상이 계속발작되면 기침(咳嗽
                  )이 심하거나 혹은 가래가 적은 마른기침(乾咳少痰)하게 되고, 오후에 조열(午後
                  潮熱)이 발작하며, 양쪽 광대뼈 부위가 붉게 달아오르며(兩觀發赤) 밤잠을 잘 때
                  땀을 흘리게 되고(盜汗), 피부가 건조해지기도 한다.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하며(心煩失眠), 가슴이 아프고(胸痛) 기침할 때 피가 나는데 그 량이 늘어나고
                  (咯血量增加), 남자는 정액이 절로 흐르며(男子遺精), 부녀자는 폐경(婦女閉經)에
                  이르게 되며, 혀의 색이 빨갛게(舌質紅赤)되고 태는 적으며(苔少) 맥은 세삭(脈細
                  數) 하다.
                  萬若 병이 중해지면 : 환자는 극도로 여위며, 목소리가 쉬고, 호흡이 짧고 빨라(呼
                  吸短促) 지거나 혹은 기침하며 많은 량의 피를 뱉기도 하고(或有大量咯血), 얼굴
                  과 다리에 부종이 생기며(面部와 下肢浮腫), 식사를 적게(食少)하고, 변이 묽고(
                  便溏), 혀가 번질번질(舌質光滑)고 맥은 미세(脈微細)하다. 심지어 가슴이 두근거
                  리며 두렵기도 하고(心悸), 호흡이 약하고 팔다리가 차가우며(四肢冷), 땀이 나고
                  (汗出) 맥이 새삭(脈細數)한 음이다하고 양도 미약한(陰竭陽微) 등의 위험한 증상
                  이 나타난다.
        原則 : 음을 배양하여 폐를 보하고(養陰補肺) 기를 보태어 비를 튼튼하게 함으로(益氣健
                  脾) 기음(氣陰)을 자생(自生)할 수 있도록 한다.
                  - 수태음경혈(手太陰經穴) 및 배수혈(背兪穴) 위주
        處方 : 척택(尺澤), 폐수(肺兪), 고황수(膏肓兪), 대추(大椎), 삼음교(三陰交), 태계(太溪)
                  - 음을 보하여 로병(癆病)에 저항하도록(補虛抗癆) 한다.
        方義 : 척택(尺澤) : 폐경(肺經)의 합혈(合穴)이며 폐수(肺兪)와 배합하면 음을 배양하여
                                    폐를 윤활하게(養陰潤肺)하고,
                  고황수(膏肓兪) : 모든 허와 손실(諸虛百損)을 주치하며, 폐로(肺癆)를 치료하는
                                          경험(經驗)의 요혈(要穴)이고, 대추혈(大椎穴)과 배합하면 폐기
                                          를 보하고 조절(調補肺氣)하면서 병을 유발시킨 폐장을 견고하
                                          게 하는 원기를 북돋운다(固本培元).
                  삼음교(三陰交) : 비토(脾土)를 튼튼히 하여 폐기(肺氣)를 보태고(健脾益肺)
                  태계(太溪) : 신경(腎經)의 원혈(原穴)이며 음을 자양하고 신을 보(滋補腎陰)한다.
                  이 여러 혈을 함께 사용하면 보허항로(補虛抗癆)의 공능(功能)이 있다.
                  만약
                  조열(潮熱) : 加 어제(魚際), 노궁(勞宮) - 심폐사열(心肺瀉熱)하고,
                  도한(盜汗) : 加 음극(陰郄), 복류(復溜) - 렴음지한(斂陰止汗)하고,
                  각혈(咯血) : 加 중부(中府), 공최(孔最), 격수(膈兪) - 청폐지혈(淸肺止血),
                  목이 쉬면 : 加 조해(照海) - 청열이인(淸熱利咽)하고,
                  유정(遺精) : 加 지실(志室) - 보신고정(補腎固精)하고,
                  폐경(閉經) : 加 혈해(血海) - 리혈조경(理血調經)하고,
                  사지냉(四肢冷) : 加 구(灸) 관원(關元) - 배보원기(培補元氣)한다.
        治法 : 음이 허하고 양이 항성(陰虛陽亢)한 것은 침치료를 많이 사용하며 양허(陽虛)는
                  뜸치료(灸法)를 많이 사용한다.등어리의 수혈(兪穴)은 반흔구법을 使用해도 된다.
폐병변증취혈 (肺病辨證取穴)
                1) 肺氣不足 2) 肺陰不足 3) 風寒束肺 4) 風熱犯肺 5) 痰濁阻肺.
    1) 肺氣不足(폐기부족)
        病因病理 : 久咳傷氣(구해상기), 心脾虛弱引起(심비허약인기) 肺氣漸弱(폐기점약), 失常
                        宣肅(실상선숙).
              證候 : 咳嗽(해수), 氣短(기단), 痰淸稀(담청희), 身冷畏寒(신냉외한) 말하기 싫어하
                        고(懶言), 面色晄白(면색황백), 舌色軟(설색연), 苔白(태백), 脈虛弱(맥허약)
                          - (補肺湯(보폐탕))
              西醫 :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喘息性氣管支炎(천식성기관지염), 氣管支喘息
                        (기관지천식), 肺氣腫(폐기종) 등.
              治法 : 補益肺氣(보익폐기)
              處方 : 太淵(태연), 肺兪(폐수), 脾兪(비수), 膻中(전중), 魚際(어제).   
              針法 : 補法(보법) 혹은 針灸結合(침구결합).
    2) 肺陰不足(폐음부족)
        病因病理 : 久病体弱(구병체약) 或은 熱邪壅肺日久(열사옹폐 일구), 혹은 肺陰損傷(폐음
                        손상), 혹은 腎陰不足 引起(腎陰不足引起(신음부족인기) 失養肺氣(실양폐기)
                        不能肅淸下降(불능숙청하강) 혹은 陰虛火旺(음허화왕), 陰血損傷(음혈손상)
              證候 : 乾咳少痰(건해소담), 午后潮熱(오후조열), 盜汗(도한), 髖骨潮紅(관골조홍),
                        咽乾口燥(인건구조), 嘶啞(시아, 목소리가 쉬다.), 舌紅苔少(설홍태소), 脈細
                        數(맥세삭).
              西醫 : 肺結核(폐결핵), 肺炎恢復期(폐염회복기).
              治法 : 滋陰養肺(자음양폐), 降火(강화).
              處方 : 1) 太淵(태연), 肺兪(폐수), 魚際(어제). 
                            針法 : 補法(보법) 혹은 平補平瀉(평보평사).
                        2) 肺兪(폐수), 膏肓兪(고황수), 復溜(복류), 太谿(태계), 太淵(태연), 尺澤(척
                            택), 陽谿(양계).   
                            針法 : 平補平瀉(평보평사)
    3) 風寒束肺(풍한속폐)
        病因病理 : 風寒邪氣(풍한사기) 침범, 束縛肺氣(속박폐기) 宣肺无權(선폐무권).
              證候 : 惡寒發熱(오한발열), 頭身疼痛(두신동통) 无汗鼻塞(무한비색), 流涕(류체), 咳
                        嗽痰稀(해수담희), 舌苔薄白(설태박백), 脈浮緊(맥부긴).
              西醫 : 感冒(감모), 急性氣管支炎(급성기관지염),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治法 : 疏風散寒(소풍산한), 化痰止咳(화담지해)
              處方 : 列缺(열결), 太淵(태연), 肺兪(폐수), 尺澤(척택), 合谷(합곡), 曲池(곡지).     
              針法 : 瀉法(사법)
    4) 風熱犯肺(풍열범폐)
        病因病理 : 風熱邪氣(풍열사기), 혹은 風寒邪氣(풍한사기) 犯肺(범폐), 轉化熱邪(전화열
                        사), 積肺熱邪(적폐열사),  肺氣不宣(폐기불선).
              證候 : 咳嗽(해수), 痰黃粘稠(담황점조), 氣短(기단), 甚則鼻煽(심칙비선), 胸悶痛(흉
                        민통), 發熱(발열), 口渴(구갈), 流涕粘稠(류체점조), 혹은 衄血(뉵혈), 咽喉痛
                        (인후통) 혹은 膿血痰(농혈담), 舌紅乾(설홍건), 苔黃(태황), 脈數(맥삭)
              西醫 : 感冒(감모), 急性氣管支炎(급성기관지염),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急性
                        發作肺炎(급성발작폐염), 肺膿瘍(폐농양).
              治法 : 淸宣肺熱(청선폐열).
              處方 : 1) 少商(소상), 豊隆(풍륭), 尺澤(척택), 肺兪(폐수), 合谷(합곡). 
                            針法 : 瀉法(사법). 少商(소상), 尺澤(척택) - 瀉血(사혈)
                        2) 孔最(공최) 魚際(어제) 合谷(합곡) 豊隆(풍륭) 腎兪(신수) 肺兪(폐수) 
                            針法 : 透天凉法(투천량법)
    5) 痰濁阻肺(담탁조폐)
        病因病理 : 積肺痰濕(적폐담습), 肺閉淸肅下降(폐폐청숙하강)
              證候 : 咳嗽氣短(해수기단), 喉中痰鳴(후중담명), 痰稠量多(담조량다), 惡心(오심),
                        食欲不振(식욕부진), 胸脇脹痛(흉협창통), 甚則起坐(심칙기좌), 呼吸(호흡)
                        張口抬肩(장구태견), 不能臥(불능와), 舌苔白膩(설태백니), 脈弦滑(맥현활).
              西醫 :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肺氣腫(폐기종).
              治法 : 溫肺化飮(온폐화음), 理氣祛痰(리기거담).
              處方 : 膻中(전중), 中脘(중완), 氣海(기해), 肺兪(폐수), 風門(풍문), 定喘(정천),尺澤
                        (척택), 豊隆(풍륭).
              針法 : 輕刺(경자) 留針(류침) 灸法(구법).
폐심병 (肺心病) ⇒ 腎病中 腎不納氣 參照
폐암 (肺癌)
    1. 주치혈(主治穴)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雲門(운문), 俠白(협백), 尺澤(척택,合), 列缺(열결), 太淵(
                              태연,原,脈會), 少商(소상,井).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絡).
            足太陰脾經 : 大包(대포).
            手太陽小腸經 : 天宗(천종).
            足太陽膀胱經 : 大杼(대저,手足太陽, 少陽의 會, 督脈의 別絡,八會穴의 骨會), 風門(풍
                                  문, 督脈,足太陽의 會), 肺兪(폐수), 心兪(심수).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小腸의 會).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手足少陽,足陽明,陽維의 會).
            督脈 : 啞門(아문,督脈,陽維의 會), 大椎(대추,督脈,手足三陽의 會).
            任脈 : 천돌(天突,陰維,任脈의 會).
            寄穴 頸部 : 頸淺(경천)
                  腋窩部 : 消壞(소괴)
                  腰背部 : 喘息(천식).
    2. 臨床應用
        1)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風府(풍부), 大椎(대추) : 呼吸器疾患(호흡기질환) 일체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經
                                                    穴(경혈).
            ⑵ 膻中(전중), 上脘(상완) : 血痰(혈담)이 있을 때 유효한 經穴(경혈)이다.
            ⑶ 氣海(기해), 關元(관원) : 氣海穴(기해혈)은 목구멍에서 가래 꿇는 소리가 甚하게
                                                    날 때 有效(유효)하며, 關元穴(관원혈)은 肺癌(폐암)으로
                                                    体力(체력)이 떨어져 있고 血痰(혈담)을 뱉을 때 效果(효
                                                    과)가 있는 經穴(경혈)이다.
            ⑷ 照海(조해), 豊隆(풍륭) : 呼吸器疾患(호흡기질환)이 났을 때 도움이 되는 經穴(경
                                                    혈)이다.
폐열 (肺熱) : 설폐열 (泄肺熱)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尺澤(척택,合).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