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4-04 17:20
[침구임상(針灸臨床)] 폐염 (肺炎) - 풍열 (風熱)
|
|
글쓴이 :
admin
 조회 : 12,197
|
폐염 (肺炎)
1. 參照文
1) 폐옹 (肺癰)
2) 急性發作(급성발작) : 폐병중 (肺病中) - 풍열범폐(風熱犯肺) 참조
3) 恢復期(회복기) : 폐병중(肺病中) - 폐음부족(肺陰不足)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孔最(공최,郄), 少商(소상,井).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合), 手五里(수오리).
手太陽小腸經 : 肩外兪(견외유).
足太陽膀胱經 : 大杼(대저,手足太陽,少陽經과 會,督脈의 別絡,骨會), 風門(풍문,督脈,
足太陽의 會).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支溝(지구,經).
督脈 : 身柱(신주).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大杼(대저), 肺兪(폐수), 中府(중부), 孔最(공최).
4. 針灸學(침구학)
1) 大葉性肺炎(대엽성폐염) : 90~95% 肺炎(폐염) 雙球菌(쌍구균) - 靑壯年(청장년) 冬
天(동천)
2) 小葉性肺炎(소엽성폐염) : 續發(속발), 沿支氣管小葉分布(연지기관소엽분포)
3) 間質性肺炎(간질성폐염) : 病毒支原體(병독지원체)
病因 : 風邪犯肺(풍사범폐), 痰熱互結(담열호결).
症狀 : 寒戰(한전), 高熱(고열), 咳嗽(해수), 棕色痰(종색담) 1~2 周(주)
治則 : 散風淸熱(산풍청열), 淸肺化痰(청폐화담).
處方 : 大椎(대추), 身柱(신주), 肺兪(폐수), 膻中(전중), 心兪(심수), 內關(내관).
風熱(풍열) : 加 - 魚際(어제), 曲池(곡지), 內庭(내정).
痰熱(담열) : 加 - 尺澤(척택), 合谷(합곡), 豊隆(풍륭).
高熱(고열) 点刺 : 加 - 大椎(대추), 身柱(신주), 耳尖(이첨, 放血)
폐질환 (肺疾患)
1. 참조문(參照文)
1) 폐경병 (肺經病)
2. 임상응용(臨床應用)
1)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足三里(족삼리), 太谿(태계) : 足三里穴(족삼리혈)은 肺機能(폐기능), 消化器機能
(소화기기능) 등이 모두 虛弱(허약)해 있고 몸이 여
윈 데에 좋은 經穴(경혈)이다. 太溪穴(태계혈)은 肺氣(폐기)가 虛(허)하여 코로
숨을 쉬기가 힘들고 숨결이 弱(약)한 肺虛證(폐허증)에 효과가 있는 經穴(경혈)
이다.
⑵ 郄門(극문), 陰郄(음극) : 가슴의 充血(충혈)로 숨이 찰 때 쓰는데,肺實證(폐실증)
으로 肺氣(폐기)가 지나치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氣(
기)가 치밀어 오른다. 바로 이런 때에 효과가 있는 經穴들 이다.
⑶ 風池(풍지), 三焦兪(삼초수) : 肺實證(폐실증)의 경우에는 氣(기)가 치밀어 올라
서 등의 筋肉(근육)이 아프고 당기는데 이때 효과
가 있는 經穴(경혈)이다.
⑷ 魄戶(백호), 神堂(신당) : 肺機能(폐기능)이 좋지 못해서 숨이 찰 때 효과가 있는
穴인데【東醫寶鑑】에는 “몸에서 熱(열)이 나고 虛勞病
(허로병)으로 기침이 날 때에는 魄戶穴(백호혈)에 針(침)을 놓아 瀉(사)한다”고
했다.
⑸ 膏肓(고황), 厥陰兪(궐음수) : 氣道(기도)를 넓히고 呼吸(호흡)을 편안하게 해 주
는 경혈이다. 肺氣(폐기)가 虛(허)하면 코로 숨을
쉬기가 힘들고 숨결이 약해지는데 이때 효과가 있는 경혈이다.
⑹ 膻中(전중), 中脘(중완) : 呼吸困難(호흡곤난)에 좋으며 특히 정신적으로 숨을 쉬
기 힘들 때에 효과가 있는 경혈이다. 肺實證(폐실증)이
있으면 숨이 차서 헐떡거리며 가슴에 손을 대고 고개를 젖히고 숨을 쉬게 되는데
이때 효과가 있다.
폐출혈 (肺出血)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수).
포궁 (胞宮)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調胞宮(조포궁)
任脈 : 中極(중극,足三陰經과 交會, 膀胱의 募穴).
포의불하 (胞衣不下) ⇒ 오로불하 (惡露不下)
포진 (帶狀疱疹)
1. 參照文(참조문)
1) 대상포진 (帶狀疱疹)
2) 사단 (蛇丹)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處方 ① 肝兪(간수), 曲池(곡지).
② 大椎(대추), 夾脊(협척, 病損處上段)
③ 疱疹端向椎旁透刺(포진단향추방투자).
폭맹 (暴盲)
1. 中醫針灸學
暴盲(폭맹)은 突然的(돌연적)으로 한쪽 혹은 양쪽 눈이 失明(실명)되는 엄중한 증상이다.
西醫 : 急性中毒 或其他 感染, 비타민 B1 缺乏引起 失明
病因病機(병인병기)
1) 肝陽上亢(간양상항) : 大怒傷肝(대노상간) 혹은 肝膽火盛(간담화성)으로 肝氣上逆(간
기상역)되면 氣血(기혈)이 鬱閉(울폐)로 脈絡(맥락)이 阻塞(조
색)하여 暴盲(폭맹)이 발생된다.
2) 氣滯血瘀(기체혈어) : 肝鬱氣滯(간울기체)로 經絡(경락)이 血瘀(혈어)되어 氣血(기혈)
이 눈을 營養(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暴盲(폭맹)이 발생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肝陽上亢(간양상항)
證狀 : 視力(시력)이 急速(급속)하게 減退(감퇴)되거나 혹 突然的(돌연적)으로 失明(
실명)된다.
眩暈(현훈)이 생기고 腰膝酸(요슬산), 失眠(실면), 冷汗(냉한), 口乾(구건), 面
紅(면홍), 舌紅(설홍), 苔黃(태황), 脈弦(맥현)하다.
治則 : 平肝潛陽(평간잠양).
局部穴(국부혈), 足厥陰(족궐음), 少陰經穴(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睛明(정명), 瞳子髎(동자료), 太冲(태충), 光明(광명).
方義 : 睛明(정명), 瞳子髎(동자료) : 眼疾治療要穴(안질치료요혈), 淸肝明目作用(청간
명목작용)
太冲(태충) : 足厥陰經 原穴 → 平肝潛陽(평간잠양), 養陰明目(양음명목)
光明(광명) : 足少陰經 絡穴 ↗
만약
冷汗(냉한) : 加 心兪(심수), 腎兪(신수).
眩暈(현훈) : 加 太谿(태계), 崑崙(곤륜).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2) 氣滯血瘀(기체혈어)
證狀 : 突然的(돌연적)으로 失明(실명)하며, 頭痛(두통)이 생기고 눈이 부으며(眼腫),
마음이 불안하고, 渴症(갈증)이 나며, 옆구리가 불편한 감을 느낀다. 혀는 紫色
(자색)이며 斑点(반점)이 생기고 맥은 삽 하다(脈澁).
治則 : 理氣化瘀(리기화어), 疏肝明目(소간명목).
局部穴(국부혈)과 足厥陰(족궐음),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睛明(정명), 瞳子髎(동자료), 內關(내관), 膈兪(격수).
方義 : 睛明(정명), 瞳子髎(동자료)는 明目(명목), 疏痛經絡(소통경락)하며
內關(내관)은 理氣活血(리기활혈)하고
膈兪(격수)는 活血散瘀(활혈산어)한다.
만약
눈이 부으면(目腫) : 加 關冲(관충) - 点刺出血(점자출혈).
옆구리가 불편하면 : 加 行間(행간), 支溝(지구).
마음이 불안하면 : 加 神門(신문), 谷泉(곡천).
針法 : 毫針 瀉法
폭언 (暴言) ⇒ 광언광주 (狂言狂走)
폭음 (暴噾)
1. 參照文(참조문)
1) 실어 (失語)
2) 언어불리 (言語不利)
3) 불어 (不語)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天鼎(천정), 扶突(부돌).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靈道(령도), 通里(통리).
手太陽小腸經 : 天窗(천창).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 三陽絡(삼양락), 四瀆(사독).
足少陽膽經 : 曲鬢(곡빈).
任脈 : 天突(천돌), 承漿(승장).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廉泉(렴천).
手少陰心經 : 靈道(령도), 啞門(아문), 廉泉(렴천). - 暴噾失語(폭음실어)
표복관절통 (藨腹關節痛) ⇒ 저골관절통 (骶骨關節痛)
표저 (Panaritium) : 상한손가락
1. 參照文(참조문)
1) 手指腫痛(수지종통)
2. 現代針灸學 成樂箕
표저 : 지선부(손가락 끝)의 작은 창상(創傷 wound)에 화농균(化膿菌 staphylocous 포도
구균 등)이 침입하여 화농을 일으키는 것으로,가벼운 것은 피내에 농포(膿疱 pus-
tule)를 만들는 정도로 배농하면 곧 치유되지만, 염증이 피하조직(손톱 밑)에 확산
하면, 골(骨 bone)이나 관절까지 침범되어 중증(重症)이 된다. 증상에 따라서 피
하성, 조하성, 건주위성, 골성, 관절성, 수장봉과직염 등으로 분류된다.
治療 1) 환지(患指)와 관련된 경락(經絡)의 상부에서 하방(下方)을 향하여 자침(刺針)하
여 강자극을 준다.
2) 손가락인 경우에는 수삼리(手三里)와 합곡혈(合谷穴)에,
발가락인 경우에는 족삼리(足三里)와 양능천혈(陽陵泉穴)에 각각 50~100장 시
구(施灸)한다.
3) 환지(患指)의 말단에 가까운 굴측의 횡문(橫紋)의 양측에 반미립대의 뜸을 5장
정도 뜬다.
4) 화농이 지선부에 잇을 경우에는(初起), 조갑근부(爪甲根部)에서 2~3mm 덜어
진 좌우의 건강부에 반미립대의 듬을 3~5장 정도 뜬다.
3. 이침(耳針)
耳穴 : 指(지).
풍격처방 (風格處方) : 舍岩道人針灸要訣
風格 : 風(풍)은 肝膽(간담)이 主張(주장)한다. 肝(간)에 病(병)이 들 경우 肝(간)에서만 病
症狀(병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心(심), 腎(신), 肺(폐), 脾(비)로 傳病(전병)
을 일으키고 있다.
例 : 肝炎(간염)이 있을 경우에 糖尿病(당뇨병)을 合病(합병)시킬 경우가 있다. - 이 證狀
(증상)을 脾風格(비풍격)으로 治療(치료)하며 慢脾風(만비풍), 驚氣(경기)에도 잘 듣
는다. 이때 症狀(증상)은 肝病(간병)이 심하여 가지고 脾土(비토)를 심하게 克(극)하
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이 症狀(증상)을 치료하자면 肝勝格(간승격)과 脾正格(
비정격)을 함께 다스려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煩雜(번잡)하게 하지 않고, 肝木(간목
)의 木穴(목혈)인 大敦(대돈)과 脾土中(비토중)의
木穴(목혈)인 隱白(은백)을 瀉(사)하고 肝木(간목)이 제일 싫어하는 肺金(폐금)을
補(보)한다.
卽 肝木(간목)의 金穴(금혈) 中封(중봉)과 肺金(폐금)의 金穴(금혈)인 經渠穴(경거
혈)을 補(보)한다. 肝病(간병)이 肺(폐)로 傳病(전병)되어 肺結核(폐결핵)이나 皮膚
病(피부병), 肋膜炎(륵막염) 등을 일으킬 境遇(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肝勝格(간승
격)과 肺正格(폐정격)을 合方(합방) 해야 한다. 그러나 肺風格(폐풍격)에 있어서는
肺金中(폐금중)의 木穴(목혈)인 少商穴(소상혈)과 肝木中(간목중)의 木穴(목혈)인
大敦穴(대돈혈)을 瀉(사)하고 肺金中(폐금중)의 金穴(금혈)인 經渠穴(경거혈)과 脾
土中(비토중)의 土穴(토혈)인 太白穴(태백혈)을 補(보)한다. 그러면 肝木(간목)의
氣運(기운)이 虛弱(허약)해져서 肺(폐)로 傳病(전병)을 못한다.
補 穴 瀉 穴
肝 中封 經渠 大敦 少府
心 靈道 經渠 大敦 少冲
心包 間使 經渠 大敦 中冲
脾 商丘 經渠 大敦 隱白
肺 經渠 太白 大敦 少商
腎 復溜 經渠 大敦 湧泉
膽 竅陰 商陽 臨泣 陽谷
小腸 少澤 商陽 后溪 臨泣
三焦 關冲 商陽 中渚 臨泣
胃 廬兌 商陽 陷谷 臨泣
大腸 商陽 三里 三間 臨泣
膀胱 至陰 商陽 束骨 臨泣
풍습 (風濕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還跳(환도).
2. 이침(耳針)
1) 항풍습(抗風濕) : 下屛尖, 屛間(內分泌).
풍습성관절염 (風濕性關節炎)
1. 參照文(참조문)
1) 痹證(비증)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飛揚(비양,絡-足少陰).
풍습성심장병 (風濕性心臟病) : 루마티즘性 心臟病
1. 參照文(참조문)
1) 심장병 (心臟病)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滎).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患門穴).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郄門(극문,郄), 間使(간사,經), 內關(내관,絡-
少陽經, 八脈交會穴,通陰兪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 曲澤(곡택), 郄門(극문), 間使(간사).
足太陽膀胱經 ①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 三陰交(삼음교)-穴位注射
② 心兪(심수), 厥陰兪(궐음수).- 穴位注射(혈위주사)
手厥陰心包經 ① 曲澤(곡택), 內關(내관), 間使(간사), 少府(소부).
② 郄門(극문), 內關(내관), 曲澤(곡택).
③ 間使(간사), 內關(내관),少府(소부),郄門(극문),曲澤(곡택).
④ 內關(내관), 間使(간사), 少府(소부).
2) 期外收縮(기외수축)
手厥陰心包經 : 大陵(대능), 內關(내관), 郄門(극문), 少府(소부).
풍열 (風熱)
1.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井).
督脈 : 上星(상성).
頭頸部 : 印堂(인당).
풍요성심장병 (豊饒性心臟病) ⇒ 심혈어조 (心血瘀阻)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