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4-05 15:03
[침구임상(針灸臨床)] 풍진 (風疹) - 피부창 (皮風瘡)
 글쓴이 : admin
조회 : 12,855  
풍진 (風疹)
    1. 參照文(참조문)
        1) 두드러기, 蕁麻疹(담마진).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① 合谷(합곡, 原), 曲池(곡지). - 針灸資生經(침구자생경)
                                ② 肩髃(견우), 陽谿(양계). - 百症賦(백증부)
    3. 中醫針灸學
        風疹(풍진)은 즉 두드러기로써 흔히 나타나는 皮膚病(피부병)이다. 그 특이한 점은 피부
        에 鮮紅色(선홍색) 혹은 蒼白色(창백색)의 납작한 搔痒性(소양성) 두드러기가 나타난다.
        急性子(급성자)는 수일이 지나면 곧 回復(회복)되고 慢性者(만성자)는 反復的(반복적)으
        로 발작하며 수개월이 지나도 낫지 않는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대부분 腠理不固(주리불고)로 인하여 風邪(풍사)가 侵襲(침습)되어 筋肉皮膚(근
        육피부)가 막히므로써 혈성되거나 혹은 体質(체질)의 因素(인소)로 음식 중에 비린내나
        는 生鮮(생선), 蟹(해, 게) 등 혹은 腸道寄生虫病(장도기생충병)으로 인하여 胃腸(위장)
        에 積熱(적열)이 생긴 것이 筋肉皮膚(근육피부)에 몰리므로 풍진이 발생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피부에 돌연히 두드러기가 생긴다. 色(색)은 붉거나 희며 특히 가렵다. 발병이 급속하며
        또 속히 사라지기를 하루에 수차 반복될 수 있다. 風疹(풍진)이 咽喉(인후)에 생기면 呼
        吸困難(호흡곤란)을 일으켜 窒息(질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1) 外感風邪(외감풍사) 
            證狀 : 병이 급속히 발생되며 身熱(신열), 口渴(구갈) 혹은 咳嗽(해수), 四肢(사지) 酸
                      症(산증)을 겸하고 나타난다. 舌苔薄白(설태박백)하고 脈濡數(맥유삭)하다.
            治則 : 疏風和營(소풍화영). - 督脈(독맥), 手陽明經穴(수양명경혈) 위주
            處方 : 大椎(대추), 牽牛(견우), 陽谿(양계), 魚際(어제), 三陰交(삼음교).
            方義 - 牽牛(견우), 陽谷(양곡) : 風疹治療要穴(풍진치료요혈),
                      肩髃(견우), 陽谷(양곡) + 大椎(대추) : 疏散風熱(소산풍열).
                      魚際(어제) : 淸宣肺衛(청선폐위).
                      三陰交(삼음교) : 脾(비)를 調理(조리)하고 和營(화영)하는데 風熱(풍열)이 해
                                              제되고 營衛(영위)가 調和(조화)되면 風疹(풍진)은 사라진다(
                                              疏散).
                      만약
                      咽喉痛(인후통) : 加 少商穴(소상혈)을 放血(방혈).-淸熱解毒(청열해독)
                      身熱(신열) : 加 合谷(합곡), 風池(풍지) - 淸熱散風(청열산풍).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고 30~1時間 留針(류침)하며 每日(매일)
                      一次(일차) 甚者(심자) 每日(매일) 二次(이차) 시술한다.
        2) 胃腸積熱(위장적열)
            證狀 : 風疹(풍진)이 발생할 때 脘腹(완복)에 疼痛(동통)이 생기며 精神(정신)이 疲勞(
                      피로)하고 飮食(음식) 생각이 없으며 大便(대변)이 굳거나 혹 泄瀉(설사)한다.
                      舌苔(설태)는 黃膩(황니)하고 脈滑數(맥활삭)하다.
            治則 : 淸熱和營(청열화영). - 陽明(양명), 太陽經穴(태양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曲池(곡지), 足三里(족삼리), 血海(혈해), 列缺(열결), 大腸兪(대장수).
            方義 : 본증은 胃腸積熱(위장적열)이 疏泄(소설)되지 못하고, 皮毛腠理(피모주 리) 사
                      이에 몰리기 때문에 발생된다.
                      曲池(곡지), 足三里(족삼리).-胃腸(위장)을 調理(조리)하여 陽明積熱(양명적열)
                                                              을 淸泄(청설)하고
                      血海(혈해).- 理血和營(리혈화영)하는데 두드러기 치료하는 유효혈이다.
                      列缺(열결) : 手太陰經(수태음경) 絡穴(락혈)이며 陽明(양명)으로 갈라지는데
                                        大腸兪(대장수)와 배합하면 宣肺透表(선폐투표)하여 陽明積熱(양
                                        명적열)을 제거한다.
                      만약
                      腹痛(복통) : 加 建里(건리). - 和中化濕(화중화습) 止痛(지통)시키고
                      泄瀉(설사) : 加 天樞(천추). - 理腸止瀉(리장지사)시키며,
                      喘息(천식) : 加 尺澤(척택) 膻中(전중). - 淸肺止喘(청폐지천)시킨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慢性患者(만성환자) 2~3日 1번씩 針刺(침자)한다.
    4. 피부침 (皮膚針)
        1) 中醫針灸學
            處方 : 협척혈(夾脊穴) 제 2~5 흉추(胸椎), 제 1~4 저추(骶椎), 풍지(風池), 혈해(血
                      海) 등 혈(穴)을 위주로, 곡지(曲池) 풍문(風門) 풍부(風府) 위중(委中) 삼음교
                      (三陰交) 합곡(合谷) 등 혈(穴)과 배합한다.
피로 (疲勞損傷)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 殷門(은문), 壓痛点, 相應部位의 夾脊穴(협척혈).
      2)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翳風(예풍) : 翳風穴(예풍혈)을 꼭꼭 누르면서 문지르면 緊張感(긴장감)을 解消(해
                                  소) 하는데 도움이 된다.
            ⑵ 百會(백회) : 百會穴(백회혈)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다음 양어깨와 등줄기를 따라
                                  내려가며 가볍게 두드리고 비벼 준다.
            ⑶ 失眠(실면) : 失眠穴(실면혈)을 약간 뾰족한 것으로 강하게 누르면서 비벼주면 피
                                  로를 풀고 熟眠(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이 된다.
            ⑷ 氣海(기해) : 氣海穴(기해혈)을 손가락으로 지그시 눌러주고 문질러 주면 意慾(의
                                  욕)을 북돋고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 氣海穴(기해
                                  혈)은 生氣潑剌(생기발랄)한 에너지를 充塡(충전)시키는 經穴(경혈)
                                  이므로 氣分(기분)이 憂鬱(우울)하거나 意慾(의욕)이 없을 때 指壓(지
                                  압)해 주면 좋다.
            ⑸ 安眠(안면) : 하루 종일 피로에 시달리면 어깨 근육이 단단하게 뭉치게 된다. 이렇
                                  게 뭉친 근육을 매일 풀어 주는 것이 疲勞解消(피로해소)에 좋고 熟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방법이다. 安眠穴(안면혈)을 손가락으로 지그
                                  시 눌러주면 편안한 기분이 들고 머리도 맑아진다.
            ⑹ 太陽(태양) : 太陽穴(태양혈)을 손가락으로 지압해주면 눈의 피로와 頭痛(두통)에
                                  효과적이며 熟眠(숙면)에고 도움이 된다. 또 이 부위에 마늘을 1시간
                                  정도 붙이고 있으면 머리가 개운해 지고 피로도 풀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灸治療(구치료) : 뜸으로도 과로로 인한 피로를 풀 수 있는데 【東醫寶鑑】에는 氣海
                                    穴(기해혈)에 뜸을 뜨라고 했으며 膏肓兪(고황수), 肓門穴(황문혈),
          崔氏瀉火穴(최씨사화혈) 등에 뜸을 뜨면 효과가 있다고 했다. 至陽穴(지양혈), 膈兪穴
          (격수혈)에 15 장씩 뜸을 뜬다. 그리고 百會穴(백회혈), 肝兪穴(간수혈), 三陰交穴(삼음
          교혈)에 쌀알 크기의 뜸봉을 이용해 5 장씩 뜸을 뜬다.
      4) 附缸治療(부항치료) : 등쪽(背部)에 부항을 붙이면 氣(기)의 循還(순환)이 圓滑(원활)
                                          해지고 뭉쳤던 鬱血(울혈)을 푸는데도 효과적이다. 10~15분 정
          도 부항치료를 하면 되는데 이때 丹田穴(단전혈)에 뜸을 뜨는 것을  幷行(병행)하여 氣
          (기)를 모으기도 한다.
      5) 汗蒸治療(한증치료) : 한증치료를 매일 하거나 이틀에 한 번꼴로 해도 과로로 인한 피
                                          로를 이겨낼 수 있다. 汗蒸治療(한증치료)는 온도가 70~80℃ 정
          도 되는 乾熱汗蒸盪(건열한증탕)에서 하는데 처음에는 15분 정도만 했다가 適應(적응)
          이 되면 20분씩 하면 된다.
          汗蒸治療(한증치료)는 交感神經(교감신경)과 副交感神經(부교감신경)을 週期的(주기
          적)으로 興奮(흥분)시켜 均衡(균형)을 바로 잡아 주기 때문에 神經(신경)을 安靜(안정)
          시키는 효과가 있다.
      6) 沐浴治療(목욕치료) : 손쉽고 피로해소에 확실한 효과가 있는 치료법이다. 목욕은 交
                                          感神經(교감신경)을 활성화 시켜 피로를 풀어주고 熟眠(숙면)을
          취하는데 효과적이다. 목욕을 할 때 淸酒(청주)등을 이용해 술 목욕을 해 주면 체내 老
          廢物(노폐물)을 除祛(제거)할 수 있는데 욕조에 들어가기 전에 5분 정도 스트레칭을 해
          주면 근육의 피로를 좀 더 빠르게 풀 수 있다.목욕은 40분 정도로 조절하고 浴槽(욕조)
          에 淸酒(청주) 1.8 리터를 부은 다음 몸을 완전히 담그거나 허리 또는 가슴까지만 담근
          후 어깨 위에 뜨거운 타월을 얹어 두면 긴장된 어깨근육을 푸는데 도움이 된다. 목욕
          후 뜨거운 물로 샤워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2. 春困證(춘곤증)과 夏困證(하곤증) 解消(해소)
        1) 春困證(춘곤증) : 봄을 타서 병적일 정도로 피로를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우선
                                    배꼽을 중심으로 양손을 겹쳐놓고 5초 동안 압박한 후 때어 주기를
            10여 회 반복하면서 시계방향으로 마사지를 한다. 그리고 天柱穴과 湧泉穴(용천혈)을
            指壓(지압)한다. 天柱穴(천주혈)을 指壓(지압)해 주면 그 즉시 머릿속이 상쾌해 지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2) 夏困證(하곤증) : 반대로 여름을 타거나 더위를 타서 병적일 정도로 피로를 느끼는 경
                                    우도 있다. 이렇게 더위로 속이 울렁거릴 때는 배꼽 양쪽의 天柱穴(
            천주혈), 肓兪穴(황수혈)을 指壓(지압)해서 胃腸機能(위장기능)을 調節(조절)한다. 또
            足三里穴(족삼리혈)을 자주 지압하면 內臟(내장)의 機能(기능)이 훨씬 좋아지게 되고
            더위를 덜 타게 되며 피로를 곧 잊게 된다.
            물론 ① 더위로 胃腸機能(위장기능)이 좋지 못하면 中脘穴(중완혈)을 ② 腸(장)의 機
                  能(기능)이 좋지 못하고 小便(소변)의 色(색)과 量(량)에 이상이 생기면 關元穴(
                  관원혈)을 ③ 또 胸椎(흉추) 3~4번 사이에 있는 身柱穴(신주혈)을 자주 指壓(지
                  압)해 주면 더위를 덜 타게 되며 피로가 쉽게 풀린다.
피부건조 (皮膚乾燥) : 燥症
          1. 舍岩道人針灸要訣(사암도인침구요결)
              1) 見症 : 全身(전신)의 皮膚(피부)가 乾枯(건고)하여, 白屑(백설)을 일으키다.       
                            甚則惕熱(심칙척열), 煩渴(번갈), 大便秘結(대변비결).
                  處方 :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피부결핵 (皮膚結核)
          1. 皮膚病中醫診療學
              瘰癧性皮膚結核 : 丘墟(구허), 外關(외관), 中渚(중저), 太冲(태충), 支溝(지구).
피부과상용수혈 (皮膚科常用輸穴)
          1. 參照文
              1) 針刺法(침자법) : 總論(총론)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開竅通絡類(개규통락류) : 少商(소상), 通里(통리), 少澤(소택), 湧泉(용천), 大陵
                                                        (대능).
              2) 經外寄穴(경외기혈)
                  ⑴ 頭面部(두면부) : 四神聰(사신총),印堂(인당),魚腰(어요),太陽(태양)
                  ⑵ 背腰部(배요부) : 百勞(백로), 喘息(천식), 精宮(정궁), 腰眼(요안).
                  ⑶ 胸腹部(흉복부) : 胞門(포문), 子戶(자호), 子宮(자궁), 臍中四邊(제중사변).
                  ⑷ 上肢部(상지부) : 肘尖(주첨), 外勞宮(외노궁), 四縫(사봉), 大骨空(대골공), 拳
                                                尖(권첨), 八邪(팔사), 十宣(십선).
                  ⑸ 下肢部(하지부) : 百蟲窩(백충와), 八風(팔풍), 氣喘(기천), 呂細(여세), 女膝(
                                                여슬)
              3) 固本培元類(고본배원류) :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血海(혈해), 神門(신
                                                        문), 心兪(심수), 膈兪(격수), 脾兪(비수), 腎兪(신수),
                  太谿(태계),復溜(복류),懸鍾(현종),關元(관원),氣海(기해),神闕(신궐),命門(명문).
              4) 疏風止痒類(소풍지양류) : 列缺(열결), 太淵(태연), 合谷(합곡), 曲池(곡지), 迎香(
                                                        영향), 后谿(후계), 大杼(대저),風門(풍문),肺兪(폐수),
                                                        風池(풍지), 風市(풍시), 大椎(대추).
              5) 淸熱鎭痛類(청열진통류) : 尺澤(척택), 解谿(해계), 內庭(내정), 委中(위중), 崑崙(
                                                        곤륜), 曲澤(곡택), 中渚(중저),外關(외관),丘墟(구허),
                                                        行間(행간), 太冲(태충), 長强(장강).
              6) 行氣利濕類(행기이습류) : 太白(태백), 陰陵泉(음능천), 肝兪(간수), 內關(내관),
                                                        中極(중극).
              7) 化濁通幽類(화탁통유류) : 天樞(천추), 上巨虛(상거허), 大腸兪(대장수), 支溝(지
                                                        구), 中脘(중완).
              8) 耳穴(이혈) 
                  ⑴ 耳垂(이수) : 齶(악), 舌(설), 頜(합), 眼(안), 面頰(면협).
                  ⑵ 耳屛(이병) : 內鼻(내비), 咽喉(인후), 腎上腺(신상선), 外鼻(외비), 高血壓点(
                                          고혈압점), 飢点(기점).
                  ⑶ 對耳屛(대이병) : 枕(침), 腦点(뇌점), 額(액), 頂(정), 皮質下(피질하), 睾丸(고
                                                환), 平喘(평천).
                  ⑷ 屛間切迹(병간절적) : 內分泌(내분비), 卵巢(란소), 目1(목1), 目2(목2), 升壓
                                                      点(승압점).
                  ⑸ 屛上切迹(병상절적) : 外耳(외이), 心臟点(심장점).
                  ⑹ 耳輪切迹(이륜절적) : 腦干(뇌간), 牙痛点(아통점).
                  ⑺ 耳輪(이륜) : 外生殖器(외생식기), 尿道(뇨도),直腸下段(직장하단),耳尖(이첨),
                                    枕小神經輪(침소신경륜)1~6, 肝陽(간양)1~2, 扁桃體(편도체)1~3
                  ⑻ 外耳輪(외이륜) : 甲狀腺(갑상선), 頸椎(경추), 頸(경), 乳腺(유선), 胸部(흉부),
                                                胸椎(흉추), 腹部(복부), 腰椎(요추),腰痛点(요통점).
                  ⑼ 對耳輪上角(대이륜상각) : 膝(슬), 腰關節(요관절), 髖關節(관관절), 踝關節(과
                                                            관절), 跟(근), 趾(지).
                  ⑽ 對耳輪下脚(대이륜하각) : 臀(둔), 交感(교감), 坐骨神經(좌골신경)
                  ⑾ 耳舟(이주) : 閭尾点(여미점)1~3, 鎖骨(쇄골), 肩(견), 肩關節(견관절),肘(주),
                                          腕(완), 指(지), 蕁麻疹点(담마진점).
                  ⑿ 三角窩(삼각와) : 子宮(자궁), 神門(신문), 盆腔(분강), 喘点(천점), 降壓点(강
                                                압점).
                  ⒀ 耳甲腔(이갑강) : 心(심),肺(폐),支氣管(지기관),三焦(삼초),氣管(기관),脾(비).
                  ⒁ 耳甲艇(이갑정) : 脾(비), 肝(간), 胰(이), 膽(담), 腎(신), 腹水(복수),輸尿管(수
                                                뇨관), 膀胱(방광), 臍周(제주).
                  ⒂ 耳輪脚(이륜각) : 膈(격), 耳中(이중).
                  ⒃ 耳輪脚周圍(이륜각주위) : 賁門(분문), 胃(위), 食道(식도), 口(구),十二指腸(십
                                                            이지장), 小腸(소장), 蘭尾(란미), 大腸(대장).
피부병 (皮膚病) ⇒ 피부질환 (皮膚疾患)
피부색황 (皮膚色黃)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手五里(수오리).
          2. 針灸大成
              1) 皮膚色黃 : 腕骨穴(완골혈) - 痛玄指要賦
피부소양 (皮膚瘙痒) ⇒ 소양증 (瘙痒症),
          1. 參照文(참조문)
              1) 牛皮癬(우피선)과 瘙痒症(소양증)및 皮炎(피염, 神經性皮炎)을 참조
피부암 (皮膚癌)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寄穴 上肢部 : 肘尖(주첨).
피부염증 (皮膚炎症) ⇒ 피염 (皮炎)
피부질환 (皮膚疾患)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 合).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일체의 피부병 : 曲池(곡지).
          3. 舍岩道人針灸要訣
              1) 皮膚諸疾患 : 脾勝方(비승방)
          4. 이침(耳針)
                      耳穴 : 耳中(이중), 下屛尖(하병첨), 枕(침), 肺(폐), 屛間(병간, 內分泌).
피부창 (皮風瘡)
        1. 針灸經驗方 許任
            1) 처음부터 몹시 가려우며 좁쌀만 한 것이 팔 및 정강이 바깥쪽과 등 부위에만 많이
                생기고 가슴과 배 및 팔과 다리 안쪽에는 생기지 않으므로 피부창(皮風瘡)이라 한
                다. 가을철이 되면 더욱 가렵고 부스럼이 생기는데 통속적으로 모개창(牟疥瘡)이라                부른다. “皮風瘡(피풍창)”
                處方 : 곡지혈(曲池穴)에 200장, 신문혈(神門穴)과 합곡혈(合谷穴)에 21장 뜸을 뜬
                          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