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4-15 12:13
[침구임상(針灸臨床)] 협통 (脇痛) - 협항 (頰項)
 글쓴이 : admin
조회 : 15,840  
협통 (脇痛)
    1. 참조문(參照文)
        1) 늑간신경통 (肋間神經痛)
        2) 협늑통 (脇肋骨痛)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靑靈(청령), 神門(신문).
            手太陽小腸經 : 腕骨(완골), 陽谷(양곡).
            足太陽膀胱經 : 膽兪(담수).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 支泃(지구), 天井(천정).
            足少陽膽經 : 淵腋(연액), 日月(일월), 陽陵泉(양능천), 懸鍾(현종).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 章門(장문).
            四肢部 : 膽囊穴(담낭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 支正(지정), 神門(신문).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 陽陵泉(양능천).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脾兪(비유), 志室(지실).- 針灸資生經
            足少陽膽經 : 陽陵泉(양능천), 支泃(지구), 章門(장문), 足臨泣(족림읍).
            足厥陰肝經 ① 章門(장문), 食竇(식두), 支泃(지구), 陽陵泉(양능천).
                            ② 期門(기문), 膈兪(격수), 肝兪(간수), 中封(중봉).
        2) 魚際(어제), 委中(위중)
        3) 支溝(지구), 期門(기문),日月(일월),太冲(태충),陽陵泉(양능천),丘墟(구허),章門(장문).
        4) 脇痛不得臥(협통불득와) : 足太陽膀胱經 - 膽兪(담수), 章門(장문).- 針灸資生經
        5) 옆구리의 앞뒤 빈곳과 小腹이 땡기고 붓고 아픈데는 譩譆穴(의희혈)을 다스린다.
    4. 針灸大成
        1) 百症賦 - 脇痛日久 : 氣戶穴(기호혈), 華盖穴(화개혈).
        2) 痛玄指要賦 ① 脇部脹滿(협부창만) 全身色黃(전신색황) : 湧泉穴(용천혈)
                            ② 脇部(협부) 肋骨痛(륵골통) : 陽陵泉穴(양능천혈).
        3) 玉龍歌 - 脇痛(협통) 便秘(변비) : 支溝穴(지구혈)
        4) 雜病穴法歌 - 下肢(하지)로부터 脇痛(협통) 腋窩痛(액와통)
                                : 環跳(환도), 陽陵泉(양능천)
        5) 肘后歌 - 脇部(협부) 肋骨(륵골) 股關節痛(고관절통) : 后谿穴(후계혈)
        6) 手少陰心經 : 靑靈(청령).
        7) 西江月 
            ① 옆구리 갈비뼈 아래가 아프며(脇痛), 허리를 움직일 수 없을 때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支溝(지구), 章門(장문), 陽陵泉穴(양능천혈).
            ② 양 옆구리가 그득하게 붓고(兩脇腫脹), 콕콕 찌르듯이 아플 때(氣痛如刺).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絶骨(절골, 懸鍾), 章門(장문), 陽陵泉穴(양능천혈)을 針刺한다.
            ③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脇下疼痛), 心臟과 胃腸(胃脘部)이 찌르는 뜻한 자통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針 - 氣海(기해), 行間(행간), 陽陵泉穴(양능천혈)을 치료한다.
            ④ 臟腑(장부)가 虛冷(허냉)하고, 양 옆구리 肋骨下痛(늑골하통).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 - 支溝(지구), 通里(통리), 章門(장문), 陽陵泉穴(양능천혈).
            ⑤ 脇下(협하)에 肝積(간적)이 있고, 氣(기)가 있어서 刺痛(자통)이 있을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章門(장문), 支溝(지구), 中脘(중완), 大陵(대능),陽陵泉穴(양능천혈).
    5. 中醫針灸
        脇痛은 한쪽 혹은 양측의 옆구리 동통을 주요증상으로 하는 병인데 임상에서 흔히 나타
        나는 증상의 하나이다. 옆구리는 肝脈(간맥)이 순행하는 도로이며 간(肝)과 膽(담)은 상
        호 表里(표리)이기 때문에 脇痛(협통)은 肝膽(간담)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서의의 肋間神經痛(늑간신경통) 및 肝臟(간장), 膽囊(담낭), 胸脈(흉맥)등의 急慢性疾患(
        급만성질환)에서 나타나는 脇痛(협통)은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肝(간)은 협부위에 위치되였고 그 맥은 兩脇(양협)에 분포되였으며 膽(담)은 肝(간)에 붙
        어 있고 그 脈(맥)은 脇(협)을 지나간다. 만약 情志不遂(정지불수)로 肝氣鬱結(간기울결)
        되면 肝失條達(간실조달)하여 經脈受阻(경맥수조)되거나 혹은 酒食(주식)에 상하면 積
        濕生熱(적습생열)하여 肝膽(간담)에 이동되거나 혹은 外感濕熱(외감습열)로 少陽(소양)
        이 막히어 不利(불리)하거나 혹은 외상으로 옆구리의 맥락이 손상되어 氣血不暢(기혈불
        창)하면 모두 肝膽(간담)의 疏泄功能(소설공능)이 실상되어 經脈(경맥)의 氣(기)가 阻滯(
        조체)되어 血運不暢(혈운불창)으로 협통이 발생한다. 만약 병이 오래도록 완쾌되지 않으
        면 精血虧損(정혈휴손)으로 肝絡失養(간락실양)하거나 혹은 濕熱久羈(습열구기)하여 鬱
        火傷陰(울화상음), 脈絡失濡(맥락실유)하여 협통이 발생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肝蔚脇痛(간울협통) - 肝氣鬱結(간기울결)
            症狀 : 脹痛(창통)을 위주로 痛處(통처)가 善行數變(선행수변)하고, 情緖變化(정서변
                      화)로 통증이 발작하며 겸하여 胸悶(흉민), 易怒(이노), 消化不良(소화불량),
                      食欲不振(식욕부진), 噯氣呑酸(애기탄산), 舌苔薄白(설태박백) 脈弦(맥현).
            原則 : 疏肝理氣(소간리기), 解鬱止痛(해울지통).
                      足厥陰(족궐음)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취하고 任脈(임맥), 背兪穴(배수
                      혈)과 배합한다.
            處方 : 肝兪(간수), 期門(기문), 俠谿(협계), 中庭(중정).
            方義 : 肝(간)의 募穴(모혈)인 期門穴(기문혈)과 肝兪(간수)와 배합하면 兪募配穴法(
                      수모배혈법)으로 疏肝理氣(소간리기)하고 解鬱止痛(해울지통)의 공능을 얻는
                      다.
                      俠谿(협계)는 膽(담)의 滎穴(형혈)이며 中庭(중정)과 배합하면 少陽(소양)의 鬱
                      火(울화)를 解除(해제)하여 止痛(지통)한다.
                      만약
                      呑酸(탄산) : 加 胃兪(위수). - 健脾(건비), 消積(소적), 止酸(지산)하고           
                      少眠(소면), 不寐(불매) : 加 神門(신문). - 寧心安神(녕심안신)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背兪穴(배수혈)은 방향과 심도를 조심
                      하여 臟器(장기)의 손상을 피면하도록 주의한다.
        2) 濕熱脇痛(습열협통) - 濕熱痰濁(습열담탁)
            症狀 : 우측 脇下(협하)가 아픈데 마치 찌르는 듯 따가우며 급성으로 발작하고 惡寒(
                      오한), 發熱(발열), 口苦(구고), 心煩(심번), 惡心嘔吐(오심구토), 厭食油膩(염
                      식유니) 혹은 눈(目)과 皮膚(피부)가 黃色(황색)이고 小便短黃(소변단황), 舌苔
                      黃膩(설태황니)하며 脈弦數(맥현삭)하다.
            原則 : 淸熱化濕(청열화습), 疏肝利膽(소간이담).
                      - 足厥陰(족궐음), 手足少陽經穴(수족소양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期門(기문), 日月(일월), 支溝(지구), 陽陵泉(양능천), 太冲(태충).
            方義 : 期門(기문), 日月(일월)은 肝膽(간담)의 經氣(경기)를 疏泄(소설)하고, 氣血(기
                      혈)을 暢通(창통)시키며, 理氣止痛(리기지통)한다.
                      支溝(지구), 陽陵泉(양능천), 太冲(태충)을 瀉(사)하면 和解少陽(화해소양)으로
                      淸熱化濕(청열화습)하는데 脇痛(협통)치료에 경상적으로 사용하는 혈이다.
                      만약
                      熱甚(열심) : 加 大椎(대추).- 淸熱(청열)시키고.     
                      心煩(심번) : 加 郄門(극문).- 寧心安神(녕심안신)시키고
                      惡心(오심), 腹脹(복창) : 加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健胃止嘔(건위지구)
                                                                                                        시키며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胸部(흉부)의 穴(혈)은 斜刺(사자)해야
                      한다.
        3) 瘀血脇痛(어혈협통) - 瘀血停着(어혈정착)
            症狀 : 痛處(통처)가 固定(고정)되며 持續(지속)되고 혹 慢性脇痛(만성협통)이나 外傷
                      史(외상사)가 있으며 脹痛拒按(창통거안)하거나 혹은 脇下(협하)에 塊(괴, 덩
                      어리)가 있고, 舌質紫暗(설질자암)하고 혹은 간혹 瘀点瘀斑(어점어반)이 있으
                      며 脈弦(맥현) 혹은 沉澁(침삽)하다
            原則 : 活血通絡(활혈통락), 行氣止痛(행기지통).- 足厥陰(족궐음), 少陽經穴(소양경혈
                      )을 위주로 취하며 足太陰(족태음), 背兪穴(배수혈)과 배합한다.
            處方 : 行間(행간), 大包(대포), 京門(경문), 膈兪(격수), 三陰交(삼음교).
            方義 : 1) 膈兪(격수)는 血會(혈회)이며 三陰交(삼음교)와 배합하면 活血消瘀(활혈소
                                            어)하고. 
                      2) 大包(대포)는 脾(비)의 大絡(대락)이며 京門(경문)과 배합하면 通絡止痛(통
                                            락지통)한다.
                      3) 行間(행간)은 疏肝行氣(소간행기)하는데 氣行則血行(기행칙혈행)하고 血行
                                            則通絡(혈행칙통락)하므로 止痛(지통)한다.
                      만약
                      外傷脇痛(외상협통)은 局部(국부)에 結合(결합)하여 取穴(취혈)한다.
            治法 : 毫針瀉法(호침사법)을 사용한다.
        4) 陰虛脇痛(음허협통) - 陰虛火旺(음허화왕)
            症狀 : 脇痛(협통)이 隱隱(은은)하고, 疼痛(동통)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피로하거나
                      体位(체위)가 변동되면 통증은 중해지며 面色(면색)은 少華(소화)이고 뺨은 붉
                      으며 低熱(저열), 自汗(자한)이 나며, 頭暈目眩(두운목현),舌紅少苔(설홍소태),
                      맥은 현세하며 數(삭)하다.
            原則 : 滋陰養血(자음양혈), 和絡定痛(화락정통). - 足太陰(족태음), 陽明(양명), 手少
                      陰經(수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血海(혈해), 三陰交(삼음교), 陰極(음극), 心兪(심수).
            方義 : 陰極(음극) + 心兪(심구)는 斂汗養陰(렴한양음)하고. 
                      血海(혈해) + 三陰交(삼음교)는 : 補陰養血(보음양혈) 陰血充沛(음혈충패), 絡
                                                          脈濡養(락맥유양)되여 脇痛(협통)이 解除(해제)된다.
            治法 : 毫針補法(호침보법)을 사용하거나 혹은 平補平瀉(평보평사)를 사용한다.
    6. 舍岩五行鍼解說
        1) 右脇痛(우협통) : 右側(우측) 엽구리가 아픈 症狀(증상)
                          處方 : 肺病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 柳泰佑 - 脇肋속에는 肝이 있기 때문에 肝實이 많은 것이 事實이다.
                                                따라서 肝勝格(간승격)이나 肺正格(폐정격)을 놓으면 된다.
        2) 左脇痛(좌협통) : 左側(좌측) 엽구리가 아픈 症狀(증상)
                          處方 : 肝病 -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 中封(중봉) 經渠(경거) 瀉.
                                § 柳泰佑 - 만약 肝正格(간정격)을 써서 낫지 않고 惡化(악화)되면 遲滯
                                    (지체)하지 말고 肝勝格(간승격)이나 肺正格(폐정격)을 놓아야 한다.
        3) 蔽骨痛(폐골통) : 心下牽(심하견) - 명치가 당기고 아픈 症狀(증상)
                          處方 : 心病 -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
                                  § 柳泰佑 - 積痛(적통)이 있으면 心正格(심정격)을 積痛(적통)이 없으
                                                  면 心勝格(심승격)을 쓴다.
        4) 左右挽痛(좌우만통) : 脾臟(비장)이 左右(좌우)로 당기고 아프며 消化不良(소화불량)
                                          이 되는 것
                                處方 : 脾病 -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 柳泰佑 - 만약 膵腸(췌장)의 痛症(통증)이라면 胃正方(위정방)이
                                          나 脾勝方(비승방)을 놓아야 겠고 十二指腸(십이지장) 附近(부
                                          근)의 痛症(통증)이라면 大腸勝格(대장승격)이 좋으나 脾正方(
                                          비정방)도 可(가)하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脇(협)은 挾(협)의 義(의)니 兩臂(양비)의 所挾(소협)을 指稱(지칭)한 것으로서
                    身軀(신구)의 兩側(양측) 즉 腋下(액하)로부터 肋骨盡處(늑골진처)가 모두 그것
        인데 肝(간)은 갈빗대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脇痛(협통)은 흔히 肝(간)에 속하였다.
        大凡(대범) 七情(칠정), 六鬱(육울)의 犯(범)과 飮食(음식) 勞動(노동)의 傷(상)이 痰凝氣
        聚(담응기취)와 血蓄成積(혈축성적)을 招致(초치)해 가지고 經筋(경근)의 行程(행정)을
        따라 邪(사)를 挾(협)하여 痛(통)이 되는 것인데 左(좌)에 在(재)하면 肝火(간화)와 다못
        氣(기)이나 혹은 瘀血(어혈)도 있으며 右(우)에 在(재)하면 脾火(비화)이나 痰(담)과 다못
        食(식)도 있다.
        그런데 舍岩(사암)은「脇痛者(협통자) 心肺三焦之位也(심폐삼초지위야)라하고」「目慌
        慌而不見(목황황이불견), 肝弱逢金(간약봉금), 耳矇矇而不聞(이몽몽이불문), 肺傷遇火(
        폐상우화), 心由牽吸塞(심유견흡색), 寒冷蔽於心竅(한냉폐어심규), 脾土鬱而呼絶(비토울
        이호절), 濕熱觸於胃口(습열촉어위구)」라하여 上(상)의 四法(사법)을 立(입)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右脇痛(우협통)은 혹 痰涎證(담연증)과 같으나 그러나 만일 痰痛(담통)이라면 右脇(우협
        )이 다만 痛惡(통악)할 뿐이요 心下牽(심하견)은 때로 당기고 아프다는 것을 많이 경험
        한 것이다.
        1) 한 男子(남자)가 年三十(연삼십)에 恒常(항상) 心痛(심통)을 患(환)하고 몹시 瘦瘠(수
            척)한지라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보), 魚際(어제) 瀉(사)하기 二度(이도)에 見効(
            견효)하였다. 前(전)부터 心下牽引(심하견인)이 아래로 橫骨(횡골)까지 뻗어서 正立(
            정입)하지 못하든 터이다.
    6. 피부침 (皮膚針) : 침 바늘이 5개인 매화침(梅花針) 7개인 칠성침(七星針) 18개인 라한침
                                  (羅漢針) 등 세 종류가 있다. 사용방법에 관하여는 필자의 침구사전(針
                                  灸辭典)을 참고 하시오!
        1) 中醫針灸
            處方 : 옆구리 통증은 흉통(胸痛) 때처럼 제 1~12흉추(胸椎)의 양측을 취하는데 격수
                      (膈兪) 간수(肝兪) 혈(穴)을 중점적으로 자극(刺戟)하고 또 동통부위(疼痛部位)
                      및 륵골(肋骨)의 내측부터 외측으로 륵간극(肋間隙)을 두드리는 외에 지구(支
                      泃) 태충(太冲) 등 혈(穴)과 배합(配合)하여 두드린다.
협통창만 (脇痛脹滿)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日月(일월).
협항 (頰項)
        뺨과 목덜미 - 목덜미는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과 足少陽膽經(족소양담경,- 膵經(췌경)
                            에 屬한다.
        무릇 아픈 것은 實證(실증)이고 가려운 것은 虛證(허증)이다.
    1. 針灸經驗方 許任
        1) 이빨과 뺨이 아픈 症狀
            處方 : 合谷(합곡), 足三里(족삼리) 神門(신문), 列缺穴(열결혈)에 針(침)을 놓는다. 龍
                      玄穴(용현혈)에 灸三壯(구삼장)을 뜨는데 손목 옆쪽에 엇갈리는 血管(혈관)에
                      있다. 呂細穴(여세혈)에 灸(구) 14장을 뜨는데 內踝尖(내과첨,medial malleolus
                      )에 있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