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4-02-17 12:23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루낭염 (泪囊炎), 루정 (漏睛) .
|
|
글쓴이 :
admin
 조회 : 13,073
|
루낭염 (泪囊炎)
1. 參考文
1) 루정창(漏睛瘡) 參照
2. 김명욱임상경험집방
症狀 : 慢性泪囊炎(만성루낭염) - 迎風流淚(영풍유루), 눈시울이 헤어지는 症
止泪補肝湯(지루보간탕)
≒ 當歸(당귀), 芍葯(작약), 川芎(천궁), 熟地(숙지) 各15, 木賊(목적),
白蒺藜(백질려), 夏枯草(하고초), 防風(방풍) 各10.
症狀 : 急慢性泪囊炎(급만성루낭염)-迎風流淚(영풍유루),눈시울이 헤어지는 症
祛風止泪散(거풍지루산)
≒ 白蒺藜(백질려), 當歸(당귀), 熟地(숙지), 香附子(향부자,童便炒)
各100, 川芎(천궁), 白芍(백작), 防風(방풍), 木賊(목적),羌活(강활)
各50, 生姜(생강)5片, 大棗(대조)2枚.
가감
身体實者(신체실자) : 加 夏枯草(하고초)50,
身體消瘦者(신체소수자) : 加 桂枝(계지)50.
硏末(거칠게 갈아서) 每次 30g 水煎服(수전복)
症狀 : 冷流泪綿綿(냉류루면면)
菊花丸(국화환)
≒ 炒菊花(초국화)200, 巴戟(파극)(去心)150, 枸杞子(구기자)150, 肉蓗蓉(
육종용, 酒洗去皮)100.
硏末(연말)하여 丸劑(환제)로 만들어서 溫酒(온주) 혹은 鹽水送下(염수
송하) 한다.
루정 (漏睛)
루정창(漏睛瘡)
1. 參照
1) 루낭염(泪囊炎) 參照
2. 중의안과학(中醫眼科學)
漏睛(루정) 과 漏睛瘡(루정창)은 모두 눈물구멍에 열사가 침입하여(邪熱侵入泪竅) 일어
난 병변으로써(引起的病變), 다만 발병이 완급 할 뿐이다(但發病緩急).
1) 漏睛(루정)
본병은 항상 눈가(眦)에 큰 점액(涎水)이 있거나 혹은 고름 액(膿汁)이 눈물 구멍 밖
으로 흘러나오는(自泪竅外漏) 임상 특징이 있는 눈병(爲臨床特徵的眼病) 임으로 루
정이라고 명한다(故名漏睛).
病因病機(병인병기)
⑴ 風熱外侵(풍열외침),停留泪竅(정류루규),積伏日久(적복일구),潰而成膿(궤이성농)
⑵ 心有伏火(심유복화), 脾蘊濕熱(비온습열), 循經上攻內眦(순경상공내자), 積聚成膿
(적취성농), 浸漬泪竅(침지루규).
辨證論治(변증론치)
⑴ 內治(내치)
① 風熱停留(풍열정류)
證狀 : 눈 깃이 포개지는 눈초리(大眦頭皮)의 색은 늘 같은 색이고 혹 정명혈(睛
明穴) 아래쪽(下方)에 융기가 뾰족하게 일어낫는데(稍顯隆起) 손으로 만
져도 아프지 않으며(按之不通), 끈끈하고 탁한 눈물이 보이고(見有泪液
粘濁) 절로 눈물구멍으로 넘쳐 나와(自泪竅溢出) 은근히 껄끄럽고 불편
함을 느끼는데(自覺隱澁不舒) 때로는 눈물이 나오거나(時而泪出) 혹은
동자에 끈끈한 점액을 인식한다(覺涎水粘睛).
分析 : 장부진액(臟腑津液)이 위로 눈에 흐르는 것이 눈물이다(上注于目而爲泪)
풍열의 사기가(今風熱之邪) 눈초리에 숨어들어(伏于大眦) 눈물을 뜨겁게
살라(泪液受灼) 점차 탁하고 빽빽하게 변해서(漸變稠濁) 오래 쌓이면 도
랑이(積久則溝) 되는 고로 절로 눈물구멍으로 쉬지 않고 끝임 없이 흘러
나오거나(故自泪竅不斷溢出) 혹은 압박을 주면 나온다(或壓之而出). 그
와 같이 조색현상(有阻塞現象)이 있다가 도랑이 터져 눈물 구멍으로 배출
됨으로 불시에 눈물이 떨어진다(不時泪下).
治法 : 疏風淸熱(소풍청열)
方葯 : 白薇丸(백미환) 加 蒲公英(포공영)
≒ 白薇(백미), 熟乾地黃(숙건지황), 川椒(천초, 炒出汗), 白龍骨(백
용골), 車前子(차전자), 炒當歸(초당귀), 川芎(천궁), 蛇床子(사상
자), 細辛(세신), 炮乾姜(포건강), 藁本(고본), 卷柏(권백),白芷(백
지), 覆盆子(복분자), 麩炒桃仁(부초도인),人參(인삼),桂心(계심),
菖蒲(창포), 茯苓(복령), 麥冬(맥동, 去心), 遠志肉(원지육).
方解
防風(방풍), 羌活(강활), 白蒺藜(백질려) : 祛散風邪(거산풍사)
白薇(백미), 蒲公英(포공영) : 淸除熱邪(청제열사)
石榴皮(석류피) : 收斂止泪(수렴지루)
加味
눈초리 부위와 같이(如眦部) 뾰족하게 융기되어 있고((稍有隆起) 압박
을 주어도 아프지 않으며(壓之不痛) 두혼안화(頭昏眼花)하며, 요슬산연
(腰膝痠軟)하는 간신부족의 증상을 위주로 한다(爲肝腎不足症)
可加 菊花(국화), 枸杞子(구기자), 補骨脂(보골지) 等.
② 心脾濕熱(심비습열)
證狀 : 大眦頭(대자두) 微紅潮濕(미홍조습), 膿液浸漬(농액침궤) 拭之又生(식지
우생), 小便黃赤(소변황적), 舌苔黃膩(설태황니).
分析 : 大眦屬心(대자속심), 胞瞼屬脾(포검속비), 今心有伏火(금심유복화), 脾
有濕熱(비유습열),循經上攻瞼眦(순경상공검자)故大眦微紅(고대자미홍),
潮濕(조습) 膿液浸漬不已(농액침궤불이); 心移熱于小腸(심이열우소장)
故溲赤(고수적)脾胃蘊積(비위온적)濕熱(습열),故舌苔黃膩(고설태황니).
治法 : 淸心利濕(청심이습)
方葯 : 竹葉瀉經湯(죽엽사경탕) 加减.
≒ 죽엽(竹葉), 치자(梔子), 황금(黃芩), 황연(黃連), 대황(大黃),
차전자(車前子), 복령(茯苓), 택사(澤瀉), 초결명(草決明), 적
작(赤芍), 강활(羌活), 승마(升麻), 시호(柴胡), 감초(甘草).
方解
죽엽(竹葉), 황연(黃連) : 청심화(淸心火)
대황(大黃) 치자(梔子) 황금(黃芩) 승마(升麻) :청비사열(淸脾瀉熱)
택사(澤瀉), 차전자(車前子), 助 죽엽(竹葉) : 청열이습(淸熱利濕).
복령(茯苓), 감초(甘草), 配 승마(升麻) : 리비삼습(理脾滲濕)
用 시호(柴胡), 결명자(決明子) : 가강(加强) 청화지력(淸火之力)
강활(羌活) : 能除 방광경(膀胱經)의 풍습(風濕)을 잘 제거한다.
적작(赤芍) : 거어체(祛瘀滯)
加减
농액이 걸쭉하고 끈끈하면(稠粘)
去 강활(羌活), 加 천화분(天花粉), 루로(漏蘆), 유향(乳香), 몰약(沒葯).
-가강(加强) 청열배농(淸熱排膿) 거어소체(祛瘀消滯) 作用
⑵ 外治(외치)
① 八寶眼葯(팔보안약) 点眼(점안), 하루 3번(一日 三次).
② 泪道冲洗(루도충세) : 黃連水(황연수) 冲洗泪道(충세루도) 매일 1번
淸熱排膿(청열배농) : 亦可用(역가용) 西葯(서약) 抗生素類(항생소류) 冲洗(충
세)
③ 手術療法(수술료법) : 오래 낫지 않으면(漏睛久不愈) 수술을 고려해 볼수 있다
(可考慮手術).
2) 漏睛瘡(루정창)
漏睛瘡是(루정창시), 大眦附近(대자부근) 睛明穴下方(정명혈하방), 突發赤腫高起(돌
발적종고기) 繼之(계지) 潰破出膿的病症(궤파출농적병증).
西醫學的(서의학적) 急性泪囊炎(급성루낭염).
病因病機(병인병기)
⑴ 心經蘊熱(심경온열), 或素有漏睛(혹소유루정), 復感風邪(복감풍사), 風熱相搏(풍
열상박), 發爲本病(발위본병).
⑵ 素食辛辣炙煿(소식신랄자박), 心脾熱毒壅盛(심비열독옹성) 上攻泪竅(상공루규),
氣血瘀滯(기혈어체), 結聚成瘡(결취성창).
辨證論治(변증론치)
⑴ 內治
① 風熱上攻(풍열상공)
證狀 : 환부(患部) 홍종동통(紅腫疼痛), 두통루다(頭痛泪多), 오한발열(惡寒發
熱), 설태박황(舌苔薄黃), 맥부삭(脈浮數).
分析 : 풍열상박(風熱相搏) 객우루규(客于泪竅) 락맥실화(絡脈失和) 고대자홍
종동통루다(故大眦紅腫疼痛泪多). 풍열습표(風熱襲表) 고유두통(故有
頭痛) 오한발열(惡寒發熱), 맥부삭(脈浮數) 등 전신증상(全身症狀).
治法 : 疏風淸熱(소풍청열)
方葯 : 驅風散熱飮子(구풍산열음자) 加减.
≒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강활(羌活), 박하(薄荷), 대황
(大黃), 적작(赤芍), 방풍(防風),당귀미(當歸尾),감초(甘草),
산치인(山梔仁), 천궁(川芎).
方解
연교(連翹), 대황(大黃), 산치(山梔) : 청심사열(淸心瀉熱)
강황(姜黃), 박하(薄荷),방풍(防風),우방자(牛蒡子) : 소풍산사(疏風散邪)
당귀(當歸), 적작(赤芍), 천궁(川芎) : 활혈통락(活血通絡), 소체지통(消
滯止痛)
감초(甘草) : 조화제약(調和諸葯)
加减
대변통창자(大便通暢者) : 可去 대황(大黃), 加 황연(黃連)
② 熱毒熾盛(열독치성)
證狀 : 환처(患處)가 빨갛게 높이 부어오르고(紅腫高起) 단단하고 몹시 아파서
손을 못 대게 한다(堅硬痛甚而拒按). 빨갛게 붙거나(紅腫) 혹은 뺨에(面
頰) 및 눈꺼풀에 만연괴고(蔓延至面頰及胞瞼), 신열과 구갈(身熱口渴)이
나고 대변이 조결(大便燥結)하며, 설질홍(舌質紅) 태황조(苔黃燥)하고
맥은 홍삭(脈洪數)하다.
分析 : 눈 깃이 포개지는 눈초리는 심에 속하고(大眦屬心), 눈자위와 뺨은 양명
에 속하는(眼眶面頰屬陽明) 지라 현제 심비의 열독이 상공(今心脾熱毒
上攻)하는 고로 해당 부위가 빨갛게 붙고 불을 사르듯이 아픈 것이다(故
該處紅腫焮痛). 열독이 쌓이면(熱毒蘊結) 기와 혈이 어체(氣滯血瘀)되는
고로 단단하고 아파서 손을 못대게 하는 것이다(故痛硬拒按). 비위에 열
이 가득하니(脾胃熱盛) 구갈이 나고 변이 뭉치는 것이다(則口渴便結).
신열(身熱), 설홍(舌紅), 태황조(苔黃燥)하며 맥이 홍삭(脈洪數)한 등은
역시 일맥(亦皆一派) 실화의 증후(實火證候) 이다.
治法 : 淸熱解毒(청열해독), 消瘀散結(소어산결).
方葯 : 黃連解毒湯(황연해독탕) 加减.
≒ 황련(黃連), 황금(黃芩), 황백(黃柏), 산치자(山梔子).
方解
황연(黃連), 황금(黃芩), 황백(黃柏), 산치(山梔) : 苦寒淸熱(고한한 약제
로 청열 한다.)
加味
加 銀花(은화), 蒲公英(포공영) : 淸熱解毒(청열해독)
大黃(대황) : 通腑瀉熱(통부사열)
穿山甲(천산갑), 皂角刺(조각자) : 通絡祛瘀(통락거어), 消腫止痛(소
종지통), 淸熱解毒(청열해독)을 增强(증강)시키고 瘡腫(창종)을 줄이
는 작용을 한다.
③ 正虛邪留(정허사류)
證狀 : 患處(환처) 時發微紅微腫(시발미홍미종) 幷微有壓痛(병미유압통) 但不
潰破(단불궤파); 或潰后漏口難斂(혹궤후루구난렴) 濃汁稀少而不絶(농즙
희소이불절), 面色晄白(면색황백), 神疲食少(신피식소), 舌淡苔薄(설담
태박), 脈弱无力(맥약무력).
分析 : 患者(환자) 面色晄白(면색황백) 神疲食少(신피식소) 舌淡苔薄(설담태박)
爲氣血不足之象(위기혈부족지상). 患處時發紅腫(환처시발홍종) 症狀輕
微(증상경미) 或漏口難收(혹루구난수) 膿汁常流(농즙상류) 爲氣血不足
(위기혈부족) 正不勝邪(정불승사) 邪氣留戀所致(사기류연소치).
治法 : 托里排毒(탁리배독)
方葯 : 千金托里散(천금탁리산) 加减.
≒ 당삼(黨參), 황기(黃芪), 백작(白芍), 감초(甘草), 용담초(龍
膽草), 복령(茯苓), 은화(銀花), 연교(連翹), 황금(黃芩), 백지
(白芷), 옥길경(玉桔梗), 방풍(防風), 맥동(麥冬), 당귀(當歸),
천궁궁(川芎窮). 죽엽(竹葉), 진미(陳米).
方解
黨參(당삼), 黃芪(황기), 茯苓(복령), 甘草(감초), 當歸(당귀),芍葯(작약),
川芎(천궁) : 補氣養血(보기양혈)
銀花(은화), 防風(방풍) : 祛風熱(거풍열).
桔梗(길경),白芷(백지), 配 當歸(당귀),川芎(천궁) : 活血排膿(활혈배농).
麥冬(맥동) : 養陰(양음)
⑵ 外治(외치)
① 未成膿者(미성농자)
如促其消散(여촉기소산) : 可用(가용) 紫金錠(자금정) 外涂(외도)
或用(혹용) 新鮮(신선) 芙蓉葉(부용엽), 野菊花(야국화), 洗凈搗爛(세정도란)
外敷(외부). 亦可用(역가용) 熱敷(열부)
② 已成膿者(이성농자)
應切開排膿(응절개배농) 幷置放引流條(병직방인류조) 每日換葯(매일환약).
待无膿時(대무농시) 除去引流條(제거인류조) 使切口愈合(사절구유합). 切忌擠
壓(절기제압) 避免
膿毒擴散(피면농독확산).
③ 已形成漏管者(이형성루관자) : 可考慮(가고려) 手術治療(수술치료).
3. 임상 (臨床)
1) 풍열복유(風熱伏留) 루정(漏睛).- 대자두피(大眦頭皮) 색여상(色如常), 혹견(或見) 정
명혈하(睛明穴下) 방초현융기(方稍顯隆起) 안지불통(按之不通), 유(有) 점탁루액(粘
濁泪液) 자루(自泪) 규일출(竅溢出) 은삽불서(隱澁不舒) 시이루출(時而泪出), 혹 각
연수점정(覺涎水粘睛).
방 : 백미환(白薇丸)《竄視瑤函》치목제(治目劑)
≒ 백미(白薇), 석류피(石榴皮), 방풍(防風),백질려(白疾藜),천강활(川羌活).
세말(細末) 미분호(米粉糊) 위환(爲丸)
2) 비습열(脾濕熱) 루정(漏睛).- 대자두(大眦頭) 미홍조습(微紅潮濕), 농액침독(膿液浸
瀆) 식지우생(拭之又生) 소변황적(小便黃赤) 설태황니(舌苔黃膩).
치 : 청심이습(淸心利濕)
방 : 죽엽사경탕(竹葉瀉經湯)《原機啓微》치목제(治目劑)
≒ 죽엽(竹葉), 치자(梔子), 황금(黃芩), 황연(黃連), 대황(大黃), 차전자
(車前子), 복령(茯苓), 택사(澤瀉), 초결명(草決明), 적작(赤芍), 강활
(羌活), 승마(升麻), 시호(柴胡), 감초(甘草).
- 십사미약조성(十四味葯組成)
3) 루정창(漏睛瘡).- 풍열상공(風熱上攻) 대자부근(大眦附近) 혹 정명혈하방(睛明穴下
方) 홍종동통(紅腫疼痛) 두통루다(頭痛泪多) 오한발열(惡寒發熱)
설태박황(舌苔薄黃) 맥부삭(脈浮數).
치 : 소풍청열(疏風淸熱)
방 : 구풍산열음자(驅風散熱飮子)《竄視瑤函》치목제(治目劑)
≒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강활(羌活), 박하(薄荷), 대황(大黃),
적작(赤芍), 방풍(防風), 당귀미(當歸尾), 감초(甘草), 산치인(山梔
仁), 천궁(川芎).
4) 루정창(漏睛瘡).- 여독미정(余毒未凈) 정기이허(正氣已虛) 환처(患處) 시발(時發), 미
홍미종(微紅微腫)병유압통(幷有壓痛) 단불궤파(但不潰破), 혹 궤후
루구난렴(潰后漏口難斂) 농즙희소(濃汁稀少) 이불절(而不絶) 면백(
面白) 신피식소(神疲食少) 설태박백(舌苔薄白)맥약무력(脈弱无力).
치 : 탁리배독(托里排毒)
방 : 천금탁리산(千金托里散)《眼科集成》치목제(治目劑)
≒ 당삼(黨參), 황기(黃芪), 백작(白芍), 감초(甘草), 용담초(龍膽草), 복
령(茯苓), 은화(銀花), 연교(連翹), 황금(黃芩), 백지(白芷), 옥길경(玉
桔梗), 방풍(防風), 맥동(麥冬), 당귀(當歸), 천궁궁(川芎窮). 죽엽(竹
葉), 진미(陳米).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