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4-10-10 11:24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복창 (腹脹), 복창복통 (腹脹腹痛)
 글쓴이 : admin
조회 : 12,620  
복창 (腹脹)
    1. 參照文
        1) 복통 (腹痛)
        2) 한산 (寒疝)
        3) 탐방 (探方)
    2. 常用葯(상용약)
        1) 腹滿脹痛(복만창통), 最適治療葯(최적치료약) : ☆ 厚朴(후박)
    3. 配伍葯(배오약)
        1) 蒼朮(창출)10 + 白朮(백출)15 = 濕氣下注(습기하주),  水走腸間(수주장간), 證見(증
                                                          견)- 腹脹(복창), 腸鳴(장명), 泄瀉(설사) 等
        2) 香附(향부)10 + 紫疏梗(자소경)10 = 腹脹(복창) 脘腹脹滿不舒(완복창만불서) - 氣血
                                                                不足(기혈부족)
        3) 香附(향부)15 + 烏葯(오약)10 = 午后腹脹(오후복창)
        4) 萊菔子(래복자)10 + 萊菔纓(래복영)15 = 腹脹(복창)- 脾胃不和(비위불화), 消化不良
                                                                    (소화불량), 噯氣食臭(애기식취), 腹痛(복통)
 
        5) 橘皮(귤피)10 + 枳實(지실)10 = 脘腹脹滿(완복창만), 疼痛(동통) - 脾胃不健(비위불
                                                          건), 消化不良(소화불량), 氣機失調(기기실조)
        6) 橘皮(귤피)10 + 沈香(침향)10 = 脘腹脹滿(완복창만), 疼痛(동통) - 消化不良(소화불
                                                          량)
        7) 砂仁(사인)6 + 白豆蔲(백두구)10 = 脘腹脹痛(완복창통) - 脾胃虛寒(비위허한), 運化
                                            失職(운화실직), 濕濁內蘊(습탁내온), 氣機不得宣暢(기기불득
                                            선창), 以致 納呆食少(이치 납매식소), 胸悶不舒(흉민불서), 反
                                            胃嘔逆(반위구역)
        8) 瓜蔞(과루)25 + 枳實(지실)10 = 胃脘(위완, 心下), 痞滿脹痛(비만창통)- 食欲不振(식
                                                          욕부진), 大便不利 便秘(대변불리 변비)
        9) 木香(목향)(后下)10 + 檳榔(빈랑)12 = 脘腹脹滿(완복창만) - 胃腸積滯(위장적체), 疼
                                            痛(동통), 食欲不振(식욕부진) 大便不暢(대변불창),甚則(심칙)
                                            大便乾燥(대변건조) 等症
    3. 金匱要略
        腹滿(복만)은 腹部(복부)가 불러 그득한 것이 主(주)된 症狀(증상)이고, 寒疝(한산)은 陰
        寒性(음한성)의 腹痛(복통)이며 더욱이 兩脇(양협)이나 胸腔(흉강)이 아픈 것도 있다.
        이에 관해서 原文(원문)에서는 寒疝(한산)이라고 말하고 있지 않으나 陰寒性(음한성)의
        疼痛(동통)과 마찬가지이다.宿食(숙식)은 飮食物(음식물)이 妥當(타당)하지 않기 때문
        에 停滯(정체)하는 病症(병증)이다. 이상의 三種(삼종)의 疾病(질병)이 모두 腹部(복부)
        가 그득하고 아픈 共通(공통)된 症狀(증상)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金匱要略(금궤요략)에 소개된 症狀(증상)과 治法(치법)을 살펴보자
        1) 趺陽脈微弦 法當腹滿 不滿者必便難 兩胠疼痛 此虛寒從下上也 當以溫藥服之
            趺陽脈(부양맥)이 微(미)하면서 弦(현)한 것은 일반적으로 腹部(복부)가 그득한 때에
            흔히 볼 수 있는 脈象(맥상)이다. 그러나 복부가 전혀 그득하지 않은 환자도 있는데
            이 경우는 보통 便秘(변비)와 兩脇下(양협하)가 아픈 症狀(증상)이 있다.이것은 下焦
            (하초)의 虛寒(허한)이 上部(상부)에 影響(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이런 種類(종류)
            의 便秘(변비)는 보통 변비 치료법과는 달리 溫熱葯(온열약)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안
            된다.

        2) 病者腹滿 按之不通爲虛 痛者爲實 可下之. 舌黃未下者 下之黃自去.
            患者(환자)는 腹部(복부)가 그득한데 눌러서 壓痛(압통)이 없는 경우는 虛證(허증)이
            며, 壓痛(압통)이 있는 것은 實證(실증)이다. 實證(실증)은 下法(하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患者(환자)의 舌苔(설태)가 黃色(황색)인 것은 아직 瀉下劑(사하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며, 瀉下劑(사하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舌苔(설태)의 黃色(황색)은
            자연히 사라지게 된다.

        3) 腹滿時减 復如故 此爲寒 當與溫藥.
            腹部(복부)의 그득함이 輕减(경감)되었는가 싶으면 暫時后(잠시후)에 다시 원래 대
            로 돌아가는 것은 寒證(한증)이다. 溫熱葯(온열약)을 服用(복용)해야 한다.

        4) 病腹滿 發熱十日 脈浮而數 飮食如故 厚朴七物湯 主之.
            患者(환자)의 腹部(복부)가 그득하고, 發熱(발열)이 십일이나 되었으며 脈象(맥상)은
            浮數(부삭)하고, 飮食(음식)은 正常(정상)이다.  이런 경우에는 厚朴七物湯(후박칠물
            탕)으로 다스린다.
            厚朴七物湯(후박칠물탕)
                        ≒ 厚朴(후박)半斤, 甘草(감초)三兩, 大棗(대조)十枚, 枳實(지실)五枚, 桂枝
                            (계지)二兩, 生姜(생강)五兩.
                            上七味를 물 一斗로 달여 四升에서 取하고,八合씩 一日溫三服한다.
                            加减(가감)
                            ① 嘔吐(구토)하는 患者(환자) : 加 半夏(반하)五合.
                            ② 下痢(하리)하는 患者(환자) : 去 大黃(대황).
                            ③ 寒多(한다)한 患者(환자)  : 加 生姜(생강)半斤.
                  方解 ≡ 배가 그득하고 脈象(맥상)은 數(삭)하며 食欲(식욕)은 보통이라는 것은
                            里實熱(리실열)에 氣滯(기체)가 겹쳤기 때문이며, 發熱(발열)하며 脈象
                            (맥상)이 浮(부)한 것은 表證(표증)이 아직 解除(해제)되지 않았기 때문
                            이므로 表里(표리)에 모두 病邪(병사)가 있는 狀態(상태)이다. 그러므로
                            ① 桂枝(계지), 甘草(감초), 生姜(생강), 大棗(대조)  :  營衛(영위)를 調和
                                (조화)하여 表邪(표사)를 解除(해제)하고
                            ② 厚朴(후박), 枳實(지실), 大黃(대황) : 結塊(결괴)를 풀어주고 배가 그
                                득한 것을 除祛(제거)해서 裏邪(리사)를 攻(공)하는 것이다.
                            이것이 解表攻裏(해표공리) 혹은 表里双解(표리쌍해)의 治療法(치료법)
                            이다.

        5) 腹中寒氣 雷鳴切痛 胸脇逆滿 嘔吐, 附子粳米湯 主之.
            腹部內(복부내)에 寒邪(한사)가 있기 때문에 腹痛(복통)과 腸鳴(장명)이 甚(심)하게
            일어나며, 胸脇部(흉협부)에 氣(기)가 上逆(상역)하여 그득한 감이 들고 동시에 嘔吐 
            (구토)하는 경우에 附子粳米湯(부자갱미탕)으로 다스린다.
            附子粳米湯(부자갱미탕)
                        ≒ 炮附子(포부자)一枚, 半夏(반하)半斤, 甘草(감초)一兩, 大棗(대조)十枚,
                            粳米(갱미)半斤.
                            上五味를 물 八升으로 쌀이 익을 때까지 달여 祛除하고 一日溫三服
                  方解 : 腹部內(복부내)에 寒氣(한기)가 凝滯(응체)하고 水濕(수습)이 流通(유통)
                            하지 않으며,胃腸(위장)의 氣(기)가 上部(상부)로 逆行(역행)하기 때문에
                            腸鳴(장명)이 생긴다. 따라서 腹痛(복통), 嘔吐(구토)등의 症狀(증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附子(부자)로 寒氣(한기)와 水濕(수습)을 따뜻이 하고,
                            半夏(반하)로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降下(강하)시켜서 腸鳴(장명)과
                            腹滿(복만)을 해제하고, 甘草(감초), 大棗(대조), 粳米(갱미)로 胃(위)를
                            調和(조화)시켜 焦躁感(초조감)을 가라앉히고 아픔을 멈추게 하는 것이
                            다.

        6) 痛而閉者 厚朴三物湯主之.
            腹部(복부)가 그득해서 아프고 便秘(변비)하는 경우에는 厚朴三物湯(후박삼물탕)으
            로 다스린다. 
            ※ 痛而閉(통이폐)란 말을 脈經(맥경)에서는 腹滿痛(복만통)으로 인식하고 있다.
            處方 : 厚朴三物湯(후박삼물탕)
                                  ≒ 厚朴(후박)八兩(12g), 大黃(대황)四兩(6g), 枳實(지실)五枚(5g).
                                      上三味中에서 우선 厚朴(후박)과 枳實(지실)을 물 一斗二升으로
                                      달여 五升에서 大黃(대황)을 넣어 三升까지 달인후에 一升씩 溫服
                                      (온복)하는데 下痢(하리)를 하면 服用(복용)을 멈춘다.
            方解 : 厚朴三物湯(후박삼물탕)과 小承氣湯(소승기탕)은 葯味(약미)가 같다.
                      차이점은 厚朴三物湯(후박삼물탕)이 厚朴(후박)을 重視(중시)하고 있는 점인
                      데 그것은 주요 목적이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除祛(제거)하고,腹部(복부)의
                      그득함을 消去(소거)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또한 枳實(지실), 大黃(대황)으로
                      氣(기)를 通(통)하게 하고, 排便(배변)시켜서 体內(체내)의 凝滯(응체)를 제거
                      함으로 腹部(복부)가 심하게 그득하면서 食物(식물)의 澀滯(삽체)는 가벼운
                      症候(증후)에 적합하다.

        7) 按之心下滿痛者 此爲實也, 當下之, 宜大柴胡湯.
            손으로 心窩部(심와부)를 누르면 그득한 것이 느껴지고, 이때 아픈 것은 實證(실증)
            이므로 瀉下法(사하법)으로 治療(치료)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런 경우에는 大柴胡湯
            (대시호탕)을 사용한다.
            大柴胡湯(대시호탕)
                      ≒ 柴胡(시호)半斤(12g), 黃芩(황금)三兩(4g), 芍葯(작약)三兩(4g), 半夏(반하)
                          半升(6~12g), 炙枳實(자지실)四枚(4g), 大黃(대황)三兩(4~8g),大棗(대조)
                          十二枚(4g), 生姜(생강)五兩(8g).
                          上八味을 물 一斗二升으로 달여 六升에서 去滓하고나서 다시 한번 달인 후
                          에 一升씩 一日 溫三服한다.
                方解 : 柴胡(시호), 黃芩(황금), 芍葯(작약) 등 寒凉(한량)한 葯(약)으로 少陽經(소
                          양경)의 熱(열)을 제거하고, 枳實(지실), 大棗(대조) 등 苦寒(고한)한 葯(약)
                          으로 陽明(양명)의 腑(부)를 瀉下(사하)시키고, 半夏(반하), 生姜(생강), 大
                          棗(대조)로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降下(강하)시켜 胃氣(위기)를 調和(조
                          화)한다.

        8) 腹滿不减 减不足言 當須下之 宜大承氣湯.
            복부가 그득한 것이 좀처럼 가벼워지지 않고, 가벼워 졌다해도 아주 경미한 경우에는
            瀉下法(사하법)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는 大承氣湯(대승기탕)을 쓰는 것이 좋다.
            大承氣湯(대승기탕)
                      ≒ 桂枝湯(계지탕) 加 葛根(갈근), 麻黃(마황).

            ※ 注解 : 이상에 소개한 金匱要略(금궤요략)의 증상과 치법 중에서 4)번 이하 8)번까
                          지, 五種(오종)의  處方(처방)은 腹滿症(복만증) 治療法(치료법)이다.이를
                          각 症狀(증상)에 따른 方葯(방약)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① 복부가 그득한데다가 表證(표증)이 있는 경우에는 厚朴七物湯(후박칠물
                              탕)을 使用(사용)하고
                          ② 복부가 몹시 그득하고 邪氣(사기)가 心下(심하), 兩脇(양협)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大柴胡湯(대시호탕)을 使用(사용)하며
                          ③ 주로 胃(위)만 그득하고 그 그득함이 심해서 食物(식물)의 停滯(정체)가
                              가벼운 경우에는 厚朴三物湯(후박삼물탕)을 사용하고
                          ④ 주로 腸(장)만이 심하게 그득하고 腸(장)의 그득함이나 食物(식물)의 停
                              滯(정체)도 심한 경우에는 大承氣湯(대승기탕)을 사용하며
                          ⑤ 寒邪(한사), 濕邪(습사)가 모두 凝滯(응체)해서 腹滿症(복만증)이 된 경
                              우에는 附子粳米湯(부자갱미탕)을 使用(사용)한다.
 
        9) 복창복통 (腹脹腹痛)
            按之心下滿痛者 此爲實也, 當下之, 宜大柴胡湯.
            손으로 心窩部를 누르면 그득한 것이 느껴지고, 아픈 것은 實證이므로 瀉下法으로 治
            療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에는 大柴胡湯을 사용한다.
            處方 : 大柴胡湯(대시호탕)
                              ≒ 柴胡(시호)半斤(12g), 黃芩(황금)三兩(4g), 芍葯(작약)三兩(4g), 半夏
                                  (반하)半升(6~12g),炙枳實(자지실)四枚(4g),大黃(대황)三兩(4~8g),
                                  大棗(대조)十二枚(4g), 生姜(생강)五兩(8g).
                                  上八味을 물 一斗二升으로 달여 六升에서 去滓하고나서 다시 한번 달
                                  인후에 一升씩 一日 溫三服한다.
            方解 : ① 柴胡(시호),黃芩(황금),芍葯(작약) 등의 寒凉(한량)한 葯(약)으로 少陽經(소
                          양경)의 熱(열)을 제거하고,
                    ② 枳實(지실), 大棗(대조) 등 苦寒(고한)한 葯(약)으로 陽明(양명)의 腑(부)를
                        瀉下(사하)시키고,
                    ③ 半夏(반하), 生姜(생강), 大棗(대조)로 上逆(상역)의 氣(기)를 降下(강하)시
                        켜 胃氣(위기)를 調和(조화)한다.

    3. 臨床(임상)
        복창(腹脹)
        1) 濕熱彌漫三焦證(습열미만삼초증)           
            臨床 : 만약 삼초(三焦)가 습열(濕熱)에 막혀 위완(胃脘)으로부터 복부(腹部)가 창만(
                      脹滿)하고 대변불상(大便不爽)을 위주로 하는 주요 증상(症狀)은 중초(中焦)
                      가 중하게 막힌(鬱重) 때문이다.
                      중초(中焦)의 기(氣)가 답답하게 결리는 것은, 태음 비가 불승(太陰不升)하고
                      양명 위가 불강(陽明不降)함으로 비위(脾胃)가 기체로(氣滯于中) 수곡을 운화
                      할 수 없기(水谷失運) 때문이다. 
            治宜 : 고신한법(苦辛寒法)으로 중초(中焦)를 승강(升降)케 하여 막힌 기(氣)를 거두
                      고, 가히 정기(正氣)를 키워서 사기(邪氣)를 제거한다.
            方用 : 一加减正氣散(일가감정기산)《溫病條辨》
                                    ≒ 藿香梗(곽향경), 厚朴(후박), 杏仁(행인),茯苓皮(복령피),陳皮(진
                                        피), 神曲(신곡), 麥芽(맥아), 茵陳(인진), 大腹皮(대복피).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