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9-05 15:49
[침구임상(針灸臨床)] 총론(總論) 2
 글쓴이 : admin
조회 : 12,695  
3. 特定穴應用(특정혈응용)
    특정혈이란 십사경맥중에 그 어떤 특수한 치료작용이 있고 또 특정한 이름을 갖고있는
    腧穴 (수혈)들을 말한다. 이러한 수혈은 분포와 작용이 부동하기 때문에 각각 부동한 含
    意(함의)의 명칭이 있는데 이는 필자의 침구학사전을 참고하기 바라며 여기서는 다만
    그 응용방법만 나누어 서술한다.
    ⑴ 五輸穴(오수혈)
        ① 十二經脈(십이경맥) 肘膝以下(주슬이하)의 井(정), 滎(형), 輸(수), 經(경), 合
            (합)등 다섯 종류의 腧穴(수혈)을 五輸穴이라 부른다. 오수혈은 每經(매경)에 5
            개의 穴(혈)이 있으므로 十二經脈(십이경맥)에 모두 60 개 穴(혈)이 있다.
        ② 이는 古人(고인)이 經脈(경맥)의 氣(기)가 流注(류주) 운행하는 것을 自然界(자
            연계)에 물이 흐르는 모양으로 비유하여 말하기를 經氣(경기)가 작고 얕은 데로
            부터 점차 크고 깊게 흐르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에 따라서 經氣(경기)가 운행되
            는 과정중 경과되는 부위의 부동한 深淺(심천)에 따라 그 작용도 다름을 구별하
            였다.
            《靈樞․九十二》“所出爲井․所溜爲滎․所注爲輸․所行爲經․所入爲合
        ③ 五輸穴(오수혈)은 十二經脈(십이경맥)의 氣(기)가 출입하는 곳이기 때문에 六臟
            六腑(육장육부) 經脈(경맥)의 病變(병변)을 주치하는 작용이 있다.《靈樞․順氣 -
            日四時》에 이르기를 “病在臟者取之井, 病變于色者取之滎, 病時間時甚者取之
            輸, 病變于音者取之經, 經滿而血者 病生胃及以飮食不節得病者 取之于合이라 하
            였다. 이는 오수혈을 운용하는 일종의 방법인데 말하자면 오장에 질병이 생기면
            井穴(정혈)을 취하고, 질병의 변화가 면색에 나타나면 滎穴(형혈)을 취하고, 병
            세가 때로는 경하고 때로는 중하여지면 輸穴수혈)을 취하고, 질병의 영향으로 음
            성의 변화가 생기면 經穴(경혈)을 취하고, 만약 경맥이 滿盛(만성)하거나 胃(위)
            에 생긴 병 및 음식으로 상한 질병은 合穴(합혈)을 취한다. 하는 것이다.
        ④ 《難經․六十八難》에 이르기를 “井主心下滿․滎主身熱․輸主体重節痛․經主喘咳寒
            熱․ 合主逆氣而泄이라 하였는데 이는 오수혈의 임상운용의 또 하나의 방법이다.
        ⑤ 春夏(춘하)의 陽氣(양기)는 위에 있으며 인체의 기는 淺表(천표)에서 행하기 때
            문에 침자시 淺刺(천자)하고, 秋冬(추동)의 陽氣(양기)는 아래에 있으며 인체의
            기는 속에 잠복되어 있기 때문에 침자시 深刺(심자)한다. 따라서 오수혈의 분포
            는 井(정)․滎穴(형혈)소재부위의 근육은 비교적 얕고 엷으며, 經(경)․ 合穴(합혈)
            소재부위의 근육은 비교적 깊고 두텁기 때문에 역시 春夏(춘하)에는 井(정)․滎穴
            (형혈)을 취하고, 秋冬(추동)에는 經(경)․合穴(합혈)등 穴(혈)을 취한다.

        ⑥ 오수혈 (五輸穴)
         
                陰經            井(木)        滎(火)        輸(土)        經(金)        合(水) 
         
            手太陰肺經    少商(소상)  魚際(어제)  太淵(태연)  經渠(경거)  尺澤(척택) 
            手厥陰臟經    中衝(중충)  勞宮(노궁)  大陵(대능)  間使(간사)  曲澤(곡택) 
            手少陰心經    少衝(소충)  少府(소부)  神門(신문)  靈道(령도)  少海(소해) 
            足太陰脾經    隱白(은백)  大都(대도)  太白(태백)  商丘(상구)  陰陵泉(음능천) 
            足厥陰肝經    大敦(대돈)  行間(행간)  太衝(태충)  中封(중봉)  曲泉(곡천) 
            足少陰腎經    湧泉(용천)  然谷(연곡)  太溪(태계)  復溜(복류)  陰谷(음곡)
 
         
                  陽經            井(金)  滎(水)  輸(木)  經(火)  合(土)
       
            手陽明大腸經  商陽(상양)  二間(이간)  三間(삼간)  陽溪(양계)  曲池(곡지) 
            手少陽三焦經  關衝(관충)  液門 (액문) 中渚(증저)  支溝(지구)  天井(천정) 
            手太陽小腸經  少澤(소택)  前谷(전곡)  后溪(후계)  陽谷(양곡)  小海(소해) 
            足陽明胃經      廬兌(려태)  內庭(내정)  陷谷(함곡)  解溪(해계)  足三里(삼리)
            足少陽膵經      竅陰(규음)  俠溪(협계)  臨泣(임읍)  陽輔(양보)  陽陵泉(양능천
            足太陽膀胱經  至陰(지음)  通谷(통곡)  束骨(속골)  昆侖)곤륜)  委中(위중) 
       

        ⑦ 五輸穴(오수혈)은 人体(인체)의 十二經脈(십이경맥), 十五絡脈(십오락맥)의 氣
            (기)가 상하출입하는 곳이기 때문에 각 장부경맥에 병이 생기면 모두 오수혈을
            사용할수 있다. 또 五臟(오장), 五輸(오수)와 五行(오행)의 관계를 응용하여 “虛
            者補其母(허자보기모), 實者瀉其子(실자사기자)”의 방법이 제출되었다. 예를 들
            면 肝(간)은 五行(오행)에서 木 (목)에 속하는데 肝經(간경)의 實證(실증)은 간경
            의 오수혈중에 火(화)에 속하는 滎穴(형혈) 行間(행간)을 취한다. 이는 木生火
            (목생화), 火(화)는 목의자(木之子)이기 때문에 行間(행간)을 취하는 것은 즉 實
            則瀉其子(실칙사기자)의 방법이다.
            肝經(간경)의 虛證(허증)은 간경의 오수혈중에 輸(수)에 속하는 合穴(합혈) 谷泉
            (곡천)을 취하는데 이는 水生木(수생목) 水(수)는 목의모(木之母)이기 때문에 谷
            泉(곡천)을 취하는 것은 즉 虛則補其母(허칙보기모)의 방법이다. 각 五輸穴(오수
            혈)의 임상응용은 모두 이와 같은 이론을 토대로 사용되던 것을 한국의 舍岩(사
            암) 선생에 의하여 虛則補其母에 虛則瀉其官(허칙사기관)을 합방하고, 實則瀉其
            子에 實則補其官(실칙보기관)을 合方(합방)하는 새로운 이론을 창시하여 再定立
            (재정립)한 것이 오늘날 한국의 오행침이 된 것이다.

        ⑧ 자모보사취혈 (子母補瀉取穴)
         
              五行    臟腑      母穴(補血)        子穴(瀉穴)
         
              金        肺        太淵(태연)          尺澤(척택)   
                        大腸      曲池(곡지)          二間(이간)   
              水        腎        復溜(복류)          湧泉(용천)   
                        膀胱        至陰(지음)          束骨(속골)   
              木      肝          曲泉(곡천)          行間(행간) 
                        膵          俠溪(협계)          陽輔(양보)   
          火(君)      心          少衝(소충)          神門(신문)   
                      小腸        后溪(후계)          小海(소해)   
            (相)    臟間        中衝(중충)          大陵(대능)   
                        三焦        中渚(중저)          天井(천정)   
              土      脾        大都(대도)          商丘(상구)   
                        胃        解溪(해계)          廬兌(려태)   
       

        ⑨ 舍岩先生(사암선생)의 五行針(오행침)
            ㈀ 補法(보법)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인체의 疾病(질병)이란 外因(외인), 內因(내인), 不內不
                外因(불내불외인) 등의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일단 邪氣(사기)가 인체에 侵
                入(침입)되면 臟腑(장부)의 機能調和(기능조화)가 常失(상실)되어 亢進(항
                진), 興奮(흥분)되는 곳과 减退(감퇴), 不足(부족)한 臟腑(장부)가 생기게된
                다. 이와 같은 亢進(항진) 興奮(흥분)을 實(실)이라 하고 减退(감퇴)된 경우
                를 虛(허)라고 한다. 또한 興奮(흥분)된 곳이 있으면 그만 큼 反比例(반비례)
                해서 虛弱(허약)하여 지는 곳이 있다. 虛弱(허약)한 상태에 있는 것을 充實(충
                실)하게 하려는 것이 補法(보법)인데 古典(고전)에서는 “虛則補於其母(허칙
                보어기모)”라 하여 補(보)하는 방법만 썼다. 한쪽에서 補(보)만 하여도 되기
                는 하나 相克關係(상극관계)에 있는 實邪(실사), 즉 興奮(흥분)된 곳에서 계속
                적으로 抑制(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이 때 이 相克(상극)쪽을 가리켜서 官(관)
                이라 부른다. 그래서 “虛則補於其官(허칙보어기관)”이라는 새로운 公式(공식)
                이 誕生(탄생)된 것인데 이것이 舍岩先生(사암선생)에 의해서 이다. 그래서
                補法(보법)에는 “虛則補其母(허칙보기모)와 虛則瀉其官(허칙사기관)” 의 合
                方(합방)으로 防禦(방어)하고 豫防(예방)하고 튼튼하게 하는 守備(수비)의 방
                법을 취하는 것이다.
          例 : 肝虛(간허)라고 할 때 : 谷泉(곡천), 陰谷(음곡) 補(보),
                                                中封(중봉), 經渠(경거) 瀉(사).
                虛則補其母(허칙보기모)에서 : 肝經(간경)은 五行上(오행상) 木이므로 木의
                                母는 水이다. 그러므로 肝經(간경) 중에서 母性穴(모성혈)은 간
                                목의 水穴(수혈)인 谷泉(곡천)이고, 他經(타경) 補瀉(보사)에서
                                간목의 모경은 腎水經(신수경)이 되므로 신수경 중에 水穴(수혈)
                                은 陰谷穴(음곡혈)이다. 그래서 谷泉(곡천)과 陰谷(음곡)을 補
                                (보)한다.
                虛則瀉其官(허칙사기관)에서 : 肝木(간목)을 일방적으로 克(극)하는 五行(오
                                행)은 肝木(간목)의 官(관)이되는 金(금)이다. 그러므로 肝經(간
                                경) 중에서 金穴(금혈)인 中封(중봉)과 간목의 相克經(상극경)인
                                肺金經(폐금경) 중에 金穴(금혈)인 經渠穴(경거혈)이다. 卽 中封
                                (중봉)과 經渠(경거)을 瀉(사)한다.

                                 
                                                    補 穴                                瀉 穴     
                                 
                                肝      陰谷(연곡)  曲泉(곡천)        中封(중봉)  經渠(경거) 
                                心      大敦(대돈)  少冲(소충)        陰谷(음곡)  少海(소해) 
                                臟      大敦(대돈)  中封(중봉)        陰谷(음곡)  曲泉(곡천) 
                                脾      少府(소부)  大都(대도)        大敦(대돈)  隱白(은백) 
                                肺      太白(태백)  太淵(태연)        少府(소부)  魚際(어제) 
                                腎      經渠(경거)  復溜(복류)        太白(태백)  太溪(태계) 
                                膵      通谷(통곡)  俠溪(협계)        商陽(상양)  竅陰(규음) 
                              小腸    臨泣(임읍)  后溪(후계)        通谷(통곡)  前谷(전곡) 
                              三焦    臨泣(임읍)  中渚(중저)        通谷(통곡)  液門(액문) 
                                胃      陽谷(양곡)  解溪(해계)        臨泣(임읍)  解溪(해계) 
                              大腸    曲池(곡지)  三里(삼리)        陽谷(양곡)  陽溪(양계) 
                              膀胱    商陽(상양)  至陰(지음)        委中(위중)  三里(삼리) 
                                   
            ㈁ 瀉法(사법)
                疾病(질병)에 虛(허)가 있으면 반드시 實(실)이 있다. 예를 들어 脾虛(비허)
                가 되면 肝實(간실)이 있게 된다. 이럴 때 脾虛(비허)를 補(보)하려면 脾正
                格(비정격)을 써야 하고 肝實(간실)을 瀉(사)하려면 肝勝格(간승격)을 써야
                한다. 瀉法(사법)에 속하는  勝格(승격)처방은 熱(열)이 있거나 또는 機能亢
                進(기능항진), 興奮(흥분), 炎症(염증), 分泌過多(분비과다) 등과 같은 實證
                (실증)에 이용하는 것인데, 이 處方(처방)의 원칙은 2 가지로 나눈다. 卽
                “實則瀉其子(실칙사기자)”와 “實則補其官(실칙보기관)”의 合方(합방)이다.
                이것은 實(실)을 瀉(사)하면서 實(실)한 것을 抑制(억제)하는 官(관), 즉 克
                (극)을 補(보)하여서 治療(치료)하는 방법이다
          例 : 肝實(간실) 일 때 : 行間(행간), 少府(소부) 瀉(사),
                                          中封(중봉), 經渠(경거) 補(보).
                實則瀉其子(실칙사기자) : 肝木(간목)의 子(자)는 火(화)이다. 그래서 간목
                                중에 火穴(화혈)인 行間(행간)과 子經(자경)인 心火(심화) 중에
                                서 火穴(화혈)인 少府(소부)를 瀉(사)한다.
                實則補其官(실칙보기관) : 肝木(간목)의 官(관)은 金(금)이다. 그래서 간목
                                중에 金穴(금혈)인 中封(중봉) 과 肺金(폐금)의 金穴(금혈)인
                                經渠(경거)를 補(보)해서 金克木(금극목)으로 抑制(억제)하고
                                子(자)를 瀉(사)하면 肝木(간목)이 弱(약)해 질 수밖에 없으므
                                로 肝(간)은 平定(평정)을 恢復(회복)하여 치유된다.

                   
                                                      瀉 穴                                補 穴   
                               
                                肝      行間(행간)  少府(소부)      中封(중봉)  經渠(경거) 
                                心      神門(신문)  太白(태백)      少海(소해)  陰谷(음곡) 
                                臟      大陵(대능)  太白(태백)      曲澤(곡택)  陰谷(음곡) 
                                脾      商丘(상구)  經渠(경거)      大敦(대돈)  隱白(은백) 
                                肺      尺澤(첟택)  陰谷(음곡)      少府(소부)  魚際(어제) 
                                腎      湧泉(용천)  大敦(대돈)      太白(태백)  太溪(태계) 
                                膵      陽谷(양곡)  陽輔(양보)      商陽(상양)  竅陰(규음) 
                              小腸      三里(삼리)  小海(소해)      前谷(전곡)  通谷(통곡) 
                              三焦      三里(삼리)  天井(천정)      通谷(통곡)  液門(액문) 
                                胃      商陽(상양)  廬兌(려태)      臨泣(임읍)  陷谷(함곡) 
                                大腸    二間(이간)  通谷(통곡)      陽溪(양계)  陽谷(양곡) 
                                膀胱    臨泣(임읍)  束骨(속골)      委中(위중)  三里(삼리) 
                               


    ⑵ 原穴(원혈)․絡穴(락혈)의 응용
 
        十二原穴                    本經                            絡穴                  他經 
   
        太淵(태연)  -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  列缺(열결)  →  大腸經(대장경) 
        神門(신문)  -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        -  通里(통리)  →  小腸經(소장경) 
        大陵(대능)  -  手厥陰膈經(수궐음격경)        -  內關(내관)  →  三焦經(삼초경)
        太白(태백)  -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  公孫(공손)  →  胃經(위경)   
        太溪(태계)  -  足少陰腎經(조소음신경)        -  大鍾(대종)  →  膀胱經(방광경) 
        太冲(태충)  -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  蠡泃(려구)  →  膵經(췌경)   
        腕骨(완골)  -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  -  支正(지정)  →  心經(심경)   
        陽池(양지)  -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  -  外關(외관)  →  膈經(격경) 
        合谷(합곡)  -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  -  偏歷(편력)  →  肺經(폐경)   
        京骨(경골)  -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 -  飛揚(비양)  →  腎經(신경)   
        丘墟(구허)  -  足少陽膵經 (좃소양췌경)      -  光明(광명)  →  肝經(간경)   
        冲陽(충양)  -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  豊隆(풍융)  →  脾經(비경)   
                          督脈別絡(독맥별락)              -  長强(장강)  →  任脈(임맥)   
                          任脈別絡(임맥별락)              -  鳩尾(구미)  →  督脈(독맥)   
                          脾大絡(비대락)                    -  大包(대포)  →  胃經(위경)   
     


      原穴(원혈) : ① 六陽經(육양경)중 五輸穴(오수혈)의 輸穴(수혈)뒤에 배열되였기 때
                            문에 六 陰經(육음경)에서는 輸穴(수혈)을 原穴(원혈)로 한다.
                        ② 원혈은 장부의 原氣(원기)가 輸注(수주), 經過(경과), 留止(유지)되
                            는 부위이다.
                        ③ 原穴(원혈)은 三焦(삼초)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三焦(삼초)는 元氣
                            (원기)의 別使(별사)이고 그의 導原(도원)은 배꼽아래 腎間動氣(신
                            간동기)이며 따라서 전신에 수포되고 내외를 조화하며 상하를 宣導
                            (선도)하는데 인체의 기화공능에 관계되며 특히 오장육부의 생리활
                            동촉진에 일정한 의의를 갖고 있다.
                        ④ 월혈에 침자하면 三焦(삼초)의 原氣(원기)를 통달하고 내장의 공능
                            을 조정하기 때문에 《靈樞》에 원혈의 주치작용에 대하여 “十二原
                            (십이원)은 오장육부의 질병을 주치한다”고 말하였다. 이는 원혈이
                            내장병치료에 중요한 작용이 있음을 분명히 설명하였다.

      絡穴(락혈) : ① 絡脈(락맥)이 經脈(경맥)에서 別出(별출)된 부위의 腧穴(수혈)이며
                            또 表里(표리) 兩經(양경)을 연락하는 곳이다.
                        ② 十二經(십이경)에 각각 하나의 絡穴(락혈)이 있는 이외에 또 任脈(임
                            맥), 督脈(독맥)의 絡穴(락혈)과 脾(비)의 大絡(대락)이 있다. 오두
                            합하여 十 五絡脈(십오락맥)이다.
                        ③ 絡脈(락맥)은 表里經(표리경) 사이에서 상호 연락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絡穴(락혈)의 주치특점은 表里(표리) 兩經(양경)에 유관되는
                            병증을 치료한다.
                          예를들면 足太陰經(족태음경)의 絡穴(락혈)인 公孫穴(공손혈)은 脾病
                            (비병)을 주치할 뿐만 아니라 또 胃病(위병)도 치료한다. 長强(장
                            강), 鳩尾(구미), 大包(대포)는 患部(환부)와 內障病(내장병)을 위주
                            로 치료한다.
                        ④ 原穴(원혈)과 絡穴(락혈)은 단독으로 응용하거나 혹은 배합하여 응
                            용할 수 있다. 만약 배합하여 응용하면 原絡配穴法(원락배혈법) 또
                            는 主客配穴法(주객배혈법)이라 부른다. 이는 臟腑經絡(장부경락)
                            의 先病(선병), 后病(후병)에 근거하여 의거로 삼는다. 운용시 일반
                            적으로 먼저 병든 장부를 위주로 그 經(경)의 原穴(원혈)을 취하고,
                            후에 병든 장부를 客(객)으로 그 경의 絡穴(락혈)을 취한다.
                          예를들면 肺經(폐경)(里)이 먼저 병들고 大腸經(대장경)(表)이 후에 병
                            들면 手太陰(수태음)의 월혈 太淵(태연)을 위주로 手陽明(수양명)의
                            락혈 偏歷(편력)을 客(객)으로 취한다. 반대로 大腸經(대장경)이 먼
                            저 병들고 肺經(폐경)이 후에 병들면 手陽明(수양명)의 원혈 合谷(합
                            곡)을 위주로 手太陰(수태음)의 락혈 列缺(열결)을 客(객)으로 취한
                            다.

    ⑶ 兪募穴(수모혈)의 응용
        ① 兪穴(수혈)은 臟腑(장부)의 氣(기)가 등어리(背部)에 腧注(수주)되는 穴(혈)이다.
            募穴(모혈)은 五臟六腑(오장육부)의 氣(기)가 가슴(胸部)과 腹部(복부)에 滙集
                              (회집)되는 腧穴(수혈)이다.
      ② 兪穴(수혈)은 등어리 膀胱經(방광경)에 있기 때문에 陽(양)에 속하며,
          募穴(모혈)은 胸部(흉부)에 있기 때문에 陰(음)에 속한다.

 
            兪募穴(수모혈)

            (足太陽經) 肝兪    -  肝    -  期門 (足厥陰經)
            (足太陽經) 心兪    -  心    -  巨闕 (任脈)
            (足太陽經) 厥陰兪  -  膈    -  膻中 (任脈)
            (足太陽經) 脾兪    -  脾    -  章門 (足厥陰經)
            (足太陽經) 肺兪    -  肺    -  中府 (手太陰經)
            (足太陰經) 腎兪    -  腎    -  京門 (足少陽經)
            (足太陽經) 大腸兪  -  大腸  -  天樞 (足陽明經)
            (足太陽經) 小腸兪  -  小腸  -  關元 (任脈)
            (足太陽經) 三焦兪  -  三焦  -  石門 (任脈)
            (足太陽經) 膵兪    -  膵    -  日月 (足少陽經)
            (足太陽經) 胃兪    -  胃    -  中脘 (任脈)
            (足太陽經) 膀胱兪  -  膀胱  -  中極 (任脈)

      ③ 모든 臟(장)과 腑(부)는 소속된 兪穴(수혈)과 募穴(모혈)이 있는 것과 같이 兪募穴
          (수모혈)은 臟腑(장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장부의 병리변화가 생기면
          그 兪募穴(수모혈)에 壓痛(압통) 혹은 敏感(민감)등 반응이 생긴다. 때문에 어느
          한 장부에 병이  발생되면 그 소속된 兪穴(수혈)과 募穴(모혈)을 사용하여 치료한
          다.
        예를들면 胃病(위병)은 胃兪(위수)와 中脘(중완)을 취하고, 膀胱病(방광병)은 膀胱
          兪(방광수)와 中極(중극)을 취하는 등이다. 때로는 단독으로 사용한다.

      ④ 五臟(오장)의 병은 대부분 등어리의 兪穴(수혈)을 취하고, 六腑(육부)의 병은 대부
          분 胸腹部(흉복부)의 募穴(모혈)을 취한다. 이는 곧 《難經》에 말한 “陰病引陽(음
          병인양) 陽病引陰(양병인음)”의 뜻이다.
        예를들면 肺經(폐경)에 병이 생기면 해수와 가래가 많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나타
          나는데 이 때는 등어리의 肺兪(폐수)에 針刺(침자)하며, 胃病(위병)으로 인한 胃痛
          (위통)구토는 胃(위)의 募穴(모혈) 中脘(중완)에 針刺(침자)한다.

      ⑤ 이외에 또 五臟兪穴(오장수혈)은 五官(오관), 五体(오체)의 병증에 일정한 치료작
          용이 있다. 예를들면 肝(간)은 目(목)과 筋(근)에 관계되고, 心(심)은 혀(舌) 및 脈
          (맥)과 연계되고 脾(비)는 입(口) 및 筋肉(근육)과 연계되며, 肺(폐)는 코(鼻) 및
          皮膚(피부)와 연계되고, 腎(신)은 귀(耳) 및 骨髓(골수)와 연계된다.

    ⑷ 八脈交會穴(팔맥교회혈)의 응용
        奇經八脈(기경팔맥)과 十二經脈(십이경맥)의 연계에 근거하여 운용한다.
        예를들면
        ① 胸腹脹滿(흉복창만), 胃痛(위통), 納少(납소)등 증상은 內關(내관)과 公孫(공손)
            을 취한다. 이는 陰兪(음유)는 內關(내관)과 통하고, 冲脈(충맥)은 公孫(공손)과
            통하며 陰兪(음유)와 冲脈(충맥)은 心(심), 胸(흉), 胃(위)에 합하기 때문이다.
        ② 咽痛(인통), 胸滿(흉만), 咳嗽(해수)는 列缺(열결), 照海(조해)를 취한다. 이는   
            任脈(임맥)은 列缺(열결)과 통하고, 陰交(음교)는 照海(조해)와 통하며, 任脈(임
            맥)과 陰交(음교)는 肺系(폐계) 咽喉(인후), 胸膈(흉격)과 합하기 때문이다.



                 
                    經名(경명)      穴位(혈위)          主治範圍(주치범위)       
                 
                      冲                公孫(공손)          心, 胸, 胃(심,흉,위)       
                    陰兪              內關(내관)                           
                 
                      帶                臨泣(임읍)          外眦 耳后 肩 項(외자. 이후, 경, 항)   
                    陽兪              外關(외관)                           
                 
                      督                后溪(후계)            內眦 頸 耳 肩(내자, 경, 이, 견)     
                    陽交              申脈(신맥)                           
                 
                      任                列缺(열결)            肺系 咽喉 胸膈(폐. 인후, 흉격)   
                    陰交              照海(조해)                           
             
    ⑸ 八會穴(팔회혈)의 응용
        팔회혈은 인체의 氣(기), 血(혈), 筋(근), 骨(골), 髓(수), 脈(맥), 臟(장), 腑(부)의 精
        氣(정기)가 모이는 곳의 여덟 개의 輸穴(수혈)이다. 八會穴(팔회혈)은 그 소속된 여
        덟 개 臟器組織(장기조직)의 生理功能(생리공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임상
        응용시 매개혈은 모두 그 유관되는  臟腑組織(장부조직)의 病證(병증)을 치료한다.
    예를들면  腑病(부병)은 中脘(중완)을 취하고, 氣病(기병)은 膻中(전중)을 취하는 등이
        다.
        八會穴(팔회혈) : 臟會(장회) - 章門(장문),        腑會(부회) - 中脘(중완),
                              氣會(기회) - 膻中(전중),        血會(혈회) - 膈兪(격수),
                              筋會(근회) - 陽陵泉(양능천),  脈會(맥회) - 太淵(태연),
                              骨會(골회) - 大杼(대저),        髓會(수회) - 折骨(절골).

    ⑹ 郄穴(극혈)의 응용
        ① 극혈은 經脈(경맥)의 氣(기)가 깊게 모이는 곳인데 대부분 四肢肘膝(사지주슬) 이
            하에 분포되었다.
        ② 十二經脈(십이경맥)이 각각 하나의 郄穴(극혈)이 있고, 奇經(기경)의 陰兪脈(음
            유맥) 陽兪脈(양유맥), 陰交脈(음교맥), 陽交脈(양교맥)에도 각기 하나의 郄穴(극
            혈)이 있음으로 모두 16 개의 극혈이 있다.
        ③ 임상에서 郄穴(극혈)은 各經(각경)의 急性病證(급성병증)에 많이 사용한다.
            예를들면 폐병의 각혈은 폐경의 극혈 孔最(공최)를 취하고, 急性胃病(급성위병)
            은 胃經(위경)의 郄穴(극혈)인 梁丘(량구)를 취하는 등이다.
         
                陰經              郄穴                    陽經              郄穴 
 
            手太陰肺經      孔最(공최)        手陽明大腸經    溫溜(온유) 
            手厥陰膈經      郄門(극문)        手少陽三焦經    會宗(회종) 
            手少陰心經      陰郄(음극)        手太陽小腸經    養老(양노) 
            足太陰脾經      地機(지기)        足陽明胃經        梁丘(양구) 
            足厥陰肝經      中都(중도)        足少陽膵經        外丘(외구) 
            足少陰腎經      水泉(수천)        足太陽膀胱經    金門(금문) 
            陰兪脈            筑賓(축빈)        陽兪脈              陽交(양교) 
            陰交脈            交信(교신)        陽交脈              跗陽(부양) 
         
    ⑺ 下合穴(하합혈)의 응용
        ① 하합혈은 六腑經脈(육부경맥)이 下肢(하지)의 三陽經(삼양경)에 합하는 여섯 개
            의 輸穴(수혈)이다
        ② 하합혈의 작용은《內經》에 재출된 “合治內腑(합치내부)”의 원칙에 근거하여 질
            병에 소속된 內腑(내부)의 부동함에 따라 그 소속된 하합혈을 취하여 치료한다.
        예를들면 腸癰(장옹)은 大腸腑(대장부)의 병이므로 上巨虛(상거허)를 취하여 치료
            한다. 上巨虛(상거허)는 비록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에 속하지만 그러나 그는
            手陽明大腸經 (수양명대장경)의 下合穴(하합혈)이기 때문에 능히 腸癰(장옹)을
            치료한다.

                                              手太陽 (小腸)  :  下巨虛(상거허)
                              手三陽 →  手少陽 (三焦)  :  委陽(위양)
                                              手陽明 (大腸)  :  上巨虛(하거허)
        ③ 下合穴 →
                                              足太陽 (膀胱) :  委中(위중)
                              足三陽 →    足少陽 (膵)    :  陽陵泉(양능천)
                                              足陽明 (胃)    :  足三里(족삼리)

    ⑻ 交會穴(교회혈)의 응용
        ① 교회혈은 두경 혹은 그 이상의 경맥이 교차 회합되는 부위의 수혈이다.
        ② 임상에서 교회혈은 그 교차되는 경맥의 병증을 치료한다.
            예를들면 ㉠ 三陰交(삼음교)는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에 속하지만 三陰經(삼음
                            경)이 交會(교회)되는 腧穴(수혈)이기 때문에 脾經(비경)의 병증을
                            치료할뿐만 아니라 또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足少陰腎經(족소음
                            신경)의 病證(병증)도 치료한다.
                        ㉡ 복부의 關元穴(관원혈)은 任脈(임맥)에 속하지만 足三陰(족삼음)의
                            會穴(회혈)이기 때문에, 임맥의 병증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또 足三
                            陰經(족삼음경)의 病證(병증)도 치료한다.



                    경맥교회수혈표  《침구대성》                        0 소속경    + 교회경

                    족수족수족수족수족수족수임충독대음양음양                   
                    태태궐궐소소태태소양양              유유교교              비      고     
                    음음음음음음양양양양명명맥맥맥맥맥맥맥맥                   
                    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
  承漿(승장)                                  + + 0    +                           
  廉泉(렴천)                                        0          +                       
  天突 (천돌)                                        0          + 
  上脘 (상완)                        +      +    0                       
  中脘 (중완)                        +    + +    0                          수태양,소양 족양명소주
  下脘 (하완)    +                                  0
  陰交 (음교)                                        0 +                   
  關元(관원)    +  +    +                      0
  中極 (중추)    +  +    +                      0
  曲骨(곡골)          +                            0
  會陰(회음)                +                      0 + +
三陰交(삼음교) 0  +    + 
  冲門(충문)    0  + 
  府舍(부사)    0  +                                            +
  大橫(대횡)    0                                              +
  腹哀(복애)    0                                              +
  中府(중부)    + 0 
  章門(장문)          0                + 
  期門(기문)    +  0                                        +
  天池(천지)            0              + 
  橫骨(횡골)                0                          +
  大赫(대혁)                0                          +
  氣穴(기혈)                0                          +
  四滿(사만)                0                          +
  中注(중주)                0                          +
  肓兪(황수)                0                          +
  商曲(상곡)                0                          +
  石門(석문)                0                          +
  陰都(음도)                0                          +
腹通谷(복통곡)            0                          +
  幽門(유문)                0                          +
  照海(조해)                0                                        +
  交信(교신)                0                                        + 
  筑賓(축빈)                0                                  +
  神庭(신정)                                  +          0
  水泃(수구)                                  +  +      0
  百會(백회)                      +                      0
  腦戶(뇌호)                      +                      0
  風府(풍부)                                              0      +
  啞門(아문)                                              0      +                     
  大椎(대추)                      +    +    +          0
  陶道(도도)                      +                      0                                    《동인》     
  長强(장강)                +                            0
  睛明(정명)                      0  +          +                  + +                《素問․기부론》 
  大杼(대저)                      0  +           
  風門(풍문)                      0                      +   
  附分(부분)                      0  +
  跗陽(부양)                      0                                      +
  申脈 (신맥)                    0                                      +
  仆參 (복삼)                    0                                      +
                    족수족수족수족수족수족수임충독대음양음양                   
                    태태궐궐소소태태소소양양            유유교교                비      고     
                    음음음음음음양양양양명명맥맥맥맥맥맥맥맥
                    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경
  金門(금문)                      0                              +
  臑兪(노수)                        0                            +    +
  秉風(병풍)                        0 +  +    +                               
  觀髎(관료)                        0    +         
  聽宮(청궁)                        0 +  + 
瞳子髎(동자료)                    + 0  +
 上關(상관)                            0  +  + 
  頷厭(함염)                            0  +  + 
  懸厘(현리)                            0  +  +
  曲鬢(곡빈)                  +      0 
  率谷(솔곡)                  +      0
  浮白 (부백)                  +      0 
頭竅陰(두규음)              +      0
  完骨(완골)                  +      0
  本神(본신)                            0                        +
  陽白(양백)                            0                        +
頭臨泣(두림읍)                  +    0                        +
  目窗(목창)                            0                        +
  正營(정영)                            0                        +
  承靈(승령)                            0                        +
  腦空(뇌공)                            0                        +
  風池(풍지)                            0                        +
  肩井(견정)                            0  +                    +
  日月(일월)    +                      0                        +
  還跳(환도)                      +    0
  帶脈(대맥)                            0                  +
  五樞(오추)                            0                  +
  維道(유도)                            0                  +
  居髎(거료)                            0                                +
  陽交(양교)                            0                        +
  天髎(천료)                                0                    +
  翳風(예풍)                            +  0
  角孫(각손)                            +  0    +
  和髎(화료)                        +  +  0
  承泣(승립)                                  0  +                    +
  巨髎(거료)                                  0                    +  +
  地倉(지창)                            +    0
  頭維(두유)                            +    0                  +
  氣冲(기충)                                  0      +                                  충맥소기
  臂臑(비노)                                0                                          수양명락의회
  肩髃(견우)                                0                            +
  巨骨(거골)                                0                            +
  迎香(영향)                            +  0



4. 臨床應用(임상응용)
    침구치료는 選穴(선혈), 配穴(배혈), 特定穴(특정혈) 사용에 주의하는 이외에 또 針灸方
    法(침구방법), 治療時機(치료시기), 療程(료정), 腧穴(수혈)의 교차사용 등을 주의하여
    사용하여야만 더욱 훌륭한 치료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⑴ 針灸方法(침구방법)의 選擇(선택)
        침구치료중에서 각종 針具(침구)의 사용, 각기 다른 침자방법과 수법, 부동한 구법
        의 응용은 각기 개인의 특점과 전문기술이 있다. 또 그 적응증과 적용범위가 있기 때
        문에 응용할 때 병의 정황에 따라 적당한 방법을 선택하면 치료효과를 제고할 수 있
        다.

    ⑵ 治療時機(치료시기)와 療程(료정)
        침구치료중에서 또 마당히 유리한 치료시기를 장악해야 한다. 이는 病情(병정)이 길
        어지고 엄중해지면, 병세가 발전하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자신의 기능을 증진
        시키고 치료효과를 제고한다.
        매개 病(병)마다 그 특유의 특점과 규율이 있고 또 疾病(질병)의 개체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 적당한 치료시기를 장악해야 한다.
        예를들면 ① 학질병은 그 발병규율에 따라 발병전 2 시간에 針(침)을 놓으면 효과가
                        좋다.
                    ② 월경통은 월경이 오기전 3~5 일에 침을 놓으면 월경시 복통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또 冲任脈(충임맥)을 조리하는 작용도 있다. 이는 근본적으
                        로 월경을 조절하게 된다.
        療程(료정)이란 일반적으로 만성병에 대하여 말한다. 이는 만성병이 효과가 늦어 일
                      정한 치료 단계을 거쳐야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치료를 위하여 마땅히 이에 적응되는 치료방안과 치료과정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10~15 次(차)를 한 료정으로 하는데 매일 일차 혹은
                      2 일에 일차씩 침구한다. 한 료정이 끝나면 총결지어 이미 얻은 효과를
                      공고히 하고 부족한 방면은 개진해야 한다. 3~5 일간 휴식하고 또 다시
                      다음 료정을 시작한다.
        急性病(급성병)은 료정을 정하지 않고 매일 일차 혹은 몇차씩 침구하되 병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진행한다.

    ⑶ 수혈의 교차사용
        ① 人体(인체) 전신에 분포된 腧穴(수혈)은 365 개혈이며 또 阿是穴(아시혈)까지 합
            하면 상당한 수에 달한다. 그러나 매개 수혈은 각기 主治(주치)적 특성이 있기 때
            문에 침구처방시 질병을 상대로 수혈의 특성과 공능을 파악하여 혈을 선택하는
            즉 优化選用(우화선용)하도록 해야 한다.
        ② 동일한 경락 혹은 동일한 부위의 腧穴(수혈)은 대부분 相同(상동)하거나 혹은 서
            로 비슷한 주치적 功能(공능)을 갖고 있다.
        ③ 침구 처방원칙은 東醫(동의) 整體觀念(정체관념)과 辨證施治(변증시치) 법칙을
            거쳐 針穴(침혈)을 적게 선택하며 처방이 정밀해야 한다. 만약 질병이 복잡하거
            나 혹은 치료기간이 오래 걸릴 때는 응당히 몇 개 방안 혹은 몇 개 처방으로 매번
            부동한 수혈을 취하며 교차사용해야 한다.
        ④ 치료가 비교적 간단한 질병은 공능이 비슷한 수혈을 적당히 가감하여 사용하되
            병세의 변화를 주의하여 부단히 침구처방을 조정하면서 변증시치 해야한다.
        ⑤ 치료가 비교적 복잡한 질병은 그 질병의 標本(표본), 輕重(경중), 緩急(완급)등 부
            동한 정황에 따라 선후의 치료에 주의하여 穴(혈)을 선택해야 한다.
        ⑥ 처음 침치료 받는 환자 혹은 침치료에 두려운 환자에게는 穴(혈)을 적게 선택하
            고 수법 또한 적당해야 한다. 또 침감이 아주 민감한 수혈은 선택하지 말어야 한
            다. 침에 적응되고 침치료에 대한 信憑性(신빙성)이 있을 때 적당히 수혈을 가하
            여 치료해야 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