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9-28 21:23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外感病(외감병) 感冒(감기) - II Cold, Common cold. (de) Erkaeltung.
 글쓴이 : admin
조회 : 9,461  
外感病(외감병) 감기(感冒) Cold, Common cold. (de) Erkaeltung.

參照文(참조문)
1) 감기 (感氣)

감모(感冒)란 풍사(風邪)를 촉모(觸冒)해서 발생한 일반적인 감기(感氣)를 말한다. 풍사(風邪)를 감수(感受)하게 되면 코가 막히고(鼻塞), 콧물을 흘리며(流涕), 제체기를 하고(噴嚔), 기침하며(咳嗽), 두통(頭痛), 오한발열(惡寒發熱)이 있는 등 전신이 적절하지 못한(全身不適) 이상을 표현하는 일종의 외감병(外感病)이다. 또 “상풍(傷風)”이라고도 하며 광범위하게 유행하는 유행성 감기(時行感冒)는 그 증상이 비교적 중하다.
감기(感氣)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일 년 4계절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서 특히 겨울과 봄에 제일 많이 볼 수 있다.
감기(感氣)의 주요한 병인(病因)은 외사(外邪)를 감수(感受)한 것으로서 즉 풍, 열, 서, 습, 조, 한(風,熱,暑,濕,燥,寒)를 일컬으며 그 중에서 풍사(風邪)를 위주로 하는 질환이다. 춥고, 따뜻한 정상적인 기후변화를 상실 했을 때, 또는 계절마다 각기 특이한 풍사(風邪)의 침습을 받았을 때 주로 발병하게 된다. 그 증상을 관찰하면 풍사(風邪)를 따라 함께 동반한 사기(邪氣)를 볼 수 있다. 그중에서 풍한(風寒), 풍열(風熱)을 많이 볼 수 있고, 기타 서, 조, 습사(暑,燥,濕邪)역시 볼 수 있다. 이외에 감기(感氣)의 발생은 인체에 저항력(抵抗力)의 강약과 관계가 된다. 즉 인체의 정기부족(正氣不足)은 감기가 발생하게 되는 내적 주요인이 된다. 
감기(感氣)가 인체에 침입하게 되면 초기에는 체표(体表) 즉 폐위(肺衛)에 머문다. 때문에 감기(感氣) 치료는 표사(表邪)를 해제하는 해표법(解表法)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증상에 따른 적절한 치료조치를 위해서는 신온(辛溫)과 신양(辛凉), 거사(祛邪)와 부정(扶正)에 관하여 정확한 판단을 장악해야 한다.

1. 변증요점(辨證要点)
    1) 한열(寒熱)
              풍한(風寒) 또는 풍열감기(風熱感氣)는 중병(重病)이 아니다.
              풍한(風寒) : 오한(惡寒)이 중(重)하여 추위를 싫어하고, 전신이 아프며, 코가
                                막히고 맑은 콧물을 흘리며, 설태는 희고 엷으며 윤이 나고, 맥
                                부완(脈浮緩) 혹 부긴(浮緊)하다.
              풍열(風熱) : 오한(惡寒)이 경(輕)하고, 구갈(口渴)이 있으며, 목구멍이 아프
                                고(咽喉疼痛), 설태는 누렇고 엷으며, 혀의 변두리와 끝이 붉고,
                                맥은 부삭(脈浮數)하다.
              이상의 변증에서 풍한과 풍열을 분별하는데 중요한 증상은 인후동통(咽喉疼
              痛)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다.
    2) 시기(時期)
              감기병(感氣病)은 풍한(風寒)과 풍열(風熱)의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것 외에
              여름(夏期)에 서사(暑邪), 장하(長夏)에 습사(濕邪), 가을(秋)에 조사(燥邪)
              등에 감수된 환자들이 있다.
              계절(季節)과 절기(節氣)에 따라 나타나는 환자들의 상세한 증상표현은 아래
              와 같다.
              서사(暑邪) : 몸에 열이 있으나 땀은 나지 않고(身熱无汗), 마음이 답답하고
                                괴로우며 목이 마르고(心煩口渴), 소변량은 적으며 색은 붉고
                                (小便短赤) 설태가 누렇다(舌苔黃).
              습사(濕邪) : 몸에 열은 있으나 고열은 아니고(身熱不揚), 머리가 무겁고 마
                                치 머리를 마치 싸 맨 것 같으며(頭重如裹), 골절이 쑤시고 몹
                                시 아프며 무겁고 둔하며(骨節疼痛重濁), 가슴과 위완부가 체
                                한 것 같이 답답하고(胸悶脘痞) 설태는 희고 끈끈하다(舌苔白
                                膩).
              조사(燥邪) : 몸에 열이 있고 두통이 있으며(身熱頭痛), 코와 목구멍이 마르
                                고 건조하고(鼻乾咽燥), 기침을 하고 가래는 없으며(咳嗽无痰),
                                혓바닥 위에 진액이 적다(舌上少津).
              임상에서 풍한과 풍열에 습사(濕邪)나 조사(燥邪)를 겸하게 되는 경우에는
              설태변화(舌苔變化)를 중요시 한다.
    3) 허실(虛實)
              감기(感氣)를 표실(表實)과 표허(表虛)로 구분한다.
              ⑴ 표실(表實) : 발열(發熱), 무한(无汗), 오한(惡寒), 신통(身痛).
              ⑵ 표허(表虛) : 발열한출(發熱汗出), 오풍(惡風)
              표실증으로 보기에는 미흡하고 또 표허증으로 말하기에는 상대적인 것이 있
              는 이런 양자(兩者)는 모두 실증(實證)에 속한다. 그 외에 평소에 몸이 허약
              (虛弱)한 사람이 외사(外邪)를 감수(感受)한 경우는 체허감기(体虛感冒)라 한
              다.
              임상표현(臨狀表現)은 기허(氣虛), 혈허(血虛), 음허(陰虛), 양허(陽虛) 등의
              각이(各異)한 겸증(兼症)을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그중에서 기허감모(氣虛
              感冒)와 음허감모(陰虛感冒)가 많다.
    4) 시독(時毒) : 유행성독감(流行性毒感)
              4 계절(季節)의 육기(六氣) 즉 풍, 열, 서, 습, 조, 한(風熱暑濕燥寒)이다.
              이들이 병을 유발하는 인자가 될 때는 육음(六淫)이란 사기(邪氣)가 된다.
              육음(六淫)은 매 계절마다 유행성(流行性) 감모(感冒, 感氣)를 일으키는데
              특징은 발병이 급하고, 증상이 중하며, 심한 경우에는 고열(高熱)과 망령되
              이 헛소리를 친다(譫妄).  유행성이 확실해 지면 같은 지역에 여러 사람이
              동시에 발병하고, 때때로 전변(傳變)되는 일이 나타나는 것으로 일반 감기
              (感氣)와 구별된다.

2. 변증시치(辨證施治)
    1) 외감풍한(外感風寒)
                    症狀 : 코가 막히고 음성이 무겁게 되고(鼻塞聲重), 코가 가렵고 제체기
                              가나고(鼻痒噴嚔), 맑은 콧물을 흘리며(流涕淸稀), 기침을 하고
                              가래가 많고 묽으며(咳嗽痰多淸稀), 심한 경우에는 오한 발열이
                              있고(甚則發熱惡寒), 땀은 나지 않는데 머리가 아프며(无汗頭
                              疼), 몸과 팔다리가 시큰시큰 쑤시는 통증이 있고(肢體酸痛), 설
                              태는 희고 엷으며(舌苔薄白), 맥이 부긴 하다(脈浮緊).
                    治法 : 맵고 더운약으로 표사(表邪)를 해제시키고(辛溫解表), 폐기(肺氣)
                              를 선발시켜서 한사(寒邪)를 흩어지게 한다(宣肺散寒).
                    方葯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 형개(荊芥), 방풍(防風), 시호(柴胡),
                                              천궁(川芎), 지각(枳殼), 강활(羌活), 독활(獨活), 복
                                              령(茯苓), 길경(桔梗), 전호(前胡), 감초(甘草).
                      加减 ① 풍한의 사기(邪氣)가 울체되어 막힌(風寒鬱閉) 경우 : 加 마황
                                (麻黃), 계지(桂枝). - 증강(增强) 산한해표(散寒解表)
                            ② 기침을 하며 가래가 비교적 심한(咳痰較甚) 경우 : 加 행인(杏
                                仁), 절패모(浙貝母). - 화담지해(化痰止咳)
    2) 풍한래습(風寒來濕)
                    症狀 : 땀이 약간 나고 추위가 두려우며(惡寒少汗), 머리를 마치 싸매듯
                              이 무겁고(頭重如裹), 팔다리 관절이(肢体關節) 쑤시고 저리며
                              아프다(酸楚疼痛), 기침하며 목소리가 무겁고(咳嗽聲重), 콧물을
                              흘리며 코가 막히고(鼻塞流涕), 설태는 희고 끈끈하며(舌苔白
                              膩), 맥은 위로 뜬것이 가늘고 연하다(脈濡).
                    治法 : 풍을 통하게 해서 습사(濕邪)를 제거하고(疏風祛濕), 한사(寒邪)
                              를 흩어지게 하여 표사(表邪)를 해제 한다(散寒解表).
                    方葯 : 강활성습탕(羌活胜濕湯) ≒ 강활(羌活), 고본(藁本), 방풍(防風),
                                                                감초(甘草), 천궁(川芎), 만형자(蔓荊子).
                    加减 ① 땀이 나지 않는(无汗) 경우 : 加 두시(豆豉), 창출(蒼朮).
                                                                          - 해표거습(解表祛濕)
                            ② 가래가 많은(痰多) 경우 : 加 반하(半夏), 진피(陳皮).
                                                                      - 선폐화담(宣肺化痰)
    3) 외감풍열(外感風熱)
                    症狀 : 열이 나며 바람을 두려워하고(發熱惡風), 혹은 약간 추운 것을
                              두려워하며(或微惡寒), 두통(頭痛), 탁한 콧물을 흘리며 코가 막
                              히고(鼻塞流濁), 기침하며 가래가 누렇고(咳嗽痰黃), 입이 건조
                              하고 목이 마르며(口乾渴), 인후가 빨갛게 붓고 아프다(咽喉紅腫
                              疼痛), 혀끝과 변두리가 붉고(舌邊尖紅), 태는 엷고 누런색이고
                              (苔薄黃), 맥은 위로 뜬것이 빠르다(脈浮數).
                    治法 : 맵고 서늘한 약으로 표사(表邪)를 해제하고(辛凉解表), 폐기(肺
                              氣)를 선발시켜서 열을 맑게 한다(宣肺淸熱).
                    方葯 : 은교산(銀翹散) ≒ 은화(銀花), 연교(連翹), 고길경(苦桔梗), 박하
                                                      (薄荷), 죽엽(竹葉), 생감초(甘草), 형개수(荊
                                                      芥穗), 담두시(淡豆豉), 우방자(牛蒡子), 선로
                                                      근(鮮蘆根).
                    加减 ① 코가 막히고, 머리가 아픈(鼻塞頭痛) 경우: 加 창이자(蒼耳子),
                                신이(辛夷), 백지(白芷), - 신온산한통규(辛溫散寒通竅)
                            ② 목구멍이 몹시 아픈 환자(咽痛甚者) : 加 원삼(元參), 마발(馬勃),
                                                                    판람근(板藍根). - 청열이인(淸熱利咽)
                            ③ 목마름이 심한 환자(口渴甚者) : 加 천화분(天花粉).
                                                                                -생진지갈(生津止渴)
                            ④ 열이 심하게 나는 환자(熱甚者) : 加 황금(黃芩).
                                                                                - 청선폐열(淸宣肺熱).
    4) 풍열내조(風熱來燥)
                    症狀 : 발열하며 약간 추운 것과 바람이 두렵고(發熱微惡風寒), 코와 목
                              구멍이 건조하며(鼻咽乾燥), 기침을 하고 가래는 없거나(咳嗽无
                              痰) 혹은 소량의 가래가 있다(或少痰)., 몸과 머리가 아프고(頭
                              身疼痛), 입이 건조하여 목이 마르고(口乾而渴), 혀는 붉고 침이
                              적고(舌紅少津), 맥이 위로 뜨고 빠르다(脈浮數).
                    治法 : 바람을 통하게 하여 열을 맑게 하고(疏風淸熱), 건조한 것을 습
                              윤하게 해서 기침을 멈추게 한다(潤燥止咳).
                    方葯 : 은교산(銀翹散) 合 상행탕(桑杏湯) ≒ 은화(銀花), 연교(連翹), 죽
                                                    엽(竹葉), 형개수(荊芥穗), 우방자(牛蒡子), 박하
                                                    (薄荷), 두시(豆豉), 감초(甘草), 길경(桔梗), 노근
                                                    (蘆根), 상엽(桑葉), 행인(杏仁), 사삼(沙蔘), 상패
                                                    (象貝), 치자피(梔子皮), 이피(梨皮).
    5) 외한내열(外寒內熱)
                      症狀 : 추운 것이 두렵고 땀이 나지 않으며(惡寒无汗), 몸과 사지가 시
                              큰시큰 쑤시고 아프며(肢体酸痛), 마음이 괴롭고(心煩), 기침하
                              며 숨이 차서 숨을 몰아쉬고(咳嗽氣急), 음성이 쉰 소리를 내며
                              (聲音嘶啞), 인후가 붓고 아프다(咽喉腫痛)., 혀끝이 붉고(舌尖
                              紅) 태는 약간 누렇고(苔微黃), 맥이 빠르다(脈數).
                      治法 : 폐기(肺氣)를 선발시키어 한사(寒邪)를 흩어지게 하며(宣肺散寒),
                              열을 맑게 내려 기침을 멈추게 한다(淸熱止咳)
                      方葯 : 마행석감탕(麻杏石甘湯) ≒ 마황(麻黃), 행인(杏仁), 생석고(生石
                                                                    膏), 감초(甘草).
                      加减 ① 땀은 나지 않으나 기침을 하며(无汗而喘) 사열(邪熱) 위주로 폐
                                기(肺氣)를 막은(爲熱閉于肺) 경우 : 增加 마황(麻黃).
                                - 마황의 용량을 증가하여 선투력(宣透力)을 가강(加强)한다. 
                            ② 리열이 심한 환자(里熱甚者) : 加 황금(黃芩), 치자(梔子), 노근
                                                                            (蘆根). - 청선리열(淸宣里熱)
                            ③ 기침을 심하게 한는(咳甚) 경우 : 加 전호(前胡), 상백피(桑白
                                                                                  皮). - 선폐지해(宣肺止咳).
                            ④ 팔다리가 쑤시고 아픈(肢体酸痛) 경우 : 加 강활(羌活), 독활(獨
                                                        活).- 소풍산한(疏風散寒), 제습통락(除濕通絡)
    6) 외감서습(外感暑濕)
                    症狀 : 몸에 열이 나며(身熱) 바람과 추운 것이 싫고(微惡風寒), 땀이
                              약간 나며(少汗), 몸과 사지가 무겁고 쑤시고 아프며(肢體酸重疼
                              痛), 머리가 어둡고 무거우며 그득하고 아프다(頭昏重而脹痛),
                              기침하며 가래가 끈끈하고(咳嗽痰粘), 코가 막히고 콧물을 흘리
                              며(鼻塞流涕), 가슴과 위완부가 답답하고 괴로우며(胸脘痞悶),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하며(惡心嘔吐), 입안이 기름을 먹음은 듯
                              끈끈하다(口中粘膩)., 목은 마르지 않은데(口不渴) 혹 목이 말라
                              도 물은 많이 마시지 않는다.(渴飮不多), 혹 마음이 괴로웁고(或
                              心煩), 혹은 대변을 보아도 상쾌한 변을 보지 못하고(大便不爽),
                              소변량은 적고 색이 붉다(小便短赤), 설태는 엷으며 누렇고 기
                              름을 바른 듯 끈끈하다(舌苔薄黃膩)., 맥은 위로 뜬 맥이 가늘고
                              연하며 빠르다(脈濡數).
                    治法 : 습사(濕邪)를 제거하여 서사(暑邪)를 맑게 하며(淸暑祛濕), 폐기
                              (肺氣)를 선발시키어 표사(表邪)를 해제한다(宣肺解表).
                    方葯 : 오미향유음가미(五味香薷飮加味) ≒ 향유(香薷), 편두(扁豆), 후박
                                                            (厚朴), 복령(茯苓), 감초(甘草), 청호(靑蒿),
                                                            산치(山梔), 선하엽(鮮荷葉).
                    加减 ① 습사(濕邪)가 체표를 가로막아(濕困衛表) 머리가 어둡고 사지가
                                시큰 거리는 중한 환자(肢酸頭昏 重者)의 경우 : 加 두권(豆卷), 곽
                                향(藿香), 풍란(偑蘭).- 방화선표(芳化宣表)
                            ② 습사(濕邪)가 안으로 편중되고(里濕偏重) 위완부(胃脘部)가 울렁
                                거리고 답답하며 욕지기가 심한 환자(脘痞惡嘔甚者) : 加 창출(蒼
                                朮), 백구인(白蔲仁), 청반하(淸半夏), 진피(陳皮).
                                - 화습화중(化濕和中).
                            ③ 체내에 열이 성(盛)하고 소변량(小便量)이 적고 색이 붉은 경우 
                                加 육일산(六一散), 활석(滑石). - 청열이습(淸熱利濕)
    7) 기허감모(氣虛感冒)
                    症狀 : 열이 나며 추운 것이 싫고(發熱惡寒), 머리와 몸이 아프며(頭身
                              疼痛), 기침하고 코가 막히고(咳嗽鼻塞), 땀이 절로 나며(自汗
                              出), 권태롭고 무력하고(倦怠无力), 호흡이 짧고 말하기 귀찮아
                              하며(短氣懶言), 혀가 담담하고 태가 희다(舌淡苔白), 맥이 위로
                              뜨고 무력하다(脈浮而无力).
                    治法 : 기(氣)를 보태어 표사(表邪)를 해제 시키고(益氣解表), 영기(營
                              氣)와 위기(衛氣)를 조화롭게 한다(調和營衛).
                    方葯 : 삼소음(參蘇飮) ≒ 당삼(黨參), 감초(甘草), 복령(茯苓), 소엽(蘇
                                                      葉), 갈근(葛根), 반하(半夏), 진피(陳皮), 전호
                                                      (前胡), 길경(桔梗), 목향(木香), 지각(枳殼),
                                                      생강(生姜), 대조(大棗).
                    加减 ① 평소에 기가 허하여 땀을 절로 흘리고(平素氣虛自汗), 반복해서
                                감기에 잘 걸리는(反復感冒) 환자의 경우
                                옥병풍산(玉屛風散) ≒ 황기(黃芪), 백출(白朮), 방풍(防風).
                                              - 익기고표(益氣固表), 증강(增强) 위외공능(衛外功能)
    8) 양허감모(陽虛感冒)
                    症狀 : 오한이 중하고 발열이 경하며(惡寒重而發熱輕), 머리와 몸이 아
                              프고(頭疼身痛), 땀이 절로 나며(自汗出), 기침하며 흰 가래를
                              토하고(咳吐白痰), 코가 막히고 맑은 콧물을 흘리며(鼻塞流淸
                              涕), 면색이 새하얗게 뜨고(面色晄白), 사지가 차고 형체가 추워
                              보이며(形寒肢冷), 어성이 가라앉고 약하며(語聲低微), 혀가 고
                              기 덩어리 같이 두툼한 것이 담담하며 태는 희다(舌淡胖苔白),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며 무력하다(脈沉无力).
                    治法 : 양기(陽氣)를 도와 표사(表邪)를 해제하고(助陽解表), 폐기(肺氣)
                              를 선발시켜서 기침을 멈추게 한다(宣肺止咳).
                    方葯 :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 마황(麻黃), 부자(附子), 세신
                                                                                (細辛).
                    加减 ① 기침하며 가래가 많은(咳嗽痰多) 경우 : 加 행인(杏仁), 반하(半
                                                                                    夏). - 화담지해(化痰止咳).
    9) 혈허감모(血虛感冒)
                    症狀 : 열이 있고 오한은 심하지 않은데(發熱微惡寒), 바람이 두렵고(惡
                              風), 땀은 나지 않으나 머리가 아프다(无汗頭痛), 얼굴색이 밝지
                              못하며(面色无華), 가슴이 두근거리고 머리가 어지러우며(心悸
                              頭暈), 혀는 담담하고 태는 희며(舌淡苔白), 맥이 실처럼 가늘다
                              (脈細).
                    治法 : 혈을 양생(養生)시켜서 표사(表邪)를 해제하고(養血解表), 풍을
                              통하게 하여 한사(寒邪)를 흩어지게 한다(疏風散寒).
                    方葯 : 총백칠미음(葱白七味飮) ≒ 총백(葱白), 두시(豆豉), 갈근(葛根),
                                                      생강(生姜), 생지(生地), 맥동(麥冬), 노수(勞水).
                    加减 ① 목구멍이 건조하고 목마른(口渴咽乾) 경우 : 加 천화분(天花粉),
                                                                          노근(蘆根).- 청열생진(淸熱生津) 
                            ② 열이 중한(熱重) 경우 : 加 은화(銀花), 연교(連翹), 황금(黃芩).
                                                                    - 청열해독(淸熱解毒)
  10) 음허감모(陰虛感冒)
                      症狀 : 몸에 열이 나고 바람과 추위가 좀 두려우며(身熱微惡風寒), 두통
                              이 있고 땀이 나며(頭痛无汗), 머리가 어지럽고 마음이 괴로우
                              며(頭暈心煩), 목이 마르고 건조하다(口渴咽乾), 손바닥과 발바
                              닥에 열이 나고(手足心熱), 기침하며 소량의 가래가 있다(咳嗽少
                              痰), 혀는 붉고(舌紅), 맥은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는 사
                              이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細數).
                      治法 : 음(陰)을 보태어 표사(表邪)를 해제하고(滋陰解表), 풍(風)을 통
                              하게 하여 폐기(肺氣)를 펴게(宣發)한다(疏風宣肺).
                      方葯 : 가감위유탕(加减葳蕤湯) ≒ 옥죽(玉竹), 총백(葱白), 두시(豆豉),
                                                                    길경(桔梗), 박하(薄荷), 백미(白薇),
                                                                    감초(甘草), 대조(大棗).
                      加减 ① 목이 마르고 마음이 괴로운(心煩口渴) 경우
                                加 황연(黃連), 죽엽(竹葉), 천화분(天花粉). - 청열생진(淸熱生
                                                                                      津) 제번지갈(除煩止渴).
                            ② 기침하며 목구멍이 건조하고(咳嗽咽乾) 가래가 시원스럽게 나
                                오지 않는(咯痰不爽) 경우: 加 우방자(牛蒡子), 사간(射干), 과
                                루피(瓜蔞皮). - 이인화담(利咽化痰).
                            ③ 기침하며 가슴이 아프고(咳嗽胸痛) 가래 속에 피가 섞여 나오는
                                (痰中帶血) 경우 : 加 선모근(鮮茅根), 생포황(生蒲黃), 우절(藕
                                                              節). - 청폐양혈(淸肺凉血).
                            ④ 대변이 건조한(大便乾燥) 경우 : 加 생지(生地), 현삼(玄參).-
                                                                                증액윤장(增液潤腸).
3. 류증감별(類證鑒別)
    감기(感冒)는 풍온(風溫), 비연(鼻淵), 유아(乳蛾), 상한(傷寒), 열비(熱痹), 마진(痲疹)
    등의 병증(病症)과 구별해야 한다.
    1) 풍온(風溫)
              풍온 초기증상과 감기증상이 두루 유사하다(感冒頗似). 풍온의 병세가 급하
              게 진행되고(病勢急驟), 신열(身熱)도 비교적 중하고(熱勢較重), 대부분 기침
              (咳嗽)을 하고, 가슴이 아픈 등 폐경(肺經)의 증상(證狀)을 보이고 있다.
              감기는 일반적으로 열(熱)이 나지만 심하게 높지 않다. 비강증상(鼻腔症狀)
              이 비교적 뚜렷하고, 병정(病情)이 비교적 경(輕)하며, 일반적으로 전변(傳
              變)되지 않고, 병정(病程)이 짧으며, 예후(豫后)가 양호(良好)하다. 
    2) 비연(鼻淵) : 뇌루(腦漏) - 부비강염(副鼻腔炎) 일종의 축농증(蓄膿症)
              감기와 비연은 코가 막히고, 콧물을 흘리며, 두통증이 있는 것이 균등 하다.
              그러나 비연은 많은 량의 탁한 콧물을 흘리며 또 비린내가 나고, 병정(病
              程)이 길고, 반복해서 발작한다. 그러나 발열(發熱), 오한(惡寒) 등 증상은
              없다.
              감기는 대부분 맑은 콧물을 흘리며 비린내 같은 냄새의 맛은 없다. 병정(病
              程)이 짧은데 병행하여 기타 외감표증(外感表證)을 수반한 것을 볼 수 있다.
    3) 유아(乳蛾) : 잠아(蠶蛾) - 급성편도선염(急性扁桃腺炎)
              감기와 유아는 균등하게 발열(發熱), 오한(惡寒), 인통(咽痛) 등 증상이 있
              다. 유아(乳蛾) 환자는 양쪽 혹은 한쪽의 인후(咽喉)가 빨갛게 크게 부어오
              르고, 늘 누렇거나 흰색의 고름 같은 분비물이 있고, 심한 경우에는 추운
              것을 싫어하면서 몸에는 장열이 있는(憎寒壯熱) 것들이 일반 감기와 구별해
              야 할 점이다. 
    4) 마진(痲疹)
              마진 초기에는 발열오한(發熱惡寒)이 있고, 코기 막히고, 콧물을 흘리며, 기
              침하며 가래를 뱉는 등 감기와 상사(相似)하다. 그러나 마진(痲疹)은 눈이
              붉고 빛을 싫어하며, 눈꺼풀이 약간 붓고, 왕왕 눈물을 흘린다. 구강점막(口
              腔粘膜)에 진(疹, 두창(痘瘡))이 있는 등 상세한 변석(辨析)이 어렵지 않게
              구분된다.
    5) 상한(傷寒)
              감기와 상한은 모두 외사(外邪)에 감수(感受)된 병이다. 감기는 발병이 경
              (輕)하고, 사기(邪氣)가 폐위(肺衛)를 범한 것으로 변화가 적은 질환이다.
              외사에 감수된 상한은 발병이 중하고, 경락을 통하여 안으로 전이(傳移)되
              고, 심하면 폐장(肺臟)을 침범하게 된다. 비교적 증상의 변화가 많다.
              임상표현상 감기는 풍한(風寒)을 두려워하는 것이 심하지 않고, 발열이 고
              열이 아니다. 그러나 상한(傷寒)은 풍한(風寒)을 두려워함이 비교적 중하며,
              대부분 두통(頭痛), 요통(腰痛), 골절동통(骨節疼痛)을 볼 수 있고 또 발열
              (發熱)이 비교적 심하다.
    6) 열비(熱痹)
              열비가 초기에는 감기와 상사(相似)한 점은 발열(發熱), 지체관절동통(肢體
              關節疼痛)등 이다.
              열비(熱痹)는 관절부위가 빨갛게 붓고 열이 나며 아프고, 병정(病程)이 비교
                                  적 길며, 병세(病勢)가 비교적 중(重)하다.
              감기(感冒)는 관절홍종(關節紅腫)이 없는 것이 다른 점이다. 

4. 경험방(經驗方)
    1) 유행성감기에 대한 예방과 치료
        대청엽(大靑葉), 판람근(板藍根), 관중(貫衆) 各30g. 물로 끓여 차(茶)를 마시듯
        수시로 마신다.
    2) 겨울과 봄철에 풍한(風寒) 사기(邪氣)에 감수된 감기(感氣)의 치료와 예방
        관중(貫衆), 소자(蘇子), 형개(荊芥) 各10g, 감초(甘草)3g.
        물에 끓여 마시기를 3일간 계속 한다.
    3) 풍열감기(風熱感氣)
        선잠해표탕(蟬蚕解表湯) ≒ 선탈(蟬脫), 강잠(僵蚕), 판람근(板藍根), 연교(連翹),
                                              상엽(桑葉) 各10g, 박하(薄荷)9g, 노근(蘆根)15g.
                                              이상의 약은 물에 30분간 담가 두었다가 맹렬한 불
                                              에 15분간 달이기를 2번 한 약액(葯液)을 혼합하여
                                              복용한다. 병정(病情)의 경중(輕重)에 따라 매일 1~2
                                              제(劑)를 2~4번 따뜻하게 온복한다.
 
    4) 여름 감기 : 서습형감모(暑濕型感冒) - 예방과 치료
        곽향(藿香), 풍란(偑蘭) 各5g, 박하(薄荷)2g. 끓여서 음료수처럼 마신다.
    5) 서령감모합제(暑令感冒合劑) ≒ 향유(香薷)6g, 곽향(藿香), 풍란(偑蘭), 후박(厚朴)
                                                  各10g, 자비파엽(炙枇杷葉)12g, 압척초(鴨跖草)15.
                                                  이상의 약을 적당한 물에 30분간 담가 두었다가
                                                  맹렬한 불에 10분간 끓여 복용하는데 하루에 1제
                                                  (劑)를 달여서 2번으로 나누어 복용한다. 
    6) 음허감모(陰虛感冒)
        람지탕(藍地湯) ≒ 판람근(板藍根), 생지(生地) 各50g, 맥문동(麥門冬), 지모(知
                                  母), 상엽(桑葉) 各20g, 길경(桔梗), 선탈(蟬脫) 各15g.
                                  매일 1제를 2번 달여서 2~3번으로 나누어 복용한다.
5. 외치(外治)
    1) 풍한감모(風寒感冒)
        총백두(葱白頭), 생강(生姜) 各30g, 식염(食鹽)6g, 백주(白酒) 1잔(盅).
        앞에 3미(味)를 문드러지게 찧어서 풀처럼 만든 다음 술을 고르게 섞은 후 사포
        (紗布)에 싸서 흉부(胸部)와 배부(背部)를 문지른다. 손, 발바닥과 오금에 이르기
        까지 골고루 문지른 후에 환자를 편안하게 앉게 하면, 일반적으로 30분 후에는
        땀을 흘리게 된다.
    2) 풍한감모(風寒感冒)
        백지(白芷)3g, 빙편(氷片)0.6g. 을 함께 곱게 갈아서 체로 처서(過篩), 단지에 밀
        봉하여 저장해서 사용한다. 사용방법은 약(葯)을 면(棉)에 싸서 환자의 한쪽 콧구
        멍에 30분간 넣는다. 매일 3회씩 3일간을 1 료정(療程)으로 하며 매회 마다 좌우
        콧구멍을 교체하면서 실시한다.
    3) 풍열감모(風熱感冒)
        상엽(桑葉), 국화(菊花), 박하(薄荷) 各10g, 연교(連翹)20g, 생강(生姜)10g, 계지
        (桂枝)6g, 청총(靑葱)1根.  절구로 찧은 것을 둘로 나누어 포대(布袋)에 담아서
        20분간 달인 것으로 모가지, 어깨와 잔등(頸,項,肩,背)을 문지르며 훈세(熏洗)한
        다. 약포가 식으면 교대하여 30~40분간 매일 2회, 3일간을 1 료정으로 한다.
        기타 부위에도 약즙으로 훈세(熏洗)하면 효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4) 풍열감모(風熱感冒)
        은화(銀花), 연교(連翹) 各4g, 길경(桔梗)2.4g, 형개(荊芥)1.6g, 박하(薄荷) 우방자
        (牛蒡子) 各2.4g, 담두시(淡豆豉)2g, 감초(甘草)2g, 죽엽(竹葉)1.6g.
        이상의 약들을 곱게 갈아서 체에 친 것을 사포(紗布)에 싸서 배꼽 위(신궐혈(神闕
        穴)에 부착해서 고정시킨 후 4~6시간씩 하루에 2번 한다. 

6. 연구(硏究
    1) (왕흠산(王欽山) 等 湖北中醫雜志 1984, ⑶ : 34)
        유행성감모(流行性感冒) 393예
        시갈해기탕(柴葛解肌湯) 가감(加减) ≒ 방풍(防風)1500g, 시호(柴胡) 강활(羌活)
                        各1200g, 국화(菊花), 생석고(生石膏) 各3000g, 감초(甘草)1000g, 물
                        75리터에 8시간 침포(浸泡)한 후 25리터가 되도록 달여서 고압소독
                        용 항아리에 밀봉하여 저장해 놓고, 성인에게 매일 2회 125㎖씩 복용
                        케 하였다.
                        고열(高熱) 증상이 중한 환자에게는 약량을 배로 하고, 소아는 약량
                        을 줄여서 치료한 결과 복약 후 48시간 안에  증상이 기본적으로 소
                        실된 자가 378예, 무효(无效) 즉 49시간 후 증상개선이 확실하지 않
                        은 자 15예로 나타났다.

    2) (中醫硏究院中葯硏究所 中醫雜志 1985, 26 ⑿ : 13)
        정시호음(正柴胡飮)으로 보통감기에 대한 임상관찰
        정시호음(正柴胡飮)은 유행성감모(流行性感冒) 병독 감염에 대하여 유효한 치료효
        과가 있다. 또 그와 함께 항균(抗菌), 진통(鎭痛), 해열(解熱), 항염(抗炎)과 유기
        체(有機体)의 면역공능(免疫功能)을 높여주는 공능이 있다.
        본방과 판람근충제(板藍根冲劑)를 선후로 급약(給葯)한 것과 각기 양쪽의 치료효
        과를 관찰하고 비교한 것을 기초로 한 것이다.
        ≪景岳全書≫의 약량(劑量) 비례에 의하여 시호(柴胡), 진피(陳皮), 방풍(防風), 백
        작(白芍), 감초(甘草), 생강(生姜) 등을 충제(冲劑)로 만든 정시호음(正柴胡飮)을
        매일 3회, 매회 12g씩 복용한 666예이다.
        복약 후 48시간이 지난 결과 주요증상(主要症狀) 소실(消失) 혹은 90%이상 호전
        (好轉)되었다.
        정시호음(正柴胡飮)을 복용한 666예 중에서 526예(79%), 판람근충제(板藍根冲
        劑)를 복용한 238예 중에서 130예(54.6%)로 나타났다.

    3) (오진서(吳震西) 中醫雜志 1991, 32 ⑾ : 56)
        감기(感冒)로 인한 발병(發病)에 대한 외치방법(外治方法)
        ⑴ 흡입법(吸入法)
                      변증(辨證)을 근거로 신온(辛溫) 혹은 신양(辛凉)한 방제(方劑)를 사용
                      하려 할 때 뜨거운 전즙(煎汁)을 보온병에 담은 후 적당한 거리를 유
                      지하고 코(鼻)로 증기(蒸氣)를 흡입한다.
        ⑵ 적비법(滴鼻法)
                      시호주사액적비(柴胡注射液滴鼻) - 아동감모(兒童感冒)
                                            ① 신생아(新生兒) : 매번 1쪽 비공(鼻孔) 1방울.
                                            ② 2~6 개월    : 비공(鼻孔)에 2방울.
                                            ③ 7~12개원    : 비공(鼻孔)에 3방울
                                            ④ 1~4세        : 비공(鼻孔)에 4방울
                                            ⑤ 4~6세        : 비공(鼻孔)에 5방울
                                            ⑥ 7~14세        : 비공(鼻孔)에 6방울
        ⑶ 첩용천법(貼湧泉法)
                        처방(處方) : 백개자(白芥子)20g, 오수유(吳茱萸), 장뇌(樟腦) 各10g.
                                          위의 약제를 갈아서 계란 흰자위로 비저서 떡처럼 만든
                                          것을 양쪽 용천혈(湧泉穴)에 나누어 붙이고 붕대를 감
                                          아 고정하고 24시간을 보낸다.
                                          치료를 끝낼 때는 더운물에 적신 천을 따뜻하게 대어
                                          불려서 떼어준다. 효력이 없을 때는 다시 시행한다. 
        ⑷ 부제법(敷臍法)
                      처방(處方) : 황연(黃連), 호장(虎杖) 各30g을 백주(白酒)  혹은 75%
                                        청주(淸酒) 500㎖ 에 1주일간 침포(浸泡)시킨 후 걸러낸
                                        약액을 병에 밀봉해서 저장하고 사용할 때 약간의 면(棉)
                                        으로 약액을 적당히 적셔서 배꼽위에 바른다.
                                        일반적으로 30분이면 사열(邪熱)이 물러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