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0-08 16:23
[침구임상(針灸臨床)] 통경(痛經) - II menorrhalgia. (de) Menstruationsschmerzen.
 글쓴이 : admin
조회 : 10,190  
통경(痛經) menorrhalgia. (de) Menstruationsschmerzen.

통경이란 부녀자가 행경전후(行經前后) 혹은 행경기간(行經期間) 안에 출현하는 주기성 소복동통(小腹疼痛) 혹은 그 통증이 허리와 엉덩이의 꼬리뼈에 이르는 것이다(痛引腰骶).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정신을 잃고 혼궐(昏厥)하는 부녀자가 있어서 통경(痛經)이라 부르며 또는 경행복통(經行腹痛)이라고도 한다.
본병은 주로 청년 부녀에게서 비교적 많이 볼 수 있는 상견병(常見病)중에 하나이로서 그 임상표현은 행경(行俓) 첫날과 둘째 날 혹은 경전(經前) 하루나 이틀 전에 아랫배가 아픈 소복동통(小腹疼痛)이 발작하는 것이다. 한편 소수의 부녀자는 경기(經期)가 지난 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있다.
동통(疼痛)은 배 전체를 잡아 뜯는 것 같고 혹은 허리와 엉덩이가 아프며, 따라서 외음(外陰, 性器)이 아프고, 항문(肛門)이 떨어져 나가는 듯이 아프며(墜痛),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嘔吐)하며, 소변을 자주보고, 변비 혹은 설사(腹瀉)를 하며, 심한 경우에는 그 통증을 참기 어렵게 되고, 얼굴색이 창백해지고, 식은땀을 줄줄 흘리며, 사지(四肢)가 말단으로부터 차가워져 울라오고 어지러워 쓰러질 지경이 되는 허탈증상(虛脫症狀)이 된다.
주요한 이유는
⑴ 실증(實證) : 경혈(經血)의 운행(運行)이 잘 소통되지 않기 때문이다(不暢).
                      ① 기혈(氣血)이 잘 소통(疏通)되지 않는 불창(不暢)한 자는 실증(實證)
                          에 속하는데 그 병인은 평소에 정서가 불안정한 생활로 인하여 정지               
                          가 실조(情志失調)됨으로 해서 기체혈어(氣滯血瘀)로 된 것이며,
                      ② 행경기(行經期)에 한사(寒邪)의 침습(接受)을 받은 것이 포맥(胞脈)에
                          응결(凝結)된 대문이고,
                      ③ 습열(濕熱)이 충임맥(冲任脈)을 험하게 가로 막은 탓이며,
                      ④ 간화(肝火)가 울결(鬱結)되어 어혈(瘀血)과 열(熱)이 험난한 상태가
                          되는 등이다.
⑵ 허증(虛證) : 혈허(血虛)로 인하여 경맥이 실양(失養)되었기 때문이다.
                      ① 혈(血)이 부족하여 포맥(胞脈)을 유양(有養)하지 못하는 자는 허증
                          (虛症)에 속한다. 그 병인은 간신(肝腎)이 허손(虛損)되어 충임맥(冲
                          任脈)을 실양(失養)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② 비위(脾胃)가 허약(虛弱)하므로 기혈(氣血)을 생화(生化)하는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③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함으로 포맥(胞脈)이 온후(溫煦)하지 못하고
                          한냉(寒冷)하기 때문이다.
치료(治療)에서는 충임(冲任)을 조리(調理)하는 것을 위주로 해서, 실증(實症)은 통법(通法)을 사용하고, 허증(虛症)은 보법(補法)을 위주로 한다.
 
1. 변증요점(辨證要点)
    1) 동통시간(疼痛時間)
        일반적인 설에 의하면 통증이 월경 전 또는 경기(經期) 중에 있는 것은 실증(實
        症)이고, 통증이 경기(經期)가 지난 후에 오는 것은 허증(虛症)에 속한다고 한다.     
    2) 월경색질(月經色質)
        월경 량이 적고 색이 어두우며, 끈적끈적하게 걸고 핏덩어리가 섞인 것은 실(實)
        이고, 량이 적고 색이 담담하며, 질이 엷은 것은 대부분 허(虛)에 속한다.
    3) 동통성질(疼痛性質)
        동통의 성질이 일반적으로 꼬는 뜻이 아픈 교통(絞痛), 잡아당기는 듯이 아픈 체
        통(掣痛), 바늘로 찌르는 듯이 아픈 자통(刺痛), 칼로 찧거나 불로 지지는 듯이
        아픈 작통(灼痛)과 함께 손을 대면 통증이 심한 것 들은 실(實)에 속하고, 통증이
        은은하게 아픈 은통(隱痛), 떨어져 나가는 듯이 아픈 추통(墜痛), 쉬지 안고 계속
        적으로 아픈 면면작통(綿綿作痛) 손으로 누르거나 안으면 통증이 감소되고 편해
        지는 것은 허(虛)에 속한다.
        아랫배가 차고 아프며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이 감소되는 것은 한증(寒症)에 속하
        고, 칼로 찧는 듯, 불로 지지는 듯이 아프며,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이 더욱 극심
        해지는 것은 열증(熱症)에 속한다.
        배가 심히 부르면 따라서 아프고(脹甚于痛), 아프다가 멈추기를 반복하는 것은
        기체(氣滯)이고, 통증이 심해지며 배가 부르고(痛甚于脹), 지속적으로 아픈 것은
        혈어(血瘀)에 속한다.
    4) 동통부위(疼痛部位)
        통증(痛症)이 소복(少腹, 사타구니) 한쪽 혹은 양쪽에 있는 경우는 기체(氣滯)에
        속하고, 통증(痛症)이 소복(小腹, 배꼽 아래, 아랫배)에 있는 경우는 혈어(血瘀)에
        속하며 병은 포궁(胞宮)에 있다.
        소복(小腹)이 빈 것 같이 아프며, 그 통증이 허리와 잔등으로 이어진 요배통(腰背
        痛)은 병이 신(腎)에 있다.

2. 침구(針灸)
    1) 체침(体針)
              取穴 : 중극(中極), 지기(地機), 삼음교(三陰交).
                        중극(中極) : 중극혈은 임맥경혈(任脈經穴)에 속하고, 포궁(胞宮)을
                                          통과하며, 충임(冲任)을 조리(調理)하여, 포맥(胞脈)을 따
                                          뜻하게 한다.
                        지기(地機) : 지기혈은 비경(脾經)의 극혈(郄穴)로서, 건비(健脾)하며,
                                          조혈(調血)하고, 또 경락을 소통하여 통증을 멈추게 하는
                                          기능이 있다.
                        삼음교(三陰交) : 삼음교혈은 조기(調氣)하며 행혈(行血)하게 하고, 경맥
                                                을 조리하여 통증을 멈추게 하는 요혈(要穴)이다.
                        이상의 혈들에 배오(配伍)는 경맥을 소통시키어서 통증을 멈추게 하는
                        공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加减 ① 기가 막혀서 혈 역시 소통되지 못하고 어(瘀)가 된(氣滯血瘀) 경우.
                          加 기해(氣海), 행간(行間), 태충(太冲).
                              ⓐ 기해혈이 중극혈과 배오하여 충임맥의 소통을 가강(加强)시
                                  켜서 기혈을 조리하는 역량(力量)을 얻게 되고
                              ⓑ 행간(行間), 태충혈(太冲穴)은 울결(鬱結)된 간기(肝氣)를 소
                                  통(疏通)해서, 기(氣)를 순리(順理)롭게 하고 경맥을 조리한
                                  다(理氣調經).
                        ② 한사가 포맥에 응결된(寒凝胞脈) 경우
                            加 관원(關元), 공손(公孫), 수도(水道).
                                균일하게 뜸으로(灸法) 치료해서 경맥을 따뜻하게 하여 한사를
                                소산시키고(溫經散寒), 비(脾)를 튼튼하게 하여 습사(濕邪)를 제
                                거하며(健脾祛濕) 경맥을 소통시켜서 통증을 멈추게 하는(痛經
                                止痛) 것이다.
                        ③ 습과 열이 뒤엉킨(濕熱阻滯) 경우
                            加 수도(水道), 태충(太冲), 행간(行間).
                                균일하게 사법(瀉法)을 사용해서 비(脾)를 튼튼히 하여 습사를
                                제거하고, 열을 맑게 해서 막힌 것을 통하게(淸熱通滯)한다.
                        ④ 담과 열이 정기(正氣)를 핍박하는(痰熱交阻) 경우
                            加 격수(膈兪), 혈해(血海), 태충(太冲), 합곡(合谷).
                                균일하게 사법(瀉法)을 사용한다.
                                ⓐ 격수(膈兪), 혈해(血海) : 혈을 움직여서 어혈을 몰아내고(活
                                                                      血逐瘀).
                                ⓑ 태충(太冲), 합곡(合谷) : 열화(熱火)를 내리고 맑게(淸熱瀉
                                                                      火) 한다.
                        ⑤ 간신이 허손(肝腎虛損) 된 경우
                            加 간수(肝兪), 신수(腎兪), 대혁(大赫), 관원혈(關元穴).
                            균일하게 보법(補法)을 사용한다.
                            간유(肝兪) : 음을 키우고 혈을 보(養陰補血) 하며
                            신수(腎兪), 관원(關元) : 하초(下焦)와 원기(元氣)를 보하고
                            대혁(大赫) : 신정을 보하고 조리(調補腎精)한다.
                        ⑥ 기혈이 허약한(氣血虛弱) 경우
                            加 비수(脾兪), 관원(關元), 혈해(血海), 족삼리혈(足三里穴).
                            균일하게 보법(補法)을 사용한다.
                            비수(脾兪) : 비를 튼튼히 하여 혈을 양생(健脾養血)하고,
                            관원(關元) : 강장(强壯)의 요혈(要穴)로서 하원(下元)을 따뜻하
                                              게 보(補)하여 충임맥(冲任脈)을 조리한다.
                            혈해(血海) : 혈을 보하고 조절(補血調血)하며,
                            족삼리(足三里) : 비위(脾胃)를 보하고 기혈(氣血)을 보태주는
                                                  공능이 있다.
                        ⑦ 비위가 허한(脾胃虛寒)한 경우
                            加 비수(脾兪), 위수(胃兪), 중완(中脘), 관원(關元). 족삼리(足三里).
                                균일하게 뜸(灸法)으로 보법(補法)을 사용한다.
                                비수(脾兪), 위수(胃兪) :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보하고
                                중완(中脘), 관원(關元) : 중초를 따뜻하게 하여 한사를 흩어지
                                                                  게(溫中散寒) 한다.
                                족삼리(足三里) : 비위(脾胃)를 조화롭게 하고 튼튼히 한다(健脾
                                                        和胃)
    2) 이침(耳針)
                取穴 : 자궁(子宮), 병간(屛間), 뇌(腦), 하각단(下脚端), 요복구(腰腹區).
                        소독한 후 호침(毫針)을 자입(刺入)시켜 15~30분간 유침(留針)시킨
                          다. 유침하는 동안 1~3번 염전(捻轉)하며, 매일 1~2회 치료한다.
                          진통효과가 매우 좋은 편이어서 일반적으로 2~3회 치료하면 증상
                          (症狀)이 완해(緩解)된다.
                          매침법(埋針法)도 가능하다. 매침법을 사용하는 경우 유침 시간은
                          24시간 정도로 한다.
    3) 전기침(電氣針)
                  완고(頑固)한 통경(痛經)일 때
                  取穴 ① 주혈(主穴) : 관원(關元),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② 배혈(配穴) : 기해(氣海), 중극(中極), 귀래(歸來), 신수(腎兪), 족
                                                삼리(足三里), 태충(太冲).
                  操作 : 밀파(密波) 혹은 연속파(連續波), 전량(電量)은 중간 정도로 자격
                            (刺激)을 유도하고, 매일 1~2회, 매번 15~30분간 통전 시간으로
                            한다.
    4) 혈위주사(穴位主射)
                    取穴 : 신수(腎兪), 상료(上髎), 기해(氣海), 관원(關元), 삼음교(三陰交),
                              혈해(血海).
                    用法 : 매번 1~3혈에 당귀주사액(當歸注射液)을 2㎖에 1% 염산포도당
                              을 2㎖를 주사한다.
                    加减 ① 요통이 중한 자 : 요부(腰部)에 1회
                            ② 복통이 중한 자 : 복부(腹部)에 1회
                                ① 또는 ② 와 배합해서 하지(下肢) 양쪽 각기 1혈(穴)에 1㎖씩
                                매일 1~2회 주사하며, 연속으로 2~5일간 치료 한다.
                    操作 : 월경이 오기 전 1~2일에 개시한다.
                    豫防 : 통경발작을 예방하는 것은 증상이 비교적 경(輕)한 환자로서 월
                              경주기가 올 때  주기적으로 연속 3~5회 치료하는 방법이다.
    5) 피부침(皮膚針)
                  取穴 : 요저부(腰骶部), 하복부(下腹部), 대맥구(帶脈區), 소퇴내측(小腿內
                          側), 관원혈(關元穴), 양성물처(陽性物處, 性器部位).
                  操作 : 중도(中度) 혹은 중도(重度)로 요저부(腰骶部), 복고구(腹股泃), 기
                          해(氣海), 삼음교(三陰交), 기문(期門)등을 중점적으로 하루에 1번
                          빨갛게 되어 피가 스며서 나오되도록(滲出) 두드려 준다.
    6) 완과침(腕踝針)
                  취(取) : 내과(內踝) 꼭지로부터 위로 삼횡지(三橫指)되는 곳, 근건내연(跟
                              腱內緣) 쪽이다.
                    操作 : 30호 호침(毫針)을 사용하여, 의사의 엄지, 식지와 중지로 침을 쥐
                            고, 외쪽 엄지를 꺾어 세워 피부를 누르고 침끝을 피부에 자입(刺
                            入)시킬 때 침체와 피부의 각도를 30℃ 를 유지하고, 모지 끝에서
                            침병을 돌려가며 위를 향해서 피하(皮下)에 1.4촌 자입(刺入)한다.
                            유침 약 30분간.
    7) 침도법(針挑法)
                  取穴 : 관원(關元), 중극(中極), 귀래(歸來), 대혁(大赫), 상료(上髎), 상료
                            (上髎), 차료(次髎).
                  操作 : 매번  도(挑) 2 점(点), 연도(連挑) 2~3일
                  治療 : 월경이 있을 때 통경(痛經)이 있기 전 3일, 후 3일
                            각도(各挑) 1 회, 매회 1~2점

3. 추나(推拿) : 안마(按摩)
          處方 : 마(摩) - 기해(氣海), 관원(關元) 各 6 분간, 유(揉) 2 분간.
                    안(按, 곤(滾)) - 신수(腎兪), 팔료(八髎) 各 4 분간.
          加减 : 기체혈어(氣滯血瘀) : 안유(按揉) - 장문(章門), 기문(期門), 간수(肝兪),
                                                        격수(膈兪) 매혈 30초간.- 행기활혈(行氣活血).
                    한습응체(寒濕凝滯)
                                ① 찰(擦) - 배부(背部) 독맥(督脈)
                                ② 횡찰(橫擦) - 신수(腎兪), 명문(命門).-투열(透熱)
                                ③ 안유(按揉) - 혈해(血海), 삼음교(三陰交). 매혈 1분간.
                                                      온통경맥(溫通經脈) 산한이습(散寒利濕)
                    기혈허약(氣血虛弱)
                                  직찰(直擦) : 배부(背部) 독맥(督脈)
                                  횡찰(橫擦) : 왼쪽 배부(背部)
                                  혹 마복(摩腹) : 加 중완(中脘) 2~3분간
                                  혹 안유(按揉) : 비수(脾兪), 위수(胃兪), 족삼리(足三里).
                                                        매혈(每穴) 1 분간
                      건비화위(健脾和胃), 조보기혈(調補氣血

4.  연구보고(硏究報告)
  1) 陣俊鴻(진준홍) 등, 中國針灸, 1985, 5 ⑵ : 6
        통경환자 85명에 대한 변증분형에 따라 피내침(皮內針) 치료를 실시한 임상견해
        ⑴ 기체혈어형(氣滯血瘀型) 취혈(取穴) : 중극(中極), 삼음교(三陰交), 혈해(血海).
        ⑵ 한습응체형(寒濕凝滯型) 취혈(取穴) : 명문(命門), 대맥(帶脈), 관원(關元).
        ⑶ 기혈양허형(氣血兩虛型) 취혈(取穴) : 족삼리(足三里), 기해(氣海), 관원(關元).
        ⑷ 간신휴손형(肝腎虧損型) 취혈(取穴) : 관원(關元), 태충(太冲).
        이상의 변증분형에 의한 환자들에게 균일하게 미약한 침자격(針刺激)으로 시치
        (施治)하였으며 침감(針感, 酸麻脹感)도 구하지 않았다. 득기(得氣)가 없어도 증상
        이 개선되어가는 정황이 확정되었다.
        결과 기체혈어형(氣滯血瘀型) 치유(治愈) 24예, 현저한 효과 6예, 진보(進步) 4예,
        유효(有效) 34예, 무효(无效) 1예.
        한습응체형(寒濕凝滯型) 치유(治愈) 13예, 현저한 효과 4예, 진보(進步) 2예,
                                          유효(有效) 19예, 무효(无效) 1예.
        기혈양허형(氣血兩虛型) 치유(治愈) 6예, 현저한 효과 5예, 진보(進步) 3예,
                                          유효(有效) 14예, 무효(无效) 1예.
        간신휴손형(肝腎虧損型) 치유(治愈) 8예, 현저한 효과 3예, 진보(進步) 3예,
                                          유효(有效) 14예, 무효(无效)1예.
        치유율 60%, 현저한 효과 21%, 유효율(有效率) 95%


    2) 詹闖(첨틈) ․ 針灸硏灸, 1989, ⑴ : 268
        중증(重症) 통경환자 32명 침구치료(針灸治療) 연구보고
        취혈(取穴) :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위주
                          한쪽(좌 또는 우) 합곡혈(合谷穴)과 대측(對側)(우 또는 좌)의
                          삼음교혈(三陰交穴)을 취하여 시침(施針)하였다.
                          ⑴ 한습응체형(寒濕凝滯型) 加灸 관원혈(關元穴).
                          ⑵ 기체혈어형(氣滯血瘀型) 加針 기해혈(氣海穴).
        제삽(提揷)과 염전(捻轉)을 반복하는 수법으로 합곡(合谷)과 삼음교(三陰交)에
        사법(瀉法)을 실시하면서 20분간 유침(留針)하였다.
        매일 침구치료 1회씩 3회를 1 료정으로 32예 실시한 결과 전유(痊愈) 20예
        (62%), 유효(有效) 11예(34.4%), 무효(无效) 1예(3.1%)로서 총유효율 96.9%

    3) 劉宗漢(유종한) ․ 山東中醫雜志, 1986, 5 ⑹ : 28
        통경환자 147명에 대한 안마치료(按摩治療)를 실시한 결과 보고
        ⑴ 부와(俯臥) : 엎드린 자세로 환자를 누이고 안마사(按摩師)는 모지(母指)로 요
                              저추(腰骶椎) 양측에 동통(疼痛), 민감점(敏感点)을 5~7분간 지
                              압술(指壓術)을 한 후
        ⑵ 앙와(仰臥)  ① 환자를 반듯하게 누인 후에 안마사(按摩師)는 손바닥 장근(掌
                                根)으로 관원혈(關元穴) 을 중심으로 소복부(小腹部)를 누르는
                                듯이 문질러 주기를 7~10분간 하고,
                            ② 안마사(按摩師)의 양손 모지(拇指)로 양쪽 삼음교혈(三陰交穴)
                                을 3~5분간 지압술(指壓術)을 한다.
        기체혈어(氣滯血瘀) ① 가압(加壓) : 간수(肝兪), 태충(太冲), 침골하연(枕骨下緣).
                                    ② 압유(壓揉) : 전중혈(膻中穴)로부터 흉부(胸部)를 누르는
                                                          듯이 문질러 주고
                                    ③ 고타(叩打) : 팔료혈(八髎穴)을 두드려 준다
        한습응체(寒濕凝滯) ① 가압(加壓) : 지기(地機), 풍륭(豊隆).
                                    ② 찰(擦) - 저부(骶部) - 엉덩이를 비벼준다.

        허증(虛症) 치료는 상술한 순서대로 시술(施術)하면서 보법(補法)으로
        ⑴ 기혈허약(氣血虛弱) 가유압(加揉壓) - 비수(脾兪), 위수(胃兪), 중완(中脘), 족
                                                              삼리(足三里), 공손(公孫).
        ⑵ 간신휴손(肝腎虧損) 가유압(加揉壓) - 신수(腎兪), 간수(肝兪), 비수(脾兪), 혈
                                                              해(血海), 용천(湧泉) 등 과민점(過敏点)
        매일 1회, 10회 1료정(療程).  1~3 료정(療程)
        결과 전유(痊愈) 121예, 현저한 효과 26예.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