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0-10 16:16
[침구임상(針灸臨床)] 음양(陰痒) - II
 글쓴이 : admin
조회 : 9,988  
음양(陰痒)

부녀자의 외음(外陰)과 음중(陰中)이 가려워서 적절한 생활이 어려운 상태에 이르게 되고 심지어 참기 어려워 좌와불안(坐臥不安)이 된다. 이와 같은 양통(痒痛)의 파급(波及)이 항문(肛門) 주위에까지 이르는 것을 가리켜서 음양(陰痒)이라고 하는 것이다. 또는 “음닉(陰䘌)”이라고도 하는 “음문소양(陰門瘙痒)” 이다.
주요한 표현은 외음부가 가렵고, 심한 경우는 무작정 가려워 좌와불안이 된다. 또 음부(陰部)에 습진(濕疹), 또는 음부의 피부가 마르고 파열되어서 껄끄럽거나 혹은 위축되고 음중(陰中)이 불로 지지는 뜻한 작열감(灼熱感)이 난다. 계속 긁어서 황수(黃水)가 삼출 되고 방울져 흐르거나 혹은 피부가 파열되고 피가 삼출(滲出)된다.
음양(陰痒)의 발병은 ① 대체로 비장(脾臟)이 허(虛)한 탓으로 습(濕)이 성(盛)하게 되고 또 습(濕)이 오랜 동안 울적(鬱積)하게 되어 열(熱)이 된 습열(濕熱)이 하초(下焦)로 내려같거나 ② 혹은 간기(肝氣)가 울결(鬱結)된 것이 오래 되어 열(熱)로 화하고 습(濕)과 더불어 하주(下注)하였거나, ③ 혹은 병충(病虫)에 감염(感染)되어서 음중(陰中)이 충식(虫蝕)되거나, ④ 혹은 간신음허(肝腎陰虛)로 정혈(精血)이 줄어들고 말라서 조(燥)하게 되어 풍(風)을 일으킴으로 음부(陰部)가 실양(失養)하게 된 것이다.
전자는 대체로 실증(實證)이고 후자는 대체로 허증(虛證)이다.
치료(治療)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다.
실증(實證) : 청열(淸熱), 삼습(滲濕), 지양(止痒)을 위주로 하고, 병충에 감염된 환자는           
                  겸하여 살충(殺虫)해서 지양(止痒)하는 방법으로 치료 한다.
허증(虛證) : 음을 부추기고 혈을 키워(養血益陰), 풍사(風邪)를 제거해서 가려움을 멈추
                  게(祛風止痒) 한다.
 
1. 변증요점(辨證要点)
    1) 백대(白帶)
                백대의 량이 많아서 음양을 수반하게 되면 ① 색이 미황(微黃)인 것은 대체
                로 습(濕)이 편성(偏盛)한 때문이고 ② 색이 누렇고, 질이 끈끈하며, 냄새가
                고약한 것은 대체로 습(濕)과 열(熱)이 함께 모두 왕성(濕熱俱盛)하기 때문
                이며 ③ 색이 누렇고 마치 고름과 같거나(色黃如膿), 혹은 물과 같이 맑거
                나(淸稀如水), 혹은 거품과 같은 모양(如泡沫樣)이거나 혹은 두부를 빼고 난
                비지 같고(如豆腐渣樣) 냄새가 고약하며(穢臭), 음중(陰中)이 기이하게 가렵
                고, 바늘로 찌르는 듯이 아프거나(陰中奇痒刺痛), 혹은 소변을 자주 급하게
                (小便頻急)보게 되고 불로 지지는 뜻한 작통(灼痛)이 나타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대체로 습열(濕熱)과 충식(虫蝕)으로 인한 것이다. ④ 음부(陰部)가 마
                르고 껄끄러운 것은 백대 량이 적거나 심한 경우이고, 백대가 없는 환자는
                간신(肝腎)이 음허(陰虛)하고, 정혈(精血)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2) 국부표현(局部表現)
        ① 음부(陰部)가 발갛게 붓고, 불로 지지는 뜻 한 통증(紅腫灼痛)이 있는 것은 대
            체로 습과 열이 함께 모두 성하기(濕熱俱盛) 때문이며,
        ② 음부(陰部)의  피부가 건조하고 껄끄럽고(皮膚乾澁), 광택을 잃은缺乏光澤)것
            과, 혹은 살 비늘이 일어나는 것을 보게 되고(或見脫屑), 심한 경우에는 혹 피
            부(皮膚)가 트고 갈라지는(甚或皸裂) 환자는 대부분 혈(血)이 마르고 풍(風)이       
            왕성(血燥風盛)하며,
        ③ 외음이 메마른(外陰乾枯) 환자는 대부분 간신(肝腎)이 부족하다.     
2. 변증시치(辨證施治)
    1) 비허습열(脾虛濕熱)
                      症狀 : 음부(陰部)가 가렵고 불로 지지는 뜻한 통증이, 심해지면 좌와불
                              안(坐臥不安)이 되고, 마음이 괴롭고 수면시간이 적으며 혹은
                              대하(帶下) 량이 많고, 대하(帶下)가 끈적끈적하며, 냄새가 고약
                              하게 나고, 혹은 위완부(胃脘部)가 답답하고 음식을 먹을 수가
                              없고 먹으면 토하게(脘悶納呆) 된다. 입이 쓰고, 미끈거리며, 대
                              변은 묽고 상쾌하게 나오지 않고 혹은 건결(乾結)하다. 혹은 소
                              변을 자주 급하게 보게 되고 소변볼 때 마다 지지는 듯이 아프
                              고, 혀가 붉고, 태는 황색이고 미끈미끈 하며, 맥유삭(脈濡數)
                              혹 활삭(滑數)하다.
                      治法 : 청열(淸熱) 삼습(滲濕) 지양(止痒)
                      方葯 : 비해삼습탕(萆薢滲濕湯) 가미(加味) ≒ 비해(萆薢), 의이인(薏苡
                                                仁), 황백(黃柏), 적복령(赤茯苓), 단피(丹皮), 택사
                                                (澤瀉), 통초(通草), 활석(滑石)., 창출(蒼朮).
                      加减 ① 소변황적(小便黃赤) 뇨도(尿道) 작열자통(灼熱刺痛)
                                  加 금전초(金錢草), 편축(萹蓄), 구맥(瞿麥), 진피(陳皮), 차전자
                                      (車前子).- 청열이습(淸熱利濕) 통림(通淋)
                              ② 음부(陰部) 홍종작통(紅腫灼痛), 대변건결(大便乾結) 혹 당이불
                                  상(溏而不爽).- 加 대황(大黃). - 청열해독(淸熱解毒), 사하열적
                                  (瀉下熱積), 소종지통(消腫止痛), 습열 사기(邪氣)를 대변을 따
                                  라 나가도록 한다.
                              ③ 습열온결(濕熱蘊結) 일구생충(日久生虫) 음부소양(陰部瘙痒).
                                  加 관중(貫中), 학슬(鶴蝨), 백선피(白鮮皮).-살충지양(殺虫止痒)
    2) 간경습열(肝經濕熱)
                    症狀 : 음부(陰部)가 심하게 가렵고, 외음(外陰)이 발갛게 붓고 지지는것 같
                              이 따가우며, 대하 량이 많고, 색은 황색이고, 질은 끈끈하며, 고약한
                              냄새가 나고, 혹은 마음이 괴롭고, 화를 잘 내며(心煩易怒),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아프며(胸脇脹痛), 눈이 발갛게 붓고 아프다(目
                              赤腫痛). 혹은 눈이 붓고 귀가 잘 들리지  않으며(耳聾目腫), 입이 쓰
                              고, 혹은 탁한 혈뇨(血尿)를 방울방울  흘리며(淋濁尿血), 설질은 붉
                              고, 태는 누렇고 미끈미끈하며 맥은 현삭혹활삭(弦數或滑數)하다
                    治法 : 청간사열(淸肝瀉熱), 제습지양(除濕止痒).
                    方葯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
                                              通), 차전자(車前子), 생지(生地), 시호(柴胡), 당귀(當
                                              歸), 치자(梔子), 황금(黃芩), 감초(甘草).
                    加减 ① 대변비결(大便秘結) : 加 대황(大黃).- 화열(火熱)의 사기(邪氣)
                                                                  를 대변으로 제거(除去)
                            ② 습열온결(濕熱蘊結) 생충(生虫) : 加 백선피(白鮮皮), 관중(貫中),
                                                          천련(川楝), 학슬(鶴蝨).- 살충지양(殺虫止痒).
    3) 감잡병충(感雜病虫)
                    症狀 : 음부(陰部)의 가려움이 음중(陰中)에 이르고, 참기 어려울 만큼
                              심하고 기이하게 가렵고(奇痒難忍), 혹은 개미가 기어가는 감이
                              (蟻行感) 나고, 대하 량이 많고, 혹은 두부를 짜고 난 찌꺼기와
                              같이(豆腐渣樣), 색이 누렇고 거품이 있으며, 질은 묽고 엷은데
                              (質稀薄), 냄새가 더럽고 고약하다(穢臭). 혹은 적대(赤帶)가 나
                              오고, 따라서 소변을 자주 보고, 오줌을 눌 때 아프며, 뇨감이
                              급하고, 혀는 붉으며, 태는 황색이거나, 혹은 황백 중간색이고,
                              맥은 삭맥(數脈)이다.
                          ※ 백대(白帶)에 매균(霉菌), 적충(滴虫)에 대한 현미경(顯微鏡) 검
                              사를 할 수 있다.
                    治法 : 살충지양(殺虫止痒), 청열이습(淸熱利濕)
                    方葯 : 사상자세방(蛇床子洗方)≒ 사상자(蛇床子) 화초(花椒) 명반(明礬)
                    加减 ① 음양(陰痒), 거품과 같은 대하를 하고 혹은 피가 난다.(陰道毛
                                滴虫).- 加 진피(秦皮), 오매(烏梅), 관중(貫中).
                            ② 참을 수없이 가렵고 대하가 두부 찌꺼기 같은 경우 매균(霉菌)
                                加 고삼(苦蔘), 웅황(雄黃), 붕사(硼砂).
                            ③ 음부(陰部) 홍종작통(紅腫灼痛)
                                加 야국화(野菊花), 자화지정(紫花地丁), 포공영(蒲公英).-청열
                                                                                                    해독(淸熱解毒)
                            ④ 음부피부(陰部皮膚) 파궤(破潰)된 환자 ; 去 화초(花椒)
                            ⑤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을 합방(合方)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생지
                                (生地), 시호(柴胡), 당귀(當歸), 산치(山梔), 황금(黃芩), 감초
                                (甘草) 加 진피(秦皮), 오약(烏葯), 관중(貫中), 백두옹(白頭翁).
                                - 살충지양(殺虫止痒), 청열이습(淸熱利濕)
    4) 혈조풍성(血燥風盛)
                      症狀 : 음부(陰部)가 가려운 것이 야간(夜間)에 더욱 심하며, 대하는 아
                              주 적거나 전혀 없을 수 있다. 음부(陰部)는 건조하고 껄끄럽고,
                              혹은 살비듬이 일어나고, 혹은 심하면 살이 트고 갈라지며 따라
                              서 머리가 어지럽고 안화(眼花)가 날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불
                              안하고 잠이 잘 들지 않으며 잠이 들면 꿈이 많다(寐差多夢),
                              대변은 말라서 단단하고, 설질은 붉고, 태는 엷으며, 맥은 세삭
                              (脈細數)하다.
                      治法 : 양혈윤조(養血潤燥), 거풍지양(祛風止痒)
                      方葯 : 당귀음자(當歸飮子) 가감(加减) ≒ 당귀(當歸), 작약(芍葯), 천궁
                                                          (川芎), 생지(生地), 형개(荊芥), 감초(甘草),
                                                          백질려(白蒺藜), 하수오(何首烏)., 단피(丹皮),
                                                          지모(知母), 지부자(地膚子), 백선피(白鮮皮),
                                                          한련초(旱蓮草).
                                                          去 - 방풍(防風), 황기(黃芪).
                      加减 ① 월경량소(月經量少), 색담(色淡) : 加 숙지(熟地), 당삼(黨參),
                                                          구기(枸杞), 산유육(山萸肉), 계혈등(鷄血藤)
                                                            - 쌍보기혈(双補氣血)
    5) 간신음허(肝腎陰虛)
                      症狀 : 음부(陰部)가 가려운 것이 야간에 더욱 심하며, 대하 량은 적고
                              색은 황색이며, 혹은 대하 량이 많고 피가 나며, 외음(外陰)이
                              바싹 말라 시들고(乾枯萎縮) 불로 지지는 듯이 뜨겁고 따가우
                              며, 혹은 외음(外陰)이 두툼하게 살이 오르고(皮膚增厚), 겉칠은
                              쌀겨와 같으며(粗糙), 따라서 머리가 어지러울 수 있겠고, 눈이
                              갑자기 캄캄하고 앗 찔 하고, 귀에서 소리가 나기도 하고(耳鳴),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연약하며, 양 손바닥, 양 발바닥과
                              가슴에 괴롭게 열이 나며(五心煩熱), 때때로 불을 쬐듯 더워서
                                땀을 흘리고(烘熱汗出), 혀는 붉고, 태는 적으며, 맥은 세삭
                                (脈細數) 하다.
                      治法 : 자음강화(滋陰降火), 조보간신(調補肝腎)
                      方葯 : 지백지황탕(知柏地黃湯) 가미(加味) ≒ 숙지(熟地), 산유(山萸),
                                              산약(山葯), 택사(澤瀉), 복령(茯苓), 단피(丹皮), 지모
                                              (知母), 황백(黃柏)., 당귀(當歸), 백선피(白鮮皮), 수오
                                              (首烏).
                        加减 ① 대하량다(帶下量多) 색황취예(色黃臭穢).
                                  加 토복령(土茯苓), 패장초(敗醬草).- 청열해독(淸熱解毒)
                              ② 대하래혈(帶下來血)
                                  加 천초(茜草), 오적골(烏賊骨).- 청열양혈(淸熱凉血)
             
3. 류증감별(類證鑒別)
    1) 백대자격음양(白帶刺激陰痒)
                            성숙기(成熟期)에 있는 여자 혹은 임신초기에는 백대(白帶)가 증다
                            (增多)할 수 있음으로 이런 경우에 있는 여자가 위생적(衛生的)으로
                            청결(淸潔)에 부주의 하게 되면 백대(白帶)가 음부(陰部)를 적시게
                            되고(浸漬), 피부점막을 자격(刺激)함으로 음부가 가려울 수 있다.
                            이 경우는 다만 백대의 량이 많고, 무색(无色)이며, 질(質)과 기미
                            (氣味, 냄새)가 이상하다는 것이 음양(陰痒)과 같다. 그러나 외음(外
                            陰)을 청결하게 씻고, 내복을 자주 갈아입어, 청결을 유지하게 되면
                            가려움이 감소되거나 혹은 없어진다. 그러나 음양(陰痒)은 백대이
                            상(白帶異常)과 가려움이 쉽게 멈추지 않는 것이 다르다.
    2) 요충병(蟯虫病)
                  요충병(蟯虫病)이 있는 여자 역시 항문 주위로부터 외음부에 가려움이 있
                  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린 여자아이(幼女)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것
                  으로 주로 야간(夜間)에 가려움증이 많으므로 야간에 항문을 검사하면 요
                  충을 볼 수 있다. 대변검사로 요충 알을 검사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음양(陰痒)과 구별이 된다.
    3) 외음습진(外陰濕疹)
                    외음부에 습진으로 진액을 흘리게 되고 따라서 늘 가려움이 있고, 심한
                    경우에는 참기 어려운 따가움이 있고, 문드러져서(潰破) 피가 난다.
                    외음 습진 초기에 피부가 불을 사르는 듯이 벌겋고(皮膚焮紅), 수포(水
                    疱)가 방울방울 퍼진다. 이것을 긁어 터지게 되면 진액이 흐르고 가려
                    운 것이다. 이것은 음양(陰痒)과 구별된다.

4. 침구치료(針灸治療)
    ⑴ 체침(体針)
              取穴 : 려구(蠡泃), 중극(中極).
                        려구(蠡泃)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의 락혈(絡穴)로서 소간(疏肝),
                                          청열(淸熱), 자음(滋陰)하는 공효가 있는 음양(陰痒) 치
                                          료(治療)의 요혈(要穴)이다.
                        중극(中極) : 임맥(任脈)과 족삼음(足三陰)의 회혈(會穴)로서 하초습
                                          열(下焦濕熱)을 청열(淸熱)하는 공능이 있다.
                加减 ① 간경습열(肝經濕熱) 加 음렴(陰廉), 곡골(曲骨), 곡천(曲泉).- 청간열
                                                          (淸肝熱), 거습사(祛濕邪), 지소양(止瘙痒)
                      ② 습성우열(濕盛于熱): 加 음능천(陰陵泉), 풍륭(豊隆).
                                                            - 건비제습(健脾除濕).
                      ③ 간신음허(肝腎陰虛) : 加 혈해(血海), 삼음교(三陰交). - 청열(淸熱)
                                        하고 자음양혈(滋陰養血)하여, 기혈(氣血)을 충족시키고
                                        음부(陰部)를 득영(得榮) 하게 함으로 적절한 혈(血)을 공
                                        급받아 음양(陰痒)을 해소케 한다.
    ⑵ 이침(耳針)
                取穴 : 난소(卵巢), 신문(神門), 외생식기(外生殖器), 병간(屛間), 비(脾), 간
                        (肝), 뇌(腦), 하병첨(下屛尖).
                主治 : 각종 유형 음양(陰痒)과 원인 불명의 음양(陰痒)도 역시 치료된다.
                操作 : 매번 3~5혈을 선택, 호침(毫針)으로 자입(刺入), 유침(留針) 15~30
                        분간, 매일 1회, 침매입법(針埋入法)도 사용할 수 있다.
5. 추나(推拿)
          경증(輕症) 보조료법(輔助療法)
          안유(按揉) : 중극(中極), 귀래(歸來), 혈해(血海), 삼음교(三陰交), 승산(承山), 위
                            중(委中), 곡지(曲池).
                            산창감(酸脹感)이 나도록 누르고, 부드럽게 주물러 주면 소염지양
                            (消炎止痒) 된다.
                 
6. 연구보고(硏究報告)
    1) 이수락(李秀樂) 陜西中醫, 1993, 14 ⑹ : 276
        매화침(梅花針) 고자법(叩刺法)으로 35명의 외음소양(外陰瘙痒) 환자를 치료한 경
        과보고 이다.
        외음(外陰)을 소독한 후 매화침으로 환부에 경도의 출혈이 되도록 두드린다. 면
        (棉)으로 핏자국을 닦아 가면 두드리면 자극이 극에 달한 후에 편안해 진다.
        격일(隔日) 1 회. 치료 35예, 치유(治愈) 34예, 무효 1예(만성 담마진(蕁麻疹)).
        경자(輕者) 1회 치유, 중자(重者) 9회 치유, 평균(平均) 4회 치유(治愈).

        매화침(梅花針) 치료 외음소양
        ① 지통지양(止痛止痒)
        ② 국부충혈(局部充血), 수종(水腫), 염성분비물(炎性分泌物) 등이 나오도록 촉진
        ③ 메화침으로 두드린 자리에 약물이 잘 삼입(滲入)되어 치료효과를 높이고, 혈
            액순환을 개선하며, 신경(神經)을 영양(營養)시키고, 조직(組織)의 정상화를 촉직
            하며 조직의 재생능력을 높여 줌으로 지양(止痒)하고자 하는 최종목적에 도달하
            게 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