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0-30 18:14
[침구사전(針灸辭典)] 구자론 (九刺論) - 권료 (顴髎)
 글쓴이 : admin
조회 : 8,178  
구자론 (九刺論)
        《靈樞․官針篇》에서 발취한 내용으로, 9 종류의 침자법(針刺法)이 병변(病變)에
          따라 각기 적용 시키는 것이 다름을 말하고 있다.
          1) 수자(輸刺) : 각 경락의 형혈(滎穴)과 배부(背部)의 육장수혈(六臟兪穴)을 찌르
                                는 것이다.
          2) 원도자(遠道刺) : 원격치료법으로서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법이다. 즉 병
                                      (病)이 상부(上部)에 있으면 하부(下部)의 혈(穴)을 취하며,
                                      하부(下部)에 병(病)이 있으면 상부(上部)의 혈(穴)을 취하고,
                                      육부(六腑)의 수혈(兪穴)을 취하여 육부(六腑)의 기(氣)를 조
                                      절하므로 치료 목적을 달성시킨다.
          3) 경자(經刺) : 경맥(經脈)에 펼쳐진 락맥(絡脈)에 사기(邪氣)가 응결(凝結)된 지
                                점을 찌르는 방법이다.
          4) 락자(絡刺) : 삼능침(三陵針)으로 소락(小絡)에 뭉쳐진 혈락(血絡)을 찌르는 방
                                법이다.
          5) 분자(分刺) : 기육(肌肉)의 병(病)을 치료할 목적으로 기육(肌肉)의 중간을 찌
                                르는 방법(方法)이다.
          6) 대사자(大瀉刺) : 농혈(膿血)이 고인 종기(腫氣)에 대침(大針)으로 종창(腫脹)을
                                    직접 찔러서 피, 고름을 방출시키는 방법이다.
          7) 모자(毛刺) : 호침(毫針)으로 피부상(皮膚上)에 마비(痲痹)된 곳에 약한 자극(刺
                                戟)을 주어서 얕게 찌르는 방법이다.
          8) 거자(巨刺) : 우병좌취(右病左取), 좌병우취(左病右取)하는 방법이다.
          9) 쉬자(焠刺) : 쉬자는 뜨거운 針(침)을 찌르는 것으로 針(침)을 달궈서 마비된
                              곳을 찌르는 방법이다.
구침 (九針) : 참침(鑱針), 원침(園針), 제침, 봉침(縫針), 피침(鈹針), 원이침(圓利針) 호침
                  (毫針), 장침(長針), 대침(大針) 等 구종(九種)의 침이다.
        참침(鑱針) 형태(形態) : 길이 1.6寸 머리는 크고 침첨(針尖)은 날카로운데 마치 화
                                        살촉 모양이다. 때문에 후인들은 箭頭針(전두침)이라 부른
                                        다.
                      용도(用途) : 피부(皮膚)에 얕게 찌르는데 병기(病機)가 피부(皮膚)에 고
                                        정(固定)되지 않는 질환(疾患)에 많이 사용하며 두신(頭身)
                                        에 사열(邪熱)이 있는 질병(疾病)은 양기(陽氣)를 사(瀉)할
                                        때 사용한다.
        원침(園針) 형태(形態) : 길이 1.6寸 침신(針身)은 원주형이며 침첨(針尖)은 둥글다.
                                        후인들이 원두침이라 불렀다.
                      용도(用途) : 안마(按摩, 推拿)에 사용되는데 병기(病氣)가 근육(筋肉)에
                                        침범(侵犯)한 질병(疾病)에 많이 사용하며 병부위(病部位)에
                                        안마(按摩)하면 근육(筋肉)의 손상(損傷)이 없고 따라서 근
                                        육간(筋肉間)의 기혈(氣血)을 소사(疏瀉)시킨다.
        제침      형태(形態) : 길이 3.7寸 침신(針身)은 비교적 크고 침첨(針尖)이 쌀알 같
                                    으며 약간 뾰족하고 둥글어서 후인들은 추침(推針)이라 부
                                    른다.
                    용도(用途) : 경맥(經脈)을 누르고 피부(皮膚)에 찌르지 않는데 맥락(脈
                                      絡)에 병기(病氣)가 있고 기(氣)가 부족(不足)한 병(病)에 많
                                      이 사용한다 부동(不同)한 경맥(經脈)의 정, 형, 수, 경, 합
                                      (井, 滎, 輸, 經, 合) 等 혈(穴)에 또 기타수혈(其他腧穴)을
                                      눌러서 기혈(氣血)을 유통(流通)케 한다
        봉침(縫針) 형태(形態) : 길이 1.6寸 침신(針身)은 원주형 침첨(針尖)은 뾰족한데 세
                                        모의 날이 있어서 후인들은 삼능침이라 부른다.
                      용도(用途) : 락맥(絡脈)을 찔러 피를 빼는데 종기(腫氣), 동창 부스럼 고
                                        질(痼疾) 等 경락(經絡)에 생긴 완고(頑固)한 비증(痹症), 실
                                        사(實邪)에 속하는 질병(疾病)의 독열사(毒熱邪)를 사(瀉)한
                                        다.
        피침(鈹針) 형태(形態) : 길이 4寸 넓이 2.5分 검(劍)같이 예리한 날이 있어 후인들
                                        은 검두침(劍頭針)이라 부른다.
                      용도(用途) : 종기(腫氣)를 째서 고름을 빼는데 사용(使用)한다.
        원이침(圓利針) 형태(形態) : 길이 1.6寸 둥글고 뾰족한데 침첨(針尖)이 크고 침체
                                              (針体)는 작다.
                            용도(用途) : 심자(深刺) 할 때에 사용한다.  주로 종기(腫氣), 동창과
                                              허사(虛邪)가 경락(經絡)에 침입(侵入)하여 생긴 비증
                                              (痹症)이 돌연(突然)히 발작(發作)할 때 사용(使用)하며
                                              또 음양(陰陽)을 조절(調節)한다.
        호침(毫針) 형태(形態) : 길이 1.6寸 혹은 3.6寸 침체(針体)는 약(弱)하여 털 같고, 침
                                        첨(針尖)은 모기의 주둥이 같다.
                      용도(用途) : 각 경맥(經脈)의 침혈(針穴)에 자입(刺入)하여 조용히 기
                                        (氣)를 기다리거나 천천히 수법(手法)을 운용(運用)하며 장
                                        시간(長時間) 유침(留針)할수 있다. 주로 한열(寒熱) 통비
                                        (痛痹)와 사기(邪氣)가 락맥(絡脈)에 침범(侵犯)하여 비통
                                        (痹痛)이 오래도록 낳지 않는 병(病)과 한병(寒病)을 치료
                                        (治療)하며 정기(精氣)를 보(補)하는 작용을 한다.
        장침(長針) 형태(形態) : 길이 7寸 침체(針体)는 가늘고 길며 침첨(針尖)은 뾰족한데
                                        후인들은 도침(挑針)이라 부른다.
                      용도(用途) : 심자(深刺)에 사용(使用)하며 주로 사기(邪氣)가 깊이 있을
                                        때 혹은 완고(頑固)한 비증(痹症), 내부에 침입(侵入)된 질
                                        병(疾病)에 사용하고 풍사(風邪)도 없앤다
        대침(大針) 형태(形態) : 길이 4寸, 침체(針体)는 굵고 둥글어서 후인들은 화침(火針)
                                        으로 사용한다.
                        용도(用途) : 수(水)를 사(瀉)하는데 사용하며 주로 관절(關節)에 물을 빼
                                          거나 화침(火針)으로 운용(運用)하여 연주창(連珠瘡), 종기
                                          (腫氣) 等을 치료한다.
구허 (丘墟)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40                                      원혈(原穴)(락혈(絡穴)은 광명혈(光明穴))
                  定位 : 외측(外側) 과골(踝骨) 전하방(前下方), 신지장기건(伸趾長肌腱) 외측
                            (外側)의 함요부(陷凹部).
                  效能 : 소간리기(疏肝理氣) 이담(利膽), 거풍지통(祛風止痛), 소경활락(疏經
                            活絡), 소궐기(疏厥氣), 화습열(化濕熱).
                              - 거반표반리지사(祛半表半里之邪)
                  主治 : 경항통(頸項痛), 액와종창(腋窩腫脹), 흉협통(胸脇痛), 늑통(肋痛), 좌
                            골신경통(坐骨神經痛), 하지마비(下肢麻痹), 반신불수(半身不遂),
                            족관절질환(足關節疾患), 외측(外側) 과골종통(踝骨腫痛), 근골통(跟
                            骨痛), 안병(眼病), 학질(瘧疾), 산기(疝氣), 목적종통(目赤腫痛).
                            現代 : 간염(肝炎), 담낭염(膽囊炎), 담결석(膽結石), 유선염(乳腺炎),
                                    액와부임파결핵(腋窩部淋巴結核), 경부임파결핵(頸部淋巴結
                                    核), 과액와임파결핵(踝腋窩淋巴結核), 관절염(關節炎), 늑간
                                    신경통(肋間神經痛), 과관절뉴상(踝關節扭傷), 과관절염(踝關
                                    節炎), 고혈압(高血壓).
                                    담낭암(膽囊癌), 간암(肝癌)의 배합혈(配合穴).
                  臨床  ① 흉협통(胸脇痛) - 加 담수(膽兪), 일월(日月), 삼양락(三陽絡).
                          ② 족(足) 과골통(踝骨痛) - 加 해계(解溪), 상구(商丘), 곤륜(崑崙).
                          ③ 협통(脇痛) - 加 중독(中瀆)을 각각 배용(配用)한다.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구화료 (口禾髎)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19    定位 : 수구혈(水溝穴)옆 5分, 비규(鼻竅) 외면, 직하에서 취혈(取穴).
                        主治 : 구금(口噤), 뉵혈(衄血), 비색무취(鼻塞无臭), 청체(淸涕), 비중식
                                  육(鼻中息肉), 비염(鼻炎),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痹), 구괘증
                                  상(口喎症狀).
                        臨床  ① 구괘(口喎) - 加 지창(地倉), 협거(頰車).
                                ② 비색(鼻塞), 뉵혈(衄血).
                                    - 加 합곡(合谷), 인당(印堂), 상성(上星)
                                ③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痹) .
                                      - 加 견정(牽正), 지창(地倉), 사백(四白), 양백(陽白).
                                ④ 비출혈(鼻出血, 衄血) - 加 인당(印堂), 열결(列缺).
                        操作 : 0.2~0.5寸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 금구(禁灸).
구후 (球后) : 기혈(寄穴)EX - 두경부(頭頸部)HN
      EX-HN7  定位 : 광하연(眶下緣) 外 1/4과 內 3/4의 교점(交點).
                  主治 : 안질병(眼疾病), 근시(近視), 시신경염(視神經炎), 록내장(綠內障), 시
                            신경위축(視神經萎縮), 망막색소변성증(網膜色素變性症), 초자체혼탁
                            (硝子体混濁), 내사시(內斜視).
                  臨床  ① 록내장(綠內障) - 加 건명(健明), 풍지(風池), 곡지(曲池), 합곡
                                                            (合谷), 태충(太冲).
                            ② 히스테리성 안혼(眼昏) - 加 신문(神門).
                            ③ 신경성염(神經性炎) - 加 정명(睛明), 풍지(風池), 양로(養老), 광
                                                                  명(光明).
                            ④ 각막(角膜)의 예막(瞖膜), 홍채모양체염(虹採毛樣体炎)
                                - 加 정명(睛明), 예명(翳明), 태양(太陽), 합곡(合谷), 간수(肝兪).
                  操作 : 광하연(眶下緣)을 따라 외로부터 아래로 시신경공(視神經孔) 방향(方
                            向)으로 0.5-1寸 針刺하며 제삽(提揷)을 금(禁)한다. 금구(禁灸)
권료 (顴髎) :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SI-18    定位 : 목외각(目外角) 직하(直下)에 권골하연(顴骨下緣)에 오목한 함요부
                            (陷凹部).
                  效能 : 소통경락(疏痛經絡), 청열거풍(淸熱祛風)
                  主治 : 구안괘사(口眼喎斜),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痺), 면기경련(面肌痙攣),
                            안검순동(眼瞼瞤動), 치통(齒痛), 이정(耳聤, 귀지), 권종(顴腫), 협종
                            (頰腫), 목적(目赤), 목황(目黃), 순종(脣腫),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  마취혈(麻醉穴) : 뇌수술(腦手術), 상아치(上牙齒)를 뽑을 때.
                  臨床  ① 구와(口臥) - 加 간교(齦交), 하관(下關).
                            ② 치통(齒痛) - 加 이간(二間),
                            ③ 목적(目赤) 목황(目黃) - 加 내관(內關).
                  操作 : 0.3~0.5寸 직자(直刺) 혹은 0.5~1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