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1-09 19:08
[침구사전(針灸辭典)] 복결 (腹結) - 부항 (附缸)
 글쓴이 : admin
조회 : 10,476  
복결 (腹結)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SP-14  定位 : 대횡혈(大橫穴) 아래 1.3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4寸.
                  主治 : 제주위통증(臍周圍痛症), 산기(疝氣), 설사(泄瀉).
                  臨床  ① 설사(泄瀉) - 加 천추(天樞),
                          ② 위경련(胃痙攣) - 加 내관(內關).
                  操作 : 0.7~1.2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복류 (復溜)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 경혈(經穴)
        KI-7    定位 : 태계혈(太溪穴) 직상(直上) 2寸, 근건(筋腱) 전연(前緣).
                  效能 : 자음보신(滋陰補腎), 청리하초(淸利下焦), 조신기(調腎氣), 청습열(淸
                            濕熱)., 소현부(疏玄府), 이도방광(利導膀胱), 거습소체(祛濕消滯).
                  主治 : 수종(水腫), 설사(泄瀉), 장명(腸鳴), 복창(腹脹), 도한(盜汗), 신열무
                            한(身熱无汗), 한출불지(汗出不止), 한출임리(汗出淋漓), 하지마비
                            (下肢麻痹), 요척강통(腰脊强痛), 급성요뉴상(急性腰扭傷), 신염(腎
                            炎), 뇨적(尿赤), 오림(五淋), 고환염(睾丸炎), 뇨로감염(尿路感炎),
                            장염이질(腸炎痢疾),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기능성자궁
                            출혈(機能性子宮出血), 백대과다(白帶過多), 뇌외상후유증(腦外傷后
                            遺症), 난산(難産).  암환자(癌患者) 주요(主要) 보익혈(補益穴).
                  臨床  ① 한출불지(汗出不止) 수족마목(手足麻木) - 加 합곡(合谷),
                            ② 복수(腹水) - 加 신유(腎兪), 수분(水分), 기해(氣海), 족삼리(足
                                                      三里), 삼음교(三陰交),
                            ③ 간경변(肝硬變) - 加 수분(水分), 신수(腎兪), 축빈(筑賓), 족삼리
                                                            (足三里), 예명(翳明).
                            ④ 혈변(血便) - 加 태충(太冲), 회음(會陰).
                            ⑤ 수종(水腫) 기창만(氣脹滿) - 加 제중(臍中).
                  操作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복사점 (腹瀉点) : 수침혈(手針穴)
                        定位 : 수배(手背) 제 3, 4 장지관절(長指關節) 사이, 위로 1寸
                        主治 : 설사(泄瀉)
복삼 (僕參)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61  定位 : 외과(外踝) 뒤 아래쪽, 곤륜혈(崑崙穴)아래 근골(跟骨)의 오목한 함
                            요부(陷凹部).
                  主治 : 요통(腰痛), 하지마비(下肢麻痹), 주첨통(肘尖痛), 간질병(癎疾病), 전
                            간(癲癎), 하지통증(下肢痛症), 하지경련(下肢痙攣), 족과관절통(足踝
                            關節痛), 슬관절염(膝關節炎), 비복근마비(腓腹筋麻痹), 족저근마비
                            (足低筋麻痹).
                    臨床  ① 발꿈치 통증 - 加 승산(承山), 태계(太溪), 곤륜(崑崙),
                            ② 소아간질병(小兒肝疾病) - 加 금문(金門).
                    操作 : 0.2~0.3촌 직자(直刺), 가구(可灸).
복애 (腹哀)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SP-16                【甲乙】에 족태음(足太陰)․음유(陰維)의 會
                  定位 : 대횡혈(大橫穴)위 3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4寸.
                  主治 : 복통(腹痛), 제주위통(臍周圍痛), 장명(腸鳴), 이질(痢疾), 변비(便
                            秘), 소화불량(消化不良).
                  臨床  ① 복통(腹痛) - 加 중완(中脘), 족삼리(足三里),
                            ② 소화불량(消化不良) - 加 태백(太白).
                  操作 : 0.7~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복토 (伏兎)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32  定位 : 가전상극(髂前上棘)과 빈골외연(髕骨外緣) 연선(連線)위에 가골(髂
                            骨) 외상연(外上緣) 위 6寸.
                  效能 : 온통경락(溫通經絡), 거풍제습(祛風除濕), 강요익신(强腰益腎).
                  主治 : 요둔통(腰臀痛), 대퇴(大腿)외측 피부신경염(皮膚神經炎), 고슬냉증
                            (股膝冷症), 슬관절염(膝關節炎), 요슬산통(腰膝痠痛). 하지마비(下肢
                            麻痹)(感覺), 운동마비(運動麻痹), 각기병(脚氣病), 복창(腹脹), 담마
                            진(蕁麻疹), 산기(疝氣).
                            現代 : 혈전성정맥염(血栓性靜脈炎), 외측(外側) 대퇴피신경염(大腿
                                    皮神經炎).
                  臨床  ① 하지마비(下肢麻痹), 반신불수(半身不遂)(탄탄(癱瘓))
                                加 ⓐ 환도(環跳), 신수(腎兪), 위중(委中), 양능천(陽陵泉),
                                        삼음교(三陰交).
                                    ⓑ 매보(邁步), 풍시(風市), 능후(陵后)를 配用한다.
                    操作 : 1~2.5寸 직자(直刺), 감응(感應)은 산창감(酸脹感)이 슬부(膝部)로
                            퍼진다.  가구(可灸).
복통곡 (腹通谷)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KI-20                  【甲乙】에 충맥(冲脈)․족소음(足少陰)의 會
                        定位 : 배꼽 위(臍上) 5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0.5寸.
                        主治 : 복통(腹痛), 복창(腹脹), 구토(嘔吐), 설사(泄瀉), 심계(心悸), 비
                                  위허약(脾胃虛弱), 항강(項强), 전간(癲癎), 늑간신경통(肋間神經
                                  痛).
                          臨床  ① 위통(胃痛) 구토(嘔吐).
                                      加 불용(不容), 중완(中脘), 족삼리足三里), 격유(膈兪).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간장(肝臟)이 손상될 우려가 있음으로 깊이 찌르지 말 것.
본신 (本神)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13                【甲乙】에 족소양(足少陽)․양유(陽維)의 會
                  定位 : 전두(前頭) 발제(髮際) 위 0.5寸, 신정혈(神庭穴) 쪽으로 3寸.
                  主治 : 두통(頭痛), 목현(目眩), 경항견통(頸項堅痛), 간질병(癎疾病), 흉협통
                            (胸脇痛), 전간(癲癎), 소아경풍(小兒驚風), 반신불수(半身不遂),
                            편마비(偏麻痹).
                  臨床  ① 중풍(中風) 인사불성(人事不省)
                                加 백회(百會), 수구(水溝), 십선(十宣),
                            ② 간질병(癎疾病) .
                                加 심수(心兪), 행간(行間), 대능(大陵), 합곡(合谷).
                  操作 : 뒤로 0.5~0.8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부극 (浮郄)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38  定位 : 위양혈(委陽穴) 위 1寸, 고이두기건(股二頭肌腱) 내측연(內側緣).
                  主治 : 둔고마목(臀股麻木), 오금이 졸아드는 증상, 하지외측(下肢外側) 마
                            비(痲痹), 급성위장염(急性胃腸炎), 방광염(膀胱炎), 변비(便秘).
                  臨床  ① 소퇴경련(小腿痙攣) - 加 승산(承山), 곤륜(崑崙).
                  治法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부돌 (扶突)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18    定位 : 후두골(後頭骨)에서 옆으로 3寸, 흉쇄유돌기(胸鎖乳突肌)의 흉골두
                            (胸骨頭)와 쇄골두(鎖骨頭)사이
                  效能 : 소종산결(消腫散結) 청인개음(淸咽開音)
                  主治 : 인후종통(咽喉腫痛), 폭음(爆音), 해수(咳嗽), 기천(氣喘), 천식(喘息)
                            담다(痰多), 갑상선기능항진(甲狀腺機能亢進), 연주창(連珠瘡), 라력
                            (瘰癧), 설골근마비(舌骨筋麻痹), 연하곤난(嚥下困難, 呑咽困難), 타
                            액분비과다(唾液分泌過多), 인후염(咽喉炎), 상지불수(上肢不遂), 마
                            목(痲木). 단순성갑상선종대(單純性甲狀腺腫大), 저혈압(低血壓).
                            갑상선(甲狀腺) 수술(手術) 침마취혈(針麻醉穴).
                  臨床  ① 폭음(爆音) - 加 렴천(廉泉),
                          ② 해수기단(咳嗽氣短) - 加 천돌(天突),
                          ③ 해천(咳喘) - 加 천돌(天突), 태계(太溪),
                          ④ 성시(聲嘶) - 加 천돌(天突), 합곡(合谷).
                          ⑤ 후명(喉鳴) - 加 천돌(天突), 태계(太溪)를 各各 배용한다.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부백 (浮白)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10                【甲乙】에 족태양(足太陽) 소양(少陽)의 會
                  定位 : 귀 뒤 유돌(乳突) 뒤 상방(上方) 천충(天衝)과 완골(完骨)의 궁형연
                            선(弓形連線) 위 1/3 지점.
                  主治 : 두통(頭痛), 이명(耳鳴), 이농(耳聾), 난청(難聽), 해수(咳嗽), 기관지
                            염(氣管支炎), 목통(目痛), 치통(齒痛), 갑상선기능항진(甲狀腺機能亢
                            進)
                  臨床  ① 편두통(偏頭痛) - 加 풍지(風池), 태양(太陽), 외관(外關).
                          ② 진통(鎭痛) - 加 완골(完骨).
                  操作 : 0.5~0.8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부분 (附分)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41  定位 : 제 2 흉추극돌(胸椎棘突) 아래. 좌우 3寸.
                  主治 : 견(肩), 배부(背部)가 당기는 증상(抽痛), 혹 산통(酸痛), 항강통(項强
                            痛), 팔 팔굽저린 증상, 주비마목(肘臂麻木).
                    臨床  ① 견배(見背)가 당기는 증상
                                加 대추(大椎), 견료(肩髎), 견우(肩髃), 천종(天宗).
                    操作 : 0.5~0.8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부사 (府舍) : 足太陰脾經 -【甲乙】에 족태음(足太陰) 궐음(厥陰) 음유(陰維)의 會이다.
        SP-13                    【奇經八脈고】에 족태음(足太陰) 궐음(厥陰) 소음(少陰) 양명
                                                            (陽明) 음유(陰維)의 會이다.
                  定位 : 충문혈(冲門穴) 외상방(外上方) 7푼,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4寸.
                  主治 : 복통(腹痛), 복만(服滿), 적취(積聚), 산기(疝氣), 서혜임파절염(鼠蹊
                          淋 巴節炎), 충수염(虫垂炎), 요부(腰部) 하지동통(下肢疼痛), 하지마
                            비(下肢麻痹), 족관절(足關節) 발적(發赤) 종창(腫脹).
                  臨床  ① 복만(服滿), 적취(積聚), 부종(浮腫).
                                加 내관(內關), 합곡(合谷), 천추(天樞), 족삼리(足三里), 삼음교
                                    (三陰交).
                              ② 자궁탈수(子宮脫垂) - 加 관원(關元), 음능천(陰陵泉).
                  操作 : 0.7~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부양 (跗陽)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 양교맥(陽蹺脈)의 극혈(郄穴)
        BL-59  定位 : 곤륜혈(崑崙穴) 위 3寸.
                  主治 : 두통(頭痛), 두중(頭重),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요퇴통(腰腿痛), 하
                            지마비(下肢麻痹), 복통(腹痛), 곽란(癨亂), 근육경련(筋肉痙攣).
                    臨床  ① 요퇴통(腰腿痛) - 加 풍시(風市), 위중(委中), 행간(行間),
                            ② 경풍(驚風) - 加 천정(天井).
                    操作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부자구 (附子灸)
        1. 參照文
            1) 격병구(隔餠灸)를 參照
부항 (附缸)
    1) 槪念) : 부항법은 잔(盞)이나 항아리 모양의 단지를 공구로 삼아 열(熱)로써 공구               
                  안의 공기를 배제시킨 후 피부에 대면 공기의 흡력에 의해 피부가 공구
                  안으로 빨려 들어가서 몰리게 하는 일종의 치료방법 이다. 조작법은 간단
                  하고 효과가 좋으며 구법(灸法) 작용에 필적하는 특점이 있는 침구치료의
                  중요한 보조방법이다.
                  초기에는 부항을 짐승의 뿔로 잔을 만들어 사용했으므로 각법(角法)이라 불
                  렀으며 외과(外科)에서는 독을 빼고 고름과 피를 빼는데 사용하였다.
                  이후 부단히 발전하여 죽단지(竹罐), 동단지(銅罐), 사기단지, 철단지(鐵罐)
                  및 현재 주로 많이 사용되는 유리단지 등이 있다. 사용방법도 부단히 발
                  전하여 불로 공기를 배제(排除)시키는 것을 “불단지”라 부르고, 물에 삶아
                  서 공기를 배제하는 대부분의 부항은 “물단지”라 부르며, 주사기로 공기를
                  빼서 대는 부항은 “추기단지(抽氣罐)”라 부른다.
                  비록 방법은 다르나 원리는 같다. 치료범위도 외과(外科)로부터 내과(內科)
                  의 일부분 병증에 점차 확대 되었다.
    2) 부항사용범위 (附缸使用範圍)
        어깨(肩痛), 등거리통증(背痛), 허리통증(腰痛), 사지통증(四肢痛), 위통(胃痛), 설사
        (泄瀉), 소화불량(消化不良), 복통(腹痛), 폐결핵(肺結核), 기침(咳嗽), 천식(喘息),
        월경이상(月經異常), 월경통(月經痛), 단독(丹毒), 신경성피염(神經性皮炎), 각종 종
        기(腫氣)의 초기, 독사(毒蛇咬傷)에 물렸을 때 등 모두 부항(附缸)을  붙여 치료(治
        療)할 수 있다.
        전신의 열(熱)로 인한 두통(頭痛), 중풍(中風), 경련(痙攣), 과민성피부(過敏性皮膚),
        궤양(潰瘍), 눈이 어지럽고 머리가 무거운(頭重目眩) 증상 등에 부항(附缸)을 사용하
        며, 근육이 엷은 곳, 뼈가 나온 곳, 모발이 많은 곳, 대혈관(大血管)부위, 수종병(水腫
        病) 등은 부항을 사용하지 않는다.
        注意 : 임신부의 허리, 꽁무니, 복부에는 신중(愼重)히 사용해야 한다.
    3) 부항작용(附缸作用)
                    부항법(附缸法)은 단지 안 을 가열(加熱)해서 공기를 부풀려 흩어지게 한
        후 부항단지를 피부에 대면 단지 속의 온도는 다시 내려가게 되고 공기가 희박해 지
        므로 부압(附壓)이 생기면서 흡력(吸力)은 증강됨으로 피부는 흡입력(吸入力)으로
        불어 오르고 모세혈관(毛細血管)은 확장(擴張)되어 국부(局部)가 충혈(充血)되며 인
        체(機體)의 조정공능(調整功能)을 통해서 혈맥(血脈)은 통창(通暢)되고 풍한습사(風
        寒濕邪)는 흩어지게 됨으로 직접 국부(局部)의 증상(症狀)은 개선(改善) 된다.
    4) 부항종류(附缸種類)
                    죽관(竹罐), 도관(陶罐), 유리관(琉璃罐) 등이 있다.
    5) 분류(分類) 및 조작(操作)
        ⑴ 부항부착법(附缸附着法)
            ① 단관(單罐) : 부항(附缸) 단지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② 다관(多罐) : 여러 개의 부항단지를 함께 붙이는 것이다. 병 부위가 넓은 부위
                에 사용하는데 통증부위에 의하여 1~2 개 심지어 십여 개씩 붙인다. 예를 들
                면 근육손상(筋肉損傷)은 근육의 위치에 따라 차례로 줄을 세워 많이 붙이고
                장부의 병증(病證)은 상응된 체표(體表)의 부위에 여러 개를 붙인다.
            ③ 류관(留罐) : 좌관(坐罐)이라고도 부른다. 즉 부항(附缸)을 붙인 후 10~15분
                동안 놓아둔다. 날씨가 무더우면 근육이 엷어지므로, 큰 부항단지는 흡입력이
                또한 강하기 때문에 유관(留罐)시간이 너무 길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④ 주관(走罐) : 부항단지를 수시로 이동하며 치료해야 하는 관계로 피부에 먼저
                와세린을 바른 후 부항단지를 붙이고 피부표면을 올려 밀고 내리 당기며 움직
                이는 것이다. 피부가 붉어지면 된다. 이 방법은 면적이 넓고 근육이 풍부한 부
                위 즉 등어리(背部), 척추(脊椎), 대퇴(大腿) 등에 사용한다.
            ⑤ 섬관(閃罐) : 부항단지를 댄 후 즉시로 떼어 내는 것이다. 즉 부항단지를 댄 후
                신속히 떼는 일을 수차 반복하여 피부가 붉어질 때까지 한다.
                主治 : 기능이 쇠약(衰弱)하거나 피부감각(皮膚感覺)이 마목(麻木)된 병증(病
                        症)에 많이 사용한다.
        ⑵ 자락발관법(刺絡拔罐法)
                            부항(附缸) 댈 부위에 먼저 삼능침(三陵針) 혹은 굵은 호침(毫針)으로
                            환부(患部)에 한해서 몇 곳을 찌른 후 부항(附缸)을 신속히 대어 피가 
                            빨려 나오도록 한다. 보통 10~15분 유관(留罐)후 부항을 떼고 피(血)
                            를 깨끗이 닦아야 한다.
                  主治 : 각종 실열어체(實熱瘀滯) 및 급만성근육손상, 신경성피염(神經性皮
                            炎), 피부가려움증(皮膚瘙痒症), 신경쇠약(神經衰弱), 위장신경관능
                            증(胃腸神經官能症) 등
        ⑶ 자약발관법(煮葯拔罐法)
                            약 가루를 주머니에 싸서 끓는 물에 합당한 농도로 삶은 후 그 약물
                            속에 죽관(竹罐)을 넣고 다시 15분 이상 끓인 뒤 집게로 죽관(竹罐)을
                            집어 올려 물기를 닦은 다음 뜨거울 때 환부(患部)에 죽관(竹罐)의 주
                            둥이를 붙여 10~15분간 유관(留罐)시킨다.
                葯處方 : 마황(麻黃), 기애(蘄艾), 강활(羌活), 독활(獨活), 방풍(防風), 진구(秦
                            艽), 목과(木瓜), 천초(茜草), 생오두(生烏頭), 유기노(劉寄奴), 유향
                            (乳香), 몰약(沒葯), 만타라화 各 6g - 병(病)의 정황(情況)에 따라 약
                            (葯)을 결정한다.
        ⑷ 침관법(針罐法)
                      선택(選擇)한 부위(部位)에 먼저 침을 꽂은 후, 그 침 위에 부항(附缸)을
                      붙인다. 만약 약관(葯罐)과 배합하면 침약관(針葯罐)이라 한다.
                      主治 : 풍습병(風濕病)에 많이 사용한다.
        ⑸ 추기관법(抽氣罐法)
                          고무마개가 있고 밑에 급이 없는 병 사리를 피부에 엎은 후 주사기로 병
                          안에 공기를 빼내어 부착(附着)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흡력(吸力)이 강
                          하여 털이 있는 부위에도 부항(附缸)이 가능하다.  이는 면적이 적거나
                          근육이 없는 부위에서도 부항(附缸)이 가능하다.
        ⑹ 약수관법(葯水罐法)
                        추기관(抽氣罐)속에 먼저 약물을 병의 1/3 혹 1/2 담고 약물은 생강즙
                        (生姜汁), 고추물, 풍습주 등을 사용하며 또 수요에 의하여 약물을 제조
                        할 수 있고 추기관법(抽氣罐法)처럼 부항을 붙인다.
                        主治 : 풍습통증(風濕痛症), 감기(感氣), 위병(胃病) 등에 사용한다.
        ⑺ 부항(附缸) 점화법(點火法)
            ① 투화법(投火法) : 알콜 솜 혹은 종이에 불을 붙여서 단지 안에 넣는 동시에 신
                                        속히 피부에 대는 방법.
            ② 섬화법(閃火法) : 집게로 알콜 솜을 집어 불을 붙인 후 신속히 단지 속 벽에 대
                                        어서 한번 돌린 후 불집게를 빼는 동시에 신속히 단지를 피부
                                        에 대는 방법
            ③ 첩면법(貼棉法) : 알콜 솜을 단지 속 옆, 중간이나, 밑에 붙인 후 불을 붙여 신
                                        속히 환부에 붙인다. 이때 솜에 알콜을 적당히 적시어서  사
                                        용해야 한다. 피부화상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④ 가화법(枷火法) : 불 잘 붙는 부드러운 천으로 작은 동전 하나를 싸되 천의 사
                                        각(四角)을 약 1촌 가량 접쳐 위로 향하게 하고 뜸자리에 놓
                                        은 다음 천 끝에 불을 붙이고 신속(迅速)하게 부항단지로 타
                                        는 불을 덮어서 붙인다.
            ⑤ 적주법(滴酒法) : 부항단지 안 중간쯤에 95% 알콜을 1~2 방울 떨어뜨린 후
                                        단지를 옆으로 몇 번 돌려서 알콜을 단지 안벽에 고르게 바른
                                        후 불을 붙여 신속히 환부에 붙이는 방법이다. 부항단지 입구
                                        에 알콜이 묻으면 점화 후 피부화상의 우려가 있으니 조심해
                                        야 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