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09-09 21:13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비만(肥滿) - II
 글쓴이 : admin
조회 : 17,402  
비만(肥滿)

비만형 체질은 크게 3가지로 분리할 수 있다.
1) 습성체질, 2) 지방성 체질, 3) 습과 지방 합성체질로 분류한다.
여기서 소개하는 처방은 습성체질과 합성체질에 해당하는 전신비만증에 유효한 방제이다.  복부비만과 같은 국부적 지방성 비만에는 효능이 약하다.

비만을 측정하는 특별한 방법이 아니더라도 자신 또는 타인에 신체의 외형을 보고 비만의 정도를 예측하고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 있겠으나 보편적으로 일정한 체질량 지수를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개인의 신체를 산술적 방법으로 판단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체중 /  (키 x 키) = 체질량 지수” 체질량지수가 20 미만이면 저체중이라 하고, 20~25이면 정상체중에 속하며, 25이상 이면 과체중 즉 비만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가령 키는 160cm에 몸무게가 60kg인 사람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60 / (1.6 x 1.6) 이란  공식에 따라 체질량지수는 23.4 가 나오는데 이는 정상임을 나타내고 있다.

處方 : 减肥湯(감비탕) ≒ 상백피(桑白皮)10, 대복피(大腹皮)8, 생강피(生姜皮)3, 陳皮(진피)6,   
                                  복령피(茯苓皮)8, 오가피(五加皮)5, 서과취의(西瓜翠衣)10, 황방기
                                  (黃防己)8, 창출(蒼朮)8, 백출(白朮), 택사(澤瀉)8, 황기(黃芪)15.
                          效能 : 따뜻하게 소통해서 물살을 빼고(溫通利水消瘦),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기를 보한다(補氣健脾).

                          용법 : 800㎖ 물에 90분간 달여서 하루에 3번 따뜻하게 복용한다.
                                  약을 복용하는 중에 특별하게 식사 및 기타 주의해야할 사항은 없다.
                                  그러나 식량을 조절하고 유산소운동을 하는 등 건강관리를 하 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方解 - 减肥湯(감비탕) 《徐善永 ․ 東醫醫方集成》은 祛濕劑(거습제)로서 五皮散(오피산)을 가미
                                                                      한 것이다.
        五皮散(오피산) ≒ 桑白皮(상백피), 大腹皮(대복피), 生姜皮(생강피), 陳皮(진피),
                                  茯苓皮(복령피).
                          방해 : 桑白皮(상백피) : 肅降肺氣(숙강폐기), 水道通調(수도통조).
                                  大腹皮(대복피) : 行氣水道(행기수도), 消除脹滿(소제창만).
                                  生姜皮(생강피) : 辛散水飮(신산수음).
                                  陳皮(진피) : 調和胃氣(조화위기), 降化濕濁(강화습탁).
                                  茯苓皮(복령피) : 利水滲濕(이수삼습), 補脾(보비), 運化(운화).

                                  이상과 같은 작용 및 공효를 나타내는 약제들의 배합으로 理氣健脾(리기건비)하고 利 水消腫(이수소종)하면서 脾臟(비장)이 虛(허)하고 濕(습)이 盛(성)함으로 인하여 운화가 상실되고 수습이 정체되고 범람하게 되어 전신부종(全身悉腫)이 되고, 팔다리와 몸이 가라앉듯이 무거운(肢體沈重) 것을 다스리는 방제이다.
여기에 五加皮(오가피), 西瓜翠衣(서과취의), 防己(방기), 白朮(백출), 澤瀉(택사), 黃芪(황기)를 가미함으로써 利水滲濕(이수삼습)하며 消腫(소종)하는 힘에 박차를 가하고 더욱 공고히 하는 동시에 健脾(건비), 補肺(보폐), 益腎(익신) 하도록하여 臟器(장기)를  튼튼히 보하며 한편 Jojo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공능을 갖춘 것이다.
또한 약성이 溫(온)하고 順(순)하여 장복하여도 무방한 약이다. 


        五加皮(오가피) : 경락을 따뜻하게 해서 통하게 하고(溫經通絡), 습을 통하게 해서 풍습을 제
                                거(祛風濕)하고, 근골을 강하게(强筋骨)한다.
        西瓜翠衣(서과취의) : 利水消瘦(이수소수) 한다.
        防己(방기) : 물을 통하게 하여 수종을 돌려놓고(利水退腫), 풍사를 흩으며 습을 제거                      (散風除濕)한다.
        白朮(백출), 蒼朮(창출) : 健脾燥濕(건비조습).
                              백출은 健脾(건비)를 위주로 작용하고
                              창출은 燥濕(조습)을 위주로 작용한다.
        澤瀉(택사) : 利水滲濕(이수삼습) 瀉熱(사열) - 下焦濕熱(하초습열)
        黃芪(황기) + 白朮(백출) : 補氣健脾(보기건비)

五皮散(오피산)에서 桑白皮(상백피)를 减(감)하고, 五加皮(오가피)를 加(가)한 방제를 五皮飮(오피음)이라 한다. 이 두 방제의 공효는 비슷하다. 즉 五皮散(오피산)은 理氣健脾(리기건비)하고, 利水消腫(이수소종)하며, 五皮飮(오피음)역시 전신 부종을 다스리면서 한편 五加皮(오가피)의 공능에 힘입어 風濕性(풍습성) 骨節疼痛(골절동통)에 효능을 나타낸다.
실제로 습성체질인 사람은 가끔 관절통을 느끼게 되고 時痛時止(시통시지)하기도 하다가 사라지기도 하기 때문에 체중이 무거워져서 그런가 하고 대수롭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시작하다가 발전하게 되면 풍습성 관절염이 되는 수가  있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