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09-24 14:16
[침구임상(針灸臨床)] 경추병 (頸椎病) : 頸痛(경통) - 계안 (鷄眼) : 티눈
 글쓴이 : admin
조회 : 13,493  
경추병 (頸椎病) : 頸痛(경통)
      1. 參照文(참조문)
          1) 경강 (頸强)
          2) 경항강통 (頸項强痛)
          3) 낙침 (落枕)
          4) 항강 (項强)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3. 疾病診治大典
          針法 1) 体針(체침) : 風池(풍지), 曲池(곡지), 夾脊(협척), 合谷(합곡), 手三里(수삼리),
                                        - 留針(유침) 15 - 30분간 매일 1차
                                        베개를 잘못 베고 잠잔 탓으로 경추를 손상 받은 落枕型(락침형) 頸
                                        椎病(경추병) 환자에게도 활용할 수 있다.
                  2) 耳針(이침) : 腦(뇌), 下屛尖(하병첨), 下脚端(하각단), 神門(신문).
                                        毫針(호침)으로 강하게 자극한다. 매일 1차 혹은 실을 묻거나(埋線)
                                        혹은 王不留行(왕불유행)의 씨앗을 눌러 붙인다(籽貼壓). 眩暈型(현
                                        운형) 頸椎病(경추병)에도 활용한다.
                  3) 穴位主射(혈위주사)
                      ⑴ 紅花當歸川芎注射液(홍화당귀천궁주사액) 5㎖(毫升)에 2% 포도당(普魯卡因)
                          을 가한 것 2㎖(毫升)을 아픈 부위(作痛点)거나, 혹은 단단하게 뭉친 부위(或硬
                          結部)에 3~4일 간격으로 한 번씩 주사한다.
                      ☆ 眩暈型(현운형) 경추병은 상술한 주사액을 3㎖(毫升)  加 2% 포도당(普魯卡
                          因)을 가한 것 1㎖(毫升)을 양쪽 風池穴(풍지혈)에 주사한다. 치료효과가 비교
                          적 좋다.
                      ⑵ 復方丹參注射液(복방단삼주사액) 2 ㎖(毫升) 10% 葡萄糖을 가한 것 5~10㎖
                          (毫升)을 아픈 쪽 大椎穴(대추혈)에 0.5촌 進針(진침)하고 비스듬하게 45° 각
                          도로 大椎穴(대추혈)을 향해서 주사한다.
                          주사는 매번 10㎖(毫升)씩 격일제로 1차씩 치료하는데 7차례를 1 療程(료정)
                          으로 하고, 1 료정 격간은 7일이다.
                  4) 隔姜灸法(격강구법) : 夾脊穴(협척혈), 阿是穴(아시혈)에 配合 ; 大椎(대추), 肩井
                                                    (견정), 曲池(곡지), 肩貞(견정), 合谷(합곡), 足三里穴(족
                                                    삼리혈)을 배합한다.
                                                    매차 3~6개 穴位(혈위)로 하고, 每穴(매혈)에 3~6 장의
                                                    뜸을, 매일 1차, 10차/일이 1 료정이다.
                  5) 方葯(방약) : 伸筋草(신근초), 五加皮(오가피), 乳香(유향), 沒葯(몰약) 各 12g, 秦
                                        艽(진구), 當歸(당귀), 紅花(홍화), 土鱉虫(토별충), 路路通(로로통)
                                        桑葉(상엽), 桂枝(계지), 骨碎補(골쇄보), 川烏(천오), 草烏(초오) 各
                                        9g.
                                        이상의 약제를 20분간 달여서 여과한 따뜻한 약물로 환처를 씻는다
                                        매일 1차,  매차 20 분간, 7차를 1 療程(료정)으로 한다.
경폐 (經閉) : 폐경(閉經)
    1. 參照文(참조문)
        1) 무월경(无月經)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足陽明胃經 : 歸來(귀래), 豊隆(풍륭, 絡-太陰經).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 血海(혈해).
            足少陰腎經 : 水泉(수천), 氣穴(기혈), 四滿(사만).
            足少陽膽經 : 帶脈(대맥, 腹痛).
            足厥陰肝經 : 大敦(대돈).
            任脈 : 關元(관원), 石門(석문), 氣海(기해),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氣海(기해), 三陰交(삼음교).
            足少陰腎經 : 水泉(수천), 關元(관원), 歸來(귀래), 三陰交(삼음교).
            足少陽膽經 ① 帶脈(대맥), 中極(중극), 地機(지기), 三陰交(삼음교).
                            ② 帶脈(대맥), 俠溪(협계).
    4. 中醫針灸學
        여자가 18세의 연령을 초과하여도 월경이 생기지 않거나 혹은 이미 형성된 월경이 3개월 이
        상 중단되는 경우 이를 閉經(폐경) 또는 經閉(경폐)라 부르는 것이다.
        妊娠期(임신기), 哺乳期(포유기), 絶經期(절경기)의 閉經(폐경)은 모두 생리현상에 속하므
        로 經閉(경폐)에 속하지 않는다.
        病因病機(병인병기)
        경폐원인은 虛, 實(허,실) 두 가지로 요약된다. 虛(허)한 경우는 대부분 선천적으로 腎氣(신
        기)가 부족하거나 혹은 早婚多産(조혼다산)으로 과도하게 精血(정혈)이 損傷(손상) 되거나
        혹은 과도한 피로와 음식으로 인해서 脾胃(비위)를 손상하게 됨으로 后天(후천)이 부족하게
        되기도 하고 또는 큰 병과 오랜 병으로 기혈을 과도하게 消耗(소모) 및 損傷(손상) 하거나 혹
        은 과다한 出血(출혈) 등은 모두 血海(혈해)를 공허하게 하는데 이런 요인 들은 모두  冲任脈
        (충임맥)에 영양을 공급할 수 없게 함으로 혈이 부족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无血(무혈)현
        상은 곧 經閉(경폐)로 이어진다.
        實證(실증) 환자는 대부분 간기의 울결로 氣機(기기)가 不暢(불창)하게 되어 혈이 막혀서 통
        하지 못하게(血滯不行) 되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거나 몸을 차게 하면 邪氣(사기)가 胞宮(포
        궁, 자궁)에 머물게 되어 혈맥이 응체되거나 비의 운화 공능이 상실되면 담과 습이 안에 가
        득 차게 됨으로(痰濕內盛), 冲任(충임)이 막히는 등 모두 충임이 불통하고 胞脈(포맥, 자궁
        의 혈맥)이 닫히게 됨으로 경폐가 생긴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血枯經閉(혈고경폐)
            症狀 : 여자 나이  18 세가 되었는데도 이직 첫 월경을 보지 못하였거나(初經), 혹은 초
                    경 이후 경기가 연장되고 점차 경량이 감소되더니 끝내 閉經(폐경)이 되었으며,
                    동시에 머리가 어지럽고 귀 울림이 있고, 허리와 무릎이 저리며 약해지고, 입과 목
                    구멍이 건조하며, 손바닥 발발바닥과 얼굴에 열감으로 달아오르고, 조열이 있고
                    땀을 흘리며, 설질이 붉고(舌質紅) 맥은 현세(脈弦細)하다.
                    겸하여 간신이 부족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죽을 것 같아서 몹시 두렵고(心悸怔
                    冲), 숨이 차고 말하기 귀찮아지고(氣短懶言) 팔다리가 연약하고 정신적으로 게을
                    러지며(神倦肢軟) 식사량이 적고 변은 묽으며(納少便溏) 설질은 싱겁게 담담(舌
                    質淡)하고 맥은 세약(脈細弱)하다.
                    겸하여 비위가 허약하고, 동시에 얼굴색이 희끄무레하고, 피부는 건조하며, 몸은
                    여위고, 설질은 싱겁게 담담하며(舌質淡) 맥은 세(脈細)한 혈이 줄어 부족한 증
                    (血虧虛證)
            治法 : 기를 보하고 혈을 유양(補氣養血) 하다.
                    任脈(임맥), 背兪穴(배수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肝兪(간수), 脾兪(비수), 膈兪(격수), 血會(혈회), 腎兪(신수), 關元(관원), 足三里
                      (족삼리), 三陰交(삼음교).
            方義 : 본처방의 주작용은 脾胃(비위)를 조리하고, 腎氣(신기)를 보익하며, 冲任(충임)을
                    가득 차게 양생(充養)시킨다. 여자는 血(혈)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혈이 마른(血
                    枯) 여자는 반드시 補血(보혈)하고 養血(양혈)해야 한다. 脾胃(비위)는 后天之本
                    (후천지본)이기 때문에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 三陰交穴(삼음교혈)을 취하
                    여 健脾益氣(건비익기)하고, 生化之源(생화지원)을 조정한다.
                    肝(간)은 혈을 저장하고, 脾(비)는 혈을 통솔하기 때문에 肝兪(간수), 脾兪(비수)
                    와 피가 모이는(血會) 곳인 膈兪穴(격수혈)을 취하여 血(혈)을 조정한다.
                    이상의 穴(혈)들이 합쳐져서 증가의 근원(益其源)과 흐름을 조절(調其流)하는 것
                    을 충임맥이 얻게 되면(冲任得調), 혈해가 가득 차게 되고(血海充盈) 월경이 제때
                    에 생기게 된다.
                    만약에
                    腰膝酸痛(요슬산통) : 加 命門(명문), 腰眼(요안), 陰谷(음곡).
                                                      - 益腎利腰膝(익신이요슬)
                    潮熱盜汗(조열도한) : 加 膏肓兪(고황수), 然谷(연곡).
                                                        - 益氣(익기), 養陰(양음), 淸熱(청열).
                      納少泄瀉(납소설사) : 加 天樞(천추), 陰陵泉(음능천), 中脘(중완).
                                                        - 健脾止瀉(건비지사)
                      心悸怔忡(심계정충) : 加 內關(내관). - 寧心安神(영심안신).
            施術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뜸을 겸(兼灸) 한다.
        2) 血滯經閉(혈체경폐)
            症狀 : ⑴ 기가 막혀서 생긴 혈어(氣滯血瘀) : 혈맥이 폐색되어 이행하지 못하고(經閉不
                          行) 정신이 우울하며(精神懮鬱) 괴롭고  조급하여 화를 잘 내고(煩躁易怒) 가
                          슴과 옆구리가 부르고 아파서 손을 댈수 없으며(胸脇脹痛拒按) 혀가 어두운 자
                          주색(舌質紫暗) 이거나 혹은 혈어의 반점이 있고(或有瘀点) 맥은 침현(脈沉弦)
                          하다.
                      ⑵ 한사가 엉기어서 혈이 막히다(寒凝血滯) : 惡寒(오한)이 나고, 팔다리가 말단으
                          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고(四肢厥冷) 아랫배가 차고 아프며 따뜻한 것을 좋아하
                          고(下腹冷痛喜溫),  설태는 희고(舌苔白) 맥은 침지(脈沈遲)하다.
                      ⑶ 담과 습에 의해 막히다(痰濕阻滯) : 체질이 비대(體質肥大)하고, 가슴과 옆구리
                          가 답답하고(胸脇悶)  정신이 피로하고 게으르며(精神疲勞倦怠) 백대의 량이
                          많고(白帶多) 설태는 미끈미끈(舌苔膩)하고 맥은 활(脈滑)하다.
            治法 : 기를 다스려서 간을 펴고(舒肝理氣), 비를 튼튼하게 하여 담을 제거하며(健脾化
                      痰) 혈맥을 따뜻하게 하여 추운 것을 흩어버린다(溫經散寒).
                      - 任脈(임맥), 足太陰經(족태음경)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中極(중극), 地機(지기), 合谷(합곡), 三陰交(삼음교), 太冲(태충), 豊隆穴(풍륭혈)
            方義 : 血(혈)이 막히게 되면(血滯) 반드시 通(통)하게 하고, 行(행)하게 해야 한다. 任脈
                      (임맥)에 속하는 中極穴(중극혈)은 冲任(충임)을 조정하여 經血(경혈)이 통하게
                      하고, 足太陰經(족태음경)의 郄穴(극혈)이고, 혈중의 氣穴(기혈)인 地機穴(지기
                      혈)은 行血祛瘀(행혈거어)의 작용을 하고, 手陽明(수양명)의 原穴(원혈)인 合谷
                      穴(합곡혈)은 行氣(행기)하는 공능이 있으며, 足三陰經(족삼음경)의 交會穴(교회
                      혈)인 三陰交穴(삼음교혈)이 合谷穴(합곡혈)과 배합하면 行氣調血(행기조혈)하
                      며 健脾利濕(건비이습)하고 理氣化痰(리기화담)하는 작용을 한다.
                      太冲穴(태충혈)은 疏肝理氣(소간리기)하고, 豊隆穴(풍륭혈)은 健脾化痰(건비화
                      담)한다.
                      氣(기)가 조정되고, 血(혈)이 행하며, 冲任(충임)이 조정되면 經閉(경폐)는 다시
                      通(통)하게 된다.
            만약에
            下腹脹痛(하복창통) : 加 氣海(기해), 四滿(사만) - 理氣消脹(리기소창).
            胸脇脹滿(흉협창만) : 加 期門(기문), 支溝(지구) - 疏肝解鬱(소간해울).
            下腹疼痛(하복동통) : 加 關元(관원), 中極(중극) - 뜸을 뜬다.
                                              - 溫經(온경), 助陽(조양),  止痛(지통)시킨다.
            白帶量多(백대량다) : 加 次髎(차료)
                                              - 하초를 보해서(補下焦) 대맥을 견실하게(堅實帶脈)하다.
            施術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고 뜸을 겸하다(兼灸).
경풍 (驚風) : 급경풍(急驚風), 만경풍(慢驚風). : 小兒驚風(소아경풍)
    1. 參照文(참조문)
        1) 경련 (痙攣)
        2) 간질병 (癎疾病) ⇔ 전간 (癲癎)
    2. 主治穴(주치혈)
        1) 驚風(경풍)                          ♧ 方葯 : 牛黃(우황), 朱砂(주사), 犀角(서각), 鉤藤(구등).
            手太陰肺經 : 尺澤(척택,合), 少商(소상,井).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巨骨(거골).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
            手太陽小腸經 : 腕骨(완골).
            足太陽膀胱經 : 五處(오처), 金門(금문).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滎), 中冲(중충).
            手少陽三焦經 : 瘈脈(계맥), 顱息(로식).
            足少陽膽經 : 上關(상관), 頷厭(함염), 懸顱(현로), 率谷(솔곡), 本神(본신), 頭臨泣(두림
                              읍), 目窗(목창), 陽陵泉(양능천).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滎), 太冲(태충,輸,原).
            任脈 : 會陰(회음).
            督脈 : 筋縮(근축), 大椎(대추), 風府(풍부), 前頂(전정), 囟會(신회), 上星(상성), 水泃
                    (수구).
            四肢部 : 十宣(십선), 里內庭(리내정).
        2) 急驚風(급경풍)
            足少陽膽經 : 率谷(솔곡), 百會(백회).
            頭頸部奇穴 : 印堂(인당).
        3) 急慢性(급만성)
            足少陽膽經 : 率谷(솔곡), 百會(백회)
            頭頸部奇穴 : 印堂(인당).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驚風(경풍)
            足太陽膀胱經 : 跗陽(부양), 天井(천정).
            手少陽三焦經 ① 瘈脈(계맥), 長强(장강).
                              ② 顱息(로식), 內關(내관).
            足少陽膽經 : 本神(본신), 前頂(전정), 天柱(천주).
            督脈 ① 長强(장강), 身柱(신주).
                  ② 大椎(대추), 風池(풍지), 水泃(수구), 后溪(후계), 申脈(신맥).
                  ③ 風府(풍부), 風池(풍지), 水泃(수구), 合谷(합곡), 太冲(태충).
                  ④ 前頂(전정), 長强(장강), 瘈脈(계맥).
                  ⑤ 囟會(신회), 前頂(전정), 本神(본신), 天柱(천주).
                  ⑥ 神庭(신정), 風池(풍지), 合谷(합곡), 太冲(태충).
        2) 慢驚風(만경풍)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 商丘(상구).
            足少陽膽經 : 率谷(솔곡), 足三里(족삼리), 神闕(신궐).
        3) 急驚風(급경풍)
            足少陽膽經 : 率谷(솔곡), 曲池(곡지), 水泃(수구).
    4. 급경풍(急驚風)
        1) 針灸大成
            1) 急驚(급경) - 心中煩悶(심중번민), 心悸(심계)
                                  陽交穴(양교혈), 解溪穴(해계혈) - 百症賦
        2) 針灸經驗方 許任
            1) 急驚風(급경풍) acute infantile convulsion
                풍사(風邪)가 침입하여 생기는데 간혹 닭이나 개 같은 짐승의 울음소리를 내고 입에
                서 침을 흘리며 온 몸이 경련을 일으키고 몸과 입 안이 모두 달아 오르며 발작이 매우
                빠르지만 지나고 나면 평소와 같이 정신이 말짱해 진다.
        3) 針灸大成 - 西江月
            (1) 小兒가 급경기로 손발이 뒤틀릴 때
                  處方 : 먼저 열결혈(列缺穴)에 침자하고 난 후에 인당(印堂), 백회(百會), 인중(人中)
                          중충(中冲), 태계(太谿), 합곡(合谷), 대돈혈(大敦穴)에 침자(針刺)한다.
    5. 만경풍(慢驚風)
        1) 針灸大成解釋
            小兒 慢驚氣(소아 만경기)
            인당혈(印堂穴)에 一分 침자(針刺)한 후 뜸을 뜨면(施灸) 경기(驚氣)가 낫는다. 혹은 찬죽
            혈(攢竹穴)을 가(加)해서 침자(針刺)하면 소아는 운다. 만약에 울지 않는 경기(驚氣)는 난
            치(難治)에 속한다
        2) 針灸經驗方 許任
            (1) 慢驚風 chronic infantile convulsion
                중병을 앓은 뒤나 심하게 토한 뒤에 비위(脾胃)가 극도로 허약해져서 생긴다. 몸과 입
                깁 콧김이 모두 차고 간헐적(間歇的)으로 痙攣을 일으키며 정신이 흐릿하고 맥이 하
                나도 없어 잠만 자는데 눈을 뜨고 입을 오므린다.
        3)  針灸大成 - 西江月
            小兒의 만성 경기로 눈을 똑바로 뜨고 움직이지 않고, 손발을 뒤틀고, 입으로  거품을 토
            (吐)할 때
            處方 : 먼저 열결혈(列缺穴)에 침자하고 난 후에 대돈(大敦), 비유(脾수), 백회(百會), 상
                      성(上星), 인중혈(人中穴)에 침자(針刺)한다.
        4) 피부침 (皮膚針)
            (1) 中醫針灸學
                處方 : 십선(十宣) 풍지(風池) 대추(大椎) 신주(身柱) 인당(印堂) 등 혈(穴)을 취한다.
    6. 中醫針灸學(중의침구학)
        1) 急驚風(급경풍)
            驚風(경풍)은 팔다리를 쭉 뻗고, 입을 굳게 다물며(口噤不開), 몸체를 뒤로 활처럼 제치는
            (角弓反張) 것과 의식이 맑지 못한(意識不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병증이다. 한편
            驚厥(경궐)이라고도 부른다. 발병이 신속하며 증세가 急暴(급폭)하기 때문에 急驚風(급
            경풍)이라 부른다. 대부분이 이런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5세 이하의 소아에게 많이 발
            생되며 7세 이후에서는 점차 감소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⑴ 外感時邪(외감시사) : 소아의 피부가 엷고 약하며(薄弱), 살결이 견고하지 못하기 때문
                                              에(腠理不密), 계절의 邪氣(사기)를 쉽게 감수하여 体表(체표)
                에서 안으로(里) 신속하게 전이되어 열화로 화한다(化熱化火),  체내에서 火(화)가 심
                하면 痰(담)이 생기고, 熱(열)이 극도에 오르면 風(풍)이 생기는 법이다.
                처음에는 外感表證(외감표증)이 나타나고 점차로 內熱(내열)이 肝風(간풍)을 일으키
                거나 혹은 風熱之邪(풍열지사)가 肺衛(폐위)에서 心包(심포)에 逆轉(역전)됨으로 신속
                히 高熱(고열), 昏迷(혼미), 抽風(추풍) 즉 驚風(경풍)이 발생 된다.
            ⑵ 痰火積滯(담화적체) : 소아가 유식을 마음 내키는 대로 과식(乳食不節)하게 되면 위장
                                              에 적체되어 탁한 담이 됨으로(痰濁內生) 기화 작용이 막히게
                되어(氣機阻塞) 통하지 못하게 되면 열로 된다(鬱而化火). 열이 극도에 이르면 풍을 낳
                게 됨으로(熱極生風) 본병이 발생한다.
            ⑶ 暴受驚恐(폭수경공) : 소아는 神氣(신기)가 몹시 약하며(怯弱, 겁나게 약) 元氣(원기)
                                              가 충족하지 못함으로 만약 어떤 이상한 물체을 보거나 괴상한
                소리(폭음)를 듣거나 혹은 자빠지는 등 몹시 두렵거나 놀라게 되면(暴受驚恐) 이로 인
                하여 두려움은 인체의 기를 아래로 꺼지게 하고(恐則氣下), 놀람은 인체의 기를 문란
                하게(驚則氣亂) 함으로, 이런 상황에서는 정신이 의지할 곳이 없게 됨으로(神无所依)
              역시 痙厥(경궐)이 발생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본병은 불시에 발병되는데 발작되기 전에는 高熱(고열)로 얼굴이 붉고, 마음이 괴롭고 조
            급해져서 불편해 하며(煩躁不寧), 머리를 흔들고 혀를 내두르며(搖頭弄舌) 이를 갈고, 잠
            을 자다가 잘 놀라며 昏睡(혼수)등 전조(先兆) 증상이 있다. 그러나 이는 잠시 동안이고
            아주 빠르게 정신이 혼미해 지면서(精神昏迷), 양 눈을 위로 치켜뜨고(兩目上視), 어금니
            를 물고 입을 굳게 다물며(牙關緊閉), 목이 빳빳해지고(頸項强直), 활처럼 뒤로 저치고
            (角弓反張), 팔다리를 쭉 뻗고(四肢抽畜), 맥은 현삭(脈弦數) 혹은 滑數(활삭)하며, 지문
            은 청자색(指紋靑紫)인 급경풍 증상을 나타낸다.
            ⑴ 外感驚風(외감경풍)
                證狀 : 發熱(발열), 咳嗽(해수), 咽紅(인홍), 惡心嘔吐(오심구토) 혹은 口渴(구갈), 煩
                        躁(번조)과 겸하여 나타난다.
                治則 : 淸熱祛邪(청열거사), 開竅熄風(개규식풍) 이다.
                        督脈(독맥), 十二井穴(십이정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大椎(대추), 十二井穴(십이정혈), 合谷(합곡), 太冲(태충), 陽陵泉穴(양능천혈)
                方義 - 大椎穴(대추혈) : 淸瀉熱邪(청사열사)
                        十二井穴(십이정혈) - 點刺出血(점자출혈) : 泄熱(설열), 開竅醒神(개규성신)
                        太冲(태충) + 合谷(합곡) : 四關穴(사관혈) - 淸熱鎭驚(청열진경), 平肝熄風(평
                                                            간식풍)
                        陽陵泉(양능천) : 筋會(근회) - 舒筋止痙(서근지경)
                만약 - 熱(열)이 심하면 : 加 曲池穴(곡지혈) - 淸熱(청열)하고
                        嘔吐(구토) : 加 中脘(중완), 內關(내관) - 降逆止嘔(강역지구)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十二井穴(십이정혈)은 점자하여 出血
                        (출혈)시키고 나머지 혈은 삽시간 捻搗(념도)한후 출침 한다.         
            ⑵ 痰熱驚風(담열경풍)
                證狀 : 發熱(발열)하고, 배가 붓고 아프며(腹脹腹痛), 음식을 먹을 수 없고 먹으면 곧
                        토하게 되며(納呆, 嘔吐), 목구멍에서 가래가 끓는 소리가 나고(喉間痰鳴), 변
                        이 막혀 나오지 않거나便閉) 혹은 대변에서 비린내(腥臭)가나며, 膿血(농혈)이
                        섞여 나오는 등 증상을 겸하기도 한다.
                治則 : 열을 내리고 담을 둟어(淸熱豁痰), 구멍을 내어 풍사가 꺼지도록(開竅熄風) 한
                        다. 督脈(독맥), 足陽明經穴(족양명경혈)을 위주로 취하고, 足厥陰經穴(족궐음
                        경혈)과 배합한다.
                處方 : 水溝(수구), 顱息(로식), 中脘(중완), 豊隆(풍륭), 神門(신문), 太冲穴(태충혈).
                方義 - 水溝(수구) : 督脈(독맥)에 속하며 腦(뇌)에 통하는데 뇌를 열어정신을 맑게(醒
                                          神開竅)하는 공능이 있다.
                        顱息(로식) : 三焦(삼초)의 火(화)을 없애며, 힘줄이 당기는 것을 멈추게 하고
                                          (止痙).
                        中脘(중완), 豊隆(풍륭) : 담으로 막인 것을 통하게 하고(導滯化痰)
                        神門(신문) : 心經(심경)의 原穴(원혈)이며
                        太冲(태충) : 肝經(간경)의 原穴(원혈)인데 두 혈을 배합하면 간기를 내리고 마
                                          음을 맑게 하며(淸心瀉肝), 풍을 없애고 진정시킨다(鎭靜熄風).
                만약 - 牙關緊閉(아관긴폐) : 加 頰車(협거), 合谷(합곡) - 松緩口頰(송완구협)
                        腹脹(복창) : 加 天樞(천추), 氣海(기해) - 調腸理氣(조장리기)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水溝穴(수구혈)은 점자 출혈하고 留針
                        (유침)하지 않는다.         
            ⑶ 驚恐驚風(경공경풍)
                證狀 : 열은 나지 않고(无熱),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고(四肢不溫), 밤잠이 편하지 않거
                        나(夜臥不寧) 혹은 정신을 잃고 깨어나지 못하고(昏睡不醒), 개어나서는 울거
                        나 잘 놀라는 증상을 겸하여 나타낸다.
                治則 : 경련을 진정시키고 안신시킨다(鎭驚安神).
                        督脈(독맥), 手足少陰經穴(수족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前頂(전정), 印堂(인당), 神門(신문), 湧泉(용천).
                方義 - 前頂(전정) : 督脈(독맥)에 속하며
                        印堂(인당) : 經外寄穴(경외기혈)인데 두 혈은 鎭驚(진경) 작용이 있어 驚風(경
                                          풍)을 주치하고,
                        神門(신문) : 心經(심경)의 原穴(원혈)이며, 寧心安神(영심안신)의 작용을 한다.
                        湧泉(용천) : 腎經(신경)의 井穴(정혈)이며, 熄風止痙(식풍지경)한다.
                만약 - 경풍이 정지되지 않으면 : 加 顱息(로식), 囟會(신회) - 鎭驚(진경)시키고
                        昏睡不醒(혼수불성) : 加 水溝(수구) - 醒神開竅(성신개규) 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2) 慢驚風(만경풍)
            만경풍은 서서히 발생이 진행되며 열이 나지 않고 근육이 땅기는 것은 때로는 발작하고
            때로는 멈추며(時發時止), 팔다리를 축 늘어뜨리고 행동이 느리고 힘이 없는(緩而无力)
            특징이 있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만경풍은 대부분 구토 또는 설사를 많이 하거나, 평소에 비위가 약(脾胃素弱) 함으로 원
            천이 부족해 젓(化源不足) 거나, 영병으로 음을 상하면(熱病傷陰) 신음이 부족해지고, 肝
            血(간혈)이 줄어들면(虧損) 간이 영양을 잃게 되니(木失濡養) 안에서 허풍이 일어남(虛風
            內動)으로 慢驚風(만경풍)이 발생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본병의 주요증상은 면색이 누렇고 여위며 정신이 피로하고, 사지가 권태롭거나, 만단으로
            부터 차가워져 오르며(厥冷), 호흡이 미약하고 숫구멍(정수리, 백회혈 부위)이 꺼져 들어
            가며 정신을 잃고 눈빛이 괴로운 듯 젖어있고(昏睡露睛), 때로는 쭉 뻗는다.
            만약 ① 脾陽(비양)이 허하면 대변이 무르고, 푸른색에 녹색이 섞이고, 발등과 얼굴에 浮
                      腫(부종)이 생기며 맥은 침지하고 무력(脈沉遲无力)하며 설질은 담백(舌質淡白)
                      한 증상과 겸하여 나타난다.
                  ② 肝腎(간신)이 음이 줄면(陰虧), 정신이 피로하고 개을러지고 허전하며 괴롭고 귀
                      찮으며(神倦虛煩), 얼굴색이 붉어지고(面色潮紅), 혀는 번들번들하며 태는 적거
                      나(舌光少苔) 혹은 태가 없고(无苔), 맥은 침세하고 삭한(脈沉細而數) 증상을 겸
                      하고 나타난다.
            治則 : 補益脾腎(보익비신)하고 平肝熄風(평간식풍)한다.
            만약 - 脾陽虛(비양허) : 加 脾兪(비수), 胃兪(위수), 中脘(중완), 章門(장문), 氣海(기해),
                                                足三里(족삼리), 太冲(태충).
                    肝腎陰虧(간신음휴) : 加 脈會(맥회) 顱息(로식),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曲
                                                      泉(곡천), 湧泉(용천).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며, 뜸과 겸한다.
경피병 (硬皮病)
      1) 皮膚病中醫診療學
          硬皮病 : 氣海(기해), 大椎(대추), 肺兪(폐수), 風門(풍문), 天樞(천추).
경항강통 (頸項部疼痛)
          1. 參照文(참조문)
              1) 경강 (頸强)
              2) 항강 (項强)
              3) 경추병 (頸椎病)
              4) 낙침 (落枕)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任脈).
                  手陽明大腸經 : 臂臑(비노,手陽明絡의 會, 手足太陽, 陽維의 會) - 頸項部痙攣
                  手太陽小腸經 : 天窗(천창), 天容(천용).
                  手少陽三焦經 : 天髎(천료), 耳門(이문).
                  足少陽膽經 : 本神(본신).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頸項部(경항부) 疼痛(동통) - 手太陽小腸經 : 臑兪(노유,手太陽,陽交의 會).
              2) 頸項部(경항부) 筋肉痙攣(근육경련) -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手足少陽, 足陽明, 陽
                                                                    維의 會).
          4. 現代針灸學 成樂箕
              1) 項部
                  主治經 : 膀胱經(방광경) - 小腸經(소장경)
                  取穴 : 天柱(천주), 風池(풍지), 大椎穴(대추혈) 아래 肩胛部(견갑부)의 督脈穴(독맥
                          혈), 大杼(대저), 風門(풍문), 肺兪(폐수), 心兪(심수), 厥陰兪(궐음수), 肩外兪
                          (견외수), 天髎(천료), 肩中兪(견중수), 肩井(견정), 魄戶(백호), 膏肓(고황) 등
                          의 穴(혈)을 切經(절경)하여 症(증)에 상응한 經穴(경혈)을 선택하여 5~10분
                          간 留針(유침, 遲針)한다.
                  治法 ⑴ 僧帽筋(승모근)에 壓痛(압통), 단단하게 맺히거나(硬結), 緊張(긴장)이 있을
                            경우에는 어깨와 목 부근의 피부를 왼손으로 집어 올려서 오른손으로 皮膚針
                            (피부침)을 瀉法(사법)으로 시술하거나 또는 유도자침이나 산침을 시행한다.
                        ⑵ 上冲(상충), 充血(충혈), 硬結(경결), 壓痛(압통)이 현저한 경우에는 天柱(천
                            주), 風池(풍지), 肩中兪(견중수), 肩外兪(견외수) 등의 穴에서 瀉血(사혈)한
                            다.
                        ⑶ 어깨나 목 부근에 血絡(혈락)이 발현하고 있을 때는 刺絡(자락)하거나 皮內
                            針(피내침)을 시술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⑷ 疼痛(동통)이 한쪽(偏側)에 치우쳐 있을 경우에는 건강한 쪽(健側)에 거자요
                            법을 시술한다. 여기서 주의할 사항은 水毒(수독) 또는 瘀滯體質(어체체질)
                            이나  衰弱者(쇠약자), 貧血(빈혈), 低血壓(저혈압), 心臟病(심장병) 환자 등
                            에는 針(침)이나 瀉血療法(사혈료법)보다는 灸療法(구료법)이 이상적이라
                            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2) 側頸部(측경부)
                  主治經(주치경) : 大腸經(대장경) - 胃經(위경), 小腸經(소장경) - 膀胱經(방광경), 三
                                          焦經(삼초경) - 膽(膵)經(담(췌)경) 중에서 선택한다.
                                取穴 : 翳風(예풍), 天容(천용), 天窗(천창), 扶突(부돌), 人迎(인영), 氣舍
                                          (기사), 水府(수부), 氣戶(기호) 중에서 切經(절경, 손으로 짚어보
                                          아)하여 病態反應(병태반응)이 가장 심하게 발현하는 經穴을 선택
                                          하고  5~10분 정도 留針(유침)한다.
                                治法 (1) 疼痛(동통)이 偏側(편측)에 있을 경우에는 健側(건측)에 거자를
                                              병용한다.
                                        (2) 胸鎖乳突筋(흉쇄유돌근)에 壓痛(압통), 硬結(경결), 緊張(긴장)
                                            이 있으면 皮膚針(피부침), 散針(산침) 유도자 등의 방법으로 근
                                            육을 완화할 필요가 있으며 水毒(수독) 및 瘀血體質(어혈체질)이
                                            나 질환, 쇠약자 및 빈혈, 저혈압, 심장병이 있을 경우에는 사상
                                            구 2~ 3 장의 가벼운 灸療法(구료법)이 바람직하다.
          5. 이침(耳針)
              1) 경항강직(頸項强直) : 枕(침).
경항부염증 (頸項部炎症)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陽三焦經 : 臑會(노회,手少陽,陽維의 會)
계안 (鷄眼) : 티눈
    1. 臨床應用(임상응용)
        處方 ① 粗針燒紅直刺中心部 一般 1-2次 自行脫落
              ② 艾灸局部每次30分鐘
    2. 皮膚病中醫診療學 徐宜厚 王保方 張賽英
        1) 毫針法 (1) 直刺法 : 鷄眼皮膚消毒后, 毫針從鷄眼中心刺入至根部, 然後用酒精,燈燒針柄,
                                      使之患處感到溫熱, 持續 3~5分鍾, 退針后膠布固定.
                      (2) 圍刺法 : 在鷄眼周圍(上下左右) 各斜刺一針, 針尖直達根底, 呈錐形, 留針 20
                                      ~30分鍾, 其間捻轉行針 2~3次, 發針后擠壓 出少 許血液外溢, 外盖
                                      消毒紗布, 3日 1次
        2) 灸法 : 鷄眼表面涂凡士林或麻油后, 上置艾柱, 連灸 4~5壯, 鷄眼枯焦, 3~5日后,剔除殘渣
        3) 火針法 : 常規消毒和局麻后, 中号火針燒紅, 對准鷄眼中心堅硬如釘處, 快速刺入,
                        至針下有落空感或冒出少許白色分泌物, 立卽發針.
        4) 穴位注射 (1) 取太溪穴
                              方法 : 針刺得氣后, 將0.5% 鹽酸普魯卡因注射液, 緩慢推注 1~1.5  毫升,
                                        1周 1~2次.
                        (2) 取外踝與內踝后連線的中點爲治療要點
                              方法 : 采用 0.5~1% 鹽酸普魯卡因注射液 5毫升和副腎 0.1毫升,
                                        5号針頭刺入得氣后, 緩慢推注, 1周 2次.
        5) 刺血法 : 鷄眼常規消毒和局麻, 用三陵針點刺鷄眼中央, 快刺快出, 擠壓出血少許, 外盖消毒
                        紗布, 3日 1次.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