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11-09 18:37
[증후진단론] 2. 臟腑證候 2) 肝(간) ⑤ 肝血瘀滯證(간혈어체증)
 글쓴이 : admin
조회 : 8,527  
肝血瘀滯證(간혈어체증)

간혈어체증은 肝(간)이 疏泄機能(소설기능)을 잃게 되고 오랜 세월 氣(기)가 울체되어(氣鬱日久), 혈분을 어혈이 막게 됨으로써(血分瘀滯) 일어나는 중후이다.
임상표현 : 얼굴색이 푸르고 어두우며 곱게 피지 못하고(面色靑黑不華), 옆구리 아래로 단단한
              덩어리가 결리고 아프며(脇下痞硬作痛), 따라서 배가 붓고(伴有腹脹), 몸이 개을러지며(体倦), 소화불량 식욕감퇴 및 위의 수납기능 정체되는(納呆, 胃納呆滯)증이 있고, 설질이 검고 붉으며(舌質黯紅), 혀의 변두리로 어혈의 반점이 있고(邊有瘀斑), 태는 희고(苔白),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듯하다(脈弦).
       
常見(상견) : 脇痛(협통), 黃疸(황달), 積聚(적취), 肝着(간착), 臌脹(고창)등 병 
分別(분별) : 胃脘瘀血證(위완어혈증), 陽明瘀血證(양명어혈증) 등
       
辨析(변석) 및 施治(시치)
㈀ 협통(脇痛)
    臨床 : 간혈어체증(肝血瘀滯證) 중에 나타나는 협통병(脇痛病)은 대부분 가슴과 옆구리에 통
            증이 나는데 마치 바늘로 찌르는 뜻하고(胸脇刺痛), 아픈 곳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었
            으며(固定不移), 밤이 되면 통증이 심해지고(入夜更甚)  옆구리 아래로 덩어리가 있어
            서 결린다. 혀는 어두운 자줏빛이며(舌質紫暗),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
            이 순조롭지 못하며 칼로 대나무를 긁는 것 같은(脈弦澁) 등등의 증상이다. 병이 오랜
            동안 서서히 진행되어 간기가 막히고(病緩肝鬱日久) 기가 막혀서 혈이 병들은(氣滯血
            瘀) 어혈이 멈추어 쌓인(瘀血停積) 때문이다.
    治宜 : 리기(理氣), 활혈(活血), 화어(化瘀).
    方用 :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醫林改錯》가감(加减)
                        ≒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천궁(川芎), 적작(赤芍), 도인(桃仁), 홍화(紅
                            花), 시호(柴胡), 지각(枳殼), 길경(桔梗), 우슬(牛膝), 감초(甘草).
       
㈁ 황달(黃疸)
    臨床 : 간혈어체증(肝血瘀滯證) 중에 출현하는 황달병(黃疸病) 의 임상표현은 대부분 검누런
            흑색을 나타내는(呈黧黑色) 황달을 보이고 색택이 검다(色澤黯滯), 얼굴은 어둡고 눈
            은 푸르며(目靑面黑), 소복은 가득하고(少腹滿), 이마 부위가 어둡고(額上黑), 대변색
            이 검으며(大便黑), 때로는 묽고(時溏), 혀끝이 붉으며 태는 누렇고 미끈거린다(舌尖紅
            苔黃膩).,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고,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순조롭지 못
            하고 칼로 대나무를 긁는 것 같다(脈沉弦而澁).
            여로달(女勞疸)에 속하는 간울혈어(肝鬱血瘀) 계통은 비의 기음(氣陰)이 부족하여 소화
            기능이 약해짐(脾虛不運)으로 습열이 안에 쌓인(濕熱內蘊) 때문이라고 훌륭한 답변을
            하고 있다(兪嘉言說).
            《醫門法律》“여로달(女勞疸)로 황달이 된 환자는 어혈이 적체되어 새로운 피가 해당하
            는 경에 돌아가지 못해서다(血瘀不行).” 라고 하였다.
            여로달(女勞疸) :《金匱要略》에 의하면 황달유형의 하나이다. 몸이 누렇고, 이마가 검
                                    게 어두우며, 방광이 붓고 아랫배가 그득하며 소변은 통(通)하고 대변
            은 검으며 저녁이면 손과 발바닥에 열감이 나지만 오히려 오한(惡寒)이 나는 감을 느끼
            게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금궤요략에서는 이 증상을 주색(酒色)이 과도하거나 복창에
            의하여 일어난다고 인정한다. 임상소견에 근거하여 이 증상은 황달병(黃疸病) 후기에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서 기혈양허(氣血兩虛), 탁사어조(濁邪瘀阻)의 증후와 같다.
            흔히 옆구리 밑에 적괴가 그득하면서 아프고 피부색이 검어지고 이마에 색소가 침착되
            며 설질이 암적색이고 맥이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며 실같이 가늘고 똑똑한(脈
            弦細)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데 심하면 고창(臌脹)이 발생한다.
    治宜 : 소어(消瘀) 화습(化濕) 청열(淸熱).
    方用 : 초석반석산(硝石礬石散)《금궤요략(金匱要略)》
                            加 호장(虎杖),단삼(丹參), 천초(茜草)
                        ≒ 초석(硝石), 반석(礬石), (대맥(大麥)).
       
㈂ 간착(肝着)
    옛 병명이다.《金匱要略》에 “착(着)이란 사기가 체류되어 있다는 뜻이다. 간장의 기혈이 울체
    되어 가슴과 옆구리에 비기(痹氣)가 있어서 답답하고 불편하며 심지어 뿌듯하면서 아프고 만
    져주면 편안한 감이 나고 또 더운 것을 마시기 좋아하는 병증이다. 
    臨床 : 간착병(肝着病) 중에 출현하는 간혈어체증(肝血瘀滯證)은 대체로 가슴과 옆구리가 그
            득 하게 부르고(胸脇脹滿) 찌르는 뜻한 아픔이 나는데 아픈 곳이 고정되었으며(痛處不
            移) 구역질을 하며 시큼한 물을 삼키고(呑酸作嘔), 목이 마르고 뜨거운 물을 마시려하
            며(口渴欲熱飮), 따뜻하게 해주면 좀 풀리고(得熱稍舒), 설질이 어두운 자줏빛이며(舌
            質紫暗), 맥이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고 순조롭지 못하며 마치 대나무를 칼로 긁는 뜻한
            (脈細澁) 등의 증상이다.
    治宜 : 행기산체활혈(行氣散滯活血)
    方用 : 선복화탕(仙復花湯)《금궤요략(金匱要略)》
                          加 합환화(合歡花), 백자인(柏子仁), 사과락(絲瓜絡).
                    ≒  선복화(旋復花), 총경(葱莖), 신강(新絳).
       
㈃ 적취(積聚)
    臨床 : 간혈어체증(肝血瘀滯證) 중에 출현하는 적취병(積聚病)의  임상표현은 대부분 옆구리
            아래로 덩어리가 있는데(脇下有塊), 단단하게 굳은 것이 아니라 말랑말랑하고(軟而不
            堅), 덩어리가 이동하지 않고 한자리에 고정되어 있으며(塊物固定不移), 그와 함께 붓
            고 아픔을 볼 수 있다(脹痛幷見). 태는 얇고 적으며(苔薄),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
            는 뜻한(脈弦) 증상이다. 간울기체(肝鬱氣滯)에 의한 병은 어혈 계통으로서(繼而瘀血),
            오랜 동안 어혈이 흩어지지 않고(日久不散), 모여서 덩어리를 이룬 때문이다(聚結成塊
            所致).
    治宜 : 리기(理氣) 활혈(活血) 소적(消積).
    方用 : 금령자산(金鈴子散)《소문병기보명집(素問病機保命集)》
                      ≒ 금령자(金鈴子), 연호색(延胡索).
            合 실소산(失笑散)《국방(局方)》경산제(經産劑)
                          加 청피(靑皮), 진피(陳皮), 삼능(三棱), 아출(莪朮).
                      ≒ 오령지(五靈脂), 포황(蒲黃).
       
㈄ 고창(臌脹)
    고창이란 배가 불어나서 마치 북과 같고 피부색이 누르며, 맥락(脈絡)이 나타나는 등을 특징
    으로 하는 병증이다. 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정지(情志)가 울결(鬱結)되고 기의
    운행(運行)이 실조되어 간비(肝脾)가 손상되었거나 음식물을 절제하지 않고 지나치게 과음함
    으로서 비위(脾胃)가 손상되어 운화(運化)가 실조(失調) 되었거나, 충적(虫積) 혹은 기타 전염
    병에 의하여 간비가 손상되고 기혈(氣血)이 장애(障碍)받았을 때 나타난다. 병변은 대부분 간
    비, 신(肝,脾,腎) 3장(臟)에 있고 또 서로 영향을 주어 기혈(氣血), 수탁(水濁)이 배속에 쌓이
    기 때문에 배가 점차 몹시 불어 나게 됨으로 고창이 생긴다. 만일 환자의 머리와 얼굴, 사지 등
    이 수척(瘦瘠)하고 배만 크게 불어나면 단복고(單腹臌)라 하고, 그 모양이 거미와 비슷하기 때
    문에 지주고(蜘蛛臌) 라고도 한다.
    臨床 : 고창병(臌脹病) 중에 출현하는 간혈어체증(肝血瘀滯證)은 대체로 얼굴색이 검누렇게
            어둡고(面色黧黑), 배가 그득하여 크게 붓고 단단하며(腹大堅滿), 복부에 시퍼런 정맥
            이 구불구불 빳빳하게 들고 일어나는데(腹部靑筋怒起), 도리어 팔다리는 여위고(四肢
            反瘦), 심한 경우 천식으로 눕지 못하며(甚則喘息不得臥),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고(二
            便不暢), 설질은 어두운 자줏빛이며(舌質紫黯),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고, 맥이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듯하다(脈沉弦). 병은 기가 막히고 혈어가 경(經)을 막아 새로운 피
            가 돌지 못함으로(氣滯血瘀) 말미암아 물이 고이게 되고(繼而水停) 물과 어혈이 상호
            결집한 때문이다(水瘀互結所致).
    治宜 : 소만제습(消滿除濕), 활혈축수(活血逐水).

    양허자(陽虛者) : 좌이온양(佐以溫陽)
    方用 : 계지거작약가마신부자탕(桂枝去芍葯加麻辛附子湯)《금金匱要略》
                            ≒ 계지(桂枝), 생강(生姜), 감초(甘草), 대조(大棗), 마황(麻黃), 세신(細辛),
                                포부자(炮附子).
            合 격하축어탕(膈下逐瘀湯)《醫林改錯》리혈제(理血劑)
                            ≒ 당귀(當歸), 천궁(川芎), 적작(赤芍), 도인(桃仁), 홍화(紅花), 모단피(牡
                                丹皮), 오령지(五靈脂), 연호색(延胡索), 오약(烏葯), 향부(香附), 지각
                                (枳殼), 감초(甘草).

    음허자(陰虛者) : 좌이양음(佐以養陰)
    方用 : 도홍사물탕(桃紅四物湯)《국방(局方)》
                        ≒ 지황(地黃), 당귀(當歸), 적작(赤芍), 천궁(川芎), 도인(桃仁), 홍화(紅花).
            合 소착음자(疏鑿飮子)《제생방(濟生方)》거습제(祛濕劑) 加减
                          ≒ 상륙(商陸), 택사(澤瀉), 적소두(赤小豆), 초목(椒目), 목통(木通), 복령피
                              (茯苓皮), 대복피(大腹皮), 빈낭(檳榔), 강활(羌活), 진교(秦艽) 생강(生姜)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