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11-09 19:10
[증후진단론] 2. 臟腑證候 2) 肝(간) ⑨ 肝經濕熱證(간경습열증)
 글쓴이 : admin
조회 : 15,508  
肝經濕熱證(간경습열증)

간경습열증은 습열의 邪氣(사기)가 肝(간)에 쌓여 경락을 막음으로(蘊鬱肝經), 열구리가 아프고(脇痛), 입에 쓴물이 오르고(口苦), 황달(黃疸), 소화불량, 식욕감퇴 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되는(納呆) 등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 습열 사기를 外感(외감) 하였거나 혹은 기름지고달콤한 음식과 독한 술을 좋아하는 것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임상표현 : 황달(黃疸), 옆구리가 붓고 아프며(脇脹痛), 음식량이 줄어 조금씩 먹으며(飮食少), 입
              에 쓴물이 오르고(口苦), 추한 비린내가 나고(惡聞葷腥), 기력이 없어 몸이 괴롭고 고달프다(身困乏力)., 만약 濕(습)이 重(중)해서 熱(열)이 나게 되면(濕重于熱), 태는 희고 미끈거리며 약간 누런색이 된다(苔白膩微黃)., 熱(열)이 重(중)해서 濕(습)이 생기면(熱重于濕) 설태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苔黃膩), 소변은 짧고 진하며(小便短赤), 맥은 위로 뜨고 가늘며 연하고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거나 혹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빠른 맥이다(脈濡數或弦滑數).
       
본증상견 : 黃疸(황달), 脇痛(협통), 臌脹(고창), 帶下(대하) 등 질병 중에
유사증후 : 脾胃濕熱證(비위습열증), 肝膽濕熱證(간담습열증), 膀胱濕熱證(방광습열증) 등
       
辨析施治(변석시치)
습열(濕熱)이 간경(肝經)을 침습함으로써 기화기능(氣機)이 엉키고  막히는(凝滯) 임상표현과 각기 다른 질병 중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병리기제(病機)의 특징들과는 역시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아래와 같이 변증분석과 시치를 제시한다.
       
㈀ 황달(黃疸)  icterus, jaundice
    臨床 : 간경습열증에 나타나는 황달병은 대체로 얼굴과 눈을 비롯하여 몸 전체가 황색이고(一
            身面目悉黃), 협통(脇痛), 구고(口苦), 추한 비린내가 나며(惡聞葷腥), 힘이 없고 몸은
            게을러지는(体倦乏力) 등 증상을 나타낸다.
            습성환자(濕偏重者)는 피부색이 마치 어두움이 깔린 뜻한 황색(黃色晦滯)에 겸하여 뚱
            뚱하게 붓는 것을 볼 수 있고(兼見腫脹), 몸이 무거우며(身重), 머리를 마치 보자기에
            싼것 같고(頭如裹), 납차(納差), 변이 묽으며(便溏), 혀는 붉고 태는 누렇거나 희고 미끈
            거림을 겸하고 있다(舌紅苔黃白相兼而膩), 맥은 위로뜬 것이 가늘고 연하며 빠르지 않
            다(脈濡不數).
    治宜 : 선기(宣氣), 화습(化濕), 청열(淸熱).
    方用 : 이금탕(二金湯)《온병조변(溫病條辨)》加 인진(茵陳)
                  ≒ 계내금(鷄內金), 해금사(海金沙), 후박(厚朴), 대복피(大腹皮), 저령(豬苓), 통초
                      (通草).,加 인진(茵陳).
 
            열성환자(熱偏重者)는 선명한 황색이 마치 귤껍질과 같으며(黃色鮮明如橘皮色), 몸에
            열이 나고 마음은 번거로우며(身熱心煩) 대변은 뭉치고 소변색은 진하며(便結溺赤), 혀
            는 붉고(舌紅), 태는 안쪽이 누렇고 미끈거리며(苔根黃膩), 맥은 힘주어야 짚이지만 길
            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것 같은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沉弦而數).
            治宜 : 소간이담(疏肝利膽), 청이습열(淸利濕熱)
            方用 : 사역산(四逆散)《상한론(傷寒論)》和解劑 去 감초(甘草)
                            ≒ 시호(柴胡), 지실(枳實), 작약(芍葯), 자감초(炙甘草).
                      合 인진호탕(茵陳蒿湯)《상한론(傷寒論)》거습제(祛濕劑)
                                  ≒ 인진(茵陳), 대황(大黃), 치자(梔子).
       
㈁ 협통(脇痛)
    臨床 :  간경습열증 중에 나타나는 협통병의 임상표현은 대부분 오른쪽 옆구리가 지속적으로
              부르고 아프며(右脇持續脹痛), 혹 넓게 쏘는 듯이 극심 하게 아프고(陳發劇痛) 통증이
              심하(心下) 혹은 가슴과 잔등(胸背)에 이르고, 입 안이 쓰고(口苦), 목구멍이 마르며
              (咽乾), 소리내어 헛구역질을 하거나(嘔噁) 혹은 한열왕래(寒熱往來), 소변단적(小便
              短赤), 대변비결(大便秘結) 등
    治宜 : 소간이담(疏肝利膽) 청해습열(淸解濕熱)
    方用 : 대시호탕(大柴胡湯)《상한론(傷寒論)》표리쌍해제(表裏雙解劑) 加减
                      ≒ 시호(柴胡), 황금(黃芩), 작약(芍葯), 반하(半夏), 생강(生姜), 대조(大棗), 대
                          황大黃), 지실(枳實).
       
㈂ 고창(臌脹)
    臨床 : 간경습열증 중에 출현하는 고창병의 임상표현은 배가 붓고 단단하며 그득하고(腹大堅
            滿), 옆구리와 배가 공격을 받는 듯이 아프고(脇腹攻痛), 얼굴색은 누렇게 시들었으며
            (面色萎黃), 혀는 진빨간 자줏빛 이고(舌質紫絳), 태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苔黃膩), 맥
            은 길면서 마치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 한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
            弦數). 이것은 간비(肝脾) 손상으로 인한 습열이 뭉치고 맺쳐서(濕熱壅結) 기가 막히고
            수가 머무르게 된(氣滯水停) 병변(病變)이 혈분(血分)에 미친 것으로서 습열(濕熱)과
            어(瘀)로 되어 교대로 요해(要害)하고 있기 때문이다.
    治宜 : 청열이습(淸熱利濕) 활혈화어(活血化瘀)
    方用 : 인진호탕(茵陳蒿湯)《傷寒論》거습제(祛濕劑)
                      ≒ 인진(茵陳), 대황(大黃), 치자(梔子).
            合 화어탕(化瘀湯)《驗方》리혈제(理血劑) 加减
                      ≒ 도인(桃仁), 홍화(紅花), 백출(白朮), 택사(澤瀉), 청피(靑皮), 단피(丹皮), 천
                          산갑(穿山甲), 모려(牡蠣), 당귀(當歸),  적작(赤芍), 자단삼(紫丹參).
       
㈃ 대하(帶下) hysterorrhea
    臨床 : 간경습열증 중에 나타나는 대하병의 임상표현은 대체로 대하의 색이 누렇고 담담(帶下
            痰黃)하며 빽빽하고 끈끈하며 더러운 냄새가 나고(粘稠臭穢) 량이 많으며(量多), 혹은
            희고 붉은 색이 뒤섞였고(赤白雜下), 혹은 이와 함께 외음이 가렵고 동통이 나며(外陰
            瘙痒疼痛), 소변은 혼탁하고 방울져서 떨어지듯이 나온다(小便淋濁). 이것은 습열이 간
            경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이다(肝經濕熱下注而成).
    治宜 : 사간담습열(瀉肝膽濕熱)
    方用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난실비장(蘭室秘藏)》청열제(淸熱劑)
                        ≒ 용담초(龍膽草), 황금(黃芩), 치자(梔子),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
                            (車前子), 당귀(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감초(甘草).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