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11-18 21:55
[증후진단론] 2. 臟腑證候 4) 肺(폐) ⑨ 寒痰阻肺證(한담조폐증)
 글쓴이 : admin
조회 : 7,828  
寒痰阻肺證(한담조폐증)

한담조폐증은 寒邪(한사)와 痰(담)이 함께 어울려 氣道(기도)를 막고 어지럽힘으로써 肺臟(폐장)이 宣發(선발)과 肅降(숙강) 기능을 상실하게(肺失宣降)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즉 寒痰(한담)이 肺(폐)를 어지럽게 하는 일종의 증상을 말한다.
대부분 풍한 사기에 감수된(外感風寒) 것을 잘못 치료(誤治) 했거나 혹은 痰(담)이 盛(성)한 비만 체질인 사람이 한사에 걸리거나(罹感寒邪), 혹은 중초에 양기가 부족하여(中陽不足), 氣(기)가 진액으로 化(화)하지 못함으로(氣不化津), 한담이 안에서 생기는(寒痰內生) 때문이다.
임상표현 : 천식으로 기침을 하며(咳嗽氣喘), 가래 색이 희고 맑고 묽어서 잘 뱉으며(咯痰色白而
              淸稀), 찬것을 대하게 되면 더욱 심해지고(遇冷則甚), 목구멍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喉間痰鳴), 가슴의 膈肌(격기)가 그득하고 답답해 번민하며(胸膈滿悶), 추위를 두려워하고(畏寒肢冷), 설태는 희고 윤활하며(舌苔白滑), 맥은 힘을 주어 눌러야 짚이고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4번 이하로 뛰는 맥이다(脈沉遲) .
       
본증상견 : 哮證(효증), 胸痛(흉통), 喘證(천증), 感冒(감모), 咳嗽(해수) 등 痰病(담병) 중에
유사증후 : 水寒射肺證(수한사폐증), 風寒犯肺證(풍한범폐증), 肺陽虛證(폐양허증) 등
       
辨析施治(변석시치)
㈀ 효증(哮證)
    臨床 :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 중에 출현하는 효병(哮病)의 임상표현은 호흡(呼吸)이 급촉
            (急促)하고, 목구멍 사이에서 으르렁거리는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喉間有哮鳴音), 흰
            가래가 끈끈하고(痰白而粘), 혹은 거품이 많고 얇고 묽으며(稀薄多沫), 흉격이 그득하
            고 답답한 것이 마치 막혀서 통하지 않는 것 같고(胸膈滿悶如窒), 얼굴색에 푸른 띠를
            띠고 어두움에 묻혀 있으며(面色晦滯帶靑), 설태는 희고  번들번들하며(苔白滑),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고, 팽팽히 긴장하고  유력하며 꼬인 줄을 누르는 것 같은(脈浮緊)  “
            냉효(冷哮)” 증상(症狀)의 특징이다. 이는 한담이 머무르고 있으면서(寒痰留伏), 폐기
            를 막고 요해(肺氣閉阻) 하기 때문이다.
    治宜 : 온폐산한(溫肺散寒), 활담이규(豁痰利竅).
    方用 : 사간마황탕(射干麻黃湯)《금궤요략(金匱要略)》해표제(解表劑)
                        ≒ 사간(射干), 마황(麻黃), 생강(生姜), 세신(細辛), 자원(紫菀), 관동화(款冬
                            花), 오미자(五味子), 반하(半夏), 대조(大棗).
       
㈁ 흉통(胸痛) cardiagra, pectoralgia
    證狀 :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 중에 충현하는 흉통병(胸痛病)의 임상특징은 가슴 속이 아프
            고 답답하며(胸中悶痛), 아플 때는 통증이 가슴으로부터 잔등을 뚫고 나가는 것 같고(痛
            時徹背), 숨이 차고 호흡이 급촉하여 헐떡거리며(氣短喘促), 기침하면서 거품이 들어있
            는 가래를 토한다(咳吐痰沫)., 이는 한담이 모여 뭉쳐져서(寒痰結聚), 폐기가 요해를 받
            아(肺氣受阻), 흉부의 양기가 떨치고 일어나지 못하기(胸陽不振) 때문이다.
    治宜 : 온폐화담(溫肺化痰), 통양강역(通陽降逆).
    方用 : 괄루해백반하탕(栝蔞薤白半夏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加减
                              ≒ 괄루(栝樓), 해백(薤白), 반하(半夏), 백주(白酒).
       
㈂ 천증(喘證) asthma, phthisic
    臨床 :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중에 출현하는 천병(喘病)의 임상특징은 호흡이 급촉해서 헐떡
            거리며(呼吸喘促), 희고 묽은 가래를 뱉는데(咯痰白稀), 잘 뱉어지고(喜唾), 가슴이 그득
            하며 구역질을 하고(胸滿嘔逆), 입은 담담하며 식욕감퇴 소화불량 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되고(口淡納呆), 팔다리가 서늘하며 추위가 두렵다(畏寒肢冷).,  이는 비양이 부족
            (脾陽不足) 함으로 중초가 한해서(寒從中生), 습이 모여 담이 생기고(聚濕生痰), 위로
            폐가 마르기(上乾于肺) 때문이다.
    治宜 : 온화한담(溫化寒痰), 강기지해(降氣止咳).
    方用 : 령감오미강신탕(苓甘五味姜辛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 복령(茯苓), 감초(甘草), 오미자(五味子), 건강(乾姜), 세신(細辛).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은 항상 풍한범폐(風寒犯肺)로 말미암거나 혹은 평소에 담병이 있는데다(素有痰疾), 풍한에 걸려서(復爲風寒) 유발(誘發)한 것이기 때문에 역시 풍한범폐(風寒犯肺)에 의한 감모(感冒)를 많이 보게 되고, 해수(咳嗽) 등의 질병 중에 숨이 찬 기침(咳嗽氣短)을 하며, 희고 묵은 가래를 뱉으며, 목구멍 사이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고(喉間痰鳴), 가슴속 격기가 그득하며 답답하고(胸膈滿悶), 태는 희고 번들번들한(苔白滑) 등의 증상이다.
치료는 선폐(宣肺)를 기초로 하고 소풍산한(疏風散寒)하며 온폐화담(溫肺化痰)하는 약물로 보좌하도록 한다.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이 있는 그 병기(病機)가 연진(演進)하는 과정 중에는 항상 2가지의 정황이 수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자병범모(子病犯母) 즉 폐(肺)의 질환이 비(脾)에 미쳐서 운화기능이 불이해져서(運化失職), 식
    욕부진(食欲不振)이 나타나고, 소리 내어 토하려 하나 내용물이 없으며(泛噁欲嘔), 묽고 엷은
    변을 보고(大便溏薄), 배가 붓고 장에서 소리가 나는(腹脹腸鳴) 등 외습에 의하여 비위의 운화
    에 영향을 받은(濕困脾胃) 증(證)
㉯ 모병급자(母病及子) 즉 폐금(肺金)의 질환이 신수(腎水)에 미쳐서 신양부족(腎陽不足)으로 허
    리와 무릎이 약하고 신큰거리며(腰膝酸軟), 밤에 소변을 많이 보고(夜多小便), 숨이 차서 헐떡
    거리며(氣短而喘), 가래에 검은 점이 섞이고(痰有黑点), 량이 많으며 쉽게 뱉고(量多而稀), 양
    쪽 발이 서늘하고 춥다(兩足寒冷)., 심하면 혹 배가 붓고 부종이 일며(腹脹浮腫), 여명설사(黎
    明泄瀉) 등 증(症).

▷ 범오욕구(泛噁欲嘔) : 범오(泛噁)를 오심(惡心)이라고도 한다. 위완내(胃脘內)에 담탁, 습사, 식
    체 등이 있어서 토하려고 하나 토하기 어렵고, 맑은 침이 올라오거나 혹은 신물이 올라오는 증
    상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구(嘔) 또한 소리는 나지만 내용물이 나오질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므로 범오욕구는 속이 울렁
    거리고 메스꺼워 소리 내어 토하려 하나 내용물이 없는 것을 말한다.
▷ 여명설사(黎明泄瀉) : 동이 틀 녘에 설사를 하는 것으로 오경설(五更泄) 또는 신설(晨泄)이라고
    도 한다. 매일 아침 날이 밝기 전에 배에서 소리가 나면서 설사하기 때문에 진설(辰泄, 五更泄)
    이라고 한다. 병인(病因)은 주로 신양(腎陽)이 허하고 명문지화(命門之火)가 부족하여 비위(脾
    胃)를 온양(溫養)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신설(晨泄)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