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3-16 19:17
[의방집성(醫方集成)] 감람산《經驗方》 ㅡ 개울이진탕《万氏婦人科》
 글쓴이 : admin
조회 : 9,378  
감람산(橄欖散)《經驗方》
          조성 ≒ 炒橄欖(초감람)10,人中黃(인중황)2.- 硏極細末-植物油 或熟猪油 調成軟膏,外涂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生津潤唇(생진윤순)
          주치 : 순풍(脣風) 等.
감로소독단(甘露消毒丹)(飮)《溫熱經緯》거습제(祛濕劑)
                조성 ≒ 활석(滑石), 인진(茵陣), 황금(黃芩), 석창포(石菖蒲), 천패모(川貝母), 목통
                            (木通), 곽향(藿香), 사간(射干), 연교(連翹), 박하(薄荷), 백두구(白豆寇).
                효용 : 청화습열(淸化濕熱).
                          청열이습(淸熱利濕), 방향화탁(芳香化濁), 창달기기(暢達氣機).
                주치 : 1) 유행성 습열 역병(濕溫時疫)의 사기가 기분에 있고(邪在氣分) 발열권태
                              (發熱倦怠)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부르며(胸悶腹脹) 목이 마르고 오
                              줌색이 진하며(口渴溺赤) 설태는 희고 두터우며 미끈거리거나(苔白厚膩)
                              혹 누렇고 건조하다(乾黃).
                          2) 粟瘡(속창) : 이 병은 초창과 비슷하다. 그 주요증상은 눈꺼풀 안에 누렇
                                                고 연한 좁쌀알 만한 과립(顆粒)의 병변이 생기는 것이다. 니
                              병은 초창(도라홈)과 동시에 발생하며 깔깔하고 가렵다. 중증은 과립이
                              눈알과 마찰하여 예막(瞖膜)을 유발시키게 되면 시력에 영향을 준다.
                          3) 습조증(濕阻證, 濕阻中焦, 脾虛濕困,濕困脾陽) - 비위습열증(脾胃濕熱證)
                          4) 습온병(濕溫病) - 습조증(濕阻證) 비위습열증(脾胃濕熱證)
                              見症 : 배가 붓고 가슴이 답답하며(胸悶腹脹),번열로 손상되고(煩熱困倦)
                                      기가 상역하여 헛구역질을 하며(上逆爲嘔噁), 전후음이 막혀서 소
                              변이 짧고 색이 붉으며(下閉爲小便短赤) 대변비결(大便秘結)이 있거나
                              혹은 변이 묽은데 변을 보고난뒤가 상쾌하지 못한(溏而不爽) 특징이 있고
                              설태는 항상 미끈미끈한 것이 더러우며(舌苔常濁膩) 설질은 대체로 담백
                              (舌質多淡白)하고, 맥은 항상 위로 뜬 맥이 가늘고 연하다(脈常濡). 이것
                              은 사기(邪氣)가 기분(氣分)에서 습열(濕熱)을 겸한 중증(重症)에 속한다.
                          5) 황달(黃疸) - 비위습열증(脾胃濕熱證)
감로음(甘露飮)《和劑局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생지황(生地黃), 맥문동(麥門冬), 천문동(天門冬), 석곡(石斛),
                      지각(枳殼), 황금(黃芩), 인진(茵陣), 비파엽(枇杷葉), 감초(甘草).
          주치 : 위중습열상증(胃中濕熱上蒸).- 후부(喉部)가 궤란(潰爛)되고 입에서 냄새가 나며
                    (口臭喉瘡), 혹 피를 토하고 코피를 흘리거나(吐衄), 잇몸출혈(齒齦出血), 설태황
                    니(舌苔黃膩)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
                    滑數).
감로음(甘露飮)《閻氏小兒方論》治目劑(치목제)
          조성 ≒ 熟地黃(숙지황), 麥冬(맥동), 枳殼(지각), 甘草(감초), 茵陣(인진), 枇杷葉(비파
                      엽), 石斛(석곡), 黃芩(황금), 生地黃(생지황), 天冬(천동).
        효용 : 滋陰淸熱(자음청열), 寬中利濕(관중이습).
        주치 1) 圓翳內障(원예내장) : 음허협습열(陰虛挾濕熱)
                    症狀 : 목삽시혼(目澁視混), 번열구취(煩熱口臭), 대변불창(大便不暢), 설홍태
                              황니(舌紅苔黃膩).
                2) 빈혈(貧血), 칸디나증
감리기제탕(坎离旣濟湯)《醫宗金鑑》
                조성 ≒ 生地(생지), 黃柏(황백), 知母(지모).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金匱要略》卷下
                조성 ≒ 감초(甘草)15, 소맥(小麥)30, 대조(大棗)10枚.
                            以水 600 毫升, 煮取 300 毫升, 分 2 次溫服.
                효용 :  효용 : 양심안신(養心安神), 보비윤조(補脾潤燥).
                주치 1)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屬(속) 心氣不足(심기부족) 脾陰虧虛(비음휴허)
                            症見(증견) - 정신이 황홀하고(精神恍惚) 희비가 반복되고 소리 내어 울려
                                              하며(喜悲欲哭) 해질녘에 몸에 열이 나는데 마치 조숫물이 밀
                            려들둣 하고 땀을 흘리며(潮熱汗出) 마음이 조급하고 불안하고(煩躁不安)
                            기지게를 켜며 하품을 자주 한다(數欠伸) 等.
                          【臨證擧例】《福建中醫葯》1985 ; 4 : 34 : 報道 133 例
                            부녀(婦女) 갱년기종합증(更年期綜合證) 본방 치료 후 조(潮熱), 한출(汗
                            出), 실면(失眠), 두통(頭痛), 두운(頭暈), 번조(煩躁), 복창(腹脹)의 유효
                            율(有效率)은 94.4%, 84.1%, 92.7%, 86.8%, 67.8%, 70.2%, 75.0%. 로
                            나타났다.
                        2)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 히스테리 울화병(鬱火病)
                        3) 울증(鬱證)- ⑴ 담기허증(膽氣虛證) 合 월국환(越鞠丸)《丹溪心法》
                                              ⑵ 신기허(腎氣虛)로 인한 심담불영증(心膽不寧證).
                                                  장조병(臟躁病), 우울증(憂鬱症)
감모퇴열충제(感冒退熱冲劑)《成葯》
                  조성 ≒ 大靑葉(대청엽), 板藍根(판람근), 連翹(연교), 草河車(초하차).
                              制成冲劑 每次半袋至一袋 開水冲服 日服3~4次.
감미청인이격탕(减味淸咽利膈湯)《證治准繩》
                      조성 ≒ 방풍(防風), 형개(荊芥), 박하(薄荷), 길경(桔梗), 황금(黃芩), 황련(黃
                                  連), 산치자(山梔子), 연교(連翹), 현삼(玄參), 우방자(牛蒡子), 감초
                                  (甘草), 은화(銀花), 죽엽(竹葉).
감석산(甘石散)《經驗方》
          조성 ≒ 爐甘石(로감석), 石決明(석결명), 煅龍骨(단용골) 各30, 熟石膏(숙석고), 松花
                      粉(송화분) 各60, 枯礬(고반)15, 冰片(빙편)6.
                      依法煅選, 如 爐甘石(로감석), 石決明(석결명), 龍骨(용골), 石膏(석고) 然后共
                      硏成極細粉末, 備用. 外扑 日2~3次
          효용 : 收水止痒(수수지양)
          주치 : 輕微滲出(경미삼출) 糜爛(미란) 呈亞急性皮膚病(아급성피부병), 如惡急性濕疹
                    (악급성습진), 陰囊濕痒(음낭습양) 等.
감수반하탕(甘遂半夏湯)《金匱要略》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감수(甘遂), 반하(半夏), 작약(芍葯), 자감초(炙甘草), 봉밀(蜂蜜).
                주치 : 음이 흉협에 머무르거나(飮留胸脇) 혹은 음이 위장에 머무르고(飮留胃腸)
                          병의 뿌리가 깊고 견고한자(根深蒂固者).
감수통결탕(甘遂通結湯)《中西醫結合治療急腹證》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감수(甘遂), 도인(桃仁), 적작(赤芍), 토우슬(土牛膝), 광목향(廣木香), 천
                            대황(川大黃), 천후박(川厚朴).
                주치 : 장경조(腸梗阻).- 장강적액(腸腔積液)이 비교적(比較的) 많은 자(者)
감적산(疳積散)《中醫兒科學》《驗方》영아제(嬰兒劑)
          조성 ≒ 향부(香附), 창출(蒼朮), 육두구(肉豆寇), 신곡(神曲), 맥아(麥芽,) 빈낭(檳榔),
                      호황연(胡黃連), 오곡충(五谷虫), 계내금(鷄內金).-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감적(疳積).- 확실하게 몸이 여위고(形體消瘦明顯) 위와 장이 마치 북과 같이 부
                                      풀고(肚腹臌脹) 정맥이 폭로되어 구불구불 표면에 나타나고(靑筋暴
                    露), 얼굴색이 누렇게 시들어 빠지고 밝지 못하며(面色萎黃无華), 머리카락이 누
                    렇게 성기고(毛髮稀黃) 마치 이삯이 맺은 것 같고(如穗結), 정신을 차리지 못하
                    며(精神不振) 혹은 갑갑해하고 조급해하며(或易煩躁) 격동하고(激動), 잠을 자
                    도 편안하지 않고(睡眠不寧) 혹(或) 코를 후비고 눈썹을 문지르며(揉眉挖鼻), 이
                    를 갈고 손가락을 깨물며(咬指磨牙) 이상한 동작을 하고(動作異常) 식욕이 감퇴
                    된다(食欲减退).
감초건강탕(甘草乾姜湯)《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조성 ≒ 감초(甘草), 건강(乾姜).
                주치 : 폐위(肺痿) 허냉(虛冷).- 폐위(肺痿), 기침을 할 때 거품이 있는 침과 가래를
                          뱉으며(咳唾吐涎沫), 목이 마르지 않고(不渴), 소변은 자주 보거나(小便數),
                          혹 오줌을 쌓는(遺尿) 등 증을 다스린다.
감초건강탕(甘草乾姜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감초(甘草) 건강(乾姜).
                주치. ① 상한(傷寒) 한사에 비양을 손상 받아(寒傷脾陽).- 수족이 말단으로부터 차
                            가워져 오르고(手足厥冷), 목구멍이 건조하며(咽中乾), 기가 상역하여 토
                            하고 마음이 답답하며 초조하다(煩躁吐逆).
                        ② 천식(喘息), 기관지염(氣管支炎).
감초마황탕(甘草麻黃湯)《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감초(甘草), 마황(麻黃).
                주치 ① 피수표실(皮水表實) 환자.- 사지부종(四肢浮腫), 몸에 열과 땀이 나지 않으
                            며(无熱无汗)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
                            지는 않는다(脈浮).
                      ② 천식(喘息)
감초부자탕(甘草附子湯)《傷寒論》치풍제(治風劑)
                조성 ≒ 자감초(炙甘草) 포부자(炮附子) 백출(白朮) 계지(桂枝).
                주치 ① 비신양허(脾腎兩虛) 영위허극(營衛虛極)적 비통(痺痛).- 풍습비통(風濕痺
                            痛), 오풍(惡風), 한출(汗出) 기단(氣短), 관절굴신불리(關節屈伸不利).
                      ② 견통(肩痛) 목양(目痒) 감기빈발(感氣頻發)
감초분밀탕(甘草粉蜜湯)《金匱要略》구충제(驅虫劑)
                조성 ≒ 감초(甘草) 분(粉), 밀(蜜).
                주치 : 살충약을 복용한 후(服殺虫葯后) 욱신거리는 통증이 몹시 심해진(疼痛更甚)
                        사람.- 침을 뱉으며(吐涎) 때때로 심통이 발작하며(心痛發作 時有), 살충약으
                                  로는 멈출 수 없는(殺虫葯不能止) 경우.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감초(甘草)量倍加, 인삼(人蔘), 반하(半夏), 건강(乾姜), 대조(大棗), 황금(黃
                        芩), 황련(黃連)./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가(加) 감초(甘草 量倍加)
            주치 ① 위허(胃虛) 비증(痞證).
                    ② 위염(胃炎) 구내염(口內炎) 설사(泄瀉) 불면증(不眠症)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金匱要略》
                조성 ≒ 甘草(감초), 黃芩(황금), 生姜(생강), 半夏(반하), 人參(인삼), 大棗(대조).
감초소맥대조탕(甘草小麥大棗湯)《金匱要略》경산제(經産劑)
                      조성 ≒ 감초(甘草), 소맥(小麥), 대조(大棗).
                      주치 : 부인장조(婦人臟躁).- 희비상욕곡(喜悲傷欲哭), 상여신령소작(象如神靈
                                                              所作), 삭흠신태식(數欠伸太息).
감초유(甘草油)《趙炳南臨床經驗集》
          조성 ≒ 甘草(감초), 香油(향유).
감초초흑두탕(甘草梢黑豆湯)《醫方考》
                  조성 ≒ 生甘草梢(생감초초)60, 黑豆(흑두)250.
                              水 1500 毫升, 煎去半, 空腹時服
                  효용 : 해독완급(解毒緩急).
                  주치 : 근산(筋疝). 경근설통(莖筋挈痛), 정창불감야(挺脹不堪也).
감초탕(甘草湯)《傷寒論》인후제(咽喉劑)
          조성 ≒ 감초(甘草).
          주치 ① 상한(傷寒) 소음객열(少陰客熱) 인통(咽痛).- 소음병(少陰病) 인후동통(咽喉疼
                                                                                    痛)
                ② 인두염(咽頭炎) 편도선염(扁桃腺炎) 구내염(口內炎)
감초환(甘草丸) 臨床經驗方(임상경험방)
          조성 ≒ 甘草(감초)500, 海螵蛸(해표소)150, 乳香(유향)25, 沒葯(몰약)25.
                      - 硏末(연말) 蜜丸(밀환)
          주치 : 十二指腸潰瘍(십이지장궤양)
갑자제독약분(甲字提毒葯粉)《房芝萱方》
                  조성 ≒ 輕粉(경분), 京紅粉(경홍분), 血竭(혈갈), 琥珀面(호박면), 朱砂(주사), 麝
                              香(사향), 冰片(빙편).
강계사물탕(羌桂四物湯)《醫宗金鑑》卷四十四
                조성 ≒ 當歸(당귀), 川芎(천궁), 熟地(숙지), 赤芍(적작) 各9, 羌活(강활), 桂枝(계
                            지)各6.- 水煎服(수전복)
                효용 : 疏通經絡(소통경락)
                주치 : 血脈壅阻(혈맥옹조), 經行身痛(경행신통), 无表證(무표증) 환자.
강부경고(康膚硬膏)《經驗方》
            조성 ≒ 大楓子(대풍자), 制馬錢子(마전자), 苦杏仁(고행인) 各30, 川烏(천오), 草烏
                        (초오), 全蝎(전갈), 斑蝥(반모), 蜈蚣(오공), 𥓲砂(뇌사)各15, 麻油(마유)750.
                        群葯放入麻油中 炸枯, 過濾去渣, 再煉至滴水成珠, 取出浸入冷水中去火毒,
                        兌入樟丹適量收膏 攤在紙上備用.- 視皮損範圍 大小而貼之 2~3 天一換.
            효용 : 祛風止痒(거풍지양), 軟堅散結(연견산결).
            주치 : 옴(馬疥), 완고한 습성 창양(頑濕瘍), 攝領瘡(섭령창) 等.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東垣․東醫寶鑑》
                조성 ≒ 麻黃(마황), 附子(부자),防風(방풍),白芷(백지),炒白殭蠶(초백강잠)各一錢,
                            黃柏(황백), 羌活(강활), 蒼朮(창출) 各七分, 黃芪(황기), 升麻(승마), 炙甘
                            草(자감초) 各五分.
                            -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水煎(수전) 食后服(식후복)한다.
                주치 : 대한(大寒)이 뇌(腦)를 범하여 뇌통(腦痛)에 치통(齒痛)을 겸하는 증(症)을
                          뇌풍(腦風)이라고 하는데 이 약(葯)이 가장 효(効)가 있다.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內外傷辨惑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강활(羌活), 독활(獨活), 고본(藁本), 방풍(防風), 천궁(川芎), 만형자(蔓荊
                            子), 감초(甘草).
                주치 : 풍습재표(風濕在表).- 체온이 37.4℃ 전후의 미열이 나고 추운 것이 싫고(惡
                          寒微熱), 머리와 몸이 무겁고 아프며(頭身重痛), 설태는 희고(苔白),맥은 약
                          간 눌러도 짚이며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지 않은 맥이다(脈浮).
강활승풍탕(羌活勝風湯)《原機啓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강활(羌活), 형개수(荊芥穗), 방풍(防風), 독활(獨活), 감초(甘草), 지각(枳
                            殼), 시호(柴胡), 전호(前胡), 길경(桔梗), 어출(於朮, 白朮), 황금(黃芩), 백
                            지(白芷), 박하(薄荷), 천궁(川芎). - 십사미조성(十四味組成)
                주치 : 1) 폭풍객열(暴風客熱) 풍중열경(風重熱輕).- 포검종창(胞瞼腫脹), 백정홍적
                              (白睛紅赤), 양통겸작(痒痛兼作), 수명다루(羞明多泪), 두통비색(頭痛鼻
                              塞), 오풍발열(惡風發熱), 태박백(苔薄白) 혹 박황(薄黃) 맥부삭(脈浮數).
                          2) 혼정장(混睛障)-이 병은 대부분 간경풍열(肝經風熱)에 의하여 진액(津液)
                              이 뜨겁게 되고, 어혈(瘀血)이 응체(凝滯) 됨으로 발생한다. 그 증상은 검
                              은 자위에 넓은 회백색예장(翳障)이 가리운 것이 마치 부연 유리와 같고
                              시력에 심한 장애가 생긴다. 각막반예(角膜斑翳)와 비슷하다.
강활패독산(羌活敗毒散)《症因脈治》
                조성 ≒ 강활(羌活), 독활(獨活), 방풍(防風), 형개(荊芥), 천궁(川芎), 시호(柴胡),
                            전호(前胡), 창출(蒼朮), 백지(白芷), 감초(甘草).
개관산(開關散)《沈氏尊生書》
          조성 ≒ 남성(南星), 빙편(冰片).
개관산(開關散)《衛生寶鑑》
          조성 ≒ 皂角(조각)6, 細辛(세신)0.9.
                      곱게 갈아서(硏爲細末), 매번 적은 량을(每用少許) 코로 들여 마시면 곧 깨닫
                      된다(吸入鼻中, 卽醒).
          효용 : 개관통규(開關通竅)
          주치 : 입을 굳게 다물고 벌리지 않고(口噤不開), 호흡이 통하지 않는다(氣息不通).
개금산(開噤散)《醫學心悟》리기약(理氣葯)
          조성 ≒ 인삼(人蔘), 운령(云苓), 하체(荷蒂), 진미(陳米), 귤피(橘皮), 단삼(丹參), 동과
                      자(冬瓜子), 석연자(石蓮子), 황련(黃連), 창포(菖蒲).
          주치 : 금구리(噤口痢).- 가슴이 답답하고 헛구역질을 하며(胸悶嘔逆), 소화불량, 식욕
                    감퇴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되고, 입에서 더러운 냄새가 나며(口穢納呆), 설태
                    는 누렇고 미끈거린다(舌苔黃膩).
                    금구리(噤口痢) : 이질(痢疾)로 인하여 음식물을 먹지 못하거나, 토(吐)하여 먹
                                            을 수 없는 것을 금구리라고 말한다. 대체로 역리(疫痢), 습열
                    리(濕熱痢)가 변화 발전되어 생기거나, 역리(疫痢),습열리(濕熱痢)의 병기(病機)
                    적 과정 중에서 이질이 비교적 심한 증후에 이르게 되면 나타난다. 대부분 습열
                    독사(濕熱毒邪)가 장내에 맺혀 독(毒)이 성(盛)해져서 위기(胃氣)를 손상시켜 위
                    음(胃陰)이 소모되었거나 혹은 오랜 병에 의하여 비위(脾胃)가 손상되어 위기하
                    강(胃氣下降)이 상실되고 운화(運化)가 무력하여 기기(氣機)가 막히게 되면 발
                    생한다. 임상특징은 식욕이 없고, 메스꺼워 음식물을 받지 못하며 먹으면 곧 토
                    하고, 가슴에 비기(痞氣)가 있어서 답답하고, 혀가 붉으며, 설태가 누렇고 기름
                    기가 있는 등 증상이 겸하여 나타난다.
개명환(開明丸)《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관계(官桂), 토사자(菟絲子), 주숙지(酒熟地), 오미자(五味子), 맥문동(麥門冬),
                      구기자(枸杞子), 충위자(茺尉子), 방풍(防風), 세신(細辛), 초결명(草決明), 청
                      상자(靑葙子), 황금(黃芩), 행인(杏仁), 고정력(苦葶藶), 택사(澤瀉), 차전자(車
                      前子), 지부자 (地膚子), 양간(羊肝), 유인(蕤仁). 십구미약조성(十九味葯組成)
                      爲細末 煉蜜爲丸 如桐子大. 每服 30 丸, 白滾湯送下 日進三次, 仍忌生姜糟酒炙
                      煿熱物.
          주치 : 간신음허(肝腎陰虛)의 숙예(宿翳).- 흑정유백색예장(黑睛有白色翳障), 시물혼몽
                    (視物昏朦), 안내건삽(眼內乾澁),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이무력(脈細而无力)
개울산(開鬱散)《洞天奧旨》옹양제(癰瘍劑)
          조성 ≒ 소요산(逍遙散, 당귀(當歸) 백작(白芍) 감초(甘草) 운령(云苓) 백출(白朮) 생강
                      (生姜) 시호(柴胡) 박하(薄荷)) 감(减) 박하(薄荷), 가(加) 울금(鬱芩), 백개자
                      (白芥子) 천규초(天葵草), 전갈(全蝎), 향부(香附). - 水煎服
          효용 : 서간해울(舒肝解鬱) 화담산결(化痰散結).
          주치 : 유벽(乳癖), 유로(乳癆), 유암(乳癌).- 유방(乳房) 유경결종괴(有硬結腫塊), 흉민
                    불서(胸悶不舒), 심번이노(心煩易怒), 월경불조(月經不調), 설태박백(舌苔薄白),
                    맥현활(脈弦滑).
                    유벽(乳癖) ① 대체로 우울하거나, 성을 내거나 또는 지나치게 사려가 깊은 등에
                                    의하여 간기를 상하고, 기가 정체되며 담이 울결(鬱結) 되어서 생긴
                    다. 대부분 중년, 노년의 부녀들에게 많이 생긴다. 초기에는 유방에 한 개의 계란
                    만한 종물이 생기는데 표면이 광활하며 손으로 만지면 움직이고 대다수는 아프
                    지 않고, 소수의 경우 약간 아픈 감이 있다.
                    후기에는 종물이 피부와 유착되지 않고, 피부색이 평상시와 같으며 열도 나지
                    않고, 오랜 시간이 지나도 곪지 않는다. 유선섬유종과 비슷한데 일부 환자는 임
                    신기에 신속하게 증대되어 악화 된다. ② 기가 정체되고 담이 울결 되거나 혹은
                    충맥과 임맥의 기능실조가 겸하게 된다. 이런 병증은 대부분 중년부녀자들의 양
                    쪽 유방에 생기는데 월경이 오기 전에 유방이 붓고 아프며 종물감을 느끼게 되
                    고 눌러보면 크고 작은 종물이 있으며 약간 단단하나 굳지 않고 경계가 뚜렷하
                    지 않으며 월경 후에는 증상이 감소되는데 종물의 소장(消長)은 항상 정신적 자
                    극과 관련된다.
                    유로(乳癆) : 유핵(乳核)이 확산되어 생긴 질병이다. 기혈이 허하거나 치료와 조
                                      리가 적당하지 못해서 유핵이 크게 사발만 하고, 딴딴하며, 아프고,
                    가슴, 옆구리와 겨드랑이에까지 뻗치고 색이 자색이거나 혹은 흑색이며 곪아 터
                    진 후에는 경(輕)한 것은 흰 즙이 흐르고, 심(甚) 한 것은 더러운 냄새가 나는 물
                    이 흐른다. 오래되면 오후에 조열이 나고, 기침을 하며, 뺨이 불고, 여위는 등 음                    허내열(陰虛內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개울이진탕(開鬱二陣湯)《万氏婦人科》경산제(經産劑)
                조성 ≒ 이진탕(二陣湯, 진피(陣皮) 반하(半夏) 복령(茯苓) 감초(甘草)) 가(加) 창출
                            (蒼朮), 아출(莪朮), 천궁(川芎), 청피(靑皮), 빈낭(檳榔), 목향(木香), 향부
                            (香附). - 십일미조성(十一味組成) 생강(生姜) 위인(爲引)
                주치 : 담습증을 빌어(痰濕症叚).- 하복내부에 덩어리가 짚이고(下腹包塊) 혹 때로
                          는 아프기도 하고(時或作痛) 만저보면 부드럽고 연하게 말랑말랑하며(按之
                          柔軟) 대하 량이 비교적 많고(帶下較多), 대하색이 희고 질이 끈끈하며 미끈
                          거리며(帶色白質粘膩), 형체가 추위를 두려워하고(形體畏寒) 가슴과 배가
                          결리며 답답하고(胸脘痞悶) 소변은 량이 적고 짧으며(小便短少) 설태는 희
                          고 미끈거리며(舌苔白膩) 설질은 어두운 자줏빛이고(舌質暗紫)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면서 위로 뜬 것이 연하거나(脈細濡) 혹은 힘주어 눌러야 짚
                          이며 맥이 순조롭고 원활하다(或沉滑).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