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11-16 14:54
[침구임상(針灸臨床)] 비통 (臂痛) - 사마귀 : 편평우(扁平疣), 욱취
 글쓴이 : admin
조회 : 7,715  
비통 (臂痛) : 상지통(上肢痛)
    1. 參照文(참조문)
        1) 견비통 (肩臂痛)
        2) 완골통 (腕骨痛)
        3) 주관절통 (肘關節痛)
        4) 수비부병 (手臂部病)
        5) 臂內側 邊緣과 手痛은 외사비조(外邪臂阻)를 參照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經渠(경거), 合谷(합곡), 下廉(하렴).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 合),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靈道(령도), 通里(통리), 少冲(소충).
            手太陽小腸經 : 前谷(전곡) 陽谷(양곡) 養老(양노) 臑兪(노유 酸痛无力), 天宗(천종,酸痛).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 內關(내관).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會宗(회종,筋痛), 三陽絡(삼
                                  양락), 四瀆(사독), 消濼(소락), 肩髎(견료).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① 上廉(상렴), 曲池(곡지), 合谷(합곡).
                                ② 曲池(곡지), 合谷(합곡), 肩髃(견우).
                                ③ 肘髎(주료), 曲池(곡지), 外關(외관), 足三里(족삼리).
            手太陽小腸經 ① 前谷(전곡), 合谷(합곡), 曲池(곡지), 外關(외관).
                                ② 支正(지정), 神門(신문).
                                ③ 小海(소해), 神門(신문), 靈道(령도).
        2) 臂痛, 肱骨上髁痛 : 下廉(하렴), 曲池(곡지).
        3) 四肢部 : 二白(이백).
        4) 上腕 ⑴ 위팔 내측 동통(上臂內側疼痛(상비내측동통) : 天府(천부), 俠白(협백).
                    ⑵ 神經痛 - 手少陽三焦經 : 會宗(회종,郄).
        5) 前腕 ⑴ 前臂痛 - 手少陽三焦經 : 四瀆(사독).
                    ⑵ 神經痛 - 手少陽三焦經 : 會宗(회종,郄).
                    ⑶ 發赤腫痛 - 上肢部 : 八邪(팔사).
    3. 現代針灸學 成樂箕
        단순한 神經痛인 경우에는 針灸治療가 다른 葯物療法보다도 그 효능이 신속하고 탁월하지
        만 知覺痲痺를수반하는 것은 비록 輕症이라할지라도 상당한 치료기간이 소요된다. 특히 運
        動障碍를 수반하는 中樞性인 것은 難治 또는 不治의 것이많다.
        50肩은 통상 1~2개월에서 수개월이 걸리며 때로는 根治하는 데 무려 1년이상 걸리는 것도
        있다.
        Rheumatism은 단기간의 치료로 쉽게 치유되는 것도 있으나 때로는 장기간 내지는 평생 지
        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있다.
        이상과 같이 치료기간은 질병의 종류나 병증의 경중에 따라서 각양각색이지만 여하튼 疼痛
        에 대한 針灸治療는 아무리 장기간 계속 치료를 한다 하여도 어떤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고
        소기의 치료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최고의 복음이 아닐
        수 없다.
        取穴 : 上肢治療의 取穴原則은 上肢의 病經을 일차적으로 치료하고 여기에 대응하는 下肢經
                  絡을 이차적으로 取穴하여 일대 치료를 한다. 여기에 疼痛部位 對稱点 또는 對稱經에
                  거자, 무자를 병용하면 치료효과가 한층 촉진된다.
                  主治經 1) 手陽明 痛症 : 大腸經 - 胃經
                            2) 手少陽 痛症 : 三焦經 - 膽經
                            3) 手太陽 痛症 : 小腸經 - 膀胱經
                            4) 手太陰 痛症 : 肺經 - 脾經 또는 肺經 - 腎經
                            5) 手厥陰 痛症 : 心包經 - 肝經 또는 心胞經 - 脾經
                            6) 手少陰 : 心經 - 腎經
        治法 : 疼痛部位에는 통상 刺針에 의한 補法을 사용한다. 그러나 水毒 및 瘀血體質이나 疾
                  患, 衰弱者, 貧血, 低血壓, 心臟病에는 灸療法이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다.
              ☞ (1) 비록 침치료의 적응증이라 할지라도 침치료 후에 疼痛이 악화되거나 또는 몹시
                      피로감이 심할 경우에는 灸療法으로 전환하거나 또 針治가 끝난 다음에 3~5장
                      의 가벼운 뜸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비록 上肢痛이라 할지라도 內障疾患을 수반하는 疼痛에 대하여는 募穴과 輸穴의
                      병용이 불가결하다.
    4. 針灸大成
        1) 양쪽 팔뚝 동통(疼痛) 불가작업(不可作業) : 견정혈(肩井穴) - 痛玄指要賦
        2) 비통(臂痛), 척추동통(脊椎疼痛) : 手三里(수삼리) - 勝玉歌
        3) 西江月 ① 팔뚝이 아픈 것이 어깨와 등줄기까지 이르는 것
                          處方 : 先刺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肩井(견정), 曲池(곡지), 中渚穴(중저혈)
                                    을 治療한다.
    5. 中醫針灸學(중의침구학)
        病因病機(병인병기)
        경맥침습(經脈侵襲), 풍한습사(風寒濕邪), 기혈운행불창(氣血運行不暢).
        主要證候(주요증후)
        견배(肩背), 비내측변연(臂內側邊緣), 수동통(手疼痛)
        治法 : 구풍산한제습(驅風散寒除濕)
        處方 : 1) 心兪(심유), 神門(신문), 大陵(대능), 內關(내관), 太淵(태연).
                      針法 : 瀉法(사법)
                  2) 少海(소해), 支正(지정), 大陵(대능).
                      針法 : 瀉法(사법)
비통불거 (臂痛不擧)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淵腋(연액).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臂臑(비노), 肘髎(주료).- 針灸資生經
                  足少陽膽經 : 淵腋(연액), 天宗(천종), 肩髃(견우), 條口(조구).
빈맥 (頻脈)
    1. 주치혈(主治穴) 및 배합혈(配合穴)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滎).
        手少陰心經 : 陰郄(음극,郄).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郄).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동성빈맥(動性頻脈)
            手太陰肺經 : 俠白(협백), 魚際(어제,滎).
빈혈 (貧血 Anemia)
    1. 參考文獻
        1) 심음부족 (心陰不足)
        2) 肝病中 간혈부족(肝血不足)
        3) 혈허 (血虛).
        4) 저혈압 (低血壓)
    2. 主治穴(주치혈) 및 배합혈(配合穴)
        1)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合).
            足陽明胃經 : 足三里(족삼리,合), 下巨虛(하거허,小腸의 下合穴), 廬兌(려태,井).
            足太陰脾經 : 血海(혈해).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유), 脾輸(비수), 腎兪(신수), 關元兪(관원수).
            手少陽三焦經 : 液門(액문,滎).
        2) 血虛 - 膈兪 大椎 脾兪 血海 足三里.
        3) 鐵分缺乏性 : 督脈 - 命門(명문), 大椎(대추), 膈兪(격수), 曲池(곡지), 足三里.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① 膈輸(격수), 大椎(대추), 脾兪(비수), 血海(혈해), 足三里.
                                ② 膈兪(격수), 大椎(대추), 胃兪(위수), 血海(혈해), 足三里.
        2) 處方 ① 大椎(대추), 肝兪(간유), 足三里(족삼리).
                    ② 大椎(대추), 膈兪(격유), 命門(명문).
                    ③ 大椎(대추), 懸鍾(현종), 足三里(족삼리).
        3) 腦貧血(뇌빈혈)
            1) 足陽明胃經 : 廬兌(려태,井).
                督脈 : 百會(백회,手足三陽, 督脈의 會).
    4. 現代針灸學 成樂箕
        1) 빈혈(貧血 Anemia)
            혈액의 단위용적량에 적혈구수(赤血球數 erythrocytes), 혈색소량(血色素量 hemoglobin
            index)이 정상치 이하로 감소한 것을 Anemia라 칭한다.
            赤血球 정상치는 남자 500만, 여자 450만, 血色素量은 남자 100%, 여자 90%이다. 만일
            赤血球 수가 300만 이하에 血色素量이 60% 이하가되면 병적이라고 한다.
            原因은 제출혈(諸出血), 치출혈(proctorrhagia), 자궁출혈(metorrhagia), 장기생충, 암(癌
                      Cancer), 영양불량, 전염병 등이 있다.
            症狀은 피부, 눈의 결막과 점막 등에 창백색을 나타내면서 dizziness, tinntus, headache,
                      yawning, fatigue, 기면(嗜眠 somnolence), 시력감퇴, 오심(惡心 nausea), 사지냉
                      감, 심계(心悸 palpitation), 호흡곤란(呼吸困難 dyspnea) 등을 나타낸다.
            治療 : 원인에 따라 치료법도 각기 상이 하지만 빈혈 그 자체를 놓고 본다면 음혈허손(陰
                      血虛損) 상태를 지칭하고 있으므로 신기(腎氣), 간기(肝氣), 비기(脾氣)를 강화(補)
                      하는 한편 후천(后天)의 기(氣)를 보급하기 위하여 소화기관의 강화(强化)가 불가
                      결하다. 즉 Anemia의 치료에는 전체치료를 기본방침으로 한다. 따라서 기법 역시
                      음허증(陰虛證)이기 때문에 구료법(灸療法)이 주체가 돤다.
                      貧血이 심한 경우에는 主治經과 主治穴을 시술하기에 앞서서 백회혈(百會穴)와
                      현로혈(懸顱穴)에  뜸(灸) 료법(療法)이 필수적이다. 그 이유는 뇌빈혈(腦貧血
                      Cerebral anemia)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장수는 3장 내외가 적당하다.
        2) 재생불량성 빈혈(Aplastic anemia)
            본병은 골수상에 있어서 조혈기능(調血機能)이 장해되어 일어나는 병변으로 일반적인 貧
            血은 비록 빈혈은 있지만 조혈소(調血素=骨髓)의 기능은 왕성한 데 비하여 재생불량성
            빈혈은 이 같은 재생현상이 전무하므로 그 결과 赤血球(erythrocytes), 백혈구감소증(白血
            球減少證 leukopenia), 혈소판(血素板 bood platelet) 등이 극도로 감소한다. 그 정도가 심
            한 것을 무형성 또는 재생불능성빈혈이라 지칭한다.
            原因은 대부분 불명이지만 비교적 확실한 것은 방사선장해와 화학약품 중독이다. 방사선
                      장해의 대표적인 것은 Roentgen선이나 원수폭 등이다.
            證狀은 처음에는 일반 빈혈과 같지만 점차로 몸이 극도로 쇠약하여 피로(疲勞)가 자주오
                      고 발열(發熱)을 수반하면서 끝내는 출혈성 경향을 나타내면서 뉵혈(衄血 Epis-
            taxis), 성기출혈(性器出血), 피하출혈(皮下出血) 등을 나타낸다.
            혈액소견 상에서는 고도의 빈혈, 적백혈구(赤白血球)의 감소(赤血球 1mm/입방 100만 이
            하, 백혈구(白血球)는 3000이하), 혈소판감소(血素板減少) 등으로 여러 가지의 치료법을
            강구하여도 貧血이 경쾌하지 않고 진해성을 나타낸다.
            治療 : 빈혈(貧血 Anemia) 치법에 준한다.
    5. 이침(耳針)
              耳穴 ① 心.
                      ② 철분부족성 빈혈 : 肝(간), 脾(비).
    6.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貧血症(빈혈증)
                          處方 : 先刺 列缺穴(열결혈), 后刺 人中穴(인중혈)에 針刺한다.
빈호흡 (頻呼吸) ⇒ 호흡곤란 (呼吸困難)
사단 (蛇丹) ⇒ 대상포진 (帶狀疱疹)
사마귀 : 편평우(扁平疣), 욱취
        1. 주치혈(主治穴)
            1) 手太陽小腸經 : 지정(支正,絡).
        2. 中醫針灸學
            疣(우)는 사마귀로써 피부표면에 작은 군살이 자라는 것으로(小贅生物), 심상우  (尋常
            疣), 편평우(扁平疣), 전염성연우(傳染性軟疣), 장척우(掌跖疣), 사상우(絲狀疣) 등으로
            분류된다. 병독성감염(病毒性感染)은 사마귀(扁平疣)를 발생하는 주요원인이 된다. 본절
            (本節)에서는 편평우(扁平疣)만 서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대부분 풍열지사(風熱之邪)가 피부에 응체(凝滯皮膚)되거나 혹 간기가 울결(肝氣鬱結)
            되어 기혈의 응체(氣血凝滯)로 인기(引起)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사마귀의 크기는 쌀알 혹은 콩알 만 하고 표면은 반들반들하며 납작하고 연한 갈색 혹
            은 정상적인 피부색이며 일반적으로 무통증(无痛症), 무소양증(无瘙痒症)이며 대부분 분
            산(分散)해서 발생(發生)한다.
            治則 : 청열양혈(淸熱凉血), 통락화어(通絡化瘀).
                      발생부위에 순경취혈(循經取穴)과 국부취혈(局部取穴)을 호상결합(互相結合).
                        - 양명경혈(陽明經穴) 위주(爲主).
            處方 : 中渚(중저), 丘墟(구허), 曲池(곡지), 魚際(어제), 阿是穴(아시혈).
            方義 : 扁平疣(편평우)가 잘 발생하는 부위는(好發部位) 顔面(안면), 手背(수배)로써 少
                      陽(소양) 및 陽明經(양명경)이 循行(순행)하는 곳이기 때문에 中渚(중저), 丘墟(구
                      허)를 취하여 少陽(소양)을 疏通氣機(소통기기)하고, 三焦(삼초)의 울화를 소산
                      (疏散鬱火)한다.               
                      曲池(곡지), 魚際(어제)를 취하여 陽明(양명)을 祛風瀉熱(거풍사열)하고, 筋 肉(근
                                                                    육)과 皮膚(피부)의 기혈을 조절(調節氣血)하며.
                      국부의 혈을 배합해서 通絡散結(통락산결)하고 祛邪消疣(거사소우)한다.
            萬若 : 風熱(풍열)에 속하면 : 加 風池(풍지), 商陽(상양)- 散風淸熱(산풍청열)하고
                      鬱火(울화) : 加 行間(행간), 俠溪(협계). - 瀉熱肝膽(사열간담)한다.
            治法 : 毫針 瀉法 10-15分 留針(유침). 숙뜸을 뜰 수 있다(可艾蓧灸).
        3. 現代針灸學 成樂箕
            속칭 “사마귀”라 칭하며, 국한성으로 표피(表皮)가 증식(增殖)하는 것으로 특히 각질층
            의 증식에 의한 것이 많다. 원인은 Virus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연령 부위 형태
            에 따라서 다음 네가지로 분류한다.
            1) 심상성 욱취 : 흔히 말하는 사마귀를 지칭하는 것으로 침두대 소두대 등이 있으며 표
                                    면은 조잡하고 딱딱하며 주위에 새끼 사마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호발부위(好發部位)는 사지단(四肢端) 안면(顔面) 경부(頸部) 이다.
            2) 청년성 편평 욱취 : 청소년에 호발하는 것으로 침두대 소두대로 그 모양이 편편형으
                                            로 약간 융기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소결절이다. 표면이 미끄럽
                고 부드러우며 때로는 융합하여 커진다. 안면(顔面), 수배(手背), 전완(前腕)의 신전측
                (伸展側)에 호발한다.
            3) 첨규성 욱취 : 일명 첨규콘지름이라 지칭하며 처음에는 침두대 반미립대에서 시작하
                                    여 표면이 유두(乳頭) 모양으로 증대 또는 융합하면 마치 닭벼슬 모양
                이 된다. 남자는 음경(陰莖)의 관상구 포피 후두부에 여자는 소음순 전정부위에 잘 나
                타나며 때로는 항문(肛門) 주위 두부(頭部)  안면(顔面)에도 발생한다.
            4) 노인성 욱취 : 노인의 안면(顔面) 경부(頸部) 흉부(胸部) 사지(四肢) 등에 볼 수 있는
                                    완두대 조갑대의 갈색 또는 흑색의 반점으로 융기가 극히 낮고 표면이
                건조하다. 이것은 사마귀라기보다는 피부의 노인성 변화로 치료법이 없다.
            治療 : 뜸을 이용하는 소작요법이 있으나 의료기계의 현대화로 보다 간단하고 쉬운 전기
                      응고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