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11-16 15:52
[침구임상(針灸臨床)] 산기 (疝氣) : 疝痛(산통)
 글쓴이 : admin
조회 : 8,786  
산기 (疝氣) : 疝痛(산통)
    1. 參照文(참조문)
        1) 칠산 (七疝)
        2) 서혜인대종통 (鼠蹊靭帶腫痛 헤레니아)
        3) 고환종대(睾丸腫大)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外陵(외능), 大巨(대거), 氣冲(기충), 陰市(음시).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 冲門(충문), 府舍(부사), 腹結(복결).
            手太陽小腸經 : 養老(양노,郄).
            足太陽膀胱經 : 小腸兪(소장유), 中膂兪(중려수), 白環兪(백환수), 次髎(차료), 合陽(합양)
            足少陰腎經 : 照海(조해), 交信(교신), 橫骨(횡골), 四滿(사만).
            足少陽膽經 : 帶脈(대맥,帶脈과 交會), 五樞(오추,帶脈과 交會), 居髎(거료).
            足厥陰肝經 : 大敦(대돈,井), 行間(행간,滎), 太冲(태충,輸,原), 中封(중봉,經), 蠡泃(려구,
                              絡-少陽經), 中都(중도,郄), 曲泉(곡천,合), 陰廉(음렴), 急脈(급맥).
            任脈 : 石門(석문), 氣海(기해), 陰交(음교).
            胸腹部奇穴 : 三角灸(삼각구), 提托(제탁), 維胞(유포).
        2) 疝痛 : 足陽明胃經 - 承滿(승만).
                      足少陰腎經 - 陰谷(음곡).
                      胸腹部奇穴 - 提托(제탁).
        3) 腹疝痛 :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維道(유도).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滎).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① 太冲(태충), 行間(행간), 大敦(대돈), 期門(기문), 章門(장문).
                            ② 任脈病 - 曲骨(곡골), 中極(중극), 關元(관원), 氣海(기해).
        2) 足陽明胃經 ① 外陵(외능), 太冲(태충), 三陰交(삼음교).
                            ② 歸來(귀래), 大敦(대돈), 三陰交(삼음교).
            足太陰脾經 : 삼음교(三陰交), 대돈(大敦), 태충(太冲).
            足少陽膽經 ① 五樞(오추), 太冲(태충), 曲泉(곡천).
                            ② 居髎(거료), 大敦(대돈), 中極(중극).
            足厥陰肝經 ① 大敦(대돈), 歸來(귀래).
                            ② 蠡泃(려구,絡-少陽經), 中極(중극),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③ 中都(중도), 委中(위중), 關元(관원), 太冲(태충).
                            ④ 曲泉(곡천), 關元(관원), 中極(중극), 太冲(태충), 三陰交(삼음교).
                            ⑤ 曲泉(곡천), 急脈(급맥), 三陰交(삼음교).
                            ⑥ 期門(기문), 大敦(대돈).- 玉龍歌
            任脈 : 石門(석문), 中極(중극), 歸來(귀래).
        3) 한산복통(寒疝腹痛) : 足陽明胃經 - 陰市(음시), 太溪(태계), 肝輸(간수).
        4) 外陵(외능), 太冲(태충), 三陰交(삼음교).
        5) 中都(중도), 委中(위중), 關元(관원), 太冲(태충).
        6) 고환종통(睾丸腫痛) : 산기(疝氣)
            처방 : 蠡泃(려구), 中極(중극),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7) 편추(偏墜) : 足陽明胃經 - 歸來(귀래), 太冲(태충).
        8) 서혜(鼠蹊) 헤레니아 : 胸腹部奇穴 - 提托(제탁), 急脈(급맥), 曲泉(곡천), 太冲.
        9) 장산통(腸疝痛) - 足陽明胃經 : 太乙(태을), 內庭(내정, 滎).
                                    足太陽膀胱經 : 小腸兪(소장수).
                                    足少陽膽經 : 五樞(오추, 足少陽,帶脈의 會).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 滎), 太冲(태충, 原).
                                    任脈 : 氣海(기해), 水分(수분).
    4. 針灸大成
        1) 한산(寒疝) : 대돈혈(大敦穴), 조해혈(照海穴) - 百症賦
        2) 산증(疝症)
            症狀 : 한사입리(寒邪入里), 병재소복(病在小腹), 복통(腹痛) 이변불리(二便不利)           
                      - 第十篇 長刺節論
            處方 : 요부(腰部)의 장골간(腸骨間)을 많이 찌르고 유침(留針) 시키면 낫는다.
        3) 고환종대(睾丸腫大) : 大敦穴(대돈혈) - 痛玄指要賦
        4) 칠종(七種) 산증(疝症) : 大敦穴(대돈혈) - 玉龍歌
        5) 腎이 强해서 疝症頻發하여 心을 刺痛하므로 죽을 것 같다.
            처방 : 關元穴(관원혈) 針刺, 大敦穴(대돈혈) 灸法 - 玉龍歌
        6) 소장(小腸) 인기(引起) 산기(疝氣) : 歸來穴(귀래혈) - 勝玉歌
        7) 산증(疝症) : 大敦穴(대돈혈) 灸(구) - 勝玉歌
        8) 칠산(七疝) : 大敦穴(대돈혈), 太冲穴(태충혈) - 雜病穴法歌
        9) 西江月 ① 모든 산증(疝症)과 하복부(下腹部)의 적(積)
                          處方 : 先刺 照海穴(조해혈), 后刺 大敦(대돈), 蘭門(란문), 丹田(단전), 三陰交
                                    (삼음교), 湧泉(용천), 章門(장문), 大陵穴(대능혈)에 針刺한다.
                      ② 한쪽 고환이 붓고, 물이 찬 것이 피와 같다.
                          處方 : 先刺 照海穴(조해혈), 后刺 大敦(대돈), 曲泉(곡천), 然谷(연곡), 三陰交
                                    (삼음교), 歸來(귀래), 蘭門(란문), 膀胱兪穴(방광수혈)에 針刺하고, 腎
                                    兪穴(신수혈)의 橫紋(횡문)에 7 壯의 뜸을 뜬다.
                      ③ 산기(疝氣)가 발작할 때 심장(心臟)을 충동하여 아프다.
                          處方 : 先刺 照海穴(조해혈), 后刺 帶脈(대맥), 湧泉(용천), 太溪(태계), 大敦穴
                                    (대돈혈)에 針刺한다.
    5. 中醫針灸學
        산기(疝氣)는 고환(睾丸), 음낭(陰囊), 아랫배가 붓고 커지며 아픈 것을 말한다.
        寒疝 : 고환통증이 아랫배까지 잡아당기며 아프고 사지가 냉하고 통증이 심하며 혼궐되려
                  하는 증상
        濕熱疝 : 睾丸(고환)이 붓고 땅땅하고 아프며 물이 차고 음낭이 벌겋게 붓고 뜨겁고 아픈 증
        狐疝 : 소장(小腸)이 음낭(陰囊)에 탈입(脫入) 되어 음낭이 커지면 狐疝(호산)이다.
        西醫學 : 역시 산기(疝氣)라 부르는데 본증의 호산(狐疝) 범위에 속한다. 기타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고환과 음낭이 붓거나 물이 차는 등 증상은 본절의 변증론치를 참고 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⑴ 습지에 앉거나, 눕거나 혹은 비바람 맞으면 한습의 기는 임맥과 족궐음경을 따라 睾丸(고
            환), 陰囊(음낭)에 凝滯(응체)되어 氣血瘀阻(기혈어조)로 부어서 寒疝(한산)이 발생한다.
        ⑵ 寒濕(한습)의 기가 蘊積化熱(온적화열)하거나 肝臟(간장), 脾臟(비장) 두경의 濕熱(습열)
            이 아래로 내려와서 고환이 붓고 아프며 음낭에 물이 차거나 혹은 음낭이 紅腫熱痛(홍종
            열통)으로 熱疝(열산)이 발생된다.
        ⑶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과도하게 피로하면 筋脈(근맥)이 손상되며 氣(기)가 허하여 아래
            로 처지면 小腸(소장)이 음낭에 탈입되어 狐疝(호산)이 발생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寒疝 病機 : 濕地(습지)에 앉거나 누웠거나 혹은 비바람 맞으면 寒濕(한습)의 氣(기)는 任
                            脈(임맥)과 足厥陰經(족궐음경)을 따라 睾丸(고환) 陰囊(음낭)에 凝滯(응체)
                            되여 氣血瘀阻(기혈어조)로 부어서 寒疝(한산)이 발생한다.
                  症狀 : 睾丸(고환)과 陰囊(음낭)이 붓고 冷痛(냉통)이 小腹(소복)까지 땅기며 아프고
                            甚者(심자)는 胸脇疼痛(흉협동통)으로 숨이 넘어갈 지경이다. 陰莖收縮(음경
                            수축)하고 陰囊(음낭)과 四肢(사지)가 冷(냉)하며 面色蒼白(면색창백), 舌苔
                            薄白(설태박백), 脈沉緊(맥침긴), 或沉細(혹침세).
                  原則 : 溫化寒濕(온화한습), 疏痛經絡(소통경락). - 任脈 足厥陰經穴
                  處方 :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大敦(대돈), 氣海(기해).
                  方義 : 疝氣(산기)는 任脈(임맥)과 足厥陰(족궐음)의 病理變化(병리변화)에 속한다.
                            氣海(기해)와 關元(관원) : 任脈(임맥)의 氣血疏通(기혈소통), 寒濕溫和(한습
                                                                  온화)하고, 
                            大敦(대돈, 井穴) : 疝氣治療(산기치료)의 主穴(주혈)로써 - 疏肝行氣(소간행
                                                        기)하고 散結止痛(산결지통)한다.,
                            三陰交(삼음교, 足厥陰의 交會) : 脾經經氣(비경경기)를 溫通(온통)시켜 寒濕
                                                                            (한습)을 解除(해제).
                            厥逆(궐역) : 神闕(신궐)과 足三里(족삼리)에 灸法 → 溫陽救逆(온양구역)
                  治法 : 針으로 瀉法을 使用하고 灸를 加한다.
        2) 熱疝 病機 : 寒濕(한습)의 氣(기)가 蘊積火熱(온적화열), 肝脾(간비) 2經의 濕熱下注(습열
                            하주)로 睾丸腫痛(고환종통), 陰囊水腫(음낭수종) 혹은 陰囊(음낭)이 紅腫熱
                            痛(홍종열통)으로 熱疝(열산)이 發生(발생)한다.
                  症狀 : 睾丸脹痛(고환창통), 陰囊紅腫(음낭홍종), 刺痛拒按(자통거안) 더불어 惡寒發
                            熱(오한발열), 頭痛(두통), 四肢酸痛(사지산통), 小便短赤(소변단적)하며 입
                            안이 찐득찐득하고, 舌苔厚黃膩(살태후황니), 脈濡數(맥유삭).
                  萬若 : 退熱有濕(퇴열유습)하면 睾丸(고환)에 물이 차서 한쪽으로 처져서 내려간다.
                  原則 : 淸熱化濕(청열화습), 消腫散結(소종산결) - 足三陰經穴
                  處方 : 大敦(대돈), 照海(조해), 陰陵泉(음능천).
                  方義 : 大敦(대돈, 疝氣治療要穴)과 陰陵泉(음능천)을 配合 → 肝脾(간비) 2經의 濕
                                                                                                          熱淸泄(습열청설)
                            疝氣(산기)는 腎經(신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으로 - 照海(八脈交會穴) : 足
                                    少陰經(족소음경)의 氣血疏通(기혈소통)하여 散結止痛(산결지통)한다.
                            下腹脹痛(하복창통) : 大巨(대거), 關元(관원)을 가하여 理氣止痛(리기지통)
                            惡寒身熱(오한신열) : 合谷(합곡), 外關(외관).-解表淸熱(해표청열).
                  治法 : 針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되 뜸은 불가하다(不加灸).
        3) 狐疝 病機 : 힘든 일을 계속하거나 過度(과도)한 피로는 筋脈(근맥)을 損傷(손상)하므로
                            氣(기)가 虛弱(허약)해져 아래로 下垂(하수)되어 小腸(소장)이 陰囊(음낭)에
                            脫入(탈입)됨으로 狐疝(호산)이 發生(발생)하게 된다.
                  症狀 : 下腹部(하복부)와 陰囊(음낭)이 땅기며 쳐지고, 脹痛(창통)하며, 甚者(심자)
                            는 睾丸(고환)까지 땅긴다.
                            서면 밑으로 쳐지고 누우면 腹部(복부)로 들어가는데 嚴重(엄중)한 자는 손으
                            로 받들고 밀어 넣어야 들어간다. 반복해서 발작하거나 오랜 시간 치료하지
                            않으면 食少(식소), 氣短(기단), 疲勞(피로) 등 症狀(증상)을 兼(겸)한다.
                  原則 : 補氣升陷(보기승함), 止痛(지통). - 足陽明 任脈經穴 爲主
                  處方 : 歸來(귀래), 關元(관원), 三角軀(삼각구).
                  方義 : 歸來(귀래)는 小腸氣痛(소장기통)을 치료하며,
                            ① 宗筋(종근)과 배합되기 때문에 足陽明經(족양명경)의 要穴(요혈)이며 陽
                                明經(양명경)은 多氣多血(다기다혈)이다. 
                            ② 關元(관원)을 配合 : 補氣升陷(보기승함) 止痛(지통)한다.                       
                            三角軀(삼각구) : 疝氣治療(산기치료)에 經常的(경상적)으로 灸法(구법)을 사
                                                      용해서 반복 발작을 防止(방지)한다,
                            食少疲勞(식소피로) :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 을 가하여 理脾健胃(리비
                                                            건위)한다.
                  治法 : 針으로 補法 加灸
    6. 舍岩道人針灸要訣
        산기문(疝氣門)
        1) 수산(水疝) : 음낭이 붓고(囊腫), 땀을 흘리며(汗出), 혹은 누런 황수를 흘리고 가려우며
                              (痒黃水), 손으로 아랫배를 누으면 물소리가 난다(按小腹水聲). - 腰子散證
                              (요자산증)
                    處方 : 腎病(신병)-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溪(태계) 瀉.
        2) 한산(寒疝) : 음낭이 차갑고(陰囊冷), 음경이 힘 있게 일어서지 못하며(陰莖不擧) 혹은 불
                              알이 떨어져 나가는 듯이 땅기고 아프다(陰囊墜痛). - 蟠葱散證(반총산증)
                    處方 : 대장허(大腸虛)에 속하므로
                              三里(삼리) 曲池(곡지) 補, 陽谷(양곡) 陽溪(양계) 瀉.
                              유태우 설 腎實證(신실증)의 腎實(신실), 心虛(심허), 大腸虛(대장허), 小腸
                                              實(소장실)로 진단하고 大腸正格(대장정격)을 이용한다.
        3) 근산(筋疝) : 음경이 붓고 몹시 가려우며(陰腫瘙痒), 힘줄이 땅기거나 늘어지고(筋腱墜
                              脹), 흰색물질이 마치 청수와 같다(白物如精水).
                              - 龍膽瀉肝湯(용담사간탕) 혹은 淸心蓮子飮證(청심연자음증)
                    處方 : 屬肝(속간)-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 經渠(경거) 中封(중봉) 瀉.
        4) 혈산(血疝) : 아랫배 양쪽(小腹兩傍)과 횡골(橫骨) 양쪽 끝의 횡문(橫紋) 가운데 생기(生
                              起)는 누런 손톱모양(黃爪狀)의 횡현(橫痃) 속명 변옹(便癰) 또는 변독(便
                              毒) 가랫톳이다. - 옥촉산(玉燭散)證
                    處方 : 屬心(속심)-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 陽谷(양곡) 少海(소해) 瀉.
        5) 기산(氣疝) : 腎兪穴(신수혈)에서 아래로 陰囊(음낭)까지 한쪽이 붓고 아픈 症狀           
                              - 聚香飮子證(취향음자증)
                    處方 : 屬肺(속폐)-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6) 호산(狐疝) : 여우가 굴을 출입하듯 晝出夜入(주출야입)과 같아 狐疝(호산)이라 하는데
                              마치 엎어진 기왓장 같은 물체(仰瓦狀物)가 누우면 배로 들어가고 서면 囊
                              中(낭중)으로 偏入(脫入)하며 痛症(통증)이 있는 症狀 - 二香丸證(이향환증)
                    處方 : 三陰交(삼음교) 然谷(연곡) 補, 隱白(은백) 太溪(태계) 瀉.
        7) 퇴산(㿗疝) : 小腹(소복)이 陰囊(음낭)을 잡아끌어서 비틀어 짜는 것 같이 아프며, 陰囊腫
                              大(음낭종대, 囊腫如斗(낭종여두)) 혹은 陰囊麻痹(음낭마비) 症狀(증상)
                    處方 : 三陰交(삼음교) 陽陵泉(양능천) 補, 三里(삼리) 太白(태백) 瀉.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疝(산)이라 함은 睾丸(고환)이 小腹(소복)을 連(연)하여 急痛(급통)한 것 으로서
                    혹은 形(형)이 있기도 하고 혹은 形(형)이 없기도 하며, 혹은 聲(성)이 있기도 하
        고 혹은 聲(성)이 없기도 한데 氣痛(기통)에 속한 것이 많으므로 疝氣(산기)라 한다. 그런
        데 此證(차증)은 흔히 濕熱(습열)의 壅遏(옹알)로 말미암아 濁液(탁액)이 凝聚(응취)되어
        가지고 血絡(혈락)에 倂入(병입)하여 厥陰(궐음)으로 흘러서 혹은 밖으로 風寒(풍한)의
        所襲(소습)이 되고 혹은 안으로 怒氣(노기)에 衝激(충격)으로 因(인)하여 小腹暴痛(소복
        폭통)을 招來(초래)하게 되는 것인데 혹은 腰脇(요협)을 上攻(상공)하여 背膂(배려,등뼈)
        에 走遊(주유)하며 혹은 寒氣(한기)가 心臟(심장)을 찔러서 手足(수족)이 厥冷(궐냉)하고
        壯熱惡寒(장열오한)하며 二便(이변)이 閉塞(폐색)하고 혹은 불알 알맹이가 大小(대소)가
        있어서(생겨서) 상하가 不常(불상)하며 陰囊(음낭)이 腫脹(종창)이 있어서(生) 아픈 것이
        定止(정지)가 없기도 하다.
        그리고 自汗(자한)하는 자도 있고 下泄(하설)하는 자도 있으며 積聚(적취)가 臂(비,팔뚝)
        와 같기도 하고 盤(반, 소반, 쟁반, 대야)과 같기도 하고 盃(배, 술잔)와 같기도 하고, 桃(
        도), 李(이)와 같은 것고 있어서 寒(한)을 遇(우)하거나 怒(노)에 觸(촉)하면 塊物(괴물)이
        胸膈(흉격)을 上衝(상충)하고, 心(심)이 平(평)하고 氣(기)가 和(화)하면 塊物(괴물)이 다
        시 囊內(낭내)로 돌아와서 熱(열)에 由因(유인)되면 縱緩不收(종완불수)하고, 寒(한)에
        由因(유인)되면 上引作痛(상인작통)하며, 濕(습)에 由因(유인)되면 腫脹下垂(종창하수)
        한다. 熱(열)하고 만지기를 싫어하는(拒按) 자는 濕熱(습열)에 속하였으며, 寒(한)하고
        按摩(안마)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寒積(한적)에 속하였다. 血分(혈분)에 在(재)한 자는 옮
        기지 않고 氣分(기분)에 在(재)한 자는 變動(변동)이 많다.
        양쪽 불알 알맹이가 偏脹(편창)하고 좌우로 넘나드는 것은 氣分(기분)에 속하였으며 積
        年發痛(적년발통)하나 脹大(창대)하지도 않고 移動(이동)하지도 않는 것은 血分(혈분)에
        속하였다. 자주 발작되고 자주 그 처소를 變更(변경)하는 것은 厥陰風木(궐음풍목)의 爲
        患(위환)이요 腫(종)이 極(극)하나 甚痛(심통)하지 않은 것은 太陰濕土(태음습토)의 爲患
        (위환)이다. 大痛(대통)한 것은 實(실)이요,不痛(불통)한 것은 虛(허)이며 甚(심)하면 축
        搦反張(축닉반장), 咬牙戰掉(교아전도)하며, 冷汗(냉한)이 交流(교류)하는 것은 危(위)가
        須曳(수예)에 있는지라 救(구)하기 어렵고 만일 위로 嘔吐(구토)하고 아래로 遺精(유정)
        이 있는 것도 또한 惡候(악후)가 되는지라 다시 그 맥을 진찰하여 弦急(현급한 자는 生(
        생)하고, 虛弦小(허현소)한 자는 死(사)한다.
        施治(시치)에 모두 流通疎利(류통소이)하는 것은 妥當(타당)하나 별안간 補劑(보제)를
        施(시)하는 것은 不可(불가)하다.
        그런데 舍岩(사암)의 治疝大法(치산대법)은 “從陽引陰(종양인음), 必曰本以不失也(필왈
        본이불실야)”라 하여 上(상)의 七法(칠법)을 立(입)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1) 한 男子(남자)가 年五十餘(연오십여)에 臍(제)를 중심으로 아래로 曲骨(곡골), 위로 脇
            下(협하)에 이르기까지 右邊(우변)이 引痛(인통)하므로 氣疝(기산)으로 治(치) 하였더
            니 곧 낫더라.
        2) 한 男子(남자)가 年二十(연이십)에 右邊陰囊(우변음낭)이 偏墜(편추)하여 크기가 주
            먹 같고 혹 遠行(원행)을 하면 臟腑(장부)가 당기고 아프다 하거늘 太白(태백) 太淵(태
            연) 補(보),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사)하였더니 數度(수도)에 有效(유효)하더라
            陰囊偏墜(음낭편추)는 㿗疝(퇴산)으로 治(치)하여야 하고 右脇痛(우협통)은 肺候(폐
            후)가 있으므로 肺正格(폐정격)을 쓴 것이다.
        3) 한 男子(남자)가 年二十餘(연이십여)에 鳩尾(구미, 명치)로부터 아래 曲骨(곡골)에 이
            르기까지 盤狀物(반상물)이 있고 左右脇下(좌우협하)에 3, 4 번째 손가락(可容三四指)
            밑으로 鱉(별,자라)과 같은 것이 만져지는데 듣건 데 始發(시발)된 후로 더하지도 않
            고 덜하지도 않으며 一定不動(일정부동)하다 하는지라 이것은 陰經(음경)의 證(증)으
            로 認定(인정)되고 또 中滿(중만)하다 하므로 처음에 脾積方(비적방)을 썼더니 三四度
            (삼사도)에 效驗(효험)이 없는지라 다시 血疝方(혈산방)을 쓰기 2일에 눈에 眩氣(현기
            )가 있다가 三五日(삼오일)에 다시 眩氣(현기)가 사라지고 없었는데 마침 數百里(수백
            리) 밖인 本家(본가)에서 步轎(보교, 가마, 조군)가 왔으므로 不得已(부득이) 歸家(귀
            가)하였다. 到家後(도가후)에 삼사일 동안 腹痛(복통)이 如失(여실)하였으나 房事(방
            사)를 不謹(불근) 함으로써 及其也(급기야)는 不歸(불귀)의 客(객)이 되고 말았다. 可
            惜(가석)한 일이다. 
    7. 針灸經驗方 許任
        신장(腎臟)의 기능활동(機能活動)이 쇠약한 데다 늘 찬 곳에 있으며 또한 찬음식을 먹은
        탓으로 생기는 병인데 이것은 마치 물속에 돌을 던지는 것과 같다.
        1) 탈장(脫腸 hernia)으로 뱃속에 기(氣)가 위로 치밀어 명치부위가 급작히 아프며 호흡
            이 막히는 등의 증상 “疝氣上冲 心腹急痛 呼吸不通”
            處方 : 태충(太冲) 내태충혈(內太冲穴)에 각각 3장,독음혈(獨陰穴)에 5장의 뜸을 뜬다.
                      갑근혈(甲根穴)에 침을 1분 깊이로 놓고 뜸을 3장 뜬다. 내태충(內太冲)과 갑근
                      혈(甲根穴)은 모두 경외기혈(經外寄穴)이며 이곳에 뜸을 뜨고 침을 놓으면 신
                      기한 효험이 있다.
        2) 기(氣)가 배꼽부위로부터 가슴과 목구멍까지 치밀어 오르는데 마치 새끼 돼지가 치받
            는 것과 같은 증 “奔豚氣繞臍上衝(분돈기요제상충)”
            處方 : 조해(照海) 태충혈(太冲穴)에 각각 3장, 독음혈(獨陰穴)에 5장, 석문혈(石門穴)
                      에 7장의 뜸을 뜬다. 또는 배꼼 아래 6촌에서 양옆 1촌 되는 곳에 뜸을 21장 뜬
                      다. 또는 밀랍을 먹인 끈으로 양쪽 입아귀를 재어서 정삼각형을 만든 다음 한각
                      을 배꼽 중앙에 놓고 나머지 각을 배꼽 아래로하여 각이 닿는 곳에 뜸을 14장
                      뜬다. 불알이 쪼그라지는 데는 기충혈(氣冲穴)에 뜸을 7장 뜨되 오른쪽 불알이
                      쪼그라지면 왼쪽 혈(穴)에 왼쪽 불알이 쪼그라지면 오른쪽 기충혈(氣冲穴)을
                      사용한다.
        3) 탈장(脫腸)때에 심계항진(心悸亢進) 호흡곤란(呼吸困難)등증상이 나타날 때. “疝氣衝
            心" 처방(處方) : 밀가루 반죽을 속이 빈 떡처럼 빚어서 배꼽위에 놓고 그 빈 곳에다
            볶은 소금을 5분 두께로 채워 넣은 뒤 큰 심지로 뜸을 뜨는데 약간 따뜻해질 때까지한
            다. 100-500장의 뜸을 뜬다. 해마다 봄 가을로 뜸을 뜨고 난 뒤에 9일 동안 밀실에 있
            으면서 드나듦, 술 성생활, 찬음식 등을 조심해야 한다. 그러면 신기한 효험을 나타낸
            다.
        4) 음위(陰痿 impotence) : 발기부전(勃起不全) 성불능증(性不能症)
            處方 : 연곡(然谷) 음곡(陰谷) 삼음교혈(三陰交穴)에 각 3장, 기충(氣冲) 곡골혈(曲骨
                      穴)에 각 21장, 신수혈(腎兪穴)에 나이수 만큼, 고황수혈(膏肓兪穴) 에 100장,
                      곡천혈(曲泉穴)에 7장 뜸을 뜬다. 곡천혈(曲泉穴)은 무릎 안쪽 가로금 끝에 있
                      다.
        5) 남성병(男性病) - 음경의 귀두(glans)가 아픈 증 “陰頭痛”
            處方 : 대돈(大敦) 태충(太冲) 신수(腎兪) 음교혈(陰交穴).
        6) 여성병(女性病) - 외음부(外陰部 progenitalis)가 붙거나 자궁탈출(prolapse of uterus)
                                    “陰腫挺出”
            處方 : 곡천(曲泉) 대돈(大敦) 기충(氣冲) 독음(獨陰) 음교(陰交) 곤륜혈(崑崙穴)
        7) 기(氣)가 배꼽부위로부터 가슴으로 치밀어 오르는 증 “疝氣繞臍衝胸”
            處方 : 기해(氣海) 석문(石門) 태충(太冲) 독음혈(獨陰穴)에 똑같이 바꾸어 가며 치료
                      하는데 모든 곳이 아프면 모든 혈(穴)에 뜸을 뜨고 천추혈(天樞穴)에 100장을
                      뜬다. 天樞穴은 배꼽 좌우 2촌 되는 곳에 있다.
        8) 남성병(男性病) - 음낭이 붓는 증 “禿山”
            處方 : 환자로 하여금 방아채에 걸터 앉아 음경을 쭉 잡아당겨서 방아채 위에 내 놓는
                      데 음경의 끝이 닿는 곳에 점을 찍어 표시해 둔다음 이곳에 환자의 나이수 만큼
                      뜸을 뜨면 효험이 있다.
                      “今患人騎碓軸以陽莖伸置軸上 與陽莖頭齊點記 灸軸木上隨年壯效”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