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12-01 13:09
[침구임상(針灸臨床)] 설열 (舌裂) - 소간 (疏肝)
|
|
글쓴이 :
admin
 조회 : 8,174
|
설약불어 (舌弱不語) ⇒ 불어 (不語)
설열 (舌裂)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脣乾舌裂(순건설열) - 手少陽三焦經 : 關冲(관충,井).
2. 針灸大成解釋
1) 혀가 갈라지고 出血 : 內關穴(내관혈) 治療하고 다시 太冲(태충), 三陰交(삼음교).
- 雜病穴法歌
설염 (舌炎)
1. 참조문(參照文)
1) 심화상염 (心火上炎)
2) 小腸病中 소장실열 (小腸實熱)
3) 急性舌炎 : 心經病中 심열수경상요 (心熱隨經上擾)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溫溜(온유,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滑肉門(활육문).
4. 이침(耳針)
耳穴 : 心(심), 舌(설).
설종 (舌腫)
1. 主治穴(주치혈)
1) 頭頸部奇穴 : 金津(금진) 玉液(옥액),
2. 針灸大成解釋 第三十九篇 百症賦
1) 舌下腫(설하종) : 廉泉穴(렴천혈), 中冲穴(중충혈).
2) 舌上生胞(설상생포) : 合谷穴(합곡혈) - 雜病穴法歌
설창 (舌瘡)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陰心經 : 通里(통리), 內庭(내정).
설풍무 (舌風舞) : 혀를 목안으로 날름거림
1. 參照文(참조문)
1) 토설 (吐舌)
2. 針灸大成解釋
1) 舌風舞(설풍무) : 足三里(족삼리) - 雜病穴法歌
설하선염 (舌下線炎) ⇒ 설염 (舌炎)
설하종통 (舌下腫痛)
1. 主治穴(주치혈)
1) 任脈 : 廉泉(렴천).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厥陰心包經 : 中冲(중충), 廉泉(렴천).
성공능장애 (性功能障碍) ⇒ 性機能减退(성기능감퇴)
성기능감퇴 (性機能减退) : 성기능부전 (性機能不全)
1. 참조문(參照文)
1) 腎病中 腎陽不足 參照
2. 이침(耳針)
耳穴 : 外生殖器.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性機能减退(성기능감퇴) - 足太陽膀胱經 : 志室(지실).
足少陰腎經 : 太谿(태계,輸,原).
2) 性不育(성불육)
⑴ 中醫針灸學
症狀 : 男子(남자)는 无精子症(무정자증), 少精子症(소정자증).
女子(여자)는 不孕症(불잉증).
原則 : 補腎益精(보신익정)
處方 1) 太溪(태계),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氣海(기해), 腎兪(신수).
⑵ 復溜(복류), 公孫(공손), 列缺(열결), 關元(관원), 命門(명문).
治法 : 兩條穴(양조혈) 每日(매일) 혹은 隔日(격일) 交替運用(교체운용).
3) 性機能障碍(성기능장애)
指壓療法(지압료법) : 신재용의 남성동의보감
⑴ 心兪 : 心兪穴은 遺精, 夢精 등에 效果가 있는 치료점이다. 심리적으로 陰莖萎縮이 생
겨 임포텐츠가 고착된 경우에도 효과적인 치료점으로 알려져 있다.脊椎를 사이
에 두고 손가락 2 마디만큼 떨어진 左右에 肺兪(第三胸椎), 肝兪(第九胸椎), 脾兪(第十
一胸椎), 三焦兪(第一腰椎), 腎兪(第二腰椎), 大腸兪(第四腰椎) 등과 함께 指壓해 주면
좋다.
⑵ 中極, 關元 :【東醫寶鑑】에 “遺精과 夢泄에는. . .中極 關元 등의 穴에 針을 놓거나 뜸
을 뜨기도 한다”고 했는데 中極穴은 泌尿生殖器의 모든 疾患에 유효한
經穴이다. 이 經穴에서 손가락 1 마디만큼 올라간 곳에 關元穴이 있다. 이름과 같이 關
은 빗장을 뜻하며, 元은 元氣를 뜻한다. 따라서 關元穴은 健康의 근본이 되는 元 氣를
담당하는 經穴이다. 腎經, 脾經, 肝經 및 任脈이 테내에서 交叉하는 지점이다.
⑶ 大赫, 曲骨 : 大赫穴은 임포텐츠에 가장 잘 이용되는 經穴이다.【東醫寶鑑】에도 “虛勞로
精液이 저절로 흘러나오는 데는 大赫, 中封穴에 針灸를 施術한다”고 했다.
曲骨穴은 腎虛에 의한 모든 증상을 緩和시켜주는 經穴이다.【東醫寶鑑】에는 “遺精과 五
臟이 虛弱 하고 마르는 데는 曲骨穴에 28壯의 뜸을 뜬다. 이 穴은 陰莖위의 耻骨 중앙(橫
骨 중앙, 반달처럼 구부러진 곳)에 있다”고했다.
⑷ 三陰交 : 三陰交穴은 예로부터 임포텐츠나 婦人科 疾患 및 虛弱体質이나 胃腸이 弱한 体
質을 改善하고 健康增進을 목적으로 뜸을 뜨는 경혈로 잘 응용되던
經穴이다.【東醫寶鑑】에는 夢泄이 있는데는 三陰交穴에 14장의 뜸을 뜨면 효과가 매우
좋다“고 했다.
⑸ 次髎, 中膂兪 : 薦椎에 있는 次髎穴에 하루에 5장씩 쑥뜸을 떠주는데 한 달동안 7~10 일
정도를 꾸준히 해 주고 한 달 단위로 몇 개월 간 지속해야 효과를 볼 수 있
다. 또 薦椎에 附缸을 붙이거나 마사지를 해주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次髎穴은 不姙治療
에 효과적인 經穴로 꼽히며 薦椎(천추)는 陰莖의 勃起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
에 勃起不全에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中膂兪穴도 性機能障碍를 호소하
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경혈이다.
⑹ 腎兪 : 腎氣가 가장 충만한 경혈로서 이곳을 자극하면 腎氣가 용솟음치게 되며, 副腎 호
르몬의 分泌를 촉진하며 副交感神經을 활발하게 해 준다. 그래서 勃起能力을 높여
주고 膨脹力을 한껏 높여준다.【東醫寶鑑】에는 “小便이 뿌옇고 精液이 저절로 흘러 내
리는데 腎兪穴에 14장의 뜸을 뜨면 효과가 매우 좋다”고 했다.
⑺ 【野話】개가죽으로 會陰穴과 湧泉穴을 刺戟
중국 항주의 “호설엄”이라는 사내는 성도 모르고 이름도 모르는 수많은 여성들과 놀아났
는데 바로 그 비결이 奇想天外하게도 개가죽을 會陰穴과 湧泉穴에 붙이는 것이었다고 한
다. 즉 개의 속가죽을 노란 피하지방과 함께 떠서 말린 후 토막내어 지방층을 정제해 얹
어 다시 건조시킨 이른바 “狗皮膏(구피고)” 라는 것을 만들어 會陰과 湧泉穴에 붙이고 房
事를 하니까 기막힌 절륜을 자랑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肛門과 陰囊 중간에 자리 잡고 있는 會陰穴은 姙娠과 精力을 책임 맡고 있다. 해서 任脈
의 經脈이 바로 이 會陰穴에서 시작한다. 그래서 精力을 强化하려면 會陰을 가볍게 마사
지해 주라고 한다. 또 會陰을 힘주어 자주 조여 주라고도 한다. 그것만으로도 强精效果
가 뛰어나다.
湧泉穴은 泌尿生殖系 및 內分泌系를 대표하는 腎經이 시작되는 곳이다. 이름 그대로 물
이 솟아나는 샘과 같다. 일종의 人体의 水源池 같은 곳이다. 즉 精力의 發源地같은 곳이
다. 그래서 정력을 강화하려면 湧泉穴을 가볍게 주먹으로 때리면서 마사지 해주면 좋다.
그런 까닭에 會陰 湧泉 두 경혈에 개가죽을 붙였던 호설엄의 비법은 강정효과가 있을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성뇌 (醒腦)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水溝(수구), 百會(백회), 十宣(십선), 十二井穴(십이정혈), 勞宮(노궁), 湧泉(용천), 四神聰
(사신총) 등
성대질환 (聲帶疾患)
1. 參照文(참조문)
1) 언어불리 (言語不利)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水突(수돌).
任脈 : 天突(천돌,陰兪脈과 交會).
성불육 (性不育) ⇒ 성기능감퇴 (性機能减退)
성시 (聲嘶) : 말소리가 울리다.
1. 參照文(참조문)
1) 후명 (喉鳴)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天突(천돌), 合谷(합곡).
2) 聲啞 - 寄穴 頭面部 : 扁桃体穴(편도).
성욕항진 (性慾亢進)
1. 主治穴(주치혈)
1) 足厥陰肝經 : 蠡泃(려구,絡-少陽經).
성적불감증 (性的不感症)
1. 針灸經驗方 許任
症狀 : 질이 말라서 아프고 성교(性交)를 싫어하는 것 “陰中乾痛 惡合陰陽”
處方 : 곡골(曲骨)에 뜸 50장을 뜬다.
소간이담 (疏肝利膽)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四白(사백).
足少陽膽經 : 丘墟(구허,原), 足臨泣(족림읍,輸,八脈交會穴,通帶脈).
소간 (疏肝)
1. 主治穴(주치혈)
1) 이기(疏肝利氣) : 足厥陰肝經 - 中封(중봉,經), 蠡泃(려구,絡-少陽經), 章門(장문, 足少陽
과 交會, 脾의 募穴,臟會) 기문(期門,足太陰,陰兪脈과 交 會, 肝의 募穴)
2) 익신(疏肝益腎) :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會).
3) 평간(平肝) :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輸,原).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