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12-01 13:50
[침구임상(針灸臨床)] 소갈병 (消渴病) - 소변불이 (小便不利) - 소변임력 (小便淋瀝)
 글쓴이 : admin
조회 : 9,057  
소갈병 (消渴病)
      1. 參照文(참조문)
          1) 당뇨병(糖尿病) 참조
              ♧ 方葯  1) 生津止渴(생진지갈) : 葛根(갈근), 麥冬(맥동), 天花粉(천화분), 黨參(당삼).
          2) 다음 (多飮)
          3) 腎病中(신병중) 腎陽不足(신양부족), 腎陰虛證(신음허증) 參照
          4) 胃病中(위병중) 胃火熾盛(위화치성) 參照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神門(신문,輸,原).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消渴(소갈) :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 湧泉(용천).- 百症賦
          2) 嗌乾善渴(익건선갈) :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 太冲(태충).- 針灸資生經
          3) 血虛口渴(혈허구갈) :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 少商(소상).
      3. 針灸大成
          1) 百症賦 ① 血虛型(혈허형) 口渴症(구갈증) : 少商穴(소상혈), 曲澤穴(곡택혈).
          2) 西江月 ① 消渴症(3 가지 증상은 消肺(上消), 消脾(中消), 消腎(下消)이다.)
                          § 消渴症은 糖尿病이 아니다. 증상상 三多一少證(多飮, 多食, 多尿, 消瘦)이 나
                              타 나도 소변에 당의 치수가 높지 않으면 단지 消渴症일 수는 있어도 당뇨병
                              은  아니다.  糖尿病은 필히 小便에서 糖의 含量이 140 이상으로 높아야 의
                              심 할 수 있을 뿐이다.
                    處方 : 先刺 列缺穴(열결혈), 后刺 人中(인중), 公孫(공손), 脾兪(비수), 中脘(중완),
                              關冲(관충), 照海(조해), 太溪(태계), 三里穴(삼리혈)에 針刺(침자)한다.
                          § ㉠ 照海穴(조해혈)은 渴症(갈증)이 심할 때
                              ㉡ 太溪穴(태계혈)은 房勞(방로)의 생각이 없을 때
                              ㉢ 三里穴(삼리혈)은 多食(다식)할 때 사용한다.
      4. 中醫針灸學
          소(消)는 날마다 여윈다는 뜻이고 갈(渴)은 구갈급음(口渴急飮), 빈음(頻飮), 음불해갈(飮
          不解渴)의 뜻이다. 대문에 소갈(消渴)은 임상에서 구갈(口渴)로 인하여 물을 많이 마시고,
          배가 자주 고파서 많이 먹으며, 소변이 빈번하고 량이 많으며 체질은 여위어가는 특징이
          있다. 환자의 소변이 달기 때문에 당뇨병(糖尿病)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병은 뇨붕증(尿崩症), 신경성다뇨증(神經性多尿症)과는 감별해야 한다.
          병인병기(病因病機)
          상소(上消) : 상소는 폐(肺)에 속하고 대부분 오지(五志)의 과극(過極)으로 정신이 피로하
                            면 심화가 항성(心火亢盛)하여 폐음(肺陰)이 뜨거워 소모(消耗)되기 때문에
                            구갈(口渴)로 다음(多飮)하게 되는 것이다.
          중소(中消) : 중소는 위(胃)에 속하고 대부분 감비(甘肥)하거나 매운 음식과 술을 즐기면
                              비위(脾胃)에 열(熱)이 쌓여 진액(津液)을 손상시키고 소화기능을 항진(亢
                              進) 시키기 때문에 배가 쉬 고프다.
          하소(下消) : 하소는 신(腎)에 속하고, 방종한 생활로 방실불절(房室不節)하여 신정이 휴
                            모(腎精虧耗) 함으로 신(腎)이 봉장기능을 실직(封藏失職)하여 소변이 많고
                            혼탁하다.
          이상과 같이 상, 중, 하 삼소(三消)는 비록 상호 부동한 점(不同点)이 있지만 그 병기(病機)
          는 주로 음허조열(陰虛燥熱)에 의하여 발생한다. 음허(陰虛)는 본(本)이고 조열(燥熱)은
          표(標)이다. 양자(兩者)는 서로 인과(因果)의 관계(關系)로써 조열(燥熱)이 심하면 음(陰)
          도 더욱 허(虛)하고 음(陰)이 더욱 허(虛)하면 조열(燥熱)도 더욱 심해진다.
          본병은 흔히 백내장(白內障), 작목(雀目), 종기(腫氣), 수종(水腫) 等 병증과 합병된다.
          변증론치(辨證論治)
          상소(上消)
                  辨證 : 번갈다음(煩渴多飮), 구건설조(口乾舌燥)가 주증이며 겸유(兼有) 다뇨다식
                            (多尿多食), 설첨홍(舌尖紅), 태박황(苔薄黃).
                  治則 : 청심폐(淸心肺) - 수태음(手太陰), 소음경(少陰經)
                  處方 : 소부(少府), 태연(太淵), 심수(心兪), 폐수(肺兪).
                  方義 - 소부(少府), 심수(心兪) : 사심화(瀉心火),
                            태음(太陰), 폐수(肺兪) : 보폐음(補肺陰)
                            구건설조(口乾舌燥) : 렴천(廉泉), 승장(承漿) - 양음이설(養陰利舌)
          중소(中消)
                  辨證 : 식량증가(食糧增加) 선기(善飢), 조잡(嘈雜), 번갈(煩渴), 다한(多汗), 소수(消
                            瘦), 대변건조(大便乾燥), 겸유다음(兼有多飮), 다뇨(多尿), 설태황조(舌苔黃
                            燥), 맥활삭(脈滑數).
                  治則 : 비위조리(脾胃調理) - 족양명(足陽明), 태음경(太陰經).
                  處方 : 내정(內庭), 삼음교(三陰交), 비수(脾兪), 위수(胃兪).
                  方義 - 삼음교(三陰交), 비수(脾兪) : 보비(補脾) 진액분포(津液分布),
                            내정(內庭), 위수(胃兪) : 청사위열(淸瀉胃熱)
                            조잡선기(嘈囃善飢) : 중완(中脘), 내관(內關) - 비위조리(脾胃調理)
          하소(下消)
                  辨證 : 소변빈번(小便頻繁), 량다(量多), 소변점조(小便粘稠), 구설건조(口舌乾燥),
                            구갈다음(口渴多飮), 현훈(眩暈), 시력감퇴(視力减退), 권홍(顴紅), 허번(虛
                            煩), 이기불다식(易飢不多食), 요슬산연(腰膝酸軟), 설질홍(舌質紅), 맥세삭
                            (脈細數).
                            구병(久病)으로 음허가 급양(陰虛及陽)되면 면색(面色)이 검고 외한(畏寒),
                            사지냉(四肢冷), 소변량다(小便量多), 남자양위(男子陽萎), 여자경폐(女子經
                            閉), 설질담(舌質淡), 태백(苔白), 맥침세무력(脈沉細无力).
                  萬若 - 일구소갈(日久消渴) : 번갈(煩渴), 두통(頭痛), 오심(惡心), 구토(嘔吐), 복통
                            (腹痛), 순홍(脣紅), 호흡촉박(呼吸促迫), 심칙혼궐(甚則昏厥) 허탈(虛脫) 등
                            위험(危險)한 증상(證狀)이 나타난다.
                  治則 : 자양간신(滋養肝腎) - 족소음(足少陰), 궐음경(厥陰經).
                  處方 : 태계(太溪), 태충(太冲), 간수(肝兪), 신수(腎兪).
                  方義 - 태계(太溪), 신수(腎兪) : 보신납기(補腎納氣). 
                            태충(太冲), 간수(肝兪) : 평간강화(平肝降火).
                            시력감퇴(視力减退) : 광명혈(光明穴) - 목명(目明), 
                            현훈(眩暈) : 상성혈(上星穴) - 사하두열(瀉下頭熱)
                            양허(陽虛) : 가구(加灸) 명문혈(命門穴) - 보신양(補腎陽).
              ☞  만약 위급증상일 때에는 중서의(中暑醫) 합동치료(合同治療).
      5. 針灸經驗方 許任
          삼초(三焦)의 기능이 장애되고 오장의 진액이 고갈되며 신수(腎水)와 심화(心火) 사이가
          서로 잘 조화되지 않아서 생긴다.
          上消 : 당뇨병(糖尿病)으로 물을 많이 마시는 증
                    處方 : 인중(人中), 태단(兌端), 은백(隱白), 승장(承漿), 연곡(然谷), 신문(神門), 내
                              관(內關), 삼초수(三焦兪) 등 혈(穴)을 쓴다.
          中消 : 위열(胃熱)이 성한 것을 위주로 하는 소갈병(消渴病)
                    處方 : 중완(中脘), 삼초수(三焦兪), 위수(胃兪), 태연(太淵), 열결(列缺)에 침(針)을
                              놓는데 수법(手法)은 모두 사법(瀉法)이다.
          下消 : 신음(腎陰)이 부족한 것을 위주로 하는 消渴病
                    處方 : 연곡(然谷), 신수(腎兪), 요수(腰兪), 폐수(肺兪), 중려수(中膂兪)는 在第二十
                              椎下兩傍各二寸夾脊起肉에 뜸 3장을 뜬다.
소모성질병 (消耗性疾病) : 허로(虛勞) 참조
소변리급 (小便裏急)소변이 작고 급한증상 - 膀胱兪 腎兪 關元 中極 陰陵泉 三陰交
소변불금 (小便不禁) ⇒ 뇨실금 (尿失禁)
소변불이 (小便不利) : 排尿障碍(배뇨장애)
      1. 參照文(참조문)
          1) 이변병(二便病)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偏歷(편력).
              足陽明胃經 : 關門(관문), 大巨(대거), 水道(수도).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 漏谷(루곡), 地機(지기), 陰陵泉(음능천), 箕門(기문), 冲
                                  門(충문).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滎).
              足太陽膀胱經 : 三焦輸(삼초수), 腎輸(신수), 關元輸(관원수), 白環兪(백환수), 次髎(차
                                      료), 中髎(중료), 下髎(하료), 委陽(위양), 志室(지실), 秩邊(질변).
              足少陰腎經 : 大鍾(대종), 水泉(수천), 陰谷(음곡), 氣穴(기혈).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 中封(중봉), 蠡泃(려구), 曲泉(곡천), 陰包(음포), 足五里(족오
                                  리).
              任脈 : 曲骨(곡골), 中極(중극), 關元(관원), 石門(석문), 陰交(음교), 신궐(神闕), 水分
                        (수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① 曲池(곡지), 溫溜(온유),下廉(하렴), 合谷, 上巨虛(상거허)
                                ② 少澤(소택), 后溪(후계), 小海(소해).
          2) 足太陰脾經 ① 漏谷(루곡), 太冲(태충).
                                ② 陰陵泉(음능천), 氣海(기해), 三陰交(삼음교).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足少陰腎經 : 陰谷(음곡), 腎兪(신수), 關元(관원), 陰陵泉(음능천), 三陰交.
              足厥陰肝經 : 陰包(음포), 中極(중극), 水道(수도), 陰陵泉(음능천).
              任脈 ① 曲骨(곡골), 三陰交(삼음교), 中極(중극), 腎兪(신수).
                      ② 수분(水分), 관원(關元).
          3) 小便不通
              ⑴ 本經配穴法 : 膀胱兪(방광수), 腎兪(신수), 氣海兪(기해수), 關元兪.
              ⑵ 엄제법(罨臍法)
                  【東醫寶鑑】에는 大小便이 잘 나오지 않을 때 : “罨臍法”을 권하고 있는데 그 내용
                  은 다음과 같다.
                  ① 白礬粉 1 숟가락을 배꼽위에 놓고 찬물을 1 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찬 기운이 뱃속
                      으로 들어가게 하면 곧 大小便이 나온다.
                  ② 葱白 1~2 대, 흙이 묻은 생강 1 개, 淡豆豉(메주가루) 21 알, 소금 1 숟가락을 함
                      께 갈아 떡을 만든 후 불에 뜨겁게 달구어 배꼽 위에 붙이고 천으로 싸맨다. 이렇
                      게 하면 잠시 후 氣가 통하는 느낌이 들면서 大小便이 자연스럽게 나온다. 그러
                      나 大小便이 잘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한 번 갈아 붙여야 한다.
                  ③ 蝸牛膏는 大小便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달팽이(蝸牛) 3 마리를 껍질째 짓찧은 다
                      음 麝香을 조금 섞어 배꼽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문지르면 大小便이 나온다.
      4. 針灸大成
          1) 뇨황(尿黃), 뇨불창통(尿不暢通) : 태단혈(兌端穴), 소해혈(小海穴) - 百症賦
          2) 소변불통(小便不通) : 소장수(小腸兪) - 靈光賦
          3) 小便不通 : 瀉 음능천(陰陵泉), 족삼리(足三里) - 雜病穴法歌
                              ♧ 方葯 : 유출환(薷出丸) - 향유(香薷), 백출(白朮). 
                                              ☞ 服葯을 차게 하여 使用해야 한다.
                                                  萬若 溫中服用하면 吐한다.
      5. 중의침구학(中醫針灸學)
          륭폐(癃閉)는 소변불통이라 부른다. 주요 증상은 배뇨곤난(排尿困難)이며 심한자는 소변
          이 폐색불통(閉塞不通)이 된다. 륭(癃)은 소변불창(小便不暢)으로써 오줌(尿液)이 물방울
          처럼 떨어지고, 뇨액(尿液)이 방광(膀胱)에 저류(瀦留)되어 아랫배가 불룩한 것을 가리키
          고, 폐(閉)는 소변이 폐색(閉塞)되어 한 방울도 나오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본 절에서는 각종원인으로 생기는 뇨저류(尿瀦留)를 서술한다. 그러나 신 공능 쇠갈(腎功
          能衰竭) 등으로 생기는 무뇨증(无尿症)은 수액이 방광으로 내려오지 못하는 것으로 수천
          이 고학(水泉枯涸)됨으로써 방광이 소변을 배출할 수 없는 륭폐(癃閉)와는 전연 다르다.
          변증론치(辨證論治)
          1) 허증(虛證) : 소변이 물방울처럼 떨어지고 상쾌하게 소변을 보지 못하다. 배출이 무력
                                하며, 심지어 한 방울도 나오지 않는다. 아랫배가 팽창하고, 정신이 피로하
                                며, 무력하고, 얼굴색이 창백하며, 숨이차고, 음성이 낮으며 가늘고, 허리
                                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연약하고, 대변은 무르고 때로는 항문이 처지는 감
                                을 느낀다. 설질은  담백하고 태는 약간 미끈거리며, 맥은 침세약(沉細弱)
                                하다.
                      治則 : 온양익기(溫陽益氣), 계폐이뇨(啓閉利尿).
                                족소음(足少陰), 태양(太陽), 배수(背兪)와 임맥경혈(任脈經穴)
                      處方 : 음곡(陰谷) 신수(腎兪) 비수(脾兪) 삼초수(三焦兪) 위양(委陽) 기해(氣海).
                      方義 : 신양부족(腎陽不足), 명문화쇠(命門火衰), 비위허약(脾胃虛弱),
                                중기부족(中氣不足) 등은 마땅히 온보비신(溫補脾腎) 익기조양(益氣助陽)
                                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신경(腎經)의 합혈(合穴)인  음곡혈(陰谷穴)을 신수
                                (腎兪), 비수(脾兪)와 배합하여 비신(脾腎)의 기(氣)를 보익(補益)시킴으로
                                써 계폐이뇨(啓閉利尿)한다. 비신(脾腎)의 기허(氣虛)로 삼초가 결독무력
                                (決瀆无力)하기 때문에 삼초수(三焦兪)와 삼초경의 하합혈(下合穴)인 위
                                양(委陽)을 취하여 삼초기기(三焦氣機)를 소통조절(疏通調節)한다.
                      임맥의 기해혈(氣海穴)에 뜸을 뜨면 하초의 원기를 온보(溫補)하며 방광기화(膀
                      胱氣化)를 돕기 때문에 소변이 통한다.
                      만약 항문이 처지는 감이 있으면 차료(次髎)를 가하여 하초를 보함으로 올라가게
                              한다. 심번(心煩)은 내관(內關)을 가하여 영심안신(寧心安神) 시틴다.
                      治法 : 호침(毫針)으로 보법(補法)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먼저 사지(四肢)의 혈
                                을 취하고 후에 복부(腹部) 혹은 허리의 혈에 침자(針刺)한다. 20~30분
                                류침(留針)하고 5~10분에 한 번씩 념전(捻轉)하며, 하루에 1~2번 침자
                                (針刺)한다.
          2) 실증(實證) : 소변이 한 방울도 나오지 못하고, 아무리 애를 써도 안 된다. 아랫배가 터
                                지는 뜻하며, 아프고, 번조구갈(煩躁口渴), 구고이점(口苦而粘), 면적기조
                                (面赤氣粗), 설태황니(舌苔黃膩), 설질홍적(舌質紅赤), 맥현삭(脈弦數)하
                                다.
                                만약 어혈(瘀血)이 있는 사람은 설질이 검푸른 반점이 있으며 맥은 삽(脈
                                        澁)하다.
                                만약 습독(濕毒)이 안으로 들어가거나 혹은 위로 청규(淸竅, 七竅)를 범하
                                        면 숨이 가쁘며 마음이 번거롭고(心煩), 심지어 혼미(昏迷) 등 증상이
                                        나타난다.
                      治則 : 청열이습(淸熱利濕), 행기활혈(行氣活血)이다.
                                족태음(足太陰), 태양(太陽), 임맥경혈(任脈經穴)을 위주로
                      處方 : 삼음교(三陰交), 음능천(陰陵泉), 방광수(膀胱兪), 중극(中極).
                      方義 : 본증은 대부분 습열(濕熱)이 방광에 내려오거나 혹은 외상으로 기혈이 응
                                체(凝滯)되고 뇨도를 조폐(阻閉)하여 발생됨으로 삼음교(三陰交), 음능천
                                (陰陵泉)을 취하여 족삼음(足三陰)의 기혈(氣血)을 소통(疏通)시켜서 어혈
                                (瘀血)이 흩어지게 하고, 비경(脾經)의 습열(濕熱)을 청리(淸利)시킴으로
                                써 방광의 기화(膀胱氣化)를 일으켜서 소변을 통하게 한다. 또 방광수(膀
                                胱兪), 중극(中極)을 취하면 이는 유모배혈법(兪募配穴法)이 되는데 방광
                                기화(膀胱氣化)를 소통(疏通)함으로 소변이 통하게 된다.
                                만약 습독(濕毒)이 위로 범하여 숨이 가쁘면 척택혈(尺澤穴)을 가하고, 소
                                              상(少商)에 점자출혈(點刺出血) 시켜서 청폐강기(淸肺降氣)하고
                                        심번(心煩)은 내관(內關穴)을 가하여 녕심안신(寧心安神)시키고
                                        혼미(昏迷)한 사람은 인중혈(人中穴)을 가하고, 중충혈(中冲穴)에 침
                                                                      자하여 출혈시키면 설열성뇌(泄熱醒腦)한다.
                      治法 : 호침(毫針)으로 사법(瀉法)을 사용하며, 구법(灸法)은 사용하지 않는다.
      6. 針灸經驗方 許任
          1) 하복부통(下腹部痛)을 수반하는 배뇨곤란(排尿困難 dysuria) “轉胞小便難”
              處方 : 관원혈(關元穴)에 뜸(灸) 14장을 뜬다.
          2) 임력(淋瀝) -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處方 : 조해(照海) 곡천(曲泉) 소장수(小腸兪).
소변불통 (小便不通) ⇒ 소변불리 (小便不利)
소변실금 (小便失禁) ⇒ 뇨실금 (尿失禁)
소변임력 (小便淋瀝)
          1. 주치혈(主治穴) 및 배합혈(配合穴)
              1) 足少陰腎經 : 水泉(수천,郄).
          2. 臨床應用(임상응용)
              足太陽膀胱經 : 委陽(위양), 志室(지실), 中髎(중료).- 針灸資生經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