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4-18 14:20
[침구임상(針灸臨床)] 호흡곤란 (呼吸困難 Dyspnea) - 황달 (黃疸 jaundice)
 글쓴이 : admin
조회 : 11,285  
혜대력 (惠袋癧) ⇒ 담음 (痰飮) → 일음(溢飮)
호흡계통질병 (呼吸系統疾病)
                1. 이침(耳針)
                            耳穴 : 大腸(대장), 肺(폐).
호흡곤란 (呼吸困難 Dyspnea)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腰背部 寄穴 : 喘息(천식).
          2. 針灸經驗方 許任
              1) 呼吸困難(호흡곤난)을 특징으로 하는 症候群(증후군, syndrome characterized by
                  dyspnea)
                  處方 : 上星(상성), 合谷(합곡), 太谿(태계), 大陵(대능), 列缺(열결), 足三里穴(족
                            삼리혈)에 留針(류침)하여 逆氣(역기)를 降下(강하)시킨다.
              2) 肺氣腫(폐기종,pulmonary emphysema)과 같은 병일 때에 볼 수 있는 呼吸困難(호
                  흡곤난), 胸部膨滿(흉부팽만, chest distension)으로 걷지 못하는 症狀(증상)
                  處方 : 期門穴(기문혈)에 灸(구) 5장, 中脘(중완), 足三里穴(족삼리혈) 針刺(침자),
                            陷谷(함곡),上星穴(상성혈)에 灸(구)한다.
          3. 現代針灸學 成樂箕
              본병은 그 증상에 따라 호기성(呼氣性) 흡기성(吸氣性) 혼합성(混合性) 등 세가지로
              분류한다.
              呼氣性 : 기관지천식, cardiac asthma, 폐기종(肺氣腫 pulmonary empysema), 기관
                          지확장(bronchiectasis) 급성모세기관지염 등에 의한다
              吸氣性 : 부종에 의한 기관지 협착, 폐암 및 종양, 이물질의 장해에 의한다.
              混合性 : 폐포 호흡면의 축소 또는 흉부 동통 등에 의한 호흡 제한이나 폐염(肺炎
                          pneumonia), 흉막염(胸膜炎 pleuritis) 기흉 등에 의하여 일어난다.
              治療 : 원병치료를 우선으로 하고 대증요법으로서는 인영혈(人迎穴)의 동자요법이
                        저효가 있으니 일차 추시하기 바란다.
                    ☞ 일본의 시로다 분시 씨의 임상 경험에 의하면 Cardiac asthma의 호흡곤란은
                        心包經(심포경)의 郄門穴(극문혈)에 구(灸) 요법이 특효가 있다 고 하니 참고
                        하기 바란다.
      4. 頻呼吸(빈호흡)
          1) 手太陰肺經 : 俠白(협백).
      5. 錫朱方(석주방)
          1) 咽喉閉塞性无呼吸(인후폐색성무호흡) - 肥滿者(비만자)
              ① 處方 : 先刺 - 后谿穴(후계혈),
                            后刺 - 天突(천돌), 商陽(상양), 照海(조해), 十宣穴(십선혈).
              ② 處方 : 先刺 - 合谷穴(합곡혈),
                            后刺 - 天突(천돌), 氣舍穴(기사혈)을 治療(치료)한다.
호흡도감염 (呼吸道感染) : 상호흡도감염(上呼吸道感染)
              1. 이침(耳針)
                          耳穴 : 耳輪(이륜) 1~6.
혼궐 (昏厥)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手太陰肺經 : 少商(소상,井).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
        督脈 : 素髎(소료).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昏厥 要穴 :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
            督脈 : 素髎(소료), 十宣(십선), 湧泉(용천).
혼미 (昏迷)
    1. 參考文(참고문)
        1) 中風昏迷(중풍혼미)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中風昏迷(중풍혼미)
            手太陰肺經 : 少商(소상,井), 商陽(상양,井).
            手少陰心經 : 少冲(소충,井)
            足太陽膀胱經 : 金門(금문).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滎).
            督脈 : 水泃(수구).
            四肢部 : 十宣(십선).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 水泃(수구).
          手厥陰心包經 : 中冲(중충), 水泃(수구), 內關(내관).
          督脈 : 水泃(수구), 合谷(합곡), 十宣(십선).
      2) 處方 ① 人中(인중), 十宣(십선), 印堂(인당).
                ② 合谷(합곡), 太冲(태충), 百會(백회).
                ③ 百會(백회), 人中(인중), 湧泉(용천).
    4. 이침(耳針)
        1) 耳尖(이첨).
        2) 心(심), 腎(신), 皮質下(피질하), 神門(신문).
혼수 (昏睡)
    1. 主治穴(주치혈)
        1) 上肢部奇穴 : 十宣(십선).
홍반 (紅斑)
    1. 皮膚病中醫診療
        결절성홍반 (結節性紅斑): 膈兪(격수),脾兪(비수),血海(혈해),風市(풍시),上巨虛(상거허).
        주성홍반 (酒性紅斑) : 內關(내관).
        중독성홍반 (中毒性紅斑) : 內關(내관).
        홍반낭창 (紅斑狼瘡) : 中脘(중완).
                        1) 腦病期 : 少商(소상), 少澤(소택), 通里(통리), 湧泉(용천).
                        2) 腎病期 : 太谿(태계), 中極(중극), 天樞(천추).
        홍반성지통증 (紅斑性肢痛症) : 湧泉(용천), 腹通(복통곡), 腎兪(신수), 足三里(족리), 太
                                                    谿(태계), 崑崙(곤륜), 內庭(내정) 委中(위중).
        환상홍반 (環狀紅斑) : 風市(풍시), 委中(위중), 血海(혈해).
        황갈반 (黃褐斑) : 太白(태백).
홍역 (紅疫)
    1. 주치혈(主治穴) 및 배합혈(配合穴)
        1) 手陽明大腸經 : 曲池(곡지,合)
홍채염 (虹彩炎)
          홍채(虹膜) : 각막과 수정체의 사이에 있는 둥근부분으로서. 이것이 늘어나고 줄어드
                            는 수축작용에 따라 동공이 터지고 작아지는 것이다. 虹彩(홍채)의 色素(
                            색소)에 따라 검정눈, 파란눈 증으로 나뉜다. 虹彩(홍채)는 色素細胞(색소
                            세포) 결합조직과 平滑筋(평활근)을 갖고 있으며, 막의 중심에는 있瞳孔(
                            동공)은 光度(광도)에 따라 그 크기가 조절된다. 虹彩(홍채)에는 동공수축
                            근과 동공산대근이 있다. 그리고 동공은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부교감신경은 동공을 수축시키고,교감신경은 동공을 산대시킨다.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懸顱(현로).
화상 (火傷)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腰背部(요배부)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 人中(인중), 條口透承山(조구투승산), 大椎(대추).
화습소체 (化濕消滯)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화습강역 (化濕降逆)
          1. 主治穴(주치혈)
              1) 化濕降逆 : 任脈 - 中脘(중완).
화어 (化瘀)
    1. 主治穴(주치혈)
        1) 理血化瘀(리혈화어) :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수).
            化積通瘀(화적통어) : 足厥陰肝經 - 기문(期門,足太陰,陰兪脈과 交會, 肝의 募穴).
화영 (和營)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陰脾經 : 血海(혈해).
화위 (和胃)
    1. 主治穴(주치혈)
        1)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經).
        2) 通絡(통락) : 足陽明胃經 - 梁丘(양구,郄).
        3) 和胃寬膈 : 手厥陰心包經 - 大陵(대능,輸,原)
        4) 和胃利膈 : 任脈 - 巨闕(거궐,心의 募穴).
화탁통유 (化濁通幽)
          1. 參照文(참조문)
              1) 침자법(針刺法) - 피부병(皮膚病)
              2) 피부과상용수혈(皮膚科常用輸穴)
          2. 主治穴(주치혈) : 간수(肝兪), 내관(內關), 대장유(大腸兪), 상거허(上巨虛), 중완(中
                                        脘), 양능천(陽陵泉), 중극(中極), 지구(支泃), 천추(天樞), 태백(太
                                        白).
활정 (滑精)
    1. 針灸經驗方 許任
        症狀 : 젊은 사람이 양기(陽氣)와 음정(陰精)이 다 부족하여 몸이 여위고 얼굴이 누래지
                  며 식욕이 없고 기침하며 성행위(性行爲)를 하지 않았는데도 무의식 중에 정액이
                  저절로 나오고 조열(潮熱 tidal fever) 도한(盜汗 night sweat)이 있으며 가슴과 등
                  이 아픈 증과 오로칠상(五勞七傷)등에 뜸을 뜨면 좋 다
        處方 : 환문혈(患門穴) - 밀랍을 먹인 끈이나 짚의 한쪽 끝을 엄지발가락 끝에 내고 발뒤
                                          금치를 지나 위로 올라와 위중혈(委中穴)에서 끊는다. 남자는 왼
                  발, 여자는 오른발을 잰다. 환자로 하여금 머리털을 풀어 양쪽으로 똑같이 가른
                  뒤 앞서 끊어 놓은 끈을 한쪽을 코끝에 대고 위로 올려 머리 한가운데를 지나 등
                  골뼈로 내려가 그 끝이 닿는 곳에 점을찍어 표시한다.(이곳은 혈(穴)자리가 아니
                  다.) 따로 끈이나 짚 한 가닥으로 환자를 자연스럽게 입을 벌리게 하고 양쪽 입아
                  귀를 재어 끊는다. 이것을 반으로 접어 한가운데를 표시한 중점을 등에 찍은 점
                  위에 맞추어 가로로 놓고 좌우 끝이 닿는 곳에 점을 찍어 표시한 뒤에 이곳에 환
                  자의 나이 수만큼 뜸을 뜬 뒤에 1장을 더 뜬다. 어떤 사람은 100장을 뜬다고 하였
                  다.
황달 (黃疸 jaundice)
    1. 參照文(참조문)
        1) 비경병중 (脾經病中) - 비열수경상요 (脾熱隨經上擾)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少商(소상,井).
            足陽明胃經 : 承滿(승만), 足三里(족삼리),
            足太陰脾經 : 상구(商丘), 陰陵泉(음능천).
            手太陽小腸經 : 腕骨(완골), 小海(소해).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肝兪(간수), 膽兪(담수), 脾兪(비수), 陽綱(양강).
            足少陰腎經 : 然谷(연곡).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手少陽三焦經 : 陽池(양지).
            足少陽膽經 : 日月(일월), 陽陵泉(양능천).
            足厥陰肝經 : 中封(중봉).
            任脈 : 中脘(중완), 上脘(상완).
            督脈 : 脊中(척중), 中樞(중추), 筋縮(근축), 至陽(지양), 水泃(수구).
    3. 임상응용(臨床應用)
        1) 至陽(지양), 腕骨(완골), 陽綱(양강), 膽兪(담수, 膈兪), 日月(일월), 陽陵泉(양능천),
            后谿(후계), 陰陵泉(음능천), 脾兪(비수), 勞宮(노궁), 湧泉(용천), 中脘(중완), 三陰交(
            삼음교).
        2) 本經配穴法 ① 太冲(태충), 行間(행간), 大敦(대돈), 期門(기문), 章門(장문).
                            ② 日月(일월), 京門(경문), 淵腋(연액), 陽陵泉(양능천), 丘墟(구허).
        3) 手太陽小腸經 : 小海(소해), 腕骨(완골), 合谷(합곡).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腕骨(완골), 陰陵泉(음능천).
            任脈 : 中脘(중완), 至陽(지양), 膽兪(담수).
    4. 中醫針灸學
        黃疸(황달)은 目(목), 皮膚(피부)와 小便(소변)이 黃色(황색)을 나타내는 것을 주요 증상
        으로 하는데 그중에 目黃(목황)은 본병을 확정하는데 주요한 證據(증거)로 삼는다.
        본증은 여러 가지 질병에서 나타난다. 때문에 임상에서 急慢性肝炎(급만성간염), 胰腺炎
        (이선염), 膽囊炎(담낭염), 膽石症(담석증), 肝硬化(간경화) 등에서 황달이 생기면 본절
        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하라.
        病因病機(병인병기)
        黃疸(황달)의 病因(병인)은 주로 濕邪(습사)이다. 陽黃(양황)은 濕熱(습열)의 邪(사)가 肝
        膽(간담)에 쌓여 疏泄功能(소설공능)을 阻滯(조체)시킴으로 膽液(담액)이 옆으로 넘쳐
        나오기 때문에 발생된다. 만약 疫毒(역독)에 감수되면 병세는 더욱 급해진다. 陰黃(음황)
        은 酒食不節(주식불절), 飢飽不宜(기포불의) 혹은 顧慮(고려)와 疲勞(피로)가 과도하면
        모두 脾胃(비위)를 손상시켜 健運失常(건운실상), 濕鬱氣滯(습울기체)되어 肝膽瘀積(간
        담어적)으로 膽汁(담즙)의 배출이 脹痛(창통)하지 못하고 밖으로 넘쳐 皮膚(피부)를 누
        렇게 물들인다. 혹 陽黃(양황)이 제때에 치료되지 못하면 陰黃(음황)으로 전변된다.
        결론적으로 黃疸(황달)의 病機(병기)는 膽汁(담즙)이 정상적인 通路(통로)로 순행되지
        못하므로 해서 위로는 目(눈)으로, 밖으로는 皮膚(피부)로 넘치게 되면 노란색을 나타내
        고 膀胱(방광)으로 스며들면 소변색이 누렇고 小便量(소변량)도 줄어들면서 황달을 형성
        한다. 陽黃(양황)은 대부분 外感(외감)에 속하며 병과정이 비교적 짧고 陰黃(음황)은 대
        부분 內傷(내상)에 속하며 병과정이 비교적 길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陽黃(양황)
            證狀 : 눈과 피부의 색이 노란 것이 마치 橘(귤)처럼 선명하며 열이 나고, 입이 쓰며,
                      말라 渴症(갈증)으로 冷飮(냉음)을 즐기고, 소변 량은 적고 색은 누르며, 腹部(
                      복부)가 脹滿(창만)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嘔惡(구오)가 생기고, 대변은 굳다.
                      舌苔(설태)는 黃膩(황니)하고 맥은 滑數(활삭)하다. 만약 熱毒(열독)이 안으로
                      들어가면 急黃(급황)이 되는데 정신이 혼미하고, 斑点(반점)이 생기고 출혈하
                      는 등 엄중한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濕(습)이 熱(열)보다 엄중하면 황달은 약
                      간 선명치 못하며 發熱(발열)은 비교적 輕(경)하고 胃(위)가 갑갑하며 대변은
                      무르고 구갈은 심하지 않고 舌苔(설태)는 기름지고(膩), 약간 누렇고 맥은 濡數
                      (유삭)하다.
            治則 : 疏肝利膽(소간이담), 淸熱化濕(청열화습).
                      足少陽(족소양), 厥陰(궐음), 太陽(태양), 太陰經穴(태음경혈)을 위주.
            處方 -主穴 : 膽兪(담수), 陽陵泉(양능천), 陰陵泉(음능천), 內庭(내정), 太冲(태충).
                    配穴 : 內關(내관), 公孫(공손), 大腸兪(대장수), 天樞(천추).
            方義 : 濕熱(습열)이 膽(담)에 미치면 膽鬱不利(담울불이)하여 황달이 발생하기 때문
                      에 膽兪(담수), 陽陵泉(양능천)을 취하여 利膽瀉熱(이담사열)하고 太冲(태충)
                      과 배합하면 肝膽(간담)의 經氣(경기)를 疏泄(소설)한다. 陰陵泉(음능천)은 족
                      태음경의 合穴(합혈)이며 內庭(내정)은 족양명경의 滎穴(형혈)인데 두 혈을 배
                      합하면 소변이 잘 통하여 脾胃(비위)의 濕熱(습열)을 없앤다.
                      만약
                      胸悶嘔惡(흉민구오): 加 內關(내관) 公孫(공손).-和胃降逆(화위강역)
                      腹脹便秘(복창변비): 加 大腸兪(대장수) 天樞(천추).- 通腑(통부).
                      昏迷(혼미) : 加 人中(인중), 中冲(중충), 少冲(소충). 放血(방혈)
            治法 : 침으로 提揷補瀉(제삽보사) 법을 사용하는데 强刺戟(강자극)을 주며 매차 류침
                      30분씩 하는데 매분 한번 捻轉(념전)하며 매일 1번씩 침자하고 2주일을 1료정
                      으로 한다.
        2) 陰黃(음황)
            證狀 : 눈과 피부색이 노란데 灰暗(회암)하거나 혹은 연기에 그을린 듯하며 피로하고
                      추위를 두려워하며 食量(식량)이 적고 胃(위)가 먹먹하며 대변이 무르고 口淡
                      不渴(구담불갈)하다. 설질은 淡(담)하며 태는 기름지고(膩), 맥은 濡緩(유완)
                      혹은 沉遲(침지)하다. 만약 옆구리 아래로 덩어리(塊)가 있으면 팽창한 통증이
                      생기고 배가 불어나며(腹脹) 식욕이 감소하고 몸은 여위며 설질은 약간 紫色(
                      자색)이거나혹은 瘀斑(어반)이 있고 설태는 剝蝕(박식)이며 맥이 細澁(세삽)하
                      면 대부분 어혈증후 혹은 惡性(악성)의 病理變化(병리변화)일 가능성이 있다.
            治則 : 健脾利膽(건비이담), 溫化寒濕(온화한습).
                    足陽明(족양명), 太陰經(태음경), 背兪穴(배수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처방)
          主穴 :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 膽兪(담수), 陽陵泉(양능천), 三陰交(삼음교), 氣海
                    (기해).
          配穴 : 命門(명문), 關元(관원), 天樞(천추).
          方義 : 1) 陰黃(음황)의 病機(병기)는 寒濕(한습)이므로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에
                        뜸을 떠서 溫運脾胃(온운비위)하여 寒濕(한습)을 제거한다.
                    2) 陽陵泉(양능천), 膽兪(담수)에 침자하여 利膽退黃(이담퇴황)한다.
                    3) 陰黃(음황)이 오래되면 氣滯血瘀(기체혈어)로 옆구리에 脹痛(창통)이 생기
                        며 심지어 癥積(징적)이 형성되는데 三陰交(삼음교), 氣海(기해)를 취하여 行
                        氣活血(행기활혈)하고,
                    4) 疲勞(피로)와 畏寒證(외한증) : 加 命門(명문), 關元(관원).- 溫壯腎陽(온장신
                                                                                                            양)하고
                    5) 溏便(당변) : 加 天樞(천추).- 虛寒性(허한성) 泄瀉(설사)를 치료.
          治法 : 毫針(호침)으로 提揷補瀉法(제삽보사법)을 사용하는데 먼저 瀉(사)하고 후에 보
                    한다. 30분간 留針(류침)하며, 10분에 한번씩 捻轉(념전)하고 매일 한 번씩 침
                    자하여 2주일을 한 료정으로 한다. 혹은 침자 후 뜸을 가하거나 혹은 단독으로
                    뜸을 뜬다.
    5. 針灸大成
        1) 百症賦 - 黃疸(황달)과 消黃病(소황병) : 后谿穴(후계혈), 勞宮穴(노궁혈).
        2) 玉龍歌 - ① 黃疸(황달) : 至陽穴(지양혈) - 先補后瀉(선보후사).
                        ② 脾病引起(비병인기) 不可飮食(불가음식) 惡性嘔吐(악성구토) 黃疸(황달)
                            : 腕骨穴(완골혈)에 針刺(침자)하고, 中脘穴(중완혈)에 金針(금침)을 사용
                              한다.
        3) 勝玉歌 - 黃疸(황달) : 至陽穴(지양혈).
        4) 西江月 - ① 黃疸(황달)로 四肢(사지)가 붓고, 땀으로 옷이 노랗게 물들 때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至陽(지양), 百勞(백로), 腕骨(완골), 中脘(중완), 三里穴(삼
                                                리혈)을 침자한다
                        ② 黃疸(황달)로 全身(전신)의 皮膚(피부),얼굴,눈,소변이 모두 노란색일 때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脾兪(비수), 隱白(은백), 百勞(백로),至陽(지양),三里(삼리),
                                                  腕骨穴(완골혈)을 針刺한다.
                        ③ 谷疸(곡달, 穀疸 활달의 일종)로 음식을 먹고 나면 어지럽고, 心中(심중)
                            이 답답하고 전신이 모두 黃疸(황달)일 때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胃兪(위수), 內庭(내정), 至陽(지양), 三里(삼리),腕骨(완골),
                                                陰谷穴(음곡혈)을 針刺한다.
                        ④ 酒疸(주달)로 몸과 눈이 모두 노랗고, 심중이 아프며, 얼굴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고 소변색이 赤黃色일 때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膽兪(담수), 至陽(지양), 委中(위중), 腕骨穴(완골혈)
                        ⑤ 女勞疸(여로달)로 몸과 눈이 모두 노랗고, 熱(열)이 나면서, 찬 것을 싫어
                            하고, 小便(소변)이 不利(불리)할 때
                              處方 : 先針 - 公孫穴(공손혈),
                                        后針 - 關元(관원), 腎兪(신수), 至陽(지양), 然谷穴(연곡혈). 
    6. 舍岩五行鍼解說
        1) 症見 : 濕, 熱(습,열)의 交結(교결) 때문에 分泌(분비)되는 膽(담)의 熱汁(열즙)이 胃(
                      위)의 濁氣(탁기)와 相倂(상병)되는 까닭에 皮膚(피부)와 眼目(안목)이 모두 黃
                      色(황색)을 나타내는 症狀(증상).
            處方 : 三里(삼리), 腕骨(완골), 內庭(내정), 臨泣(림읍), 陷谷(함곡). 瀉(사).
    7. 針灸經驗方 許任
        대개 脾(비)와 胃(위)가 運化失調(운화실조)로 黃疸(황달)이 생기는데 눈과 얼굴 그리고
        온몸이 누레지고 소변색도 누렇다. 또 대변에 피(까만색의 피)가 섞이어 나오는 경우도
        있다. “多因脾胃不和 通身面目悉黃 或大便黑血 小便黃”
        1) 食疸(식달) : 무절제하게 음식을 먹은 탓으로 습열(濕熱)이 중초(中焦)에 쌓여서 생기
                              는 황달 “食疸者 頭眩心煩”
                    症狀 : 머리가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한 증
                    處方 : 足三里(족삼리) 神門(신문) 間使(간사) 列缺(열결) 中脘穴(중완혈).
        2) 酒疸(주달) : 무절제하게 술을 마신 탓으로 濕熱(습열)이 中焦(중초)에 쌓여서 생긴 황
                              달 “酒疸者 目黃鼻塞 心中及足下熱 身目俱黃 心痛面赤斑 小便不利”
            症狀 : 몸과 눈이 모두 누레지고 코가 막히며 가슴 속과 발바닥이 달아오르며 가슴이
                      아프며 얼굴에 붉은 반점이 생기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
            處方 : 公孫(공손), 膽兪(담수), 至陽(지양), 委中(위중), 腕骨(완골), 中脘(중완), 
                      神門(신문), 小腸兪穴(소장수혈) 등을 다스린다.
        3) 女勞疸(여로달) : 무절제한 性生活(성생활)로 인한 황달
            症狀 : 얼굴이 검고 몸은 누레지며 아랫배가 그득하면서 켕기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
                      는데 치료하기가 어렵다.  “女勞疸者 額黑身黃 小腹滿急 小便難 難治也”
            處方 : 公孫(공손), 關元(관원), 腎兪(신수), 然谷(연곡), 至陽(지양)에 뜸 3장을 뜬다.
                      “公孫關元腎兪然谷至陽 在七椎부而取之三壯”  구푸릴부 = 人+免
        4) 신달(腎疸)
            處方 : 風門(풍문)에 5장, 腎兪(신수)에 나이 수만큼, 소택(少澤)에 1장, 삼음교(三陰交
                      )에 3 - 30장, 합곡(合谷)에 3장의 뜸을 뜬다.
        5) 黃疸(황달)
            處方 : 百勞(백로)에 뜸 21장,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에 침을 놓는다.

    ☞ 대개 모든 황달은 입에서 싱거운 맛을 느끼면서 음식 맛을 모르고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
        리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다리에 맥이 없으며 오한과 발열이 일어나고 소변색이 히끄무
        레 하다. 만약 갈증이 나면 치료하기 어렵고 갈증이 나지 않으면 치료 할 수 있다.
        《三十六黃疸方》에 이르기를 먼저 脾兪穴(비수혈)과 心兪穴(심수혈)(에 뜸을 각 3장씩
        뜬뒤에 合谷穴(합곡혈)에 3장을 뜨고 이어서 氣海穴(기해혈)에 100장을 뜬다. 단지 中脘
        穴(중완혈)에 針(침)을 놓기만 해도 신기한 효험이 있다고 하였다. “大槪諸疸 口淡 怔忡
        耳鳴 脚軟 寒熱 小便白濁 渴則難治不渴則可治也 三十六黃疸方云先灸脾兪 心兪各三壯
        次灸合谷三壯 次灸氣海百壯 只針中脘穴神效”
    8. 이침(耳針)
              耳穴 : 耳中(이중).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