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6-27 15:50
[전승(傳承)] 天地運氣(천지운기) 第五章(제오장)
 글쓴이 : admin
조회 : 7,309  
天地運氣(천지운기)

第五章(제오장)
 1. 六甲年(육갑년) 敦阜(돈부)의 紀(기)
    歲土(세토)가 太過(태과)하여 雨濕(우습)이 流行(류행)하니 腎氣(신기)가 邪(사)를 받아 
    사람들이 腹痛(복통)하고 淸厥(청궐)하여 뜻이 즐겁지 못하며 肌肉(기육)과 발이 萎靡(위
    미)하고 脚下(각하)가 疼痛(동통)하며 속이 脹滿(창만)하여 飮食(음식)을 减(감)하고,     
    四肢(사지)를 들지 못하는데에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이 좋다.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三因)
                    ≒ 炮附子(포부자), 山茱萸(산수유) 各一錢半(각일전반), 半夏(반하), 肉荳蔲(육
                        두구) 各一錢二分半(각일전이분반), 木瓜(목과), 烏梅(오매) 各一錢(각일전),
                        丁香(정향), 藿香(곽향) 各七分半(각칠분반)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
                        (생강) 七片(칠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2. 六丙年(육병년) 漫衍(만연)의 紀(기)
    歲水(세수)가 太過(태과)하고 寒氣(한기)가 流行(류행)하여 心火(심화)가 邪(사)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이 身熱(신열)하고, 心燥(심조)하고, 陰(음)이 厥逆(궐역)하며, 上下(상
    하)가 寒(한)에 맞아(中) 譫語(섬어)하고, 妄心(망심)하며, 疼痛(동통)하고 咳嗽(해수)하며,
    寢汗(침한, 盜汗(도한))이 나니 黃連茯苓湯(황연복령탕)이 마땅하다. 
    黃連茯苓湯(황련복령탕) (三因)
                  ≒ 黃連(황연), 赤茯苓(적복령) 各一錢二分半(각일전이분반), 麥門冬(맥문동), 通
                      草(통초), 車前子(차전자), 遠志(원지) 各七分半(각칠분반), 半夏(반하),黃芩(황
                      금), 甘草(감초) 五分半(오분반)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七片(칠
                      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3, 六戊年(육무년) 赫曦(혁희)의 紀(기)
    歲火(세화)가 太過(태과)하고 火暑(화서)가 流行(류행)하여 肺金(폐금)이 邪(사)를 받아 사
    람들의 疾病(질병)은 瘧疾(학질), 少氣(소기), 咳喘(해천), 血溢(혈일), 血泄(혈설), 身熱(신
    열), 骨痛(골통) 등증이 漫淫(만음)하니 麥門冬湯(맥문동탕)이 마땅하다.
    麥門冬湯(맥문동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 麥門冬(맥문동), 白芷(백지), 半夏(반하), 竹葉(죽엽), 鍾乳粉(종유분), 桑白皮(상
                  백피), 紫菀茸(자원용), 人蔘(인삼) 各一錢(각일전), 甘草(감초) 五分(오분)을 剉
                  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
                  煎服(수전복)한다.

 4. 六庚年(육경년) 堅成(견성)의 紀(기)
    歲金(세금)이 太過(태과)하고 燥氣(조기)가 流行(류행)하고, 肝木(간목)이 邪(사)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脇(협)과 小腹(소복)이 疼痛(동통)하고, 귀가 먹고, 눈이 붉으며, 胸
    脇(흉협)이 疼痛(동통)하여 小腹(소복)과 尻陰(고음, 꽁무니)을 당기어 股(고), 膝(슬), 髀(
    비, 넓적다리 대퇴골), 腨(천, 장딴지), 胻(행, 정강이), 足(족)이 다 疼痛(동통)하니 牛膝木
    瓜湯(우슬목과탕)이 마땅하다.
    牛膝木瓜湯(우슬목과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 牛膝(우슬), 木瓜(목과) 各一錢(각일전), 白芍葯(백작약), 杜仲(두중),枸杞子(구
                      기자), 黃松節(황송절), 菟絲子(토사자), 天麻(천마) 各七分半(각칠분반), 甘草
                      (감초) 五分(오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三片(삼편), 大棗(대
                      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5. 六壬年(육임년) 發生(발생)의 紀(기)
    歲木(세목)이 太過(태과)하고 風氣(풍기)가 流行(류행)하고, 脾土(비토)가 邪(사)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飱泄(손설, 저녁에 먹은 밥을 사하고), 食减(식감), 體重(체중), 煩
    寃(번원, 원통하고 괴로워 함), 腸鳴(장명), 脇痛(협통), 支滿(지만) 등증이 流行(류행)하니
    苓朮湯(령출탕)이 마땅하다.
    苓朮湯(령출탕) (三因)
            ≒ 白茯苓(백복령), 白朮(백출), 厚朴(후박), 靑皮(청피), 炮姜(포강), 草果(초과), 半夏
                (반하), 甘草(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
                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6. 六乙年(육을년) 從革(종혁)의 紀(기)
    歲金(세금)이 不及(불급)하고 炎火(염화)가 盛行(성행)하여 사암들의 疾病(질병)은 肩,背(
    견,배)가 무겁고, 재채기를 하며, 咳喘(해천)하고, 血便(혈변)이 注下(주하)하니 紫菀湯(자
    원탕)이 마땅하다.
    紫菀湯(자원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 紫菀茸(자원용), 白芷(백지), 人蔘(인삼), 黃芪(황기), 地骨皮(지골피), 杏仁(행인),
                桑白皮(상백피), 甘草(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7. 六丁年(육정년) 委和(위화)의 紀(기)
    歲木(세목)이 不及(불급)하고 燥氣(조기)가 盛行(성행)하여 사암들의 疾病(질병)은 독이 맑
    고 胠脇(거협, 겨드랑이로부터 옆구리)과 小腹(소복)이 疼痛(동통)하며 腸(장)이 울고, 溏
    泄(당설, 진흙 같은 설사)하니 蓗蓉牛膝湯(종용우슬탕)이 마땅하다.
    蓗蓉牛膝湯(종용우슬탕) (三因)
                  ≒ 肉蓗蓉(육종용), 木瓜(목과), 牛膝(우슬), 白芍葯(백작약), 熟地黃(숙지황), 當
                      歸(당귀), 甘草(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三
                      片(삼편), 烏梅(오매) 一枚(일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8. 六己年(육기년) 卑監(비감)의 紀(기)
    歲土(세토)가 不及(불급)하고 風氣(풍기)가 流行(류행)하여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飱泄(
    손설, 저녁에 먹은 것을 설사하다), 體重(체중), 癨亂(곽란), 腹痛(복통), 筋骨(근골)이 繇竝
    (요병, 함께 따라서)하고 肌肉(기육)이 실룩거리고 아프며 성을 잘 내니 白朮厚朴湯(백출후
    박탕)이 마땅하다.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 (三因)
                  ≒ 白朮(백출), 厚朴(후박), 半夏(반하), 桂心(계심), 藿香(곽향), 靑皮(청피) 各一
                      錢(각일전), 炮姜(포강), 炙甘草(자감초) 各五分(각오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
                      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 넣고 水煎服(수전복) 한다.

 9. 六辛年(육신년) 涸流(학류)의 紀(기)
    歲水(세수)가 不及(불급)하고 濕(습)이 盛行(성행)하여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浮腫(부종),
    脹滿(창만)身重(신중), 濡泄(유설)하고, 발이 萎靡(위미)하며, 淸冷(청냉)이 逆上(역상)하고
    脚下(각하)가 疼痛(동통)하니 五味子湯(오미자탕)이 마땅하다.
    五味子湯(오미자탕) (三因)
              ≒ 五味子(오미자), 炮附子(포부자), 巴戟(파극), 鹿茸(녹용), 山茱萸(산수유), 熟地
                  黃(숙지황), 炒杜仲(초두중)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
                  강) 七片(칠편), 鹽(염) 조금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10. 六癸年(육계년) 伏明(복명)의 紀(기)
      歲火(세화)가 不及(불급)하고 寒(한)이 盛行(성행)하니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胸痛(흉통)
      脇痛(협통)가슴, 등, 어깨, 양팔 등이 內痛(내통)하고, 鬱痛(울통)하며, 心痛(심통)하고, 暴
      瘖(폭음,갑자기 벙어리가 되고)하는 등 증세가 流行(류행)하는데 黃芪伏神湯(황기복신탕)
      이 마땅하다.
      黃芪伏神湯(황기복신탕) (三因)
                  ≒ 黃芪(황기), 茯神(복신), 遠志(원지), 紫河車(자하차), 炒棗仁(초조인) 各一錢(
                      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
                      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