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8-24 11:47
[침구사전(針灸辭典)] 충문 (冲門) - 침구치료법칙 (針灸治療法則)
 글쓴이 : admin
조회 : 11,834  
충문 (冲門)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SP-12                    족태음(足太陰), 궐음(厥陰)의 會
                  定位 : 치골연합(耻骨聯合) 상연 중점 좌우 3.5寸, 고동맥(股動脈) 외측.
                  主治 : 복통(腹痛), 산기(疝氣), 소변불리(小便不利), 뇨폐(尿閉), 자간(子癎), 자
                            궁내막염(子宮內膜炎), 고환염(睾丸炎).
                  臨床 : ① 뇨폐(尿閉)- 加 신유(腎兪), 관원(關元), 중극(中極), 삼음교(三陰交)
                            ② 고환통증(睾丸痛症) - 加 대돈(大敦), 삼음교(三陰交).
                  操作 : 동맥(動脈)을 피하여 0.5~0.7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충수 (闌尾) : 이혈(耳穴) - 란미(蘭尾)
                    定位 : 이갑정(耳甲艇) - 대장혈(大腸穴)과 소장혈(小腸穴) 어간
                    主治 : 단순성충수염(單純性虫垂炎), 설사(泄瀉).
충양 (冲陽)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42                    원혈(原穴)(락혈(絡穴)은 풍륭(豊隆))
                  定位 : 해계혈(解溪穴) 하방 족배(足背)의 제일 높은 곳, 동맥(動脈)이 만져지는
                            곳, 제2, 3 척골(跖骨)과 설상골간(楔狀骨間)의 함요부(陷凹部)
                  效能 : 부토화습(扶土化濕), 화위영신(和胃寧神).
                  主治 : 두통(頭痛),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痹), 안면부종(顔面浮腫), 치통(齒痛), 치
                            간염(齒齦炎), 위통증(胃痛症), 복창(腹脹), 발열(發熱), 발광증(發狂證),
                            전간(癲癎), 간질병(癎疾病), 정신질환(精神疾患), 족위축증(足萎縮證), 족
                            배홍종증상(足背紅腫症狀), 학질(瘧疾), 열병(熱病), 사지불거(四肢不擧),
                            하지신경통(下肢神經痛). 마비(痲痹).
                            암환자(癌患者)의 전신 강장혈(强壯穴).
                  臨床 : ① 족위축(足萎縮) - 加 조구(條口), 절골(折骨), 견정(肩貞).
                            ② 정신병(精神病) - 加 풍륭(豊隆), 신문(神門), 후계(后溪).
                            ③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痹) - 加 지창(地倉).
                            ④ 족종대(足腫大) - 加 함곡(陷谷), 연곡(然谷).
                  操作 : 0.3~0.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침자(針刺)할 때 동맥(動脈)을 피해야
                            하고, 반흔구(瘢痕灸)를 금지(禁止)한다.
췌담 (膵膽) : 이혈(耳穴) - 이담(胰膽)
                  定位 : 이갑정(耳甲艇) - 간혈(肝穴)과 신혈(腎穴) 사이
                  主治 : 담낭염(膽囊炎), 담석증(膽石症),담도회충증(膽道蛔虫症),편두통(偏頭痛),
                            대상포진(帶狀疱疹), 중이염(中耳炎), 이명(耳鳴), 정력감퇴(精力减退), 급
                            성췌장염(急性膵腸炎).
췌수 (膵兪)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17↔18                    옛 기혈(寄穴) : 위관하수혈(胃管下兪穴)
                  定位 : 제 8 흉추(胸椎) 좌우 3 寸
                  主治 : 위통(胃痛), 급만성췌장염(急慢性膵腸炎), 흉협통(胸脇痛),당뇨병(糖尿病)
                            (인슐린결핍성), 소갈(消渴), 인건(咽乾), 지방간(脂肪肝),지방변(脂肪便),
                            담도질환(膽道疾患), 담도회충증(膽道蛔虫症), 해수(咳嗽).
취천 (聚泉) : 기혈(寄穴)EX - 두경부(頭頸部)HN
    EX-HN11  定位 : 설상(舌上) 중앙
                    主治 : 천식(喘息), 해수(咳嗽) 일구불유(日久不愈). 사열입폐(邪熱入肺) 점소폐
                              음(漸少肺陰) 해수일구(咳嗽日久) : 격강구(隔姜灸) 七壯
                    操作 : 뜸(灸) 7장 - 격강구(隔姜區)
                            ① 열사침폐(熱邪浸肺) 폐음감소(肺陰减少) 인기(引起) 천식(喘息).
                                  - 웅황분(雄黃粉)을 물에 개어 격구(隔灸)한다.
                            ② 한천(寒喘)(cold-type dysp-nea) : 관동화분(款冬花粉)을 물에 개어 격
                                구(隔灸) 뜸을 뜬 후 맑은 생강차(生薑茶)를 마신다. 만약 설태(舌苔)가
                                끼어 있고 혀가 뻣뻣하면 침(針)으로 사혈(瀉血)을 시킨다.
취혈법 (取穴法) ⇒ 수혈의 정위 (腧穴定位)
치농1 (治聾1) ⇒ 후청궁 (后聽宮)
치농3 (治聾3) ⇒ 상농 (上聾)
치농4 (治聾4) ⇒ 청민 (聽敏)
치농신일호 (治聾新一號) ⇒ 후청 (后聽)
치농신팔호 (治聾新八號) ⇒ 청총 (聽聰)
침 (枕) : 이혈(耳穴)
            定位 : 대이병(對耳屛) 외측의 후상방(后上方)에 있다.
            主治 : 정신신경계통(精神神經系統)의 질병과 뇌막자극증(腦膜刺戟症) 예를들면 경
                      련(痙攣), 각궁반장(角弓反張), 아관긴폐(牙關緊閉), 경항강직(頸項强直), 정
                      신분열증(精神分裂證) 등을 치료한다. 또 배 멀미와 차멀미, 소염(消炎), 지통
                      (止痛), 진정(鎭靜), 항 쇼크 등 작용이 있다.
침감 (針感) : 침감은 의사의 他覺反應(타각반응)과 환자의 自覺反應(자각반응)인 得氣(득기)
                  와 엄밀히 구별되지 않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다시 말해서 進針(진침)시에 환자
                  의 自覺反應(자각반응)은 시큼하고, 저리고, 膨脹(팽창)하고, 무겁고, 때로는 冷
                  感(냉감), 熱感(열감), 전기가 통하는 감각을 환자 측에서 느끼는데 이를 得氣(득
                  기)라하며 이 같은 환자의 自覺反應(자각반응)이 의사의 손가락에 가라앉는 감(
                  沉), 졸아드는 감(緊), 걸리는 감(滯) 깔깔한 감(澁)의 他覺反應(타각반응)을 體驗
                  (체험)하게 되는데 이 모두를 針感(침감)이라고 한다
침관법 (針罐法) : 선택한 부위에 먼저 침을 꽂은 후 침을 남겨두고 그 위에 부항(罐)을 댄다.
                          만약 葯罐(약관)과 배합하면 針葯罐(침약관)이라 한다.
                          風濕病(풍습병)에 많이 使用(사용)한다.
침구변증 (針灸辨證)
          1) 八綱辨證(팔강변증),  2) 臟腑辨證(장부변증)과  3) 經絡辨證(경락변증).
          ☞  各科(각과) 說明(설명)은 辨證(변증)을 참조
침구자생경 (針灸資生經) : 中國 宋代(송대) 王執中(왕집중)이 지은 것으로 針(침)과 뜸(灸)에
                                      대하여 소개 하였는데 臨床(림상)에서 몸소 經驗(경험)과 人体(인
                                      체) 各部位(각부위)의 腧穴(수혈)을 함께 다루었다. 그리고 부도(
                                      附圖) 46폭을 실었는데 이를 자생경(資生經) 이라고도 한다.
침구치료법칙 (針灸治療法則)
                    針灸(침구)의 치료법칙은 中醫(중의)의 整體觀念(정체관념)과 辨證論治(변증론
                    치)를 基本原理(기본원리)로 정하고 있다. 이는 針灸臨床(침구임상) 중에서 穴
                    處方(혈처방) 선택과 補瀉法(보사법)에 아주 중요한 의의가 있다.
                    疾病(질병)의 증상표현이 다종다양하기 때문에 病理機制(병리기제) 변화도 多
                    樣(다양)하다. 病因(병인)이 다르면 사람마다 개체가 不同(부동)한 차별이 있기
                    때문에 針灸治療(침구치료) 역시 千變萬化(천변만화)하다. 따라서 多樣(다양)
                    한 病態(병태)와 病證(병증)을 반드시 일정한 원칙에 따라 治療法則(치료법칙)
                    을 設定(설정)해야 만이 치료상의 偏差(편차)와 錯誤(착오)를 避免(피면)할 수
                    있다.
      1) 補虛(보허)와 瀉實(사실)
          질병의 발생과 발전은 모두 필연적으로 經絡(경락), 臟腑(장부), 氣血(기혈)의 盛衰(성
          쇠)에 영향을 주어 그 표현이 亢奮(항분) 혹은 衰弱(쇠약)하여 實證(실증) 혹은 虛證(허
          증)을 형성한다. 이것이 바로 인체가 疾病過程(질병과정)에서 正氣(정기)와 邪氣(사기)
          의 力量對比(력량대비)인 것이다. 實(실)은 邪氣(사기)가 實(실)한 것이고, 虛(허)는 正
          氣(정기)가 虛(허)한 것이다. 이같이 虛實(허실)을 가리는 것은 치료에 있어서 補瀉(보
          사)를 결정하는 일종의 진단근거를 삶는 것이다. 즉 虛(허)하면 補(보)하고 實(실)하면
          瀉(사)한다.
          보법(補法)은 정기(正氣)를 부조(扶助)하는 작용이 있어서 正氣가 不足함과 동시에 사
                              기(邪氣)가 성(盛)하지 않은 종류의 질병치료에 사용한다.
          사법(瀉法)은 병사(病邪)를 제거(除去)하는 작용이 있어서 사기(邪氣)가 항성(亢盛)함
                              과 동시에 정기(正氣)의 허약(虛弱)이 크게 돌출하지 않은 종류의 질병치
          료에 적용한다. 즉 병세(病勢)의 사실(邪實)을 위주로 하는 병증에 사용한다.
          보사법칙을 확정한 후 여러 가지 보사방법을 응용하여 치료목적에 도달 하도록 한다.
          보사의 방법을 선택할 때 반드시 정기허약(正氣虛弱)이 위주인가, 사기항성(邪氣亢盛)
          이 위주인가를 구별하는 동시에 또한 병정세(病程勢)의 완급(緩急)을 주의하여 결정해
          야 한다. 예를 들어 정기(正氣)가 몹시 허(虛)할 때 보허법(補虛法)을 위주로 하면서 사
          실법(瀉實法)도 겸하며, 사기(邪氣)가 몹시 실(實)하면 사실법(瀉實法)을 위주로 하면
          서 보허법(補虛法)도 겸한다. 만약 정기(正氣)도 몹시 허(虛)하고 또 사기(邪氣)도 몹시
          실(實, 邪氣亢盛)하여 병세가 엄중(嚴重)하면 응당 보사(補瀉)를 동시에 취한다. 치료
          중에 만약 정기(正氣)가 아주 허(虛)하면 부정(扶正)이 급무(急務) 임을 주의해야 한다.
          임상에서 보허사실(補虛瀉實)의 기본법칙을 장악하는 동시에 또 합리적으로 운
          용 해야만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취혈(取穴)과 배혈(配穴) 및 침자방향(針刺方向)
          깊이 자극량(刺戟量) 시간(時間) 등도 주의깊게 선택해야 할 과제이다.

                      ☞  陽證 : 表證, 熱證, 實證 → 針刺法 : 淺刺, 疾針 ← 瀉法
                          陰證 : 裏證, 寒證, 虛證 → 針刺法 : 深刺, 留針 ← 補法

          침구(針灸)의 보사방법(補瀉方法)
          ⑴ 본경보사(本經補瀉)
          한 개의 경락(經絡), 장부(臟腑)의 병리변화(病理變化)가 아직 다른 경락(經絡) 장부(臟
          腑)에 미치지 않았을 때 본경(本經)에서 취혈(取穴)하여 보사(補瀉)한다.
          이것이 바로 불성불허(不盛不虛) 이경취지(異經取之)란 뜻인데 이 방법을 본경보사(本
          經補瀉)라 한다.
          ⑵ 이경보사(異經補瀉)
          경락(經絡) 장부(臟腑)에 발생한 병리변화(病理變化)가 상호 영향을 주며 피허차실(彼
          虛此實) 혹은 피실차허(彼實此虛) 정황이 생겼을 때 침구의 보사법이 어느 한 경 혹은
          본장부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경락(經絡)의 수혈(輸穴)을 배합하여 보허사실(補虛瀉
          實)의 치료작용을 발휘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합곡(合谷)과 복류(復溜)를 배합하면 이경
          (二經)을 합용하는 처방이 되며 부동(不同)한 수법(手法)을 사용하면 그 효과도 각이하
          다.
          사법(瀉法)을 사용하면 감기무한(感冒无汗) 증을 치료하며,
          보법(補法)을 사용하면 음허도한(陰虛盜汗) 증을 치료한다.
          이상의 두가지 방법 이외에 또 오수혈(五輸穴)의 자모보사(子母補瀉)법과 수모혈(兪募
          穴), 원락혈(原絡穴), 회혈(會穴) 극혈(郄穴) 등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2) 청열(淸熱)과 온한(溫寒)
          질병(疾病)의 성질을 놓고 말하면 한증(寒證)과 열증(熱證) 두 종류가 있다. 기본적인
          치료법칙은 열성(熱性)에 속(屬)하는 병증(病證)은 반드시 청열(淸熱)하고, 한성(寒性)
          에 속(屬)하는 질병은 반드시 온한(溫寒) 하여야 한다. 즉 열증(熱證)은 청법(淸法), 한
          증(寒證)은 온법(溫法)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이 바로 치열이한(治熱以寒) 치한이열
          (治寒以熱) 등 두 개로 대별하는 치료법칙(治療法則)이다.
          열사(熱邪)가 표(表) 혹은 리(里)에 있는 실증(實症)은 사열(瀉熱)의 방법으로 열사(熱
          邪)를 선설(宣泄)하면 사기(邪氣)가 없어진다. 예를 들면 폐열공규(肺熱空竅)로 인한 정
          신혼미(精神昏迷) 인사불성(人事不省)은 침(針)을 얕게 찌르고, 신속(迅速)한 출침법을
          사용 하는데 삼능침(三陵針)으로 대추(大椎) 태양(太陽) 십이정혈(十二井穴)에 점자출
          혈(點刺出血)시키면 청열설독(淸熱泄毒) 성신개규(醒神開竅) 작용을 한다.
          한사(寒邪)가 표(表) 혹은 리(里)에 침입 하였고 또 음한내생(陰寒內生)된 질병은 반드
          시 온한(溫寒) 거한(祛寒) 온통(溫通) 등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장부(臟腑)
          가 허(虛)하여 한기(寒氣)가 내부로부터 생기는 증상은 침을 비교적 깊이 찌르고(深刺)
          류침(留針)하며 적당히 애구법(艾灸法)을 사용하여 부정조양(扶正助陽) 온산한사(溫散
          寒邪)한다. 만약 한사(寒邪)가 표(表)에 침습되어 경맥(經脈)이 막히면 사지(四肢)에 통
          증(痛症)이 생기는데는 침을 얕게 찌르고 신속히 뽑(淺刺疾出)거나 혹은 삼능침으로 점
          자출혈(點刺出血)하여 병사(病邪)를 선설(宣泄)하므로서 통증을 없앤다.
          청열(淸熱)과 온한(溫寒)은 서로 상반된 병증의 두 가지 부동(不同)한 병후(病候)에 대
          한 치료방법(治療方法)이다. 침(針) 혹은 뜸의 수법으로 경락(經絡)을 소통(疏通)하며
          기혈(氣血)을 조절(調節)하여 치료목적에 도달한다. 예를 들면 열증(熱證)은 투천양법
          (透天凉法), 한증(寒證)은 소산화법(燒散火法)으로 열(熱)을 내리고 한기(寒氣)를 없앤
          다.
      3) 표본(標本)과 완급(緩急)
          표(標)와 본(本)의 함의(含意)는 광범위(廣範圍)하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① 표(標)는
          현상이고 본(本)은 본질이다. ② 질병(疾病)을 놓고 말하면 병인(病因)은 本이고 증상(
          症狀)은 표(標)이다. ③ 정사(正邪)로 말하면 정기(正氣)는 본(本)이고 사기(邪氣)는 標
          이다. ④ 병리변화(病理變化)의 부위(部位)로 말하면 내장(內臟)은 本이고 체표(體表)
          는 標이다. ⑤ 장부(臟腑)는 本이고 경락(經絡)은 標이다. 질병발생(疾病發生)의 선후(
          先后)를 본다면 ⑥ 먼저 생긴 병은 本이고 계발(繼發)된 병은 標이다. ⑦ 병정(病程)으
          로 말하면 오래된 병은 本이고 새로운 병은 標이다.
          표(標)와 본(本)은 대립(對立)될 뿐만 아니라 상호 연계가 있으며, 주요(主要)와 차요(
          次要)가 부동(不同)하고 신구(新久)가 불일치한 두 개의 방면이다. 때문에 標와 本은 응
          당히 임상(臨床)에 나타나는 구체정황에 의하여 잘 분별해야 한다. 또 병정(病程)과 병
          세(病勢)에 따라 부동한 치료순서를 채용해야한다.
          표병(標病)과 본병(本病) 또 치료의 완(緩)과 급(急)을 잘 구별하는 것은 치료조치를 확
          정하는 지름길(步驟)이다. 변증론치(辨證論治) 중에서 표(標)와 본(本)을 치료하는 선
          후원칙은 증세(症勢)가 급(急)할 때 표(標)를 치료하고, 완(緩)할 때 본(本)을 치료하는
          것이다. 즉 급칙치기표(急則治其標), 완칙치기본(緩則治其本)이라  하며 또한 표본(標
          本)이 모두 急할 때 표본겸치(標本兼治)한다. 이로써 치료의 삼대원칙(三大原則)으로
          삼는다. 이로써 질병의 발생과 발전과정에 따르는 치료처방에 주요(主要)와 차요(次要)
          등 중점(重點) 선후(先后)의 순서를 해결한다.복잡한 병리변화(病理變化)와 번다(繁多)
          한 증상(症狀)은 반드시 질병의 주요(主要)와 차요(次要)를 구별해야 함은 매우 중요하
          다.
          ⑴ 완칙치본(緩則治本)
              본(本)을 치료하는 것은 질병(疾病)을 해제(解除)하는 근본방법이다. 특수한 정황 이
              외에 일반적 질병은 모두 이 방법을 채용한다. 예를 들면 부정거사(扶正祛邪) 병인치
              료(病因治療) 치기선병(治其先病) 등이다.
          ⑵ 급칙치표(急則治標)
              표병(標病)이 본병(本病)보다 급할 때 응당히 먼저 표병(標病)을 치료하고 후에 본병
              (本病)을 치료해야 한다.이는 병세(病勢)의 심화와 악화를 피면할 수 있으며 또 질병
              의 완치에도 유리하다. 예를 들면 어떤 방법은 대소변(大小便)을 불통(不通)케 한다.
              이때는 반드시 대소변(大小便)을 통하게 한 다음 본병을 치료해야 한다. 대출혈(大出
              血) 환자는 먼저 지혈(止血) 시키고 난다음에 본병(本病)을 치료해야 한다. 병든후
              또 감기(感冒)가 들었을 때 반드시 먼저 감기를 치료하고 원래의 병을 치료해야 한다
              . 급칙치표(急則治標)는 병증세(病症勢)를 완화(緩和)시키며, 새로운 병을 해제하여
              본 치료에 유리한 조건으로 유도하는 최종 목적은 역시 본(本)을 잘 치료하기 위함이
              다.
          ⑶ 표본겸치(標本兼治)
              표병(標病)과 본병(本病)이 모두 급할 때 어느 한 쪽만 먼저 치료 하거나 중시 해서
              는 안된다. 응당히 표본동치(標本同治)의 방법을 취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本)에 리
              증(裏證)이 있는데 또 외사(外邪)가 침습되었거나 혹은 표증(表症)이 완전히 해제되
              지 않았을 때 겸하여 리증(里證)이 나타나면 이는 표리동병(表里同病)으로써 표본(
              標本)이 모두 급하므로 마땅히 표리쌍해(表里双解)해야 한다.그리고 표(標)와 본(本)
              , 급(急)과 완(緩)이 모두 상대적(相對的)이며, 또 변동적(變動的)이다. 임상에서 운
              용할 때 그 원칙도 지켜야 할 뿐만 아니라 또 그 변화와 시기를 영활히 장악해야 한
              다.
      4) 국부(局部)와 정체(整體)
          동의학(東醫學) 정체관념(整體觀念)의 지도(指導)하에서 질병을 치료할 때 국부(局部)
          와 정체(整體) 간(間)의 관계를 잘 장악(掌握)해야 한다. 병증(病證)의 구체적인 정황에
          따라 국부치료의 선택과 정체치료의 선택 혹은 두 가지를 겸하여 치료할 수도 있다.
          局部治療 : 일반적으로 국부증상에 국부적인 치료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구금(口噤)은
                          지창(地倉) 협거(頰車) 혈(穴)을 취하고, 비색(鼻塞)은 영향(迎香), 거료혈(
          巨髎穴)을 취하고, 두통(頭痛)은 백회(百會), 태양혈(太陽穴)을 취하는 등이다.
          整體治療 : 일반적으로 병인(病因)과 병기(病機)에 대한 대책으로 병증(病證)이 소속(
                          所屬)된 경락수혈(經絡腧穴)에 치료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간양상항(肝陽
          上亢)으로 인한 현운증(眩暈症)은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의 태충(太冲)과 족소음신경
          (足少陰腎經)의 조해혈(照海穴)을 취하여 신음(腎陰)을 자양(滋養)하고, 간풍(肝風)을
          평식(平熄)하여 두운목현증(頭暈目眩症)을 해제 시킨다. 또 풍한(風寒)이 외속(外束)하
          여 생기는 감기두통증(感氣頭痛症)은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의 합곡(合谷)과 수
          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의 외관혈(外關穴)을 취하여 구한해표(驅寒解表) 하므로 표
          사(表邪)가 제거(除去)되어 두통(頭痛) 오한증(惡寒證)이 없어진다.
          局部와 整體兼治 : 병인(病因)의 치료를 중시 할 뿐만 아니라 국부증상의 치료도 중시
                                    하는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시행한다.
          예를 들면 비허(脾虛)로 인한 설사증(泄瀉症)은 방광경(膀胱經)의 대장수(大腸兪)와 족
          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족삼리(足三里) 천추혈(天樞穴)을 배합하여 설사(泄瀉)를 치
          료하고 또 방광경(膀胱經)의 비수(脾兪)와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삼음교혈(三陰交
          穴)을 배합하여 비장(脾臟)을 보(補)하면 비장(脾臟)이 건강(健康)해 져서 설사(泄瀉)가
          멈춰진다.
          結論 : 침구(針灸)로 질병(疾病)을 治療하자면 국부(局部)와 정체(整體)의 밀접한 관계
                    를 잘 장악(掌握)하고 그 공통적 특성을 이용하여 변증론치(辨證論治)에 의한 선
          혈배방(選穴配方)을 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야 만이 두통(頭痛)에 머리를 치료한고, 족
          통(足痛)에 발을 치료하는 편면성을 모면(謀免) 할 수 있다.
          수혈(腧穴)의 주요 치료작용(治療作用)을 보면 어떤 수혈(腧穴)은 국부치료(局部治療)
          작용만 있다. 예를 들면 승읍혈(承泣穴)은 눈병만을, 거료혈(巨髎穴)은 얼굴병만 치료
          하는가 하면, 기해(氣海) 족삼리(足三里) 대추혈(大椎穴) 등은 국부통병(局部痛病)만
          아니라 全身의 疾病과 또 보신혈(補身穴)로써 전신작용(全身作用)도 한다. 때문에 침구
          치료(針灸治療)는 정체관념(整體觀念) 하에서 반드시 각 수혈(腧穴)의 부동(不同)한 주
          치(主治), 공능(功能), 혈성(穴性) 및 적당한 배합(配合) 등을 잘 장악(掌握)해야 좋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이하 선혈방법(選穴方法)과 배혈방법(配穴方法)을 참고 하시오!
      5) 동병이치(同病異治)와 이병동치(異病同治)
          동병이치는 동일한 질병에 부동한 치료방법을 쓰고, 이병동치는 부동한 질병에 동일한
          치료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치료법칙(治療法則)의 이론근거(理論根據)는 질병
          의 병기(病機)의 이(異)와 동(同)에 따라 이것을 표준으로 한 것이다.
          同病異治 : 어떤 疾病은 병든 위치(位置)와 증상(症狀)이 동일 한다. 그러나 병인(病因)
                          과 병기(病機)가 不同하므로 그 성질(病性)이 다르다. 때문에 부동한 치료방
          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간기범위(肝氣犯胃)로 인한 위통증(胃痛症)은 소간화위(疏肝
          和胃) 행기지통(行氣止痛) 치법을 채용하여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과 족양명위경(足
          陽明胃經)의 유관된 혈(穴)로 처방(處方)을 조성하며 또 실증(實症)에 속하므로 수법(
          手法)은 사법(瀉法)을 사용한다. 그러나 비위허한(脾胃虛寒) 한사상위(寒邪傷胃)로 인
          한 위통증(胃痛症)은 보비건위(補脾健胃) 온중산한(溫中散寒)의 치법(治法)으로 족태
          음비경(足太陰脾經)과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배수혈(背兪穴)과 유관된 혈(穴)로
          처방(處方)을 조성하며 또 허증(虛證)에 속하므로 수법(手法)은 보법(補法)을 사용한다
          . 한편 구법(灸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같은 위통증(胃痛症)이라 할지라도 그
          병기(病機)가 부동함으로 그 치료법(治療法)도 부동(不同)함을 설명한다.
          異病同治 : 어떤 질병은 병든 부위와 증상(證狀)이 아주 부동하여 두 가지 不同한 병증
                          (病證)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 병기(病機)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치료방
          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간담열사(肝膽熱邪)의 상역(上逆)으로 인한 두통증(頭痛證)
          과 간담지기(肝膽之氣)의 울결(鬱結)로 인한  옆구리 통증은 비록 두 가지 증상 이지만
          모두 간담경맥(肝膽經脈)의 불리(不利)로 인한 병이기 때문에 모두 족궐음간경(足厥陰
          肝經)과 족소 양담경(足少陽膽經)의 혈(穴)과 유관되는 배수혈(背兪穴)을 택하여 치료
          한다. 또 직장(直腸) 자궁(子宮) 위(胃) 신(腎) 등의 내장하수(內臟下垂)는 비록 발병부
          위(發病部位)와 구체적 증상이 각이(各異)하지만 그 병기(病機)는 모두 중기하함(中氣
          下陷) 이므로 동일한 치법 하에 익기승양법(益氣升陽法)으로 백회(百會) 중완(中脘) 기
          해(氣海) 등 동일한 혈처방(穴處方)을 택할 수 있다.
      6) 인시인지인인제의(因時因地因人制宜)
          인시(因時) 인지(因地) 인인제의(因人制宜)는 임상(臨床)에서 질병치료(疾病治療)할 때
          반드시 부동한 계절(季節)의 기후(氣候),  부동한 거주지역(居住地域) 또 환자(患者)의 
          연령(年齡), 체질(體質), 병사(病邪) 등 부동한 정황에 따라 적합한 치료방법을 제정(制
          定) 하는 법칙이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