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2-20 23:18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두통(頭痛) - III
|
|
글쓴이 :
admin
조회 : 14,810
|
두통(頭痛)
병인(病因)
두통(頭痛)의 병인(病因)은 외감두통(外感頭痛)과 내상두통(內傷頭痛)으로 나눈다.
외감두통(外感頭痛)은 풍한(風寒), 풍열(風熱), 풍습(風濕)에 의한 3 종의 두통(頭痛) 으
로 분류하고 내상두통(內傷頭痛)은 간양(肝陽), 담탁(痰濁), 혈허(血虛), 어혈(瘀血)과 신
허(腎虛) 등 5 종으로 두통을 분류(分類)하고 있다. 이 같은 각종 두통(頭 痛)의 병인병기
(病因病機)를 도표(圖表) 형식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風 → 寒 → 寒凝血滯 → 阻遏脈絡
熱 → 上擾淸空 → 氣血逆亂
濕 → 蒙蔽淸竅 → 淸陽不升 → 外感頭痛
肝 → 情志不和 - - - - → 肝氣不舒 → 鬱而化火
火盛傷陰 → 肝腎陰虧 → 肝陽上亢 → 上擾淸竅
腎水不足
腎 → 稟賦不足 ↘ ↗ 不能上充于腦 → 腦髓空虛
腎精俱虧 ↗ ↘ 陰損及陽 - - -→ 腎陽衰微 → 淸陽不展
脾胃 → 飮食不節
勞倦過度 → 脾胃受傷 → 氣血化源不足 → 腦失濡養
病后體虛 痰濕內生 → 阻遏淸陽
瘀血 →┌ 頭部外傷 腦失濡養
└ 久病入絡 → 血行不暢 → 絡脈瘀阻 → 腦絡不通
류증감별(類證鑒別)
與 眩暈鑒別 : 同時幷見 何者爲主
① 頭痛病因 → 外感 -
內傷 - → 實
② 眩暈病因 → 內傷爲主 → 虛
2) 辨部位 大抵 太陽頭痛 : 多在 頭后部 下連于項
陽明頭痛 : 多在 前額部 及眉陵等處
少陽頭痛 : 多在 頭之兩側 幷連及耳部
厥陰頭痛 : 多在 前項部位 或連于目系
3) 수경선용(隨經選用) : 사용(使用)하는 인경약(引經葯)
⑴ 태양경두통(太陽經頭痛) : 천궁(川芎), 강활(羌活), 만형자(蔓荊子)
⑵ 양명경두통(陽明經頭痛) : 갈근(葛根), 백지(白芷), 지모(知母)
⑶ 소양경두통(少陽經頭痛) : 시호(柴胡), 천궁(川芎), 황금(黃芩)
⑷ 궐음경두통(厥陰經頭痛) : 오수유(吳茱萸), 고본(藁本).
변증시치(辨證施治) - 치료분류(治療分類)
1) 외감두통(外感頭痛)
⑴ 풍한두통(風寒頭痛) - 外感
主證 : 풍(風)과 한사(寒邪)에 의한 두통으로 목덜미와 등이 연이어 아픈 통연항배
(痛連項背)의 증상을 나타내고, 환자가 찬바람을 두려워하며 피하는 오풍외
한(惡風畏寒)과 바람을 쏘이면 더욱 심해지는 우풍우극(遇風尤劇)의 증세를
보이고, 목은 마르지 않고, 설태(舌苔)는 희며, 맥(脈)은 부(浮)하거나 혹은 부
긴(浮緊) 하다.
治法 : 풍한(風寒)의 사기(邪氣)를 발산시켜서 흩어지게 함으로써 두통을 멈추게 하
는 소풍산한(疏風散寒)하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方葯 : 川芎茶調散(천궁차조산)
≒ 천궁(川芎), 형개(荊芥), 방풍(防風), 세신(細辛), 백지(白芷), 박하
(薄荷), 강활(羌活), 감초(甘草).
만일 기침하며 담(痰)을 뱉는 담해(痰咳)가 있으면 : 행인(杏仁), 전호(前胡)를
가(加)하여 거담지해(祛痰止咳)시킨다.
⑵ 풍열두통(風熱頭痛) - 外感
主證 : 머리가 터질 듯이 아프며(頭痛而脹),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몸에 열이 있고 바
람을 두려워하며(發熱惡風) 얼굴은 붉고, 눈도 빨갛게 되고(面紅目赤)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 하며(口渴欲飮), 변비가 있고 소변색이 붉은 변비뇨적(便秘
尿赤)에 설질이 붉고 설태가 황색이며 맥은 부삭(浮數) 하다.
治法 : 풍사(風邪)를 흩어지게 하고 열을 내리는 소풍청열(疏風淸熱) 법으로 치료(治
療) 한다.
方葯 : 궁지석고탕(芎芷石膏湯) 가감(加减)
≒ 천궁(川芎), 백지(白芷), 석고(石膏), 국화(菊花), 고본(藁本), 강활
(羌活).
감(减) : 강활(羌活)
가(加) : 박하(薄荷), 만형자(蔓荊子), 황금(黃芩), 치자(梔子).
혹가(或可) : 상국음(桑菊飮) 가감(加减)
⑶ 풍습두통(風濕頭痛) - 外感
主證 : 머리를 잡아 맨 것 같이 아픈 두통여과(頭痛如裹)증과 팔다리 전신이 무겁고
괴로운 지체곤중(肢體困重)과 가슴이 답답하고 울렁거리고 토할 것 같으며 위
의 수납기능이 정체됨으로써 소화불량과 식욕감퇴가 일어나는 흉민납매(胸悶
納呆)의 증상이 있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小便不利), 대변이 오리똥 모
양 묽고(大便溏薄) 설태는 희고 끈적끈적하며(苔白膩), 맥(脈)은 유(濡)하다.
治法 : 풍사(風邪)를 제거(除祛)시킴으로 습사(濕邪)가 따라 소감(消减)되는 거풍 승
습(祛風勝濕) 법으로 치료(治療)한다.
方葯 :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강활(羌活), 독활(獨活), 고본(藁本), 방풍(防風), 천궁(川芎), 만형
자(蔓荊子), 감초(甘草).
肢體困重(지체곤중) 胸悶納呆(흉민압매) 大便溏薄(대변당박) : 加 蒼朮(창출). 厚朴(후박). 陣皮(진피)
2) 내상두통(內傷頭痛)
⑴ 간양두통(肝陽頭痛) - 內傷
主證 : 간(肝)의 양기(陽氣)가 항진(亢進)함으로 인해서 두통이 나며 눈이 앗찔(頭痛
而眩)하고, 마음이 여러가지 일로 번거롭고 버럭 화를 잘내(心煩易怒)며 밤잠
이 불안한 야매불령(夜寐不寧) 증이 있으며, 안면이 붉고 눈이 빨갛게 충혈된
면홍목적(面紅目赤)에 입안에 쓴맛이 돌고(口苦),혹은 겸하여 협통이 있거나,
설질은 붉고 설태는 적은데 색이 누런 舌質紅(설질홍) 苔薄黃(태박황)하며 맥
은 현하고 유력하다(脈弦有力).
治法 : 보익간신(補益肝腎)하며 편항(偏亢)된 간양(肝陽)을 내리는 평간잠양(平肝潛
陽) 법으로 치료하여 두통(頭痛)을 사라지게 한다.
方葯 : 천마구등음(天麻鉤藤飮) 加 生龍骨 生牡蠣 菊花
≒ 천마(天麻)9, 구등(鉤藤)12, 석결명(石決明)18, 치자(梔子)9, 황금
(黃芩)9, 천우슬(川牛膝)12, 두중(杜仲) ,익모초(益母草), 상기생
(桑寄生), 야교등(夜交藤), 주복신(朱茯神) 각(各)9. 가(加) 생용
골(生龍骨), 생모려(生牡蠣), 국화(菊花).
⑵ 담탁두통(痰濁頭痛) - 內傷
主證 : 두통(頭痛)으로 정신이 혼몽(昏蒙)해 지며, 가슴과 위완부가 답답한 흉완만민
(胸脘滿悶)에 구역질이 나며 침을 흘리는 구오담연(嘔惡痰涎)이 있고, 설태는
희며 끈적끈적한 태백니(苔白膩)에 맥은 활(滑)하거나 혹은 현활(弦滑)하다.
治法 : 담을 삭이고 상역(上逆)하는 기(氣)를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는 화담강역(化痰
降逆)의 방법으로 치료(治療)한다.
方葯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加 厚朴 蔓荊子 白疾藜
≒ 반하(半夏), 백출(白朮), 천마(天麻), 인삼(人蔘), 황기(黃芪),
건강(乾姜), 운령(云苓), 택사(澤瀉), 진피(陣皮), 창출(蒼朮),
황백(黃柏), 맥아(麥芽), 신곡(神曲).가(加) 후박(厚朴), 만형
자(蔓荊子), 백질려(白疾藜).
⑶ 혈허두통(血虛頭痛) - 內傷
主證 : 두통이 나며 눈이 아찔한 두통이현(頭痛而眩) 증이 있고, 안색이 그리 밝지 못
한 면색소화(面色少華)에 가슴이 심하게 두근 거리며 두려움이 앞서는 심계
정충(心悸怔冲) 증과 정신이 피곤하고 힘(맥)이 빠지는 듯하다(神疲乏力). 혀
가 담담하고(舌淡) 설태는 얇고 희며(苔薄白) 맥은 세약(細弱)하다.
治法 : 滋陰養血 (以養血爲主)
方葯 : 사물탕(四物湯) 加 菊花 蔓荊子 黃芩 甘草.
≒ 숙지황(熟地黃)12, 당귀(當歸)10, 백작(白芍)12, 천궁(川芎)8,
加 국화(菊花), 만형자(蔓荊子), 황금(黃芩), 감초(甘草).
氣虛 神疲乏力 汗出氣短 : 加 당삼(黨參), 황기(黃芪), 태자삼(太子參)
失眠 : 加 초조인(灼棗仁). 합환환(合歡花).
⑷ 어혈두통(瘀血頭痛) - 內傷
主證 : 頭痛이 오랫동안 낫지 않고(經久不愈), 아픈 곳이 한곳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으며(痛處固定不移), 통증이 마치 천 개의 바늘로 찌르는 듯한 자통이(痛如
針刺) 일어나는데, 혹 예전에 머리에 외상을 받은 일이 있어도 이런 두통이 일
어날 수 있다(或有頭部外傷史),혀에 어반이나 어점이 있겠고(舌有瘀斑 瘀点),
맥은 세(細)하거나 혹은 세삽(細澁)하다.
治法 : 활혈화어(活血化瘀) 하는 방법으로 치료(治療)한다.
方葯 : 통규활혈탕(通竅活血湯)
≒ 사향(麝香), 도인(桃仁), 홍화(紅花), 천궁(川芎), 적작(赤芍), 총백
(葱白), 생강(生姜), 가(加) 울금(鬱芩), 창포(菖蒲) ,백지(白芷), 세
신(細辛), 삼칠(三七).
久痛入絡 頭痛芒者 : 加 전갈(全蝎), 오공(蜈蚣), 강잠(姜蚕), 지별충(地鱉虫).
⑸ 신허두통(腎虛頭痛) - 內傷
主證 : 두통이 나는데 마치 머리에 구멍이 뚫리는 듯하며(頭痛且竅) 눈이 아찔하며
어지러운 현운(眩暈) 증과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아픈 요슬산연(腰膝痠軟)
증이 있고, 정신이 피로하고 힘이 빠지는 듯한 신피핍력(神疲乏力)의 증상이
나타난다.
남자는 유정(遺精), 여자는 대하(帶下)가 있고, 귀울림의 소리가 나는 이명(耳
鳴)이 있으며, 밤잠을 깊게 자지 못한다(少寐). 혀가 붉고 태가 적은 설홍소태
(舌紅少苔)에 맥은 침세(沉細)하고 무력(无力)한 등등의 - 음허증(陰虛證)
治法 : 양음보신(養陰補腎)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方葯 : 대보원전(大補元煎)
≒ 인삼(人蔘), 산약(山葯), 숙지황(熟地黃),두중(杜仲),구기자(枸杞子),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감초(甘草).
加 여정자(女貞子), 토사자(菟絲子), 국화(菊花), 만형자(蔓荊子), 천
궁(川芎).
신양허(腎陽虛) : 두통(頭痛), 추운 것을 두려워하는 외한(畏寒), 면색이 창백
하고, 수족이 차면(面白肢冷) 좌귀환(左歸丸)으로 자음보신
(滋陰補 腎)하여 신양(腎陽)을 견고히 해야 한다
치법 : 자음보신(滋陰補腎)
방약 : 좌귀환(左歸丸)
≒ 숙지(熟地), 산약(山葯), 구기자(枸杞子), 산수유(山茱
萸), 우슬(牛膝), 토사자(菟絲子), 녹각교(鹿角膠), 구
판교(龜板膠). 加 만형자(蔓荊子), 세신(細辛).
3) 기타(其他)
☞ ⑴ 편두통(偏頭痛)
主證 : 머리의 오른쪽 또는 외쪽에 갑자기 두통이 일어나는데(其痛暴發) 통세가 극심
(痛勢甚劇)하고, 혹 그 통세(痛勢)가 이((齒), 눈(眼)에 미치기도 하지만 통증
이 멈추면 정상인과 같다.
中醫 : 肝火偏盛 - 동양의학의 변증(辨證)에서는 간(肝)의 화열(火熱)이 편파적으로
왕성(旺盛)해져서 일어나는 두통(頭痛)이라고 판단한다.
治法 : 평간식풍(平肝熄風)하고 청열위주(淸熱爲主)로 치료(治療)한다.
① 方葯 : 국화(菊花), 구등(鉤藤), 천마(天麻), 천궁(川芎), 백지(白芷), 생석
고(生石膏), 만형자(蔓荊子), 전갈(全蝎) 加 지용(地龍).
㉠ 간(肝)의 화열(火熱)이 편파적으로 왕성(旺盛)해지는 간화편성
(肝火偏盛)에는 : 가(加) 용담초(龍膽草), 치자(梔子), 모단피(牡
丹皮).
㉡ 오랜병으로 락맥(絡脈)을 손상(損傷)받는 구병입락(久病入絡)은 : 도인(桃仁), 홍화(紅花), 적작(赤芍)을 가미(加味)한다.
② 方葯 : 川芎30, 蔓荊子15, 牛膝60, 充尉子15, 香附10, 菊花15, 桂枝6, 甘草
6, 鉤藤15, 白疾藜10, 天麻10, 桃仁9, 紅花9. - 水煎服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