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9-28 19:38
[약물치료] 뇨혈(尿血) hematuria, (de) Blutharn, Hematurie
 글쓴이 : admin
조회 : 11,150  
뇨혈(尿血) hematuria, (de) Blutharn, Hematurie

오줌을 따라 혈(血)이 나오거나, 혹은 오줌과 함께 혼탁하게 섞여서 나오거나 또는 오줌에 혈괴(血塊)가 섞여서 나오는 것을 모두 뇨혈(尿血)이라 말한다.
뇨혈(尿血)의 원인(原因)은 주로 ① 외감육음(外感六淫) 즉 자연의 기후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게 됨으로 풍, 화, 서, 습, 조, 한(風,火,暑,濕,燥,寒)이 병을 일으키는 사기(邪氣)가 됨으로 육음(六淫)이라 하는데 이 육음(六淫)에 의한 뇨혈(尿血)이 있고 ② 체내의 사열(邪熱)이 아래로 내려가 방광(膀胱)을 핍박(逼迫)함으로 출혈하는 화열하박증(火熱下迫證)이 있으며, 심, 간, 신(心,肝,腎)의 화사(火邪)가 맥락(脈絡)을 손상(損傷)시켜서 출혈(出血)됨으로 발생하는 뇨혈(尿血) 즉 화하추상락(火下趨傷絡) 증이 있으며 ③ 혹은 비신부족(脾腎不足)으로 맥락을 통섭(統攝)하는 기능이 약화되고, 기가 막힘으로 혈어가 되어서(氣滯血瘀), 락맥(絡脈)을 가로 막음으로 출혈되는 조락혈일(阻絡血溢) 증등을 들 수 있다.
그럼으로 본병은 신(腎)과 방광(膀胱)에 있으나 또한 심, 간, 비, 신(心,肝,脾,腎)과의 관계가 밀접한 것이다.

1. 병인(病因)
    ① 심, 간(心,肝)에 의한 뇨혈(尿血) : 대부분 음이 허하고 화가 왕성해져서(陰虛火旺)
                                                      사열(邪熱)이 방광에 결집함으로(熱結膀胱) 해서
                                                      발병된 것이고
    ② 비, 신(脾 腎)에 의한 뇨혈(尿血) : 혈액을 통섭(統攝)하는 기능이 약화되어서 맥관
                                                      안에 간직하지 못하는 혈실섭납(血失攝納)으로 뇨
                                                      혈이 발생한다.
    ③ 어혈(瘀血)에 의한 뇨혈(尿血) : 어혈이 락맥(絡脈)을 가로 막음으로 혈이 넘쳐흘러
                                                  뇨혈로 이어지는 것이다.

2. 치료(治療)
    혈(血)을 위주로 하는 동시에 병증 치료로 청열(淸熱), 양음(養陰), 건비보신(健腎), 활
    혈화어(活血化瘀) 등의 치법을 사용한다.

3. 변증요점(辨證要点) : 진단요점(診斷要点)
    1) 외감내상(外感內傷)
        외감(外感)에 의한 환자는 열사(熱邪)를 위주로 발병(發病)이 급하게 진행됨으로 초
                          기에는 대부분 발열(發熱)이 있고, 안검에 부종이 있으며, 인통(咽痛)
                          등 풍열표증(風熱表證)을 위주로 한다.
        내상(內傷)에 의한 환자는 기병(起病)이 완만하고 일반적으로 먼저 장부(臟腑)에 출
                          현(出現)하며, 기혈(氣血)이 편파적으로 성(盛)하거나 쇠(衰)한 현상
                          이 나타난다.
    2) 허실(虛實)
        실증(實證)은 대부분 화열(火熱)을 위주로 하며, 허증(虛證)은 대부분 음허(陰虛)
        및 기허(氣虛)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설(說)이다.
        ⑴ 기병(起病)이 급하고, 병정(病程)이 짧으며, 뇨혈(尿血)의 색이 선홍색(鮮紅色)이
            고, 뇨도(尿道)가 불로 지지는 것 같이 아픈 것은 대부분 실열증(實熱證)에 속한
            다.
        ⑵ 병정(病程)이 길며,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는 깔깔한 삽체감(澁滯感)이 없으며 오
            줌을 질금거리는 시단시속(時斷時續)증에 혈색이 선홍색인 경우는 대부분 기허증
            (氣虛證)에 속한다.
        ⑶ 소변을 볼 때 삽체감(澁滯感)이 있고, 혈색은 선홍색이고 량이 적으며, 반복해서
            발작하는 환자는 음허증(陰虛證)에 속한다.
        ⑷ 소변에 혈색(血色)이 검붉은 색이면서 혈괴(血塊)가 있고, 바늘로 찌르는 듯한 자
            통감(刺痛感)이 있으면 대부분 어혈로 맥락이 가로 막힌 어혈내조증(瘀血內阻症)
            에 속한다. 
     
    3) 출혈부위(出血部位)
        ⑴ 소변을 보려고 하면 즉시 뇨혈(尿血)이 나오다가 점차 맑은 색으로 혈색(血色)이
            점차 사라지는 환자는 대부분 뇨도출혈(尿道出血)이다.
        ⑵ 소변을 다 누었을 때 출혈되는 환자는 방광출혈(膀胱出血)이다.
        ⑶ 소변을 볼 때 처음부터 끝까지 혈액이 섞여 나오는 환자는 대부분 신장(腎臟) 출
            혈이다.

4. 류증감별(類證鑒別)
    뇨혈(尿血)과 림증(淋證) 감별(鑑別)
    림증(淋證)으로 오줌 안에 대혈(帶血)이 있을 때는 배뇨(排尿)가 따끔거리며 껄끄럽고
    아퍼서 어렵고 오줌은 방울방울 떨어지며, 혹은 배뇨(排尿)가 중단(中斷)되어 소복(少
    腹)을 잡고 쩔쩔 매거나 혹은 허리와 배가 꼬이는 듯이 참기 어렵게 아프거나 혹은 사석
    (砂石)을 배출한다.
    뇨혈(尿血)은 대부분 뇨통(尿痛)이 없으며, 뇨통(尿痛)이 있을 때는 대부분 불로 지지
    는 듯한 작통(灼痛)이거나 혹은 경도(輕度)의 창통감(脹痛感)이다.

5. 변증시치(辨證施治) : 진단치료(診斷治療)
    1) 풍열하박(風熱下迫)
                    證狀 : 뇨혈이 있고, 바람을 쐬는 것이 두렵고 발열하며, 안검에 부종이 있
                              으며, 목구멍이 아프고(咽痛), 설태는 엷고 색은 희며, 맥은 부삭(脈
                              浮數)하다.
                    治法 : 소풍청열(疏風淸熱), 선폐지혈(宣肺止血)
                    方葯 : 은교산(銀翹散) 가미(加味) ≒ 은화(銀花),연교(連翹), 우방자(牛蒡
                                                    子), 박하(薄荷), 길경(桔梗), 죽엽(竹葉), 로근(蘆
                                                    根), 형개(荊芥), 두시(豆豉)., 가(加) 모근(茅根),
                                                    황금(黃芩), 측백엽(側柏葉).
                    加減 ① 만약 안검부종에 오줌이 적게 나오면 : 加 상백피(桑白皮), 부평
                                (浮萍), 편축(萹蓄).- 선폐이수(宣肺利水)시킨다.
                            ② 뇨혈(尿血)이 심하면 : 加 선학초(仙鶴草), 운남백약(云南白葯) -
                                지혈(止血) 시킨다.
                            ③ 뇨혈(尿血)이 선홍색(鮮紅色)이고, 뇨도(尿道)가 불에 지지는 듯
                                이 작열(灼熱)하고 아픈 환자는 울결된 열이 하초(下焦)를 손상시
                                킴으로 혈이 뇨도(尿道)로 넘쳐나게 된 경우는 : 도적산(導赤散)
                                합(合) 소계음자(小薊飮子)하여 청열이뇨(淸熱利尿)하고 양혈지혈
                                (凉血止血)한다.
                              導赤散 ≒ 생지(生地), 죽엽(竹葉), 목통(木通), 감초초(甘草梢).
                              小薊飮子 ≒ 생지(生地), 소계(小薊), 활석(滑石), 통초(通草), 포황
                                                (蒲黃), 담죽엽(淡竹葉), 우절(藕節), 당귀(當歸), 산치
                                                (山梔), 감초(甘草).

    2) 음허화왕(陰虛火旺)
                    證狀 : 뇨혈이 있고, 소변을 자주 보며, 따끔거리는 깔깔한 삽통(澁痛)이 있
                              고, 입은 건조하며 마음은 초조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이루
                              지 못하며, 허리와 무름이 시큰 거리고 힘이 빠지는 것 같으며, 머리
                              가 어지럽고, 갑자기 눈이 캄캄하며 앗 찔해 지고, 섥질은 붉으며 맥
                              은 세삭(脈細數)하다.
                    治法 : 자음강화(滋陰降火) 양혈지혈(凉血止血)
                    方葯 : 지백지황환(知柏地黃丸) 가미(加味) ≒ 지모(知母), 황백(黃柏), 생
                                              지(生地), 숙지(熟知), 단피(丹皮), 산약(山葯), 산유육
                                              (山萸肉), 운령(云苓), 택사(澤瀉)., 가(加) 아교(阿膠),
                                              구판(龜板), 소계(小薊), 모근(茅根).
                    加減 ① 마음이 초초하고, 잠을 이루지 못하는 환자 : 加 황연(黃連), 계심
                                (桂心).- 심신(心腎)을 교통(交通)시키고 청심(淸心)케 한다.
                            ② 귀에 소리가 들리고, 갑자기 눈이 캄캄해지고 앗 찔한 환자는 : 加
                                구등(鉤藤), 국화(菊花), 초결명(草決明).- 청간명목(淸肝明目)
                            ③ 매일 뇨혈을 하고, 혈색은 담담하며, 오줌은 자주 나오지만 량이
                                적고, 정신이 피곤하고 숨이 차며, 골증조열(骨蒸潮熱)에 허리와
                                척추가 시큰거리는 통증이 있는 환자는 기음(氣陰)이 모상(耗傷)
                                되는 것이므로 생맥산(生脈散) 가미방(加味方)으로 익기양음(益氣
                                養陰)하고 청열제증(淸熱除蒸)하여 지혈(止血)시킨다.
                                生脈散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加 은시호(銀
                                              柴胡), 구판(龜板), 아교(阿膠), 천초(茜草).
 
    3) 비신양휴(脾腎兩虧)
                    證狀 : 뇨혈이 담홍색(淡紅色)이며, 소변을 자주 보고 정신이 피곤(疲困)하
                              고 숨이 차며, 얼굴색은 누렇게 시들은 위황색(萎黃色)이고, 허리와
                              척추가 아프며, 머리가 어지럽고, 갑자기 눈앞이 캄캄하고 앗 찔 하
                              다, 음식량이 적고, 완복(脘腹)이 그득하며, 변이 묽고, 설질이 담담
                              하고 맥은 허약(脈虛弱)하다.
                    治法 : 건비보신(健脾補腎), 섭혈귀경(攝血歸經)
                    方葯 : 천비산약환(天比山葯丸) 가미(加味) ≒ 산약(山葯), 종용(蓗蓉), 산
                              유육(山萸肉), 복신(茯神), 토사자(菟絲子), 오미자(五味子), 적석지
                              (赤石脂), 파극(巴戟), 택사(澤瀉), 두중(杜仲), 우슬(牛膝)., 加 백출
                              (白朮), 황기(黃芪), 아교(阿膠), 천초(茜草).
                    加減 ① 뇨혈불지(尿血不止) : 加 선학초(仙鶴草), 대계(大薊), 소계(小薊),
                                                                  우절(藕節).- 지혈(止血)
                 
    4) 어조하초(瘀阻下焦)
                    證狀 : 뇨혈의 색이 검붉은 색이거나 혹은 선홍색(鮮紅色)이며, 또는 뇨
                              (尿)에 어괴(瘀塊)가 있다. 소복(小腹)이 바늘로 찌르는 듯 아퍼서
                              손을 댈 수 없으며, 설질은 검붉은 색이거나 혹은 어점(瘀点) 또는
                              어반(瘀斑)이 있으며, 설태는 엷고, 맥은 세삽(脈細澁)하거나 혹은
                              침세(沉細)하다.
                    治法 : 행기화어(行氣化瘀), 지혈(止血).
                    方葯 : 천근산(茜根散) 가미(加味) ≒ 천근(茜根), 황금(黃芩), 아교(阿膠),
                                                    측백엽(側柏葉), 생지(生地), 감초(甘草)., 加 당귀
                                                    (當歸), 천궁(川芎), 과루(瓜蔞), 패모(貝母), 포황
                                                    (蒲黃), 화예석(花蕊石).
                    加減 ① 소변이 시원스럽게 나가지 못하는 환자 : 加 동규자(冬葵子), 왕불
                                유행(王不留行.- 화어이수(化瘀利水)
                            ② 오줌에 혈괴(血塊)가 있는 환자 : 加 삼칠(三七), 호박(琥珀).
                                                                                  - 행어지혈(行瘀止血)
                            ③ 오줌을 눌 때  소복(小腹)이 아픈 환자 : 加 원호(元胡), 오약(烏
                                葯), 혈갈분(血竭粉).- 행기(行氣) 화어(化瘀) 지통(止痛)
                            ④ 평소에 징적(癥痂積聚)이 있는 환자 : 加 단삼(丹參), 모려(牡蠣),
                                삼능(三棱), 아출(莪朮), 천산갑(穿山甲).- 화어산결(化瘀散結).

6. 경험방(經驗方) 및 단방(單方)
    1) 모든 뇨혈증(尿血證) : 백모근(白茅根) 60g, 물로 달인 후 100㎖를 복용한다.
    2) 음허화왕(陰虛火旺)에 의한 뇨혈(尿血) : 二草湯 ≒ 차전초(車前草), 한련초(旱蓮
                                                                            草) 各 30g. - 수전복(水煎服)
    3) 신기불고형(腎氣不固型) 뇨혈(尿血) : 녹각교환(鹿角膠丸) ≒ 녹각교(廘角膠)15, 몰
                        약(沒葯) 유두발(油頭犮) 各10g 을 가루 내어서 모근즙(茅根汁)으로 풀
                        처럼 개어서(打糊) 오동자(梧桐子) 크기로 환을 지어서 매번 50환씩 염
                        탕(鹽湯)으로 송복(送服)한다.
    4) 기허형(氣虛型) 뇨혈(尿血) : 당삼(黨參), 황기(黃芪) 各12g, 아교(阿膠)10g, 대소계
                                              (大小薊) 各30g, - 수전복(水煎服)
    5) 혈열망행(血熱妄行)으로 어혈(瘀血)이 막힌 자 : 초괴화(炒塊花), 외울금(煨鬱金) 各
                                50g, 갈아서 매일 10g을 두시(豆豉)를 달인 물에 송복(送服)한다.
    6)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심화(心火)가 성(盛)한 탓으로 뇨혈(尿血)
        지유(地楡)15g 생지(生地) 백모근(白茅根) 各30g, 차전초(車前草)15g, 죽엽심(竹葉
        心)10g, 맥동(麥冬)6g, 제채화(薺菜花)30g.- 수전복(水煎服).

7. 외치(外治)
    1) 혈위(穴位) : 신궐(神闕), 소장수(小腸兪), 방광수(膀胱兪). - 사열(邪熱)이 방광(膀
                          胱)을 핍박(逼迫)함으로 출혈되는 뇨혈(尿血)을 치료 한다.
                          와거채(萵苣菜) 한주먹(1악(握), 황백(黃柏)100g. - 상추에 붙은 진흙
                          을 모두 털되 물로 씻지 않은 것과 황백을 혼합해서 찧어서 고약처럼
                          만든 것을 대추만한 크기의 것을 혈처 위에 올려놓고 6~8 평방 mm로
                          편다. 하루에 한 번씩, 10일을 1 료정(療程)으로 한다.
    2) 배꼽(臍敷) : 급성신소구신염(急性腎小球腎炎)으로 인한 뇨혈(尿血)
                        첨료(甛蓼)를 신선한 것으로 한주먹(一握) 만큼을 진흙을 깨끗하게 씻
                        은 것을 찧어서 질적 하게 만들고, 75%의 주정(酒精) 혹은 백주(白酒)
                        를 적당히 뿌려서 섞고, 고은 소금을 약간 첨가해서 떡처럼 만든 다음
                        이것을 배꼽위에 붙이고 붕대로 고정한다. 건조해지면 다시 떡을 만들
                        어 붙이는 일을 반복한다. 연속 사용 1개월을 한다. 

8. 연구(硏究)
    1) (沈慶法. 上海中醫葯雜志 1982, ⑹ : 7)
        원발성(原發性) 신소구신염(腎小球腎炎)으로 인식(認識)한 것이다.
        급성신염(急性腎炎)의 뇨혈(尿血)이라고 제출되었음으로 청열(淸熱), 양혈(凉血),
        이수(利水)의 치법을 채용할 수 있었다.
        초기에는 돌연발작(突然發作)을 자주 일으켰다. 치료에는 소계초(小薊草), 백모근
        (白茅根)을 위주로 하였다.
        회복기에 이르러서는 음허(陰虛)와 습열미청(濕熱未淸)이 비교적 많은 편이어서 방
        약(方葯)은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加 황백(黃柏)을 위주로 하고 그 외에 혈여탄
        (血余炭) 혹은 포산갑(炮山甲) 곰게 갈은 것을 탄복(呑服)하여 지혈화어(止血化瘀)
        시켰다.

    2) (郭永惠, 浙江中醫雜志, 1987, ⑾ : 490)
        자전성신염(紫癜性腎炎) 45 例의 진단과 치료를 소개
        뇨액(尿液)중에 홍세포(紅細胞)가 많은 환자 : 加 형개(荊芥), 담두시(淡豆豉), 지금
        초(地錦草), 제채화(薺菜花), 마편초(馬鞭草), 혈견수(血見愁), 잠두화(蚕豆花), 관중
        (貫衆), 황연(黃連), 아교(阿膠).
        뇨혈(尿血)을 육안으로 볼 수 있거나 혹은 홍세포가 거울을 보듯이 시야에 만연한
        환자 : 천군분(川軍粉) 6~9g. 탄복(呑服)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