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8-04 08:58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불면증(不眠症) - II Sleeplessness, (de) Schlaflosigkeit
 글쓴이 : admin
조회 : 10,497  
불면증(不眠症)  -  II  Sleeplessness, hyposomnia insomnia, (de) Schlaflosigkeit

불면증이란 실면(失眠), 불매(不寐) 등으로도 부르는 일종의 수면부족(睡眠不足)으로 인하여 인체가 적당한 휴식(休息)을 취하지 못함으로 해서 일상생활(日常生活)을 진행하기 어려운 누적(累積)된 피로(疲勞), 권태무력(倦怠无力), 의욕상실(意欲常失), 무기력(无氣力) 등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불면증(不眠症)이라고 말 했듯이 이는 병(病)이 아니라 일종의 증상(證狀)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 증상(證狀)의 원인과 진행과정을 분석해 볼 때는 그 증상의 원인과 발전기리(發展機理)가 장부(臟腑)의 병리적(病理的) 변화로부터 시작된 경우를 볼 수 있음으로 일종의 증상이라 할지라도 그 원인이 장부의 병리변화로부터 진행되고 있는 한 임상에서는 간과(看過)할 수 없는 일이다.
 
병인병기(病因病機)
질병의 원인과 그 발전기리(發展機理)를 말할 때  동의학(東醫學)쪽에서 보는 불면증은 1) 사려과도(思慮過度), 2) 심신불교(心腎不交), 3) 음허화왕(陰虛火旺), 4) 심허담(간)겁(心虛膽(肝)怯), 5) 음식불절(飮食不節)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 서의(西醫)쪽에서는 신경관능증(神經官能症), 고혈압병(高血壓病), 갱년기종합증(更年期綜合證) 등등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1) 사려과도(思慮過度) : 그리움이 사무치거나, 가족관계, 사업과 재산상의 문제 및 송사
                                  (訟事) 등등 과분한 정신적 사고(思考)를 말하는 것이다.
2) 심신불교(心腎不交) : 심화(心火)와 신수(腎水)가 상교(相交)하지 못하게 되면 심화(心
                                  火)가 홀로 항성(亢盛)하게 됨으로 신명(神明)이 안녕(安寧)치
                                  못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3) 음허화왕(陰虛火旺) : 음허(陰虛) 현상은 신수부족(腎水不足)의 표현이다. 육행의 상생
                                  (相生)관계에서 수생목(水生木)은 신수 생 간목(腎水生肝木)을
                                  의미 한다. 그런데 현재 신수가 부족함으로 간목(肝木)을 자양
                                  (滋養) 또는 함양(涵養)하지 못하게 됨으로 해서 간양(肝陽)이 홀
                                  로 항성(亢盛)하게 됨으로 화(火)가 되어 염상(炎上)해서 신(神)
                                  을 교란(攪亂)시킴으로 안녕(神不安寧)치 못한 것을 말한다.
4) 심허간겁(心虛肝怯) : 구전의 심허담겁(心虛膽怯)을 정정한 말이다. 원래 담(膽)은 간
                                  (肝)에 붙어 있는 일부로써 그 기능 또한 간의 기능과 일치 하고
                                  있다. 특히 여기서 말하는 심허(心虛)는 혈허(血虛)가 원인인 것
                                  으로 심간혈허(心肝血虛)로 인한 신지불녕(神志不寧)을 말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더욱 심허간겁(心虛肝怯)으로 보는 것이 타
                                  당하다.
5) 음식불절(飮食不節) : 몹시 매운 신랄(辛辣)한 음식, 기름진 비감(肥甘)한 음식, 몹시
                                  찬 생냉(生冷)한 음식을 절제하지 못하고 과식함으로 해서 비위
                                  (脾胃)가 손상(損傷)거나 그로인하여 소화불량, 식체(宿食) 즉 음
                                  식이 정체(停滯)되어 담열(痰熱)이 되어서 심신(心神)을 요란(擾
                                  亂)시키는 것을 말한다. 

변증론치(辨證論治)
병인병기(病因病機)에서 설명한 것 중에 사려과도와 음식불절의 경우는 질병이 장부에 전이되기 이전에 조기 진단이 가능한 질환이고 그 외의 경우는 이미 기혈과 장부에 전이된 질환이므로 비교적 오랜 기간 누적된 질환이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불면증이란 인체에 심한 고통을 주지 않고 점진적(漸進的)으로 진행되는 관계로 거의 대다수의 사람이 자신이 환자란 것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불편한 생활을 하면서도 오랜 세월 치료할 생각을 하지 않고 시간을 보내게 되는 것이다.

⒈ 변증(辨證) : 장기간 실면, 혹은 잠에 들지 못하거나, 잠이 깊이 들지 않고, 자주 깬다.
                      ⑴ 위완부가 답답하고 설태가 기름기가 앉은 것 같이 미끈미끈하다.
                          - 위(胃)에 숙식(宿食)이 정체(停滯)어 있어서 탁담(濁痰)이 내생(內生)
                            한 탓으로 불매(不寐).
                      ⑵ 수시로 갑자기 조급(躁急)해지고 화를 잘 내며 불매(不寐).
                          - 대부분 간화(肝火)가 치성(熾盛)해 져서 안에서 요동(撓動)한다.
                      ⑶ 심번(心煩), 심계(心悸), 두운(頭暈), 건망(健忘), 불매(不寐) 등은
                          - 모두 심신불교(心腎不交) 음허화왕(陰虛火旺)인 것이다. 

⒉ 치료(治療) : 보허사실(補虛瀉實) 조정음양(調整陰陽)

⒊ 증치분류(證治分類)
    ⑴ 간울화화(肝鬱化火) : 실증(實證)
                      證狀 : 잠은 들지 않고 몸은 괴롭게 열이 나며(煩熱難眠), 얼굴색 이 붉고
                              (面赤), 눈이 붉으며(目赤), 성정은 조급하고 화를 잘 내고(性情急
                              躁易怒), 입안은 쓰고(口苦), 음식을 먹고 싶은 마음이 없고(不思飮
                              食), 목 마르고 물을 잘 마시며(口渴喜飮) 소변색은 누렇고 붉은 진
                              한 색이다(小便黃赤). 대변은 단단하고 잘 나오지 않는다.(大便秘
                              結), 혀는 붉은 색이고(舌紅), 설태는 누렇다.(苔黃), 맥현삭(脈弦
                              數) 하다. 
                      治法 : 소간사열(疏肝瀉熱), 청심안신(淸心安神)
                      處方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 加 용골(龍骨), 모려(牡蠣), 복신(茯神).
                                              ≒ 용담초(龍膽草)6, 황금(黃芩)9, 치자(酒炒梔子)9,
                                                  택사(澤瀉)12, 목통(木通)9, 차전자(車前子)9, 당귀
                                                  (酒洗當歸)3, 생지황(酒炒生地黃)9, 시호(柴胡)6,
                                                  감초(甘草)6, 加 용골(龍骨) 모려(牡蠣) 복신(茯神).
    ⑵ 담열내우(痰熱內扰) : 실증(實證)
                      證狀 : 잠이 들지 않고(睡眠不實), 머리는 무겁고 괴로우며(頭困重), 눈앞
                              이 캄캄하고 앗 찔 하다(目眩), 가습과 위완부가 체한 듯 결리는 듯
                              답답하고 괴로우며(胸脘痞悶), 담(가래)이 많고(痰多) 상한 음식을
                              먹은 탓에 더운 기가(惡食暖氣), 신트림과 같이 나오며 토할 듯이
                              속이 울렁거린다(呑酸惡心), 입안은 쓰고(口苦), 설태는 누런 기름
                              기가 덥인 것 같이 미끈미끈하며(舌苔黃膩), 맥활삭(脈滑數)하다.
                      治法 : 화담청열(化痰淸熱), 화위안신(和胃安神)
                      處方 : 온담탕(溫膽湯) 加 황연(黃連), 산치자(山梔子).
                                        ≒ 반하(半夏) 죽여(竹茹), 지실(枳實) 各6, 진피(陳皮)9, 자
                                            감초(炙甘草)3, 복령(茯笭)5.
    ⑶ 음허화왕(陰虛火旺) : 허증(虛證)
                    證狀 : 마음은 초조(焦躁)하고 잠은 들지 않으며(心煩不寐), 가슴이 두근거
                              리고 불안하다(心悸不安), 머리는 어지럽고(頭暈), 귀에서는 소리
                              가 들리고(耳鳴), 건망증이 있고(健忘),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힘이
                              없으며(腰膝痠軟), 꿈속에 사정한다(夢遺), 손과 발바닥 및 얼굴 또
                              는 가슴에 열감 있으며(五心煩熱), 입안이 건조하고 침이 마르고(口
                              乾津少), 혀가 붉다(舌紅), 맥세삭(脈細數).
                    治法 : 자음강화(滋陰降火), 양심안신(養心安神)
                    處方 :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생지황(酒洗生地黃)120, 인삼(人蔘),
                                              원삼(微炒元參) 복령(茯笭) 오미자(烘五味子) 원지(炒
                                              遠志) 길경(桔梗) 各15, 당귀신(酒洗當歸身) 천문동(天
                                              門冬) 맥문동(麥門冬) 백자인(炒柏子仁) 산조인(炒棗
                                              仁) 各60.
                              또는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 ≒ 황련(黃連), 아교(阿嬌), 황금(黃
                                                                          芩), 작약(芍葯), 계자황(鷄子黃)
                              또는 주사안신환(硃砂安神丸) ≒ 주사(硃砂)15g, 황련(黃連)18g, 
                                                                        당귀(當歸)8g, 자감초(炙甘草)16g.
                                                                - 진심안신(鎭心安神) 사화양음(瀉火養陰)
    ⑷ 심비양허(心脾兩虛) : 허증(虛證)
                    證狀 : 잠이 깊이 들지 못하여 꿈이 많고 잘 깨어나며(多夢易醒), 가슴이 두
                              근거리고, 건망증이 있고(心悸健忘),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갑자기
                              캄캄하고 앗 찔 해지며(頭暈目眩), 팔다리가 권태롭고 정신이 피로
                              하며(肢倦神皮), 음식맛이 없고(飮食无味), 얼굴색이 밝지 못하다
                              (面色少華), 설색은 담담하고 설태는 없으며(舌淡苔薄) 맥세약(脈細
                              弱)하다.
                    治法 : 건비양심(健脾養心), 안신정지(安神定志)
                    處方 : 귀비탕(歸脾湯) 加 오미자(五味子), 백자인(柏子仁), 합환화(合歡
                                                        花), 야교등(夜交藤), 용골(龍骨), 모려(牡蠣).
                                        ≒ 백출(白朮) 복령(茯笭) 황기(黃芪) 용안육(龍眼肉) 초조
                                            인(炒棗仁) 各30, 인삼(人蔘)15, 목향(木香)15, 자감초
                                            (炙甘草)8, 당귀(當歸)3, 원지(遠志)3, 가미(加味) 上六味
    ⑸ 심간기허(心肝氣虛) : 허증(虛證)
                    證狀 : 잠이 잘 들지 않으며 잠시 잠이 들면 꿈을 많이 꾸게 되고(不寐多
                              夢), 잘 놀래며 작은 소리에도 잠을 깨며(易于驚醒), 겁이 나고 두려
                              워 가슴이 두근거리며(肝怯心悸), 숨이 차고(氣短), 권태롭다(倦
                              怠), 혀는 담담하며(舌淡) 맥현세(脈弦細)
                    治法 : 익기진경(益氣鎭驚), 안신정지(安神定志)
                    處方 : 안신정지환(安神定志丸) ≒ 복령(茯笭), 복신(茯神), 원지(遠志), 인
                                                                    삼(人蔘), 석창포(石菖蒲), 용치(龍齒).

   
    ⑹ 민방(民方)
        불매(不寐) : ① 하지(下肢)를 잠자기 전에 40℃ 온수(溫水)로 매일 씻으며 발과
                            발바닥을 안마(按摩)해 주면 잠도 잘 오고 장수에 이롭다.
                        ② 단삼(丹蔘)20g, 오미자(五味子)20g 을 40%이상 되는 술(酒)
                            500㎖에 7~10일간 닮근 후 작은 잔으로 1~2잔 씩 잠자기
                            2시간 전쯤에 구복(口服)한다.


        § §  약의 용량은 모두 그람(g)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