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8-08 14:11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심통(心痛) - II (de) Herzleiden, Gram
 글쓴이 : admin
조회 : 9,183  
심통(心痛) (de) Herzleiden, Gram

심통(心痛)이란 심흉부위(心胸部位)에 동통(疼痛)을 위주로 하는 임상표현(臨狀表現)의 질병(疾病)이다. 그 동통(疼痛)은 심흉부위가 몹시 아프고 마치 바위 덩어리를 올려놓은 듯 답답한 민통(悶痛), 혹은 극심한 통증이 마치 바늘이나 칼로 찌르거나 가슴을 발라내는 뜻 한 자통(刺痛), 혹은 비틀어 짜는 뜻 살을 찧는 뜻 한 교통(絞痛) 혹은 인두나 불로 지지는 뜻 한 작통(灼痛)등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그 통증은 한 결 같이 모두 상상을 초월 하리만큼 심한 것이다.
통증시간은 잠시이지만 수일 내지 수개월간 반복된다. 통증이 심한 환자는 가슴과 인후부및 어깨와 팔까지 미치고, 심한 환자는 심양욕탈증(心陽欲脫證)으로 보인다.
고대 문헌에서 말하는 “진심통(眞心痛)” 또는 “궐심통(厥心痛)” 이라고 하는 질환으로서 대부분 중노년기(中老年期)에 나타나는 질환이다. 기혈음양(氣血陰陽)이 편허(偏虛)한 틈을 타고 기체(氣滯), 혈어(血瘀), 한응(寒凝), 습취(濕聚)에 편승(便乘)해서 발병한다. 발병부위는 심장(心臟)이지만 간, 비, 신(肝,脾,腎)의 성쇠(盛衰)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병인병기(病因病機)
1. 병인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으로 분리된다.
    허증(虛證) : 대부분 기혈부족(氣血不足), 심맥실양(心脈失養)에 의하여 발병되는 것으
                      로 “불영칙통(不榮則痛)”에 속한다.
    실증(實證) : 대부분 한, 담, 기, 혈(寒,痰,氣,血)이 심맥을 가로막음(阻痹心脈)으로 발병
                      된 “불통칙통(不通則痛)”에 속한다.
2. 병기(病機)
    허증(虛證) : 양기가 허하고 지친 탓에(陽虛氣餒), 혈행이 불리하고(血行不利),기화작용
                      이 여의치 못함으로(氣化不及), 담탁이 나타나고(來有痰濁), 어혈이 생긴
                      다(瘀血).
    실증(實證) : 사기가 정기를 손상시킴으로써 기혈을 전도하기 어렵게 되고 음양이 모두
                      부족하게 됨으로 허실이 뒤엉킨 것은  이 병의 발전변화 중에서 자주 보
                      게 되는 증후이다.

치법(治法)
      치법(治法)은 양심(養心)이다.
      편실자(偏實者) : 맥을 소통시키는 것을 위주로 하는 방법이다(通脈爲法) - 혹 한사
                              (寒邪)를 소산시키거나(散寒), 혹은 담을 통하게 하며(豁痰), 혹은
                              기(氣)를 조절하거나(調氣), 혹은 행혈(行血) 함으로 심맥(心脈)을
                              소통시켜서 통증을 제거해야 된다(要在通則不痛).
      편허자(偏虛者) : 심력배양(心力培養)이 요구된다(養心爲要) 따라서 - 혹 보기(補氣)
                              하거나, 혹은 익음(益陰)하는 부정법(扶正法)을 위주로 치료한다.
      허실래잡(虛實來雜) : 허실(虛實)이 뒤엉킨 질환은 병정을 잘 살피되, 급칙치표(急則
                                    治標) 완칙치본(緩則治本)이라 했으니 우선 표본(標本)을 가리
                                    고 병정(病情)의 경중(輕重)에 합당하게 통맥(通脈)과 양심(養
                                    心)을 동시에 적절하게 처리해야 한다.
                                      “통맥여양심(通脈與養心) 표본겸고(標本兼顧)”

변증요점(辨證要点)
1. 변경중완급(辨輕重緩急)
    동통이 몹시 극심하다(疼痛劇烈), 마치 바늘로 찌르는 뜻, 조아는 듯하며(如刺如絞), 통
    증이 가슴으로부터 등어리로 꿰뚫는 뜻 한데(心痛徹背), 통증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천
    식과 같은 증상으로 숨이 차며(伴見氣短喘息), 심장은 두근거리고(心悸), 수족은 차고
    (手足冷), 땀이 절로 흐르며(自汗出), 정신이 희미하여 쓰러질 것 같기도 하고(精神萎
    靡), 혹은 초초하고 불안하다(煩躁不安), 맥세혹침세(脈細或沉細) 혹은 결대(或結代)
    하다.
    증상(證狀)과 정황(情況)이 매우 긴급하고 흉험(凶險)한 상황이므로(證情凶險緊急) 시
    시로 면밀하게 관찰하고 병정이 발전하고 변화해가는 추세를 장악해서(應密切觀察), 구
    치(救治)에 유효한 모든 방법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동통이 비교적 경감되기도 하고(疼痛較輕) 시시때때로 발작하다가 멈추며(時發時止),
    통처가 고정되지 않고 옮겨 다니는데(位置不固定), 지속시간은 비교적 짧다(持續時間
    較短), 불과 눈 깜짝하는 순간인 환자는(瞬息卽逝), 증정이 비교적 경하고(證情較輕) 병
    세가 비교적 완만하다(病勢較緩). 

2. 변동통성질(辨疼痛性質)
    1) 동통이 마치 조이는 듯 하고(疼痛如絞) 한기를 맞으면 발작하며(遇寒而發) 냉기를
        쏘이면 극심해진다(得冷則劇). 때문에 찬 것이 두렵고 따뜻한 것을 좋아한다(畏寒喜
        暖), 이것은 심맥에 한사가 응결되었거나(寒凝心脈), 혹은 한습이 가로막은 탓이다
        (寒濕阻閉所致);
    2) 동통이 마치 바늘로 찌르는 것 같고(疼痛如刺), 통처가 고정되었으며(痛處固定) 설
        색이 검푸른 색이거나(舌色紫黯) 혹은 어반(瘀斑)이 있는 환자는 어혈(瘀血)이 적체
        된 것이다(瘀血成積);
    3) 통증이 은은하고 답답한 감을 주는 것은(隱痛而悶), 과로(過勞)로 인하여 발생한 것
        이고(由勞累引發),
    4)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心悸氣短), 절로 땀을 흘리며 기력이 없는 환자는(自
        汗乏力者), 대부분 심기(心氣)가 부족(不足)한 증상에 속한다,
    5) 불로 지지는 뜻한 통증이 있고(灼痛陳發), 마음이 번거롭고 잠을 이루지 못하며, 잠
        이 들면 땀이 나고 입이 마르는 환자는(盜汗口乾者), 대부분 신음이 부족하기 때문이
        다.

변증분형(辨證分型)
1. 한응심맥(寒凝心脈)
                症狀 : 심통이 마치 새끼줄을 꼬듯 조여들고(心痛如絞), 통증이 가슴으로부터
                          등으로 꿰뚫고 나가는 것과 같기도 하고(心痛徹背), 등으로부터 가슴으
                          로 뚫고 나오듯 하는 통증이 있으며(背痛徹心), 사지 말단으로부터 냉
                          기가 확산되어 오고(四肢厥冷), 따뜻한 것이 포근해서 좋으며(喜暖喜
                          溫), 면색은 창백하다(面色蒼白) 태는 엷고 희며(苔薄白) 맥침긴(脈沉
                          緊)하다.
                治法 : 양을 덥히고, 한을 흩어 지게 해서(溫陽散寒), 막힌 것을 통하게 함으로
                          써 통증을 멈추게 한다.(通痹止痛)
                方葯 : 오두적석지환(烏頭赤石脂丸) ≒ 부자(附子), 천초(川椒), 건강(乾姜),
                                                                      적석지(赤石脂).
                加减 ① 수반하여 어혈(瘀血)이 있는 환자
                            可加 당귀(當歸), 적작(赤芍), 원호(元胡), 유향(乳香).
                                    - 활혈통락(活血通絡)
                        ② 부냉(膚冷) 자한(自汗)이 심한 환자
                            加 황기(黃芪), 용골(龍骨), 모려(牡蠣). - 익기(益氣), 고표(固表),
                                                                                    렴한(斂汗).
2. 한습조폐(寒濕阻閉)
                症狀 : 예기치 못한 시간에 갑자기 심통이 발작하는데(卒發心痛), 그 통증이
                          매우 극열하며(疼痛劇烈), 심통이 가슴으로부터 잔등을 뚫고 나가는 듯
                          하고(心痛徹背), 수반하여 사지의 근과 맥이 경련으로 졸아들고(伴見
                          四肢筋脈拘攣) 가슴은 결리며 답답하다(胸中痞悶), 천식으로 기침하
                          고 가래를 뱉으며(喘息咳唾), 혀는 담담하고 태는 희다(舌淡苔白). 맥
                          침복(脈沉伏)하거나  혹은 미세이지(或微細而遲)하다.
                治法 : 양기를 덥혀주고 습을 통하게 하여(溫陽利濕), 통증을 멈추게 한다(緩
                          急止痛)
                方葯 : 의이부자산(薏苡附子散) ≒ 의이인(薏苡仁), 포부자(炮附子).
                加减 : 만약 담과 습이 편파적으로 성하고(痰濕偏盛) 가슴과 위완부가 그득하
                          고 답답하며(胸脘滿悶), 기침을 하면서 가래와 침을 토하는 환자는(咳
                          吐痰涎者).
                  合用 과루해백반하탕(瓜蔞薤白半夏湯) ≒ 과루(瓜蔞), 해백(薤白), 반하(半
                          夏). 를 의이부자산(薏苡附子散)과 함께 방제를 구성하면 어혈이 풀리
                          고 담과 습을 물리침으로(化瘀逐飮) 뭉쳤던 기가 내려가며 가슴이 확
                          트이는(寬胸降氣) 효능을 얻게 됨으로 치료된다.
3. 어혈성적(瘀血成積)
                症狀 : 오랜 동안 심통으로 근심하며 지내는데(久罹心痛), 통증이 시작되면 마
                          치 칼로 베듯, 또는 조이는 듯 하고(發時痛如刀絞), 통처는 이곳저곳 돌
                          아다니지 않고 고정되었으며(固定不移), 마음이 초초하고 입은 마르지
                          만(心煩口燥), 다만 물로 양치질을 할뿐 목으로 넘기려 하지 않는다(但
                          欲漱水不欲咽), 입술과 입은 검푸른 색이고(口脣靑紫), 혀끝과 변두리
                          로 어반이 얼룩졌거나(舌邊尖有瘀斑) 혹은 어점이 있으며(瘀点), 맥은
                          세삽하면서 결대(脈細澁結代)하다.
                治法 : 활혈하여 어혈을 풀고(活血化瘀), 맥을 소통시켜서 통증을 멈추게 한다
                          (通脈止痛).
                方葯 :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加味 ≒ 당귀(當歸), 생지(生地), 도인(桃仁),
                          홍화(紅花), 지각(枳殼), 적작(赤芍), 시호(柴胡), 길경(桔梗), 천궁(川
                          芎), 우슬(牛膝), 감초(甘草). 加 단삼(丹蔘), 계혈등
                加减 : 어혈(瘀血)이 엄중하고 동통이 비교적 심한 환자
                          加 유향(乳香), 몰약(沒葯).
                          或合 실소산(失笑散) ≒ 오령지(五靈脂), 포황(蒲黃), 초(醋).
                                                          - 증강 활혈거어지통(增强活血祛瘀止痛)
4. 기허혈어(氣虛血瘀)
                症狀 : 심흉부위에 드문드문 통증이 은은히 번지고(心胸陳陳隱痛), 심장이 두
                          근거리며(心悸),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胸悶氣短), 땀이 절로 나
                          고 기력이 없다(自汗乏力), 혀는 색이 담담하며 두툼 하거나(舌淡胖)
                          혹은 검푸른 자색의 어반이 있다(或有瘀斑), 설태는 희고(苔白) 맥은
                          세완 하거나 혹은 결대(脈細緩或結代)하다.
                治法 : 기를 보태어주고, 혈을 활동하게 한다(益氣活血)
                方葯 : 사군자탕(四君子湯) 合 도홍사물탕(桃紅四物湯) 加味
                          ≒ 당삼(黨參), 황기(黃芪), 백출(白朮), 복령(茯笭), 감초(甘草), 진피
                              (陳皮),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生地), 적작(赤
                              芍), 천궁(川芎).
                加减 ① 만약 기허(氣虛) 현상이 심(甚)한 환자
                            重用 황기(黃芪), 加 서양삼(西洋蔘)
                        ② 심통(心痛)이 중한 환자
                            加 단삼(丹蔘), 강향(降香), 울금(鬱金), 원호(元胡).
                                - 활혈이기지통(活血理氣止痛)
                        ③ 음허증을 겸하고 있는데다(證兼陰虛), 입이 건조하고 구갈이 있으며
                            (口乾口渴), 혀는 붉고 진액이 적다(舌紅少津).
                            加 현삼(玄蔘), 맥동(麥冬), 옥죽(玉竹)
                                - 양음생진(養陰生津) 이청허열(而淸虛熱)
                        ④ 겸하여 담이 걸고 탁하며(兼來痰濁) 가슴이 답답하고 속이 울렁거리
                            는 증상이 있으며(症見胸悶嘔惡), 기침을 하면 가래와 침을 흘리고
                            (咳唾痰涎) 설태는 두텁고 찐득(苔厚膩)한 환자
                            加 과루(瓜蔞), 해백(薤白), 반하(半夏), 창포(菖蒲).
                                - 화담리기(化痰理氣) 통양지통(通陽止痛)
5. 기음양허(氣陰兩虛)
                症狀 : 심통이 진을 이루고(心痛陣作), 심장이 두근거리며 숨이 차다(心悸氣
                          短), 머리가 어지럽고 기력이 없으며(頭昏乏力), 면색이 밝지 못하다
                          (面色少華), 마음이 초초하고 잠을 이루지 못하며(心煩不寐), 잠이 들
                          면 땀이 나고, 입이 마른다(盜汗口乾), 혀 전체가 오직 붉은색이며(舌
                          偏紅), 맥은 세하거나 혹은 결대(脈細或結代)하다.
                治法 : 기를 보태어 주고 음을 키우며(益氣養陰), 혈을 움직여 맥을 소통시킨
                          다(活血通絡).
                方葯 : 생맥산(生脈散) 合 귀비탕(歸脾湯) 加减
                          ≒ 태자삼(太子參),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황기(黃芪), 백출(白
                              朮), 자감초(炙甘草), 당귀(當歸), 복령(茯笭), 원지(遠志), 산조인
                              (酸棗仁), 용안육(龍眼肉), 목향(木香), 단삼(丹參)
                加减 ① 만약 비교적 음허가 중하고(陰虛較重), 입과 목이 말라 건조하며(口
                            燥咽乾), 혀는 붉고 광이 나고(舌紅苔光), 맥이 세삭(脈細數)하면
                            加 석곡(石斛), 옥죽(玉竹), 생지(生地), 자석(磁石).
                                - 음을 보태고, 양을 잠기게 한다(滋陰潛陽).
                        ② 기허가 분명 확실하고(氣虛較著), 땀이 저절로 나며(自汗), 소화불량
                            이 있고(納呆), 변은 묽고(便溏), 정신이 피곤한 환자(神疲者)는
                            황기(黃芪)와 백출(白朮)을 중용(重用)하면서 加 회산약(淮山葯)하여
                            - 보비익기(補脾益氣)한다.
                        ③ 어혈(瘀血)이 있거나 혹은 어반(瘀斑)이 있는 환자는
                            加 적작(赤芍), 홍화(紅花), 삼칠(三七) - 활혈화어(活血化瘀)
                        ④ 심장이 두근 거리고(心悸) 마음이 두렵고 근심스러우며(怔忡), 잠을
                            깊이 자지 못하는 환자는(睡眠不實)
                            加 용치(龍齒), 야교등(夜交藤) - 정지안신(定志安神)
                        ⑤ 잠자리에 땀을 흘리는데 그 상태가 엄중한 환자(盜汗嚴重)
                            加 생용골(生龍骨), 지골피(地骨皮). - 퇴허열(退虛熱)

6. 심양욕탈(心陽欲脫)
                症狀 : 가슴이 답답하고 기가 핍박하여(胸悶氣憋) 심통이 빈발하고(心痛頻
                          發) 서늘한 식은땀이 사지말단으로부터 거슬러 올라오며(四肢厥逆 冷
                          汗), 소변이 시원스럽게 나오지 못하고 방울방울 떨어지고(淋漓), 심장
                          이 두근거리며 천식이 있고(心悸喘息) 목소리는 낮고 미약하며(語聲低
                          微) 면색과 입술 및 손과 발톱의 색이 검푸르며(面色脣甲靑紫) 정신과
                          의지가 멍청하거나(神志淡漠) 혹은 모호하고 맑지 못하며(模糊不淸)
                          혹은 이말 저말, 횡설수설, 언무론차(言无論次) 등 헛소리를 치며(神昏
                          譫語) 맥침미욕절(脈沉微欲絶)하다.
                治法 : 양기를 되찾고(回陽救逆), 기를 보태어주어서 맥이 돌아오게 한다(益
                          氣復脈)
                方葯 : 사역탕(四逆湯) 合 생맥산(生脈散)
                          ≒ 인삼(人蔘), 부자(附子), 건강(乾姜), 감초(甘草), 맥동(麥冬), 오미
                              자(五味子).
                加减 ① 심장이 두근거리고(心悸), 두렵고 근심스러움이(怔忡) 확실한 환자 :
                            加 용골(龍骨), 모려(牡蠣) - 중진안신(重鎭安神)
                        ② 심(心) 신(腎)이 모두 쇠약하고(心腎俱衰) 신(腎)은 납기(吸氣)가 불
                            가능하며(腎不納氣), 급하게 천식이 발작하여 누울 수 없는 환자(喘
                            急不得臥者) : 加 흑석단(黑錫丹)
                            흑석단(黑錫丹) ≒ 천련자(川楝子), 호로파(胡蘆巴), 목향(木香), 부
                                                      자(附子), 육두구(肉荳蔲), 파고지(破古紙), 침향
                                                      (沉香), 소회향(小茴香), 양기석(陽起石), 육계(肉
                                                      桂) 유황(硫黃), 흑석(黑錫)- 온신납기(溫腎納氣)
                        ③ 만약에 증상의 정황이(症情)이 긴급하고, 양기가 폭탈(暴脫)하여 위
                            험이 경각에 처했을 때는(危在頃刻)
                            독삼탕(獨蔘湯) ≒ 인삼(人蔘), 대조(大棗).
                            삼부탕(蔘附湯) ≒ 인삼(人蔘), 부자(附子).


  註 ① 납매(納呆) : 납매(納呆)란 위(胃)의 수납기능(受納機能)이 정체되기 때문에 음식
                            물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음식을 먹으면 곧 토(吐)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매(胃呆)라고도 한다. 즉 소화불량, 식욕감퇴 등 증상을 말한
                            다. 만약 위(胃)가 좋지 못하면 늘 배가 부른감을 느끼는데 이것을 위
                            납매체(胃納呆滯)라고 한다.
      ② 자한(自汗), 도한(盜汗)
          인체가 운동을 하거나 더위에 땀을 흘리는 것은 정상적인 생리적 한출(汗出)이 지
          만 자한(自汗)과 도한(盜汗)은 병리적인 현상이므로 의학적으로 분리하여 진단과
          치료에 지표로 삼는다.
          자한(自汗)은 인체가 운동을 하지 않고 있고 또 날씨도 덥지 않은데 땀이 절로 나
                              는 것을 가리킨 말이다. 대체로 기(氣)가 허(虛)한 상태에서 볼 수
                              있는 현상임으로 자한(自汗)을 기허한출(氣虛汗出)이라 한다.
          도한(盜汗)은 밤잠이 들었을 때 땀이 나며, 깨어나면 동시에 땀나는 것이 멈춘다.
                              이렇게 아무도 모르게 밤도둑처럼 나타난다 하여 도한(盜汗)이라 한
                              다. 다시 잠이 들면 땀이 나는데 땀나는 부위가 바닥쪽이 아니고, 이
                              불이 덮인 쪽에서만 땀이 난다. 돌아누우면 역시 땀나는 부위가 바
                              뀐다.
                              임상에서 도한(盜汗)은 음허(陰虛) 현상에서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주로 신음허(腎陰虛)와 폐음허(肺陰虛)에서 나타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