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4-07-22 11:46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무한증 (无汗症) - 반위 (反胃)
 글쓴이 : admin
조회 : 10,860  
무한증 (无汗症)
          无汗(무한) : 汗閉(한폐)
          1) 陰液虧損(음액휴손)
              證狀 : 무한(无汗), 肌膚炒熱(기부초열), 盛夏全身抗熱難忍(성하전신항열난인)  구
                        건인조(口乾咽燥), 권홍(顴紅), 수족심열(手足心熱), 或見便乾如羊糞(혹견변
                        건여양분), 兼見氣短无力(겸견기단무력),  피핍(疲乏) 肢麻等(지마등),  설홍
                        (舌紅), 태광박(苔光剝), 맥세삭(脈細數)
              治法 : 滋陰生津(자음생진), 和營益汗(화영익한).
              方葯 : 增液湯(증액탕) 合 桂枝湯(계지탕) 化裁(화재)
                              ≒ 沙參(사삼), 生地(생지), 麥冬(맥동)各12~15, 甘草(감초),白芍(백작),
                                  花粉(화분), 石斛(석곡), 玉竹(옥죽) 各12, 桂枝(계지)3, 杏仁(행인)6,
                                  大棗(대조)5枚.
          2) 陽虛氣弱(양허기약)
              證狀 : 无汗兼見身寒肢冷(무한겸견신한지냉), 腰痠无力(요산무력), 舌質淡紅(설질
                        담홍), 苔少(태소), 脈弱(맥약)
              治法 : 助陽益氣(조양익기), 和營通腠(和營通腠(화영통주).
              方葯 : 再造散(재조산) 加減
                              ≒ 黨參(당삼), 黃芪(황기), 甘草(감초)各10, 桂枝(계지), 細辛(세신), 川
                                  芎(천궁) 各3, 羌活(강활), 防風(방풍), 制附片(제부편), 赤芍(적작) 各
                                  6, 桔梗(길경)12.
          3) 先天精乏(선천정핍)
              證狀 : 自幼无汗(자유무한), 幷見皮膚乾燥枯槁병견피부건조고고), 毛髮稀少(모발희
                        소) 指甲變形缺損(지갑변형결손), 牙齒異常諸症(아치이상제증),舌質裂紋(설
                        질열문), 苔少(태소), 脈細數(맥세삭), 无力(무력).
              治法 : 補腎益精(보신익정), 和血調營(화혈조영)
              方葯 : 復方參地湯(복방삼지탕) 加减(가감)
                                      ≒ 黨參(당삼), 生地(생지), 菟絲子(토사자), 黃精(황정),山葯(산약),
                                          仙靈脾(선령비)各10, 甘草(감초), 枸杞子(구기자), 女貞子(여정
                                          자), 巴戟天(파극천) 各5, 何首烏(하수오)12.
          4) 寒閉腠理(한폐주리)
              證狀 : 突然全身无汗(돌연전신무한), 病期較短(병기교단), 兼見身寒(겸견신한), 皮
                        膚起栗如鷄皮狀(피부기속여계피상) 或有痒感(혹유양감), 舌質淡紅(설질담
                        홍), 苔薄白(태박백), 脈緊(맥긴)
              治法 : 散寒開腠(산한개주), 升陽達表(승양달표).
              方葯 : 麻桂各半湯(마계각반탕) -
                                    ≒ 麻黃(마황), 桂枝(계지)各4.5, 白芍(백작), 杏仁(행인),甘草(감초),
                                        浮萍(부평)各10, 大棗(대조)5枚, 鮮葱白(선총백)1扎.
          5) 外治法(외치법)
              一般无須外治(일반무수외치) 皮膚枯槁乾燥脫屑明確(피부고고건조탈설명확), 特別
              時先天性无汗者(특별시선천성무한자),必要時可外涂(필요시가외도) 甘草油(감초유)
              或 歸蠟膏(귀랍고).
물마마 ⇒ 수두 (水痘)
물집 ⇒ 수두(水痘) 혹은 백배(백배)
미니이종합증 (美尼爾綜合證)
                  1. 配伍葯 : 1) 白朮15 + 茯苓15 = 美尼爾綜合徵
반독 (斑禿) ⇒ 유풍(油風) : 탈모증(脫毛症)

반위 (反胃)
        반위(反胃), 위반(胃反), 번위(翻胃)
        식후에 배가 창만(脹滿)되고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거나(朝食暮吐), 혹은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며(暮食朝吐), 삭이지 못한 음식물을 토하고 권태감(倦怠感)이 나
        며 설질(舌質)이 엷고 맥세무력(脈細无力)한 증상으로 먹은 것이 반대로 나오기 때문에
        반위(反胃)라고 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에서는 위반(胃反)이라 하였고, 송대(宋代) 주단장(朱端章)의            《위생가보산과비요(衛生家寶産科備要)》에서는 번위(翻胃)라고도 하였다. 주로 비위허
        한(脾胃虛寒)에 의하여 생긴다.
    1. 參照文(참조문)
        1) 위기상역 (胃氣上逆) 參照
        2) 구토(嘔吐) - 胃寒證(위한증) 參照
        3) 열격 (噎膈) 參照
        4) 위암 (胃癌) 참조
    2. 配伍葯(배오약)
        1) 砂仁(사인)6 + 白豆蔲(백두구)10 = 反胃(반위) - 脾胃虛寒(비위허한) 運化失職(운화
                                            실직), 濕濁內蘊(습탁내온), 氣機不得宣暢(기기불득선창) 以致
                                            納呆食少(이치납매식소) 胸悶不舒(흉민불서), 脘腹脹痛(완복창
                                            통), 嘔逆(구역)
    3. 金匱要略
        1) 問曰 病人脈數 數爲熱 當消穀引食 而反吐者何也, 師曰 以發其汗 令陽微 膈氣虛脈乃數
            數爲客熱 不能消穀 胃中虛冷故也, 脈弦者虛也 胃氣無餘 朝食暮吐 變爲胃反, 寒在於上
            醫反下之 今脈反弦 故名曰虛.
            묻기를 患者(환자)의 脈象(맥상)이 數(삭)한데 數脈(삭맥)은 熱(열)이 있음을 알린다
            고 하였다. 熱(열)이 있으면(특히 胃에) 飮食物(음식물)은 消化(소화)되기쉽고, 많이
            먹을 수가 있다. 그런데 嘔吐(구토)를 하는 것은 무슨 緣由(연유)입니까? 하니 先生(선
            생)이 答(답)하기를 이런 種類(종류)의 數脈(삭맥)은 發汗(발한)에 의해서 陽氣(양기)
            가 衰弱(쇠약)하고, 胸膈部(흉격부)의 陽氣(양기)가 虛弱(허약)하게 되기 때문에 일어
            난 것이며, 虛弱(허약)한 陽氣(양기)가 위로 올라오는 客熱(객열) 즉 假熱(가열)이다.
            飮食物(음식물)이 消化(소화)되지 않는 것은 胃(위)가 虛冷(허냉)하기 때문이다. 그밖
            에 嘔吐(구토)를 하고 脈象(맥상)이 弦(현)한 것도 虛寒(허한)이다. 이 患者(환자)는
            胃氣(위기)가 虛寒(허한)으로 不足(부족)하기 때문에 아침에 먹은 飮食物(음식물)을
            저녁에 吐(토)하게 되는데 이는 反胃症(반위증)이다. 上部(상부)에 寒邪(한사)가 있는
            경우에는 瀉下法(사하법)을 使用(사용)해서는 안 되는데도 醫師(의사)가 瀉下法(사하
            법)으로 治療(치료)했기 때문에 弦脈(현맥)의 脈象(맥상)을 보이게 된 것이다. 그런 고
            로 弦脈(현맥)은 虛症(허증)이라고 하는 것이다.

        2) 趺陽脈浮而澀 浮則胃虛 澀則傷脾 脾傷則不磨 朝食暮吐 暮食朝吐 宿谷不化 名曰反胃.
            脈緊而澀 其病難治.
            趺陽脈(부양맥)의 脈象(맥상)이 浮(부)하면서 澁(삽)하다. 浮脈(부맥)은 胃氣(위기)가
            虛(허)함을 나타내고, 澁脈(삽맥)은 脾(비)가 損傷(손상)되였음이다. 脾(비)가 損傷(손
            상)되면 飮食物(음식물)을 消化(소화)시킬 수가 없어서 마침에먹은 음식물을 해질 무
            렵이나 밤에는 吐(토)하게 되고,  저녁에 먹은 飮食物(음식물)은  다음날 아침에는  吐
            (토)하게 되어 胃(위)에 들어 있는 飮食物(음식물)을 消化(소화)하지 못한다. 이를 反
            胃(반위)라고 한다. 脈象(맥상)이 緊(긴)하며 澁(삽)한 경우는 治療(치료)하기 어렵다.

        3) 胃反嘔吐者 大半夏湯主之.
            反胃病(반위병) 患者(환자)의 嘔吐(구토)에는 大半夏湯(대반하탕)으로 다스린다.
        ※【千金】에는 「治胃反不愛食(치위반불애식), 食入卽吐(식입즉토)」 反胃病(반위병)
                        으로  飮食物(음식물)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음식을 먹으면 즉시 吐(토)하는
                        것을 治療(치료)한다. 고 하였으며,
            【外臺】에서는「治嘔(치구), 心下痞硬者(심하비경자)」嘔吐(구토)하고, 心窩部(심
                        와부)에 痞(비)가 생겨서 단단한 것을 治療(치료)한다. 고 하였다.
            大半夏湯(대반하탕)
                    ≒ 洗半夏(세반하)二升(12g), 人參(인삼)三兩(3g), 白蜜(백밀)一升(40g).
                        上三味(상삼미)를 달이는데 우선 白蜜(백밀)을 水(수) 一斗二升에 타서 고르
                        게 잘 저은 후(240 回攪拌)에 나머지 약 半夏(반하)와 人參(인삼)을 넣고, 달
                        여 二升半(이승반)에서 取(취)한 다음, 一升(일승)을 溫服(온복)하고 나머지
                        湯葯(탕약)은 二回(이회)로 分服(분복)한다.
              方解 ≡ 이 處方(처방)은 胃家(위가, 胃, 大腸, 小腸의 總稱(胃腸))가 오랜 동안 虛(허)
                        하고, 飮食物(음식물)이 停留(정유)하며, 氣(기)가 停滯(정체)하고 있기 때문
                        에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吐하고, 저녁에 먹은 것을  다음날 아침에 吐하
                        는 것을 治療한다.
                        半夏 : 寒邪(한사)를 發散(발산)시키고,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降下(강하)
                                  시켜서 嘔吐(구토)를 멈추게 하고,
                        人參 白蜜 : 脾胃(비위)를 補益(보익)하고, 燥熱(조열)을 滋潤(자윤)시킨다.

        4) 反胃 吐而渴 欲飮水者 茯苓澤瀉湯主之.
            反胃病(반위병)으로, 嘔吐(구토)하고, 입이 마르며, 물을 마시고 싶어 하는 患者(환자)
            에게는 茯苓澤瀉湯(복령택사탕)으로 다스린다.
            茯苓澤瀉湯(복령택사탕)
                        ≒ 茯苓(복령)半斤(16g), 澤瀉(택사)四兩(8g), 甘草(감초)二兩(3g), 桂枝(계
                            지)二兩(4g), 白朮(백출)三兩(6g), 生薑(생강)四兩(8g).
                            上六味(상육미) 중에서 澤瀉(택사)를 除外(제외)한 五味(오미)를 물 一斗
                            로 달여, 三升에서 澤瀉(택사)를 넣고 계속 달여 二升半에서 取(취)하여
                            一日三回 八合(팔합)씩 溫服(온복)한다.
                  方解 ≡ 이 處方(처방)은 脾胃(비위)를 따뜻이 하므로 虛寒證(허한증)을 治療(치료
                            )할 수 있으며, 小便(소변)을 잘 나오게 하므로 標病(표병)인 浮熱(부열)을
                            除去(제거)할 수 있다. 浮熱(부열)이 淸除(청제)된 다음, 大半夏湯(대반하
                            탕) 類(류)의 方劑(방제)로 이 病(병)을 治療(치료)한다.
                            茯苓 : 脾(비)를 補益(보익)하여 水氣(수기)의 排出(배출)을 잘 되게 하고,
                            澤瀉 : 小便(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桂枝 生姜 : 脾胃(비위)를 따뜻이 하여 上逆(상역)하는 기를 흩어지게 함
                            白朮 : 脾(비)의 燥濕症(조습증)을 補益(보익)하며,
                            甘草 : 脾胃(비위)를 調和(조화)시킨다.
    4. 임상 (臨床)
        1) 어혈한담(瘀血寒痰) 조체위구(阻滯胃口). - 식입즉통(食入卽痛) 불구토출(不久吐出),  혹 반위열격
            (反胃噎膈) 대변건결(大便乾結) 설질홍건(舌質紅乾) 맥현세(脈弦細).
            방 : 구즙우유음(韭汁牛乳飮)《丹溪心法》치조제(治燥劑)
            혹방 : 오즙안중음(五汁安中飮)《內科學》치조제(治燥劑)
     
        2) 기역증(氣逆證)
            臨床 : 역시 비위허한(脾胃虛寒)에 의한 질병으로서 위기상역(胃氣上逆)으로 아침에
                      먹은 음식을 저녁에 토하고(朝食暮吐) 저녁에 먹은 음식을 아침에 토하며(暮食
                      朝吐), 곡식이 위장에 머물러 있으며 소화되지 않는(宿谷不化) 것은 모두 위가
                      차가워서 곡식을 부숙(腐熟)시키지 못하기 때문이고(此皆胃寒不能腐谷), 비가
                      허한 탓에 운화가 건전할 수 없기(脾虛无以健運) 때문이다. 
            治宜 : 익기온중(益氣溫中) 화위지구(和胃止嘔)
            方用 : 정향투격산(丁香透膈散)《화제국방(和劑局方)》
                                  ≒ 정향(丁香), 인삼(人參), 백출(白朮), 향부(香附), 사인(砂仁), 목향(
                                      木香), 백두구(白豆蔲), 맥아(麥芽), 신곡(神曲), 감초(甘草).

            간기(肝氣)가 지나치게 승발(升發)하여 기역상충(氣逆上冲)한 환자는 모두 상술한 각
            병증 중에서볼 수 있음으로 번거로운 반복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증을 조성하는 병인은 상술한 외상(外傷), 내상(內傷)의 병인을 제외한 것
            외에 또 계절과도 일정한 관계가 있다. 《古今醫統 ․ 嘔吐噦門》에서 말하기를 “갑자
            기 구도를 하는 것은(卒然而嘔吐) 반드시 위부에 객사가 있고(定是邪客胃腑), 여름장
            마철에 서사에 막히고(在長夏暑邪所干)
            가을과 겨울에 풍한이 침범한(在秋冬風寒所犯)" 것이라 하였다.
            구토(嘔吐)와 천병(喘病)이 명확하게 같은 것은 매번 동춘(冬春)과 하추(夏秋)가 교차
            되는 한온(寒溫)의 기후가 돌변하는 시기에 기역(氣逆)하며 천촉(喘促)이 쉽게 발생한
            다는 점이다.
            예전에 임상변증을 할 때는 각기 다른 계절에 따라 역시 병사(病邪)의 특점을 근거로
            해서 論治(론치) 하였다.
            임상상 본증의 발생은 정서적 영향을 왕왕 받았고, 돌연적으로 喜, 怒, 驚, 駭(희,노,경
            ,해)하는 정서의 불안정한 변화는 매번 氣機逆亂(기기역란)을 쉽게 造成(조성)하며 또
            그렇게 怒(노)하면 氣(기)의 上逆(상역)이 觸發(촉발) 되어 眩暈(현운), 咯血(각혈), 脇
            痛(협통), 口苦(구고), 噯氣(애기) 등의 병인이 되는 증상을 쉽게 볼 수 있다.
            갑자기 暴飮暴食(폭음폭식)을 하거나 生冷(생냉)한 음식을 과식하거나 혹은 부패하거
            나 변질된 식품을 먹게 되면 역시 위기(胃氣)를 손상하게 되어 胃(위)가 和降(화강)하
            는 기능상실을 조성함으로 脘腹(완복)이 그득하게 부르고(脹滿) 아프며, 구토 등을 하
            게 된다.
            예로부터 정서와 의지가 거침이 없고 평안하며(情志舒暢),체온이 적당하고(寒溫適度)
            음식을 절제하여 편식과 과식을 피함(飮食有節) 으로써 예방 혹은 본증의 발생을 감소
            시켰다.

        3)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臨床 : 반위(反胃)에서 보는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의 그 증후 특점은 음식을 먹은
                      뒤에(食入之后), 위안에 정유되어(停留胃中),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
                      朝食暮吐), 저녁에 먹은 음식을 아침에 토하는데(暮食朝吐), 먹은 곡식이소화
                      되지 않는 것이다(完谷不化). 대부분 익히지 않은 차가운 음식을 먹었거나(多
                      因飮食生冷),  혹은 정서가 우울해서 비장을 상하고(憂思傷脾), 비양을 손상(損
                      傷脾陽) 함으로써 중초가 허한(中焦虛寒)하게 되어 곡식을 부수고 삭히지 못하
                      기(不能腐磨谷食) 때문이다.
                      《聖濟悤錄 ․ 嘔吐門》說 “食久反出(식구반출), 是无火也(시무화야)”라 했고 
                      《景岳全書 ․ 嘔吐門》說 “朝食暮吐(조식모토), 暮食朝吐(모식조토), 食入中焦
                      不化者(식입중초불화자),
                      胃虛也(위허야)” 
            治宜 : 온중건비(溫中健脾), 강역화위(降逆和胃).
            方用 : 정향투격산(丁香透膈散)《和劑局方》
                                  ≒ 정향(丁香), 인삼(人蔘), 백출(白朮), 향부(香附), 사인(砂仁), 목향 
                                    (木香), 백두구(白豆寇), 맥아(麥芽), 신곡(神曲), 감초(甘草).
              或 : 부자리중탕(附子理中湯)《화제국방(和劑局方)》가감(加减)
                                  ≒ 인삼(人蔘), 건강(乾姜), 백출(白朮), 부자(附子), 감초(炙甘草).
        4)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
            臨床 : 반위병(反胃病) 중에 보는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의 임상표현은 아침에 먹은
                      음식을 저녁에 토하고(朝食暮吐),저녁에 먹은 음식을 아침에 토하며(暮食朝吐)
                      토출되는 것들은 대부분 소화되지 않은 것이다. 이는 비위양허(脾胃陽虛)에 속
                      하는 것으로 위가 덥지 않은(胃中无火) 것이다.
            治宜 : 온중건비(溫中健脾), 강역화위(降逆和胃).
            方用 : 리중탕(理中湯)《상한론(傷寒論)》가감(加减)
                            ≒ 인삼(人蔘), 백출(白朮), 건강(乾姜), 감초(甘草).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