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5-06 17:30
[의방집성(醫方集成)] 두형환《太平聖惠方》 - 리어탕《千金方》
|
|
글쓴이 :
admin
 조회 : 13,545
|
두형환(杜蘅丸)《太平聖惠方》
조성 ≒ 杜蘅(두형), 防風(방풍), 茯苓(복령), 炮附子(포부자), 細辛(세신) 各30, 白薇(백
미), 牛膝(우슬), 半夏(반하, 湯洗去滑, 微炒) 各15, 沙蔘(사삼), 秦艽(진구), 川
椒(천초,微炒出汗), 桂心(계심), 菖蒲(창포), 藁本(고본),蛇床子(사상자)各22.5.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30 丸, 空腹及 晩食前 以溫酒送下. 有子卽
停服
효용 : 거풍활혈(祛風活血), 온난자궁(溫暖子宮).
주치 : 부인(婦人) 복장(腹臟) 구적풍냉(久積風冷), 혈기응삽(血氣凝澁), 불능선통(不能
宣通), 구불잉육(久不孕育).
등약(騰葯)《劉壽山正骨經驗》골상제(骨傷劑)
조성 ≒ 유향(乳香), 몰약(沒葯), 골쇄보(骨碎補), 속단(續斷), 목과(木瓜),투골초(透骨草),
백지(白芷), 강활(羌活), 방풍(防風), 당귀(當歸), 홍화(紅花), 천초(川椒).
조말(粗末) 가입(加入) 대청염(大靑鹽) 백주적량반균(白酒適量拌勻) 장입백포대
내봉타(裝入白布袋內縫妥). 전탕훈세(煎湯熏洗) 환처(患處) 혹(或) 증후열부환처
(蒸后熱敷患處)
주치 : 골절(骨折) 탈위(脫位) 근상(筋傷) 비증종창동통(痹證腫脹疼痛)
등황고(藤黃膏)《經驗方》
조성 ≒ 生藤黃粉(생등황분)120, 白蠟(백랍)120, 麻油(마유)500.
先將麻油煮沸 入白蠟熔化 加入藤黃粉調勻 收貯備用. 薄攤紗布上(박탄사포상)
貼潰瘍上(첩궤양상) 1 天 1 換.
효용 : 解毒生肌(해독생기)
주치 : 各種潰瘍(각종궤양).
ㄹ
락세법(落洗法)《古今醫統大全》卷二十二
조성 ≒ 椒目(초목), 川烏(천오), 細辛(세신), 乾姜(건강), 官桂(관계). 各等分.
上爲粗末. 煎湯 乘熱洗下部.
효용 : 온경산한(溫經散寒)
주치 : 하원허냉(下元虛冷), 일절냉병(一切冷病), 요복냉통(腰腹冷痛), 붕루대하(崩漏帶
下). 병세음문관대(幷洗陰門寬大) 하추번출(下墜翻出), 증속(證屬) 양기허한이
하함자(陽氣虛寒而下陷者).
란이산(爛耳散)《中醫耳鼻喉科學》이비제(耳鼻劑)
조성 ≒ 천심연(穿心蓮), 저담즙(猪膽汁), 고반(枯礬). 연세말(硏細末) 취우환처(吹于患
處)
주치 : 농이(膿耳)
람엽산(藍葉散)《證治准繩》영아제(嬰兒劑)
조성 ≒ 람엽(藍葉, 大靑葉), 승마(升麻), 시호(柴胡), 황금(黃芩), 감초(甘草), 대황(大
黃), 치자(梔子), 서각(犀角), 석고(石膏).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단독(丹毒, 赤游風).- 국부피부홍종(局部皮膚紅腫), 형여운편(形如云片), 흔열종
통(焮熱腫痛), 유주부정(游走不定), 고열(高熱), 번조(煩躁)
대변비결(大便秘結), 설홍태황(舌紅苔黃).
랍매해독탕(臘梅解毒湯)《中醫兒科學》
조성 ≒ 랍매화(臘梅花), 연교(連翹), 은화(銀花), 국화(菊花), 판람근(板藍根), 선의
(蟬衣), 적작(赤芍), 감초(甘草), 황련(黃連), 목통(木通), 지정(地丁).
랍지고(臘脂膏)《外科啓玄》옹양제(癰瘍劑)
조성 ≒ 랍월저유(臘月猪油)適量, 수은(水銀), 경분(輕粉), 대풍자인(大楓子仁) 各三錢,
목별자육(木鱉子肉)二錢, 고반분(枯礬粉)五分. 육미조성(六味組成).
각연극세말(各硏極細末) 화균(和勻), 저유조성(猪油調成) 호상(糊狀). 부첩환
처(敷貼患處) 매일환약(每日換葯) 일차(一次).
초용(初用) 여유(如有) 국부반응(局部反應) 삼사천후(三四天后) 즉능적응(卽能
適應)
주치 : 주조비(酒糟鼻)
래복단(來復丹)《和劑局方》온리제(溫里劑)
조성 ≒ 현정석(玄精石), 초석(硝石),유황(硫黃),진피(陣皮),청피(靑皮),오령지(五靈脂).
주치 : 상한하허(傷寒下虛)의 음한급증(陰寒急證).- 심복냉통(心腹冷痛), 폭토폭사(暴
吐暴瀉), 사지궐냉(四肢厥冷), 맥침복(脈沉伏) 혹 담궐기폐(痰厥氣閉)등 증을 다
스린다.
량격산(凉膈散) ⇒ 양격산(凉膈散)
량부환(良附丸)《良方集腋》리기제(理氣劑)
조성 ≒ 고량강(高良姜), 향부(香附).- 주세(酒洗) 7 번. 미탕(米湯) 가(加) 생강즙(生姜
汁)鹽爲丸. - 백개수(白開水)로 복용한다.
① 한중자(寒重者) : 고량강(高良姜) 배(倍) 향부(香附)
② 기중자(氣重者) : 향부(香附) 배(倍) 고량강(高良姜)
③ 인한겸기자(因寒兼氣者) : 각등분(各等分)
효능 : 온위산한지통(溫胃散寒止痛)
주치 1) 간울기체(肝鬱氣滯) 한기객위(寒氣客胃).- 위완통(胃脘痛), 혹 구토(嘔吐), 혹
연흉협창통(連胸脇脹痛) 태박백(苔薄白) 맥침현(脈沉弦).
2) 위한증(胃寒證) - 위완통(胃脘痛).
량혈청기탕(凉血淸氣湯)《丁甘仁醫案》⇒ 양영청기탕(凉營淸氣湯)《丁甘仁醫案》咽喉劑
렴창고(斂瘡膏)《醫方集成 www.ostmedizin.de》옹양제(癰瘍劑) SYS ADAOMTAFR Oil
造成 ≒ Arnebiae Radix (紫草), Dracon's Sanguis (血竭), Acacia catechu (兒茶),
Olibanum (乳香), Myrrha Preparata (沒葯), Tomarix chinensis Lour (檉柳),
Angelicae Dahuricae Radix (白芷), Forsythia Weeping Capsul (連翹), Scrophul-
ariae Radix (玄參)30g, 植物油 : Raps Oil (유채유) - Omega 3 함유.
유채유에 기타 약제(葯劑)를 모두 넣고 7일 이상 담갔다가 약한 불에 끓인 다음
거재(去滓) 하여 보관한다.
效能 : 살충지양(殺虫止痒), 소염생기렴창(消炎生肌斂瘡) 지혈(止血) 활혈화어(活血化
瘀)
主治 : 아토피 피부염(皮膚炎), 악창종독(惡瘡腫毒), 피부궤양(皮膚潰瘍), 습진(濕疹),
음양(陰陽), 질타손상(跌打損傷), 외상출혈(外傷出血), 어혈종통(瘀血腫痛), 충
수교상(虫獸咬傷).
령감오미가강신반하행인탕(苓甘五味加姜辛半夏杏仁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건강(乾姜),세신(細辛),반하(半夏),
행인(杏仁).
주치 : 복용(服用) 桂苓五味甘草去桂加乾姜細辛半夏湯 후(后) 수음거(水飮去) 구역
지(嘔逆止) 형체부종자(形體浮腫者).
령감오미가강신반행대황탕(苓甘五味加姜辛半杏大黃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건강(乾姜),세신(細辛),반하( 半夏),
행인(杏仁), 대황(大黃).
주치 : 수음협열(水飮挾熱) 위열상충(胃熱上冲) 면열여취자(面熱如醉者).
령감오미강신탕(苓甘五味姜辛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감초(甘草), 오미자(五味子), 건강(乾姜), 세신(細辛).
효용 : 온비폐이화담(溫脾肺而化痰)., 온화한담(溫化寒痰), 강기지해(降氣止咳).
주치 1) 복용(服用) 계령오미감초탕(桂苓五味甘草湯) 후(后), 충기즉견하강(冲氣卽
見下降) 단(但) 해수(咳嗽), 흉만지증(胸滿之證) 복발자(復發者).
2) 담음(痰飮) - 비양허증(脾陽虛證), 천식(喘息).
3) 천증(喘證) -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
령계출감탕(苓桂朮甘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계지(桂枝), 백출(白朮), 감초(甘草).
효용 : 온비화음(溫脾化飮), 온양이수(溫陽利水), 진역정계(鎭逆停悸).
주치 1) 담음(痰飮) - 비양허증(脾陽虛證).
2) 구토(嘔吐) 실증(實證) -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담음이 안을 요해하여(若痰飮內阻) 맑은 물의 가래와 침을 토하는(嘔吐淸
水痰涎) 경우 合 소반하탕(小半夏湯)《금궤요략(金匱要略)》
령계출감탕(苓桂朮甘湯)《傷寒論》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계지(桂枝), 백출(白朮), 감초(甘草).
효용 : 온비화음(溫脾化飮),
주치 1) 상한(傷寒) 병을 사하법(瀉下法)이나 발한법(發汗法)으로 잘못 치료하였거
나(誤用汗下),중초의 양기가 손상을 받은(中陽受損) 내상잡병으로서(雜病)
중초의 양기가 부족하고(中陽不足) 심하 부위에 음사(飮邪)가 머물고 있어
서(飮停心下).- 흉부에 기가 상충함으로(氣上冲胸) 머리를 굽혔다가 들게
되면 아찔하고 캄캄해지는 현기증(眩氣症)이 일어나고(起則頭眩), 호흡이
짧아 숨이 차고(短氣) 기침을 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心悸而咳) 맥이 길
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거나(脈弦) 혹은 맥이 팽팽히 긴장하고 유력하
며 꼬인 줄을 누르는 것 같다(或緊).
2) 현운(眩暈) : 수기능심증(水氣凌心證)
3) 담음(痰飮) : 비허습곤증(脾虛濕困證), 비양불진(脾陽不振) 수음불화(水飮
不化)
4) 음증(飮證) :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
5) 경계정충(驚悸怔忡) - 심신양허증(心腎陽虛證)
合 사역탕(四逆湯)《傷寒論》
령부단(苓部丹)《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백부(百部), 단삼(丹參), 황금(黃芩).
령연이모환(苓連二母丸)《醫宗金鑑》
조성 ≒ 黃芩(황금), 黃連(황연), 知母(지모), 貝母(패모, 去心), 當歸(당귀, 酒炒),
白芍(백작,酒炒), 羚羊角(영양각, 鎊), 生地(생지), 熟地(숙지), 蒲黃(포황),
地骨皮(지골피), 川芎(천궁) 各30, 生甘草(생감초)4.5.
共爲細末 側柏葉煎湯 面糊爲丸 如梧桐子大, 每天 70 丸, 燈心煎湯送下.
효용 : 억화자음(抑火滋陰), 양혈양혈(養血凉血), 안렴심신(安斂心神), 조화혈맥(調
和血脈).
주치 : 혈비(血痹).
령연이모환(苓連二母丸)《外科正宗》
조성 ≒ 黃連(황연), 黃芩(황금), 知母(지모), 貝母(패모), 川芎(천궁), 當歸(당귀),
生地(생지), 熟地(숙지), 蒲黃(포황), 羚羊角(영양각), 地骨皮(지골피), 甘
草(감초), 側柏葉(측백엽).
령연평위산(苓連平胃散)《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黃芩(황금), 黃連(황연), 蒼朮(창출), 厚朴(후박), 陣皮(진피), 甘草(감초).
령음급소방(令陰急小方)《醫心方》卷二十八, 引《洞玄子》좌약방(坐葯方)
조성 ≒ 硫黃(유황), 靑木香(청목향), 山茱肉(산수육), 蛇床子(사상자) 各10.
上爲細末. 裝入膠囊 性交前 取 1 粒, 放入陰道. 不宜多用.
치법 : 온난자궁(溫暖子宮), 장양수섭(壯陽收攝).
주치 : 음도송이(陰道松弛).
령음급소방(令陰急小方)《醫心方》卷二十八, 引《玉房指要》
조성 ≒ 硫黃(유황)15, 遠志(원지)8.- 上爲散, 絹裹(견과), 納陰道內. 或用 硫黃15,
蒲黃8, 沸水冲, 洗陰道及 外陰.
효용 : 온양안궁(溫陽暖宮).
주치 : 중기하함지음도송이(中氣下陷之 陰道松弛).
령음장대방(令陰長大方)《醫心方》卷二十八 引《玉房秘訣》외용방(外用方)
조성 ≒ 蜀椒(촉초), 細辛(세신), 肉蓗蓉(육종용) 各6.
上爲極細末 納于狗膽之內 懸于通風之處, 30 日后取下. 用時用葯粉, 磨擦陰
莖, 1 日 2 次.
주치 : 陰莖細小(음경세소)
령이고(靈異膏)《外科大成》
조성 ≒ 鬱芩(울금), 生地(생지), 粉草(분초), 猪脂油(저지유).
령출탕(苓朮湯)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白茯苓(백복령), 白朮(백출), 厚朴(후박), 靑皮(청피), 炮姜(포강), 草果(초과),
半夏(반하), 甘草(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壬年(육임년) 發生(발생)의 紀(기)
歲木(세목)이 太過(태과)하고 風氣(풍기)가 流行(류행)하고,脾土(비토)가 邪(사)
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飱泄(손설, 저녁에 먹은 밥을 사하고), 食减(식
감), 體重(체중), 煩寃(번원, 원통하고 괴로워 함), 腸鳴(장명), 脇痛(협통), 支滿(
지만) 등 증이 流行(류행)하는 것을 다스린다.
령출토사환(苓朮兎絲丸)《景岳全書》
조성 ≒ 茯苓(복령), 白朮(백출), 蓮肉(연육), 五味(오미), 炒山葯(초산약), 炒杜仲
(초두중), 炙甘草(자감초), 菟絲子(토사자).
령치평위산(苓梔平胃散)《外科證治全書》
조성 ≒ 黃芩(황금), 梔子(치자), 陣皮(진피), 厚朴(후박), 蒼朮(창출), 甘草(감초).
령혈탕(寧血湯)《中醫眼科學》치목제(治目劑)
조성 ≒ 생지(生地), 백작(白芍), 한련초(旱蓮草), 선학초(仙鶴草), 백급(白芨), 백렴(白
蘞), 백모근(白茅根), 치자탄(梔子炭), 아교(阿膠), 측백엽(側柏葉).
주치 : 허화상락(虛火傷絡)지 운무이정(云霧移睛).- 자각안전흑화비무(自覺眼前黑花飛
舞), 시력하강(視力下降) 파리체(玻璃體, 琉璃體) 가견유점상(可見有点狀), 서상
(絮狀) 혹 단괴상(團塊狀) 혼탁(混濁), 혹견(或見) 안저유출혈(眼底有出血)의 병
변(病變), 두운이명(頭暈耳鳴) 심번소매(心煩少寐) 구조인건(口燥咽乾) 설홍소
태(舌紅少苔) 맥현세(脈弦細).
로감석세제(爐甘石洗劑)
조성 ≒ 爐甘石(로감석)10, 氧化鋅(양화자)5, 石灰酸(석회산)1ml, 甘油(감유)5ml,
水(수, 或飽和石灰水) 加至 100ml.- 充分搖勻后 直接外涂 也可加入 5% 硫
黃(유황) 或 1% 冰片 或薄荷 等.
효용 : 消炎止痒(소염지양)
주치 : 无滲出的(무삼출적) 急性瘙痒性皮膚病(급성소양성피부병)
로근음자(蘆根飮子)《秘傳眼科龍木論》
조성 ≒ 로근(蘆根), 대황(大黃), 방풍(防風), 황기(黃芪), 황금(黃芩), 현삼(玄參), 망
초(芒硝).
로근탕(蘆根湯)《濟陰綱目》경산제(經産劑)
조성 ≒ 로근(蘆根), 맥동(麥冬), 죽여(竹茹), 진피(陣皮), 전호(前胡).
주치 : 임신(姙娠) 담열오조(痰熱惡阻).- 두운심번(頭暈心煩) 토황니담연(吐黃膩痰涎)
설태황니(舌苔黃膩) 맥활삭(脈滑數).
로내소어탕(顱內消瘀湯)《中醫傷科學》골상제(骨傷劑)
조성 ≒ 삼능(三棱), 아출(莪朮), 도인(桃仁), 홍화(紅花), 천궁(川芎), 작약(芍葯),
혈갈(血竭), 단삼(丹參), 명유향(明乳香), 명몰약(明沒葯), 사향(麝香), 향
부(香附), 자충(蟅虫).
십삼미약(十三味葯)
주치 : 로내어혈(顱內瘀血).- 두부수상(頭部受傷) 운궐(暈厥) 성후두통(醒后頭痛)
두운(頭暈) 구토(嘔吐) 건망(健忘) 감각지둔(感覺遲鈍) 설자암(舌紫暗) 맥세
삽(脈細澁).
로로통수세제(路路通水洗劑)《經驗方》
조성 ≒ 路路通(로로통), 蒼朮(창출) 各60, 百部(백부), 艾葉(애엽), 枯礬(고반)
各15.- 水煎取汁, 濾過去渣.- 待溫, 溻洗, 日 1~2 次.
효용 : 疏通氣血(소통기혈) 祛濕止痒(거습지양)
주치 : 皮膚瘙痒症(피부소양증), 頑濕瘍(완습양), 攝領瘡(섭령창) 等.
로씨신염소종환(盧氏腎炎消腫丸)《驗方》
조성 ≒ 黑白丑(흑백축) 各二兩四錢, 炒黃勿焦 硏成細末, 用生姜汁半斤, 紅棗 或 紅
糖一斤 制成 棗泥或糖泥 調和后隔水蒸 四小時, 共蒸二次, 分 5~7 日服用
로호수세제(爐虎水洗劑)《經驗方》
조성 ≒ 爐甘石(로감석)10, 虎杖粉(호장분)5, 薄荷腦(박하뇌)1, 甘油(감유)適量.
取上葯粉, 加入 蒸餾水 100 毫升和甘油 少許, 振蕩卽成.- 外搽, 日 2~3 次.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散風止痒(산풍지양).
주치 : 疿痱(비비), 酒性紅斑(주성홍반) 等.
로회소감음(蘆薈消疳飮)《重樓玉鈅》
조성 ≒ 蘆薈(로회), 牛蒡(우방), 玄參(현삼), 桔梗(길경), 黃連(황연), 薄荷(박하),
梔子(치자), 甘草(감초), 升麻(승마), 生石膏(생석고), 銀柴胡(은시호), 淡
竹葉(담죽엽), 羚羊角(영양각).
로회유제(蘆薈乳劑)《經驗方》
조성 ≒ 鮮蘆薈(선로회)45, 桉葉油(안엽유)4.5, 阿拉白膠(아랍백교)10,
先將鮮蘆薈洗凈, 壓搾取汁 邊攪邊兌 入阿拉白膠, 待成乳白狀 再加入桉葉油,
攪勻備用.- 外涂 或攤在紗布上 敷貼.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安撫潤膚(안무윤부).
주치 : 日晒瘡(일쇄창), 放射性皮炎(방사성피염) 等.
로회환(蘆薈丸)《醫宗金鑑》
조성 ≒ 蘆薈(로회), 靑皮(청피), 蕾芄(뢰환), 蕪荑(무이), 黃連(황연), 胡黃連(호황연),
鶴蝨(학슬), 木香(목향), 麝香(사향).
뢰씨각서조원법(雷氏却暑調元法)《時病論》
조성 ≒ 석고(石膏), 활석(滑石), 복령(茯苓), 반하(半夏), 서양삼(西羊參), 맥
문동(麥門冬), 감초(甘草), 갱미(粳米).
효용 : 청서익기(淸暑益氣)
주치 : 복서(伏暑) - 서열내복기분(暑熱內伏氣分) : 서열상기증(暑熱傷氣證)
뢰씨방향화탁법(雷氏芳香化濁法)《時病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풍란엽(偑蘭葉), 강후박(姜厚朴), 제반하(制半夏), 곽향엽(藿香葉),
선하엽(鮮荷葉), 대복피(大腹皮), 광진피(廣陣皮).
주치 : 1) 습온(濕溫), 습곤중초(濕困中焦), 신열불양(身熱不揚), 완비복창(脘
痞腹脹), 오심욕토(惡心欲吐), 구불갈(口不渴), 혹 갈이불욕음(渴而
不欲飮), 혹 갈희열음(渴喜熱飮), 대변당설(大便溏泄), 소변혼탁(小
便混濁), 태백니(苔白膩), 맥유완(脈濡緩).
2) 서예(暑穢)
뢰씨선투막원법(雷氏宣透膜原法)《時病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후박(厚朴), 황금(黃芩), 감초(甘草), 빈낭(檳榔), 초과인(草果仁), 반
하(半夏), 광곽향(廣藿香)., 생강(生姜)3片 위인(爲引).
주치 : 습온(濕溫) 사조막원(邪阻膜原).- 한열왕래(寒熱往來), 한심열미(寒甚
熱微), 신통유한(身痛有汗), 수족침중(手足沉重), 구역창만(嘔逆脹滿),
설태백후니탁(舌苔白厚膩濁), 맥완(脈緩).
뢰씨청양척서법(雷氏淸凉滌暑法)《時病論》거서제(祛暑劑)
조성 ≒ 백통초(白通草), 백편두(白萹豆), 대연교(大連翹), 비활석(飛滑石), 백
복령(白茯苓), 생감초(生甘草), 청호(靑蒿), 서과취의(西瓜翠衣).
효용 : 청서열(淸暑熱), 익기음(益氣陰).
주치 : 복서열상기음증(伏暑熱傷氣陰證) - 무더운 여름철에 서사(暑邪)에 상(
傷)한 것이 병발(病發)하지 않고 체내에 잠복하고 있다가 추동(秋冬)에
이르러 시사(時邪)에 이끌려 발병함으로 초기에는 항상 한열(寒熱)을
발(發)하고 있어서 마치 외감병(外感病) 사기(邪氣)와 유사(一似)하다.
주의 - 만약 부당하게 해표(表散)를 목적으로 신온(辛溫)한 약물을 과
용하게 되면 매번체표(体表)가 해산(解散)됨에 따라 이어서 복
사(伏邪)가 화로 변(化火)하며, 상진모기(傷津耗氣)하는 열세(熱勢)가
다시 일어나(復起)면서, 한출구갈(汗出口渴)하고, 설태황흑무진(舌苔
黃黑无津)하고 맥상은 활삭(脈象滑數)한 등 증상을 보게 된다.
뢰화신침(雷火神針)《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기애(蘄艾)三錢, 사향(麝香)二分, 정향(丁香)五分. 삼미조성(三味組成)
주치 : 음증창양(陰證瘡瘍).- 만종무두(漫腫无頭), 피색불변(皮色不變), 근골동통(筋
骨疼痛), 기좌간난(起坐艱難), 불득안와(不得安臥).
루로탕(漏蘆湯)《外科大成》
조성 ≒ 漏蘆(루로), 白蘞(백렴), 槐白皮(괴백피), 五加皮(오가피), 甘草(감초), 白疾藜
(백질려).
리경탕(理經湯)《女科指南》
조성 ≒ 當歸(당귀), 川芎(천궁), 地黃(지황), 白芍葯(백작약),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朮(백출), 陳皮(진피), 升麻(승마) 各3. 生姜(생강)3片 - 水煎服(수전복)
효용 : 養血調經(양혈조경), 健脾生血(건비생혈)
주치 : 비허혈소(脾虛血少) - 婦人經水落后者(부인경수락후자)
리기지통탕(理氣止痛湯)《中醫傷科學》골상제(骨傷劑)
조성 ≒ 로로통(路路通), 청피(靑皮), 시호(柴胡), 지각(枳殼), 천련자(川楝子), 원호
(元胡), 목향(木香), 향부(香附), 단삼(丹參), 유향(乳香), 몰약(沒葯). 십일
미약(十一味葯)
주치 : 기분수상(氣分受傷), 울체동통(鬱滯疼痛).
리어탕(鯉魚湯)《千金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리어(鯉魚), 생강(生姜), 운령(云苓), 백출(白朮), 당귀(當歸), 백작(白芍).
주치 : 비허혈소(脾虛血少)적 자종(子腫).- 면목지체허부(面目肢體虛浮) 신피핍력(神疲
乏力) 심계현운(心悸眩暈) 설태백활(舌苔白滑) 맥세약(脈細弱)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