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3-25 11:58
[침구임상(針灸臨床)] 칠정 (七情) - 탈장 (脫腸)
 글쓴이 : admin
조회 : 7,854  
칠정 (七情)
    1. 舍岩道人針灸要訣
        諸氣痛門(제기통문)
        1) 怒氣上(노기상) : 未曾有(미증유)의 憤怒(분노,忿怒)가 있은 후에 氣(기)가 上冲(상충)
                                    하는 證狀(증상)
                          處方 : 肝實(간실) - 經渠(경거) 中封(중봉) 補,  行間(행간) 少府(소부) 瀉.
                                    또는 經渠(경거) 瀉, 太冲(태충) 瀉)
        2) 喜氣緩(희기완) : 所望(소망)에 넘치는 환희가 있은 후에 氣(기)가 緩慢(완만)한 狀態(
                                    상태)
                          處方 : 心傷(심상) - 少冲(소충) 大敦(대돈) 補,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
                                    又方 太白(태백) 溫, 三里(삼리) 凉.
        3) 思氣結(사기결) : 쉽게 처결하기 곤란한 사정으로 深思熟考(심사숙고)한 끝에 생긴 氣
                                    結證(기결증).
                          處方 : 脾傷(비상) - 大都(대도) 少府(소부)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4) 悲氣消(비기소) : 과격한 슬픔이 있은 후에 초래된 氣(기)의 消散證(소산증).
                          處方 : 上脘(상완) 灸, 腰兪(요수) 針 (瀉)
                                    柳泰佑 - 對症療法으로서뚜렸한 의미가 없다.
                                                  너무 슬퍼서 氣가 흩어져 맥이 빠진 狀態(상태)는 肺勝格(
                                                  폐승격)이 아니면 心正格(심정격)을 놓는다.
        5) 憂氣鬱(우기울) : 極度(극도)에 達(달)하는 憂慮(우려)의 事情(사정)으로 생긴 氣鬱證(
                                    기울증)
                          處方 : 腎弱(신약)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6) 驚氣亂(경기난) : 갑자기(卒暴間) 생긴(生起) 놀라운(驚怯) 事情(사정)으로 招來(초래)
                                    된 氣亂證(기난증)
                          處方 : 太冲(태충) 補, 少府(소부) 瀉.
                                    又方 : 勞宮(노궁) 瀉, 三陰交(삼음교) 肺兪(폐수) 灸.
        7) 寒氣收(한기수) : 酷寒(혹한)에 跋涉(발섭, 산을 넘고 물을 건너감)으로 인해 寒氣(한
                                    기)를 받아 病(受傷)이 된 증상.
                          處方 : 丹田(단전) 正, 氣海(기해) 灸 100壯.
                                    丹田(단전) 正(정)은 關元(관원)이나 石關穴(석관혈)을 말한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此證(차증)은 흥히 氣道(기도)가 痰滯(담체)의 被害(피해)로 血積阻滯(혈적조체
                    )가 된 까닭인데 또한 血脈空虛(혈맥공허)로 인하여 虛氣(허기)가 流入(류입)해
                    가지고 作痛(작통)하는 자도 있나니 前者(전자)는 實證(실증)에 속했고 후자는
                    虛證(허증)에 속하였다.
        要治(요치)의 大法(대법)은 開鬱行氣(개울행기), 豁痰消積(활담소적)하는 것이 妥當(타
        당)하나 오랜 것이라면 辛寒(신한)을 用(용)하여 降火(강화) 하여야 한다. 그런데 舍岩(
        사암)은 氣痛(기통)의 治法(치법)은 “先看七情之長短(선간칠정지장단), 後察九氣之善惡
        (후찰구기지선악)”이라야 한다. 라고 强調(강조)하고 “喜則氣緩(희칙기완), 怒則氣傷(노
        칙기상), 憂者氣沈而思結(우자기침이사결), 悲者氣消而驚氣(비자기소이경기)”라 하여
        上法(상법)을 提示(제시)하고 “時人五志之火(시인오지지화) 無時不起(무시불기), 十味之
        偏(십미지편) 無日不傷(무일불상)”의 論(론)을 擧(거)하여 注意(주의)를 喚起(환기)하였
        다.
        舍岩經驗方
        註曰 - 君子(군자)는 行之無憂(행지무우)어늘 何氣之有哉(하기지유재)아 經(경)에 曰蹶
        者(왈궐자) 趨者(추자)는 是氣也(시기야)로되 反動其心(반동기심)이오 榮衛之配合(영위
        지배합)은 理所固然者也(리소고연자야)라 氣者(기자)는 已之所出(이지소출)이나 已成病
        根(이성병근)하여 不能自制者也(불능자제자야)로다.
        1) 한 小兒(소아)가 年五六(연오육)에 恒時(항시) 鱉腹(별복)을 患(환)하여 鍼藥(침약)으
            로 小可(소가)하더니 잘못하여 높은 마루에서 떨어져 鱉倒(별도) 扶起(부기)한지 食頃
            (식경)에 回生(회생)하더니 其後(기후)부터 鱉昏一頃(별혼일경)에 起(기)하고 時時(시
            시)로 惡寒頭痛(오한두통)을 訴(소)하거늘 少冲(소충)補(보), 少府(소부) 瀉(사) 하였
            더니 一次(일차)에 낫더라
        2) 한 男兒(남아)가 年近三十(연근삼십)에 其妻(기처)가 發狂(발광)이 大作(대작)하는 걸
            보고 如癡不振(여치부진)하더니 一日間(일일간)에 惡寒(오한)이 三四次(삼사차)요 言
            語(언어)가 不明(불명)하고 漸駸漸極(점침점극)하여 보는 사람들이 必死不治(필사불
            치)라 하더니 驚亂(경란) 本方(본방)으로써 治(치)하기 一次(일차)에 病快(병쾌)하더
            라.
침안 (針眼)
    1. 參照文(참조문)
        1) 맥립종 (麥粒腫)
        2) 안검염 (眼瞼炎)
    2. 中醫針灸學
        본병의 주요한 증상은 눈시울에 딴딴한 알맹이가 지는데 마치 보리알 같으며 아프고 가
        렵다. 이를 맥립종(麥粒腫)이러 부르며, 다래끼라고도 부른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외감풍열이 안검에 몰리거나, 뱁고 짠 음식을 과식하여 脾胃濕熱(비위습열)이 눈
        에 上攻(상공)하게 되면 모두 營衛(영위)를 失調(실조)하므로 氣血(기혈)이 凝滯(응체)되
        고 熱毒(열독)이 眼瞼皮膚(안검피부)의 經絡(경락)사이에 壅阻(옹조)되어 發生(발생)된
        다.
        辨證論治(변증론치)
        主證 : 병 초기에는 눈시울(眼瞼) 국부가 벌겋게 붓고 딴딴하며 疼痛(동통)과 觸痛(촉통)
                  이 생기고 점차 홍종이 커진다. 경한 환자는 수일이 지나면 자연히 없어지는데 중
                  한 환자는 수일이 지나면 黃色膿点(황색농점)이 생기고 이것이 터진 후 고름이 나
                  오면 낫는다.
        兼證 ⑴ 口臭(구취), 心煩(심번), 口渴(구갈), 苔黃膩(태황니), 脈濡數(맥유삭)한 사람은
                    脾胃濕熱(비위습열)이고
              ⑵ 惡寒(오한), 犮熱(발열), 頭痛(두통), 咳嗽(해수), 苔薄(태박), 脈浮數(맥부삭)한
                  가람은 外感風熱(외감풍열)이다.
        治則 : 疏風(소풍), 淸熱(청열), 利濕(이습). 
                  足陽明(족양명),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을 위주로 취하여 毫針(호침)으로 瀉法(
                  사법)을 사용한다.
        處方 ⑴ 脾胃濕熱(비위습열) : 合谷(합곡), 承泣(승읍), 四白(사백), 陰陵泉(음능천).
              ⑵ 外感風熱(외감풍열) : 睛明(정명), 攢竹(찬죽), 行間(행간), 太陽(태양).
                  惡寒發熱(오한발열) : 加 外關(외관) - 解表淸熱(해표청열)
                  頭痛(두통) : 加 風池(풍지) - 疏風(소풍), 解表(해표), 止痛(지통).
    3. 舍岩五行鍼解說
        1) 上下眼胞如桃 : 눈망울(안검, 안포)이 복숭아 같이 부은 症狀
                        處方 : 脾病(비병) -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코피 (衄血) ⇒ 뉵혈 (衄血)
타액 (唾液)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分泌過多 -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타혈 (唾血)
    1. 參照文(참조문)
        1) 각혈 (咯血)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陽小腸經 : 肩中兪(견중유).
탄발지 (      )
      1. 參考文
          1) 類似疾患(유사질환).  a) 류마치스(Rheumatism)
                                              b) 건초염(腱鞘炎 Tendovaginitis)
      2. 現代針灸學 成樂箕
          本病은 Rheumatism과 흡사한 것으로 外傷性(외상성)으로 일어나는 것도 있으나  대부
          분 Tendovaginitis(腱鞘炎)에 속발(續發)하는 것이 많다.
          엄지손가락에만 오는 것이 있는가 하면 中指(중지), 无名指(무명지) 또는 食指(식지),
          中指(중지), 无名指(무명지)에 함께 오는 것도 있다.
          연령적으로는 40세에서 50세에 많이 발병하며, 腱鞘(건초)일부에 肥厚(비후)에 의한
          狹窄(협착)을 가져와서 비후부가 환상인대에 충돌하기 때문에 굴신작용이 어려워지며
          억지로 屈伸(굴신)하면 딱하고 마찰음(비후부가 腱鞘(건초)를 통과하는 소리)을 낸다.
          통상적으로 장골과 지골과 의관절부 내면(掌側)에 壓痛(압통)이 있으며 때로는 腕關節
          (완관절) 掌側(장측) 中央(중앙) 부위에 있는 大陵穴(대능혈) 부근의 腱部(건부)에도
          온다.
          治療 : Tendovaginitis(腱鞘炎) 치법에 준한다.
                    외과적으로는 腱鞘(건초)의 肥厚部(비후부)를 깎아내는 것이지만 수술에 의하
                    지 않고 針術治療(침술치료) 만으로 충분히 완치가 가능하므로 끈기 있는 치료
                    가 필요하다.
탄산 (呑酸) ⇒ 위산과다 (胃酸過多)
탄인곤난 (呑咽困難) : 삼키기 곤난한 증상 즉 嚥下困難(연하곤난)
          1. 參照文(참조문)
              1) 열격 (噎膈)
              2) 반위 (反胃)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任脈 : 中庭(중정), 廉泉(렴천).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氣舍(기사), 天鼎(천정), 天突(천돌).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유), 膈關(격관), 廬兌(려태).
              2) 水漿不下(수장불하) - 任脈 : 璇璣(선기).
              3) 小兒(소아) 嚥乳不利(연유불이) - 任脈 : 璇璣(선기).
              4) 食道癌引起(식도암인기) 不能食(불능식) - 寄穴 上肢部 : 中魁(중괴).
              5) 기타원인 不能食(불능식) - 寄穴 上肢部 : 中魁(중괴).
          4. 이침(耳針)
                      耳穴 : 食道(식도).
탄탄 (癱瘓)
    1. 參照文(참조문)
        1) 다발성신경염 (多發性神經炎)
        2) 위증 (痿證)
        3) 하지마비 (下肢痲痺)
        4) 상지마비 (上肢痲痺)
        5) 반신불수 (半身不遂)
    2. 主治穴(주치혈)
        1) 督脈 :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탈모 (脫毛)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督兪(독수), 腎兪(신수).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輸,原).
    2. 이침(耳針)
                耳穴 : 腎(신), 肺(폐).
탈장 (脫腸)
    1. 참조문(參照文)
        1) 산기 (疝氣)
        2) 하수증 (下垂症)
    2. 針灸經驗方 許任
        1) 졸산(卒疝) : 갑자기 탈장(脫腸)이 생기는 것
                              處方 : 태충혈(太冲穴).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