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8-25 12:46
[동의약전(東醫葯典)] 음식금기 (飮食禁忌) 1. 姙娠禁忌葯 2. 十八反, 十九畏 3. 服葯中 飮食禁忌 (口服禁忌)
 글쓴이 : admin
조회 : 12,112  
음나무 : 根皮 ⇒ 해동피 (海桐皮)
음식금기 (飮食禁忌)
              이 장에서 말하는 飮食禁忌(음식금기)란 사람이 음식을 먹는대 주의해야할 점을 네
              가지 특수 상황으로 분리해서 지적하고 있다. 첫째는 姙娠婦(임신부)가 禁忌(금기)
              및 愼重(신중)해야 하는 飮食(음식), 둘째는 葯草(약초)와 葯草(약초)가 서로 相反
              (상반)하고 相畏(상외)하는 것이 있으므로 함께 사용하는 것을 禁忌(금기)로 하고
              있는 것, 셋째로는 사람이 葯(약)을 服用(복용)하고 있는 중에 禁忌(금기)해야 할 飮
              食(음식), 넷쩨로는 古傳(고전)【金匱要略(금궤요략)】이 전하는 飮食禁忌(음식금
              기)를 소개한다.
          1. 妊娠禁忌葯(임신금기약)
              元斑(원반), 水蛭(수질), 蝄虫(망충), 烏頭(오두), 附子(부자),天雄(천웅),野葛(야갈),
              水銀(수은), 巴豆(파두), 牛膝(우슬), 薏苡仁(의이인), 蜈蚣(오공), 三稜(삼릉), 芫花
              (원화), 代赭石(대자석), 大戟(대극), 蟬退(선퇴), 雌黃(자황),雄黃(웅황),牙硝(아초),
              芒硝(망초), 牡丹皮(모단피), 桂枝(계지), 槐花(괴화), 牽牛(견우), 半夏(반하), 南星
              (남성), 通草(통초), 瞿麥(구맥), 乾姜(건강), 桃仁(도인), 惱砂(뇌사), 乾漆(건칠), 蟹
              爪甲(해조갑), 地龍(지용), 熊膽(웅담), 茅根(모근), 蒜(산), 蟅虫(자충).

              姙娠 중에 주의를 요하는 것은 落胎(낙태)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약물
              부작용의 정도 여하에 따라 절대적으로 사용을 금지하거나 조심하여 사용해야 한다
              고 말하고 있다. 절대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약들은 대부분 독성이 비교적 강하고 약
              성이 맹열한 것들이다.
              1) 泄瀉葯(설사약) : 巴豆(파두), 蘆薈(로회), 番瀉葉(번사엽), 大黃(대황),芒硝(망초)
              2) 逐水葯(축수약) : 芫花(원화), 甘遂(감수), 大戟(대극), 牽牛子(견우자),商陸(상육)
              3) 湧吐葯(용토약) : 瓜蒂(과체), 黎蘆(여로)
              4) 痲醉葯(마취약) : 洋金花(양금화)
              5) 破血通經葯(파혈통경약) : 三棱(삼능), 莪朮(아출), 阿魏(아위), 水蛭(수질), 蝄虫
                                                        (망충), 穿山甲(천산갑)
              6) 芳香開竅葯(방향개규약) : 麝香(사향), 蟾穌(섬소), 皂莢(조협, 皂角)
              7) 毒性葯(독성약) : 蜈蚣(오공), 全蝎(전갈), 水銀(수은),砒石(비석),木鱉子(목별자),
                                          斑蝥(반모), 生川烏(생천오), 生草烏(생초오), 生南星(생남성),
                                          生附子(생부자), 雄黃(웅황), 硫黃(유황), 輕粉(경분)
              8) 活血祛瘀葯(활혈거어약) : 桃仁(도인), 紅花(홍화), 王不留行(왕불유행), 乳香(유
                                                        향), 沒葯(몰약), 蒲黃(포황), 益母草(익모초), 牛膝(우
                                                        슬), 五靈脂(오령지), 丹皮(단피)
              9) 利水通淋葯(이수통림약) : 冬葵子(동규자), 瞿麥(구맥), 薏苡仁(의이인)
            10) 鎭靜降逆葯(진정강역약) : 代赭石(대자석), 磁石(자석)
            11) 소독약(小毒葯) : 상산(常山), 반하(半夏)

              조심해서 사용해야 하는 약물은 임신부의 병증에 근거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하지 않아도 될 때에는 될 수 있는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十八反(십팔반), 十九畏(십구외) (配伍禁忌(배오금기))
              약물과 약물을 배합할 때 약물들은 각기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葯性(약성)이
              라고 하며 그 특성이 7 가지로 구분되므로 葯物七情(약물칠정) 또는 七情(칠정)이라
              고도 부르는데 이를테면 單行(단행), 相須(상수), 相使(상사), 相畏(상외),相殺(상살),
              相惡(상오), 相反(상반)으로 구분되는 것 중에서 相反(상반)과 相畏(상외)에 해당되
              는 것으로서 相反(상반)은 두 가지 약을 함께 배합함으로 해서 毒性(독성) 혹은 副作
              用(부작용)이 일어나는 配伍關系(배오관계)를 가리키고, 相畏(상외)는 두 가지 약물
              을 함께 배합함으로 해서 약물작용이 약해지거나 심지어 소실되는 配伍關系(배오관
              계)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이를 配伍禁忌(배오금기)로 정하고 있다. 古傳(고전)에는
              相畏(상외)라 해 놓고 相惡(상오)를 說明(설명)하고 있다.

              1) 十九畏(십구외) 
                  硫黃 畏 朴硝(유황외박초),              水銀 畏 砒霜(수은외비상),
                  狼毒 畏 密陀僧(낭독외밀타승),        巴豆 畏 牽牛子(파두외견우자),   
                  丁香 畏 鬱芩(정향외울금),              牙硝 畏 荊三稜(아초외형삼능),
                  人蔘 畏 五靈脂(인삼외오령지),        官桂 畏 赤石脂(관계외적석지)
                  川烏, 草烏 畏 犀角(천오초오외서각).
            2) 十八反(십팔반) 
                ⑴ 甘草(감초) 反 甘遂(감수), 大戟(대극), 海藻(해조), 芫花(원화).
                ⑵ 烏頭(오두) 反 貝母(패모), 瓜蔞(과루), 白蘞(백렴), 白及(백급), 半夏(반하).
                ⑶ 黎蘆(여로) 反 諸參(제삼), 細辛(세신), 芍葯(작약).

            위에 소개한《十八反(십팔반)》《十九畏(십구외)》중에 일부 약물의 配伍禁忌(배오
            금기)는 임상실천과 다른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대 醫學家(의학가)들도 옛 처방
            을 근거로써 어떤 약물들은 함께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었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
            나 아직 十八反(십팔반)과 十九畏(십구외)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못하고 그 원리가
            분명치 못하므로 이들의 配伍禁忌(배오금기)에 대해서는 여전히 愼重(신중)한 태도
            로 주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충분한 이론근거와 상용 경험이 없는 한 使用(사용)을
            禁忌(금기)로 삼아야 한다.

          3. 服葯中(복약중) 飮食禁忌(음식금기) (口服禁忌)
              1) 甘草(감초), 黃連(황연), 烏梅(오매), 桔梗(길경) : 豬肉(저육) 
              2) 鹿茸(녹용), 商陸(상육) : 犬肉(견육)
              3) 鱉甲(별갑) : 莧菜(현채)  4) 茯苓(복령) : 菘(숭, 배추) 
              5) 蜂蜜(봉밀), 常山(상산) : 生葱(생총), 生菜(생채)
              6) 白朮(백출), 蒼朮(창출) : 雀肉(작육), 靑魚(청어), 菘菜(숭채), 桃(도), 李(이)
              7) 地黃(지황), 何首烏(하수오) : 蘿(라), 葱(총), 蒜(산), 一切血(일절혈)
              8) 土茯苓(토복령), 威靈仙(위령선), 使君子(사군자), 補血葯(보혈약) : 茶(차)
              9) 荊芥(형개) : 忌魚(기어)

              口服禁忌(구복금기)라는 것은 草葯(초약)을 口服(구복)하고 있는 기간에 일부 食物
              (식물)에 대한 금기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草葯(초약)을 服用(복용) 중에는 생것,
              찬 음식, 기름진 음식, 매운 것 등 잘 소화되지 않거나 자극성이 강한 음식을 금기하
              여야 한다. 특히 주의를 要(요)해야 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1) 寒性疾病(한성질병)인 때 : 생것, 찬 음식을 주의하여야 하고,
              2) 熱性疾病(열성질병)인 때 : 맵고, 기름진 음식을 주의해야 하며,
              3) 瘡瘍(창양)과 皮膚病(피부병)인 때 : 물고기, 새우, 거위 등 비린내가 나고, 자극성
                  이 있는 음식을 금기하여야 하고,
              4) 어지럽고, 초조해 하고, 성을 잘 내는 환자 : 胡椒(호초), 고추, 파, 마늘과 술을 禁
                  忌(금기) 해야 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